KR101455152B1 - 각도조절용 엘보관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용 엘보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5152B1 KR101455152B1 KR1020140076575A KR20140076575A KR101455152B1 KR 101455152 B1 KR101455152 B1 KR 101455152B1 KR 1020140076575 A KR1020140076575 A KR 1020140076575A KR 20140076575 A KR20140076575 A KR 20140076575A KR 101455152 B1 KR101455152 B1 KR 1014551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metal
- connection
- metal pipe
- connecting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1—Bends; Siphons made of met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조절용 엘보관에 관한 것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금속재질의 제 1금속관, 이 제 1금속관의 중심축과 나란하며 중심축이 제 1금속관의 중심축과 일직선에 불일치되게 배치되어 우수를 배출 유도하는 금속 재질의 제 2금속관, 및 벤딩된 채 제 1금속관과 제 2금속관을 접속하는 금속 재질의 접속관을 포함하고, 접속관은 제 1금속관의 연결부위측 중심축과 제 2금속관의 연결부위측 중심축이 둔각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접속관의 오수 유입측 중심축과 배출측 중심축이 둔각을 이루도록 곡률지게 형성하여 오수의 잔류를 방지하고, 판재를 말아서 접속관을 제작함으로써 두 개의 관을 맞대기 용접하는 기존 방식 대비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접속관을 복수 개로 구비하여 어느 하나의 접속관과 다른 하나의 접속관의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접속관의 오수 유입측 중심축과 배출측 중심축이 둔각을 이루도록 곡률지게 형성하여 오수의 잔류를 방지하고, 판재를 말아서 접속관을 제작함으로써 두 개의 관을 맞대기 용접하는 기존 방식 대비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접속관을 복수 개로 구비하여 어느 하나의 접속관과 다른 하나의 접속관의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도조절용 엘보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관의 오수 유입측 중심축과 배출측 중심축이 둔각을 이루고,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오수의 잔류를 방지하고, 판재를 말아서 접속관을 제작함으로써 두 개의 관을 맞대기 용접하는 기존 방식 대비 제작을 용이하게 하며, 접속관을 복수 개로 구비하여 삽입되는 길이(깊이)를 통해 전체적인 접속관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각도조절용 엘보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을 건축할 때 베란다(Veranda)나 발코니(Balcony)에는 빗물 또는 오수 등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설비가 설치되며, 이러한 배수설비는 베란다에 유입되는 우수나 청소 작업에 의한 오수 등을 베란다의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설비이다.
특히,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 등의 공동주택은 하나의 건물에 다수의 세대가 거주하는 건축물로서, 다수의 층을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층의 베란다에서의 오수는 하층을 경유하여 공동주택의 외부로 배수되므로, 이를 위해 공동주택의 베란다에는 수직으로 연결되는 오수관이 입설되어 상하층 베란다의 오수관과 연통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이러한 오수관이 입설된 베란다의 일 지점에는 당해 층에서 발생되는 우수나 오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오수관과 연통되는 배수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필수적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수구조는 오수관과의 직접적인 연통되어 오수관 내측이 그대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오수관에 유입된 오수의 악취가 그대로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1994-0010192호(고안의 명칭: 아파트베란다용 악취방지배수전)가 개시된다.
기존의 오수관이나 배수관은 구조적으로 개선하더라도 벤딩되는 접속관 부위에 오수가 잔류하여 악취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접속관은 중심축이 수직이 되도록 맞대기 용접하여 제작함에 따라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접속관의 오수 유입측 중심축과 배출측 중심축이 둔각을 이루도록 곡률지게 형성하여 유입된 오수가 대부분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여 접속관 내부에 오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잔류하는 오수에 의한 악취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 각도조절용 엘보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판재를 금형으로써 말아서 접속관을 제작함에 따라, 기존에 두 개의 관을 맞대기 용접하는 방식 대비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각도조절용 엘보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접속관을 복수 개로 구비하여 어느 하나의 접속관에 대한 다른 하나의 접속관의 삽입 깊이(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접속관과 다른 하나의 접속관의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용 엘보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은: 우수가 유입되는 금속재질의 제 1금속관; 중심축이 상기 제 1금속관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우수를 배출 유도하는 금속 재질의 제 2금속관; 및 벤딩된 채 상기 제 1금속관과 상기 제 2금속관을 접속하는 금속 재질의 접속관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관은 상기 제 1금속관의 연결부위측 중심축과 상기 제 2금속관의 연결부위측 중심축이 둔각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관은 곡률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금속관은 우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금속관은 상기 접속관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금속관과 상기 접속관의 일측은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제 1지지턱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금속관은 상기 접속관의 타측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금속관과 상기 접속관의 타측은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제 2지지턱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속관은 일측이 상기 제 1금속관을 접속하는 제 1접속관; 및 상기 제 1접속관을 접속하고, 타측이 상기 제 2금속관에 접속되는 제 2접속관을 포함한다.
상기 제 2접속관의 일측은 상기 제 1접속관을 억지 끼움하기 위해 타측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접속관의 오수 유입측 중심축과 배출측 중심축이 둔각을 이루도록 곡률지게 형성하여 유입된 오수가 대부분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여 접속관 내부에 오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잔류하는 오수에 의한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판재를 금형으로써 말아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접속관을 제작함에 따라, 기존에 한정된 각의 두 개 관을 맞대기 용접하는 방식 대비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접속관을 복수 개로 구비하여 어느 하나의 접속관에 대한 다른 하나의 접속관의 삽입 깊이(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접속관과 다른 하나의 접속관의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10)은 제 1금속관(20), 제 2금속관(30) 및 접속관(40)을 포함한다.
특히, 각도조절용 엘보관(10)은 가정 등에 설치되어 빗물이나 생활하수를 지정된 곳으로 배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각도조절용 엘보관(10)은 장기간 우수나 생활하수 등에 접촉되어 녹이 발생될 수 있고, 발생된 녹에 의해 정화 처리되는 우수나 생활하수의 정화 처리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래서, 각도조절용 엘보관(10)은 방청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각도조절용 엘보관(10)은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 1금속관(20)은 각도조절용 엘보관(10) 중 우수가 유입되는 측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1금속관(20)의 길이 및 직경은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 2금속관(30)은 각도조절용 엘보관(10) 중 우수가 설정 위치로 배출되는 측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 2금속관(30)은 제 1금속관(20)으로 유입된 오수의 위치 에너지를 줄여 낙하하는 우수의 충격음을 줄이기 위해 중심축이 제 1금속관(20)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물론, 제 2금속관(30)의 길이 및 직경은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접속관(40)은 중심축이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는 제 1금속관(20)과 제 2금속관(30)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접속관(40)은 벤딩(bending) 형성된다. 그리고, 접속관(4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접속관(40)은 제 1금속관(20)의 연결부위측 중심축(C1)과 제 2금속관(30)의 연결부위측 중심축(C2)이 둔각(θ)을 이루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2금속관(30)은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우수는 제 1금속관(20)을 통해 접속관(40)의 제 1금속관(20) 연결부위측으로 최대한 유입되고, 세워진 접속관(40)의 제 2금속관(30) 연결부위측을 통해 원활히 배출된다.
아울러, 접속관(40)은 제 1금속관(20)의 연결부위측에서 제 2금속관(30)의 연결부위측으로 갈수록 곡률(R)지게 형성된다. 이는, 판재 형상으로 금형 절단 후 자동 설비로 말아서 가장자리끼리 용접함에 따라 간단히 접속관(40)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금속관(20)은 접속관(40)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게 연결됨으로써, 우수가 누수 없이 제 1금속관(20)을 통해 접속관(40)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제 2금속관(30)은 접속관(40)의 타측을 삽입함으로써, 우수가 누수 없이 접속관(40)을 통해 제 2금속관(30)으로 흐르게 된다.
특히, 제 1금속관(20)이 접속관(40)의 일측에 일정 이상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하고, 제 2금속관(30)이 접속관(40)의 타측에 일정 이상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예로서, 접속관(40)은 일측에 제 1지지턱(50)을 형성한다. 제 1지지턱(50)은 접속관(40)의 일측을 확경하면서 자연적으로 형성된다. 제 1지지턱(50)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 1금속관(20)은 접속관(40)의 일측으로 삽입되면서 제 1지지턱(50)에 걸림에 따라 접속관(40) 내부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접속관(40)은 타측에 제 2지지턱(60)을 형성한다. 제 2지지턱(60)은 접속관(40)의 타측을 축경하면서 자연적으로 형성된다. 제 2지지턱(60)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 2금속관(30)은 접속관(40)의 타측을 삽입하면서 제 2지지턱(60)에 걸림에 따라 접속관(40)을 더 이상 삽입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10)은 제 1금속관(20), 제 2금속관(30) 및 접속관(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금속관(20)과 제 2금속관(3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아울러, 접속관(40)은 제 1금속관(20)과 제 2금속관(30)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제 1금속관(20)의 연결부위측 중심축(C1)과 제 2금속관(30)의 연결부위측 중심축(C2)이 둔각(θ)을 이루게 형성되고, 제 1금속관(20)의 연결부위측에서 제 2금속관(30)의 연결부위측으로 갈수록 곡률(R)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 1금속관(20)이 접속관(40)의 일측에 일정 이상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하고, 제 2금속관(30)이 접속관(40)의 타측에 일정 이상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용 엘보관(10)은 제 1금속관(20), 제 2금속관(30) 및 접속관(40)을 포함한다.
제 1금속관(20) 및 제 2금속관(3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접속관(40)은 제 1접속관(42) 및 제 2접속관(44)을 포함한다.
제 1접속관(42)은 일측이 제 1금속관(20)을 접속한다. 즉, 제 1접속관(42)은 일측에 제 1금속관(20)을 삽입한다.
아울러, 제 2접속관(44)은 제 1접속관(42)을 접속한다. 즉, 제 2접속관(44)은 일측에 제 1접속관(42)의 타측을 삽입한다. 그리고, 제 2접속관(44)은 타측이 제 2금속관(30)에 접속된다. 이때, 제 2접속관(44)은 타측이 제 2금속관(30)에 삽입된다.
특히, 제 1접속관(42)과 제 2접속관(44)은 벤딩(bending)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 1접속관(42)은 일측의 중심축(C1)과 타측의 중심축(C2)이 둔각(θ1)을 이루게 배치되고, 제 2접속관(44)은 일측의 중심축(C2)과 타측의 중심축(C3)이 둔각(θ2)을 이루게 배치된다.
제 1접속관(42)과 제 2접속관(44)으로 이뤄짐으로써, 접속관(40)의 곡률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즉, 제 1접속관(42)에 대해 제 2접속관(44)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제 2접속관(44)에 대해 제 1접속관(42)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 2접속관(44)의 일측 직경(D2)은 타측 직경(D1)보다 작게 형성된다.(D1??D2) 그래서, 제 2접속관(44)은 일측으로 제 1접속관(42)을 억지 끼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 1접속관(42)은 제 2접속관(44)의 타측 직경(D1)보다 작으므로 삽입 및 삽입 깊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제 1접속관(42)에 대한 제 2접속관(44)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제 1접속관(42)이 제 2접속관(44)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제 2접속관(44)에 대한 제 1접속관(42)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각도조절용 엘보관 20: 제 1금속관
30: 제 2금속관 40: 접속관
50: 제 1지지턱 60: 제 2지지턱
30: 제 2금속관 40: 접속관
50: 제 1지지턱 60: 제 2지지턱
Claims (8)
- 우수가 유입되는 금속재질의 제 1금속관;
중심축이 상기 제 1금속관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우수를 배출 유도하는 금속 재질의 제 2금속관; 및
벤딩된 채 상기 제 1금속관과 상기 제 2금속관을 접속하는 금속 재질의 접속관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관은 상기 제 1금속관의 연결부위측 중심축과 상기 제 2금속관의 연결부위측 중심축이 둔각을 이루게 형성되며,
상기 접속관은, 일측이 상기 제 1금속관을 접속하는 제 1접속관; 및
상기 제 1접속관을 접속하고, 타측이 상기 제 2금속관에 접속되는 제 2접속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접속관의 일측은 상기 제 1접속관을 억지 끼움하기 위해 타측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접속관은 상기 제 2접속관에 대해 삽입 깊이를 조절 가능함에 따라 각도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용 엘보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은 곡률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용 엘보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금속관은 우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용 엘보관.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금속관은 상기 접속관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용 엘보관.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금속관과 상기 접속관의 일측은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제 1지지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용 엘보관.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금속관은 상기 접속관의 타측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용 엘보관.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금속관과 상기 접속관의 타측은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제 2지지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용 엘보관.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6575A KR101455152B1 (ko) | 2014-06-23 | 2014-06-23 | 각도조절용 엘보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6575A KR101455152B1 (ko) | 2014-06-23 | 2014-06-23 | 각도조절용 엘보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5152B1 true KR101455152B1 (ko) | 2014-10-28 |
Family
ID=5199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6575A KR101455152B1 (ko) | 2014-06-23 | 2014-06-23 | 각도조절용 엘보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515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6398A (ko) | 2016-10-25 | 2018-05-09 | 한상언 | 축관 및 확관 결합이 탁월한 빗물받이관용 엘보연결관 |
KR101972442B1 (ko) | 2018-07-20 | 2019-08-26 | 정광식 |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4185Y1 (ko) | 2002-04-17 | 2003-02-19 | 조정현 | 미끄럼 둔각엘보 |
KR20030051115A (ko) * | 2001-12-17 | 2003-06-25 | 조문건 | 각도 변경이 가능한 엘보우 |
JP4398234B2 (ja) | 2003-12-01 | 2010-01-13 | 三機工業株式会社 | 配管接続構造およびそれに用いる角度調節管 |
KR101376361B1 (ko) * | 2012-05-29 | 2014-04-01 | 장기운 |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보우관 조립구조 |
-
2014
- 2014-06-23 KR KR1020140076575A patent/KR1014551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51115A (ko) * | 2001-12-17 | 2003-06-25 | 조문건 | 각도 변경이 가능한 엘보우 |
KR200304185Y1 (ko) | 2002-04-17 | 2003-02-19 | 조정현 | 미끄럼 둔각엘보 |
JP4398234B2 (ja) | 2003-12-01 | 2010-01-13 | 三機工業株式会社 | 配管接続構造およびそれに用いる角度調節管 |
KR101376361B1 (ko) * | 2012-05-29 | 2014-04-01 | 장기운 |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보우관 조립구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6398A (ko) | 2016-10-25 | 2018-05-09 | 한상언 | 축관 및 확관 결합이 탁월한 빗물받이관용 엘보연결관 |
KR101972442B1 (ko) | 2018-07-20 | 2019-08-26 | 정광식 |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173396A1 (en) | One piece plumbing vent, drain pipe | |
KR101455152B1 (ko) | 각도조절용 엘보관 | |
JP2012007721A (ja) | 配管支持具 | |
KR102128485B1 (ko) | 건축용 슬리브의 자전방지 기능이 부여된 미세 신장조절 조절테 결합구조 | |
JP2021124006A (ja) | 雨樋システム | |
CN203878716U (zh) | 新型同层双水封地漏 | |
NO337155B1 (no) | Avløpssystem | |
CN205171638U (zh) | 一种市政排水管结构 | |
CN110872864A (zh) | 水距可变的坐便器 | |
KR20140037997A (ko) | 배수관용 소음방지 및 오수 역류방지장치 | |
KR20120126257A (ko) | 하수관 연결구 | |
JP7530158B2 (ja) | 雨水排水装置 | |
KR20150025711A (ko) | 소음 저감식 물받이 관로 | |
EP2129840B1 (en) | Jun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rainage | |
KR200476193Y1 (ko) |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연결장치 | |
JP2021055344A (ja) | 雨樋用曲がり配管 | |
CN213955612U (zh) | 一种中央空调冷凝水防异味处理结构 | |
JP2019065546A (ja) | 受け口部材及び継手 | |
RU193787U1 (ru) |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затвор | |
KR20080014949A (ko) | 이음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배수전 | |
RU2182201C1 (ru) | Шахт-пакет | |
KR101185591B1 (ko) | 오수받이 | |
EP3830349B1 (en) | Drain system | |
CN204753779U (zh) | 双联内管 | |
JP2018053640A (ja) | 排水管部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