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040B1 - 염도계 - Google Patents

염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040B1
KR100928040B1 KR1020090051117A KR20090051117A KR100928040B1 KR 100928040 B1 KR100928040 B1 KR 100928040B1 KR 1020090051117 A KR1020090051117 A KR 1020090051117A KR 20090051117 A KR20090051117 A KR 20090051117A KR 100928040 B1 KR100928040 B1 KR 100928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block
block body
block cover
cover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호
윤계호
최연규
박규성
우영제
Original Assignee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1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도계에 관한 것으로, 일단이 회로기판의 단부에 대향되도록 몸체의 단부에 삽입되고 일단 둘레에 몸체의 대응 단부에 지지되도록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양측에 회로기판에 연결되도록 두 전극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두 전극구멍들 사이에 일단은 절개홈에 연결되고 타단은 회로기판에 연결되도록 온도센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셀블록몸체와, 셀블록몸체에 결합되어서 그 둘레를 감싸며 염도 측정 후 셀블록몸체의 단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이로부터 착탈되는 셀블록커버로 이루어진 셀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염도계는, 염도측정 후 셀블록커버를 셀블록몸체로부터 분리하면 전극 및 온도센서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이에 따라 그 둘레를 간편하고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셀블록, 셀블록몸체, 셀블록커버, 전극, 온도센서, 측정캡

Description

염도계{Salinometer}
본 발명은 염도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조립 및 분해가 매우 간편하고, 시료의 온도측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사용 후 전극 및 온도센서 부분을 간편하고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염도계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음식물의 맛을 내는 가장 중요한 식품이다. 대체로 음식물은 주방일을 맡은 사람이 직접 맛을 보아 관능 검사로서 측정한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조리법과 음식 습관이 모두 다양해지고 있으며, 음식물의 조리 기술이 대형화, 공업화되고 있으며, 또는 표준화되는 과정을 맞이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리기술이 표준화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음식물 특히 국물의 염도를 객관적인 지표로서 나타내는 것이다.
종래의 염도 측정 기술로서는 염도센서를 통해 흐르는 맥동 전류를 증폭하여 적분 콘덴서에 충전하고, 적분된 콘덴서의 전류를 비교기의 일측 단자에 일정한 시간동안 인가하고, 비교기의 타측 단자에 증폭시킨 온도센서의 검출 전류를 인가하여, 비교기의 출력단에서 온도 보상 염도 전류를 얻고, 비교기 출력을 버퍼를 통해 A/D변환기에서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디지털 값을 LCD모듈에 표시하도록 구성한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 염도계는, 다수의 부품들이 내장되도록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로 이루어진 케이스가 구비된다. 이러한 케이스는 전면케이스 또는 후면케이스 내부에 다수의 부품들을 내장시킨 후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 결합시킨 후 그 대응 둘레를 초음파 융착시켜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염도계는 케이스 전체가 하나의 부품으로 고정되므로 내부의 부품들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 수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 이러한 염도계는 사용하다가 고장이 발생되면 제대로 수리하지 못하고 그대로 폐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면케이스와 후면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해서 이음부위를 서로 맞댄 후 초음파 융착하는데,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의 대응 둘레 전체가 제대로 융착되지 못하였으며, 일부가 들뜨는 접착 불량 문제가 빈번히 대두되었다.
한편, 종래의 염도계에는 시료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전극의 내부에 온도센서가 내장된다. 이와 같이 온도센서가 전극에 내장되므로 시료의 열이 온도센서에 전달되려면, 먼저 시료의 열이 전극에 전달되고 전극에 전달된 열이 다시 온도센서에 전달되므로 온도의 측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온도센서가 시료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지 못하고 전극을 통해서 측정하므로 온도센서에 의한 시료의 온도감지가 그만큼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정확하고 신속한 측정이 어렵다.
이러한 종래 염도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염도계(출원번호 제10-2008-101739호)를 개발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염도계는, 중공형 몸체와, 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된 회로기판과, 몸체에 내장되고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베터리와, 몸체의 단부에 삽입되고 전극구멍들 및 온도센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셀블록과, 셀블록의 두 전극구멍들에 삽입되고 일단이 회로기판에 연결되며 타단이 시료에 담겨져 염도를 측정하는 전극들과, 셀블록의 온도센서구멍에 삽입되고 일단이 회로기판에 연결되며 타단이 시료에 접촉되는 온도센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염도계는, 셀블록 전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외부로 노출된 전극들의 단부와 온도센서의 단부가 셀블록의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셀블록의 하단을 음식물에 담가서 염도를 측정하면 셀블록의 하단 내외부는 물론 전극의 단부, 온도센서의 단부가 음식물에 접촉되면서 오염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염도계는 셀블록이 일체형이므로 주요 부위인 전극 및 온도센서의 둘레를 제대로 세척하지 못하였으며, 이에 따라 위생상 청결하지 못하였으며, 다음 측정시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들 및 온도센서가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염도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셀블록커버를 셀블록몸체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염도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셀블록몸체의 중심과 셀블록커버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도 셀블록몸체의 단부를 셀블록커버의 중심측으로 안내하면서 삽입되도록 한 염도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셀블록커버를 셀블록몸체에 착탈시킬 때에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한 염도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된 셀블록몸체와 셀블록커버가 불필요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염도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염도계는, 외측면에 복수의 누름부가 형성되고, 누름부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양단부에 제1수나사부 및 제2수나사부가 각각 형성된 중공형 몸체; 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누름부에 대향되도록 버튼들이 형성되며 관통구멍에 대향되도록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회로기판; 몸체의 제1수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측에 걸고리가 형성된 베터리캡; 베터리캡에 내장되고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베터리; 일단이 회로기판의 단부에 대향되도록 몸체의 단부에 삽입되고 일단 둘레에 몸체의 대응 단부에 지지되도록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양측에 회로기판에 연결되도록 두 전극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두 전극구멍들 사이에 일단은 절개홈에 연결되고 타단은 회로기판에 연결되도록 온도센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셀블록몸체와, 셀블록몸체에 결합되어서 그 둘레를 감싸며 염도 측정 후 셀블록몸체의 단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이로부터 착탈되는 셀블록커버로 이루어진 셀블록; 셀블록의 두 전극구멍들에 삽입되고 일단이 회로기판에 연결되며 타단이 시료에 담겨져 염도를 측정하는 전극들; 셀블록의 온도센서구멍에 삽입되고 일단이 회로기판에 연결되며 타단이 절개홈에 노출되어서 단부가 시료에 직접 접촉되는 온도센서; 몸체의 제2수나사부에 체결되어서 셀블록을 몸체에 결합시키는 조인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염도계의 다른 특징은, 셀블록몸체에는, 셀블록커버의 삽입방향을 따라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셀블록몸체의 단턱에는 결합위치조정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셀블록커버에는, 가이드돌기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셀블록커버의 상단에는 셀블록몸체의 결합위치조정돌기에 삽입되도록 결합위치조정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 염도계의 또 다른 특징은, 셀블록몸체의 외주면과 이에 결합되는 셀블록커버의 내주면은, 셀블록몸체의 중심과 셀블록커버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도 셀블록몸체의 단부를 셀블록커버의 중심측으로 안내하면서 삽입되도록 테이퍼가 형성된다.
본 발명 염도계의 또 다른 특징은, 셀블록커버의 둘레에는, 미끄럼방지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 염도계의 또 다른 특징은, 셀블록커버의 내주면에는, 셀블록몸체의 단부가 셀블록커버의 내부에 삽입될 시 셀블록몸체 단부가 지지되면서 그 삽입이 제한되도록 진입제한턱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 염도계의 또 다른 특징은, 측정 시료를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한 수저 형태의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수납부의 일측에는 셀블록몸체에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도록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의 내주면 양측에는 셀블록몸체의 가이드돌기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의 상단에는 셀블록몸체의 결합위치조정돌기에 삽입되도록 결합위치조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의 하단에는 셀블록몸체의 절개홈에 대응되도록 다른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측정캡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 염도계의 또 다른 특징은, 셀블록몸체 및 셀블록커버에는, 셀블록커버를 셀블록몸체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착탈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 염도계의 또 다른 특징은, 착탈수단은, 셀블록몸체의 결합구멍 내에 구비되는 스프링과, 결합구멍 내에 구비되고 스프링에 의해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외주면 일부가 결합구멍 외측으로 노출되는 볼과, 셀블록커버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볼의 외주면 일부가 착탈되는 착탈홈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염도계의 또 다른 특징은, 착탈수단은, 셀블록몸체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있는 착탈돌기와, 셀블록커버를 셀블록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시킨 후 회전시키면 착탈돌기가 진입된 후 지지되도록 셀블록커버의 내주면 상단에 L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착탈홈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셀블록은 셀블록몸체와 전극 및 온도센서의 하단들을 감싸는 셀블록커버로 이루어지며, 셀블록커버가 셀블록몸체에 대해 착탈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염도측정 후 셀블록커버를 셀블록몸체로부터 분리하면 전극 및 온도센서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이에 따라 그 둘레를 간편하고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셀블록몸체의 단턱에는 결합위치조정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셀블록커버의 상단에는 셀블록몸체의 결합위치조정돌기에 삽입되도록 결합위치조정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셀블록몸체의 결합위치조정돌기와 셀블록커버의 결합위치조정홈을 대향시킨 후 서로 밀어 끼우면 셀블록몸체 및 셀블록커버가 정확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단번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셀블록커버 및 셀블록몸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셀블록몸체의 외주면과 이에 결합되는 셀블록커버의 내주면에는 서로 동일한 각도의 테이퍼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셀블록몸체의 하단 중심과 셀블록커버의 상단 중심이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삽입되어도 셀블록몸체의 외측 테이퍼면이 셀블록커버의 내측 테이퍼면에 접촉되면서 셀블록몸체의 단부가 셀블록커버의 중심측으로 안내하면서 삽입된다. 또한 셀블록몸체의 하단 외경보다 셀블록커버의 상단 내경이 더 크므로 셀블록커버 및 셀블록몸체의 초기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셀블록커버의 둘레에는 미끄럼방지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셀블록커버의 둘레를 잡고 셀블록몸체에 착탈시킬 때에 손가락과 셀블록커버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셀블록커버의 착탈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셀블록몸체 및 셀블록커버에는 셀블록커버를 셀블록몸체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착탈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셀블록몸체 및 셀블록커버가 서로 결합되면 이들 사이의 착탈수단에 의해 결합력이 유지되며 이에 따라 결합된 셀블록몸체와 셀블록커버가 불필요하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염도계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개략적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셀블록의 결합 사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염도계는, 몸체(10), 회로기판(20), 베터리캡(30), 셀블록(50), 전극(70), 온도센서(80), 조인트(90)로 이루어진다.
몸체(10)는, 중공형상을 갖는다. 이 몸체(10)는 외측면에 복수의 누름부(11)가 형성되어 있고, 누름부(11)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10)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1수나사부(13) 및 제2수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제1수나사부(13) 및 제2수나사부(14)의 내측 둘레에는 제1수나사부(13) 및 제2수나사부(14)와 이에 결합될 베터리캡(30) 및 조인트(90)와 의 수밀을 유지하도록 제1패킹(15) 및 제2패킹(16)이 결합되어 있다.
회로기판(20)은, 몸체(10)의 내부에 내장된다. 이 회로기판(20)에는 몸체(10)의 누름부(11)에 대향되도록 버튼(2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0)의 관통구멍(12)에 대향되도록 디스플레이부(22)가 연결되어 있다.
베터리캡(30)은 몸체(10)의 제1수나사부(13)에 체결되도록 암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10)의 상단에는 베터리(40)가 내장되며 그 둘레를 감싸도록 몸체(10)의 제1수나사부(13)에는 베터리캡(30)이 결합된다. 베터리(40)는 회로기판(20)에 연결되어서 이에 전원을 공급한다. 베터리캡(30)의 외측에는 걸고리(32)가 형성된다.
셀블록(50)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셀블록몸체(51)와 셀블록커버(61)로 이루어진다.
셀블록몸체(51)는, 일단이 회로기판(20)의 단부에 대향되도록 몸체(10)의 단부에 삽입된다. 셀블록몸체(51)의 일단 둘레에는 몸체(10)의 대응 단부에 지지되도록 플랜지(52)가 형성되어 있다. 셀블록몸체(51)의 타단에는 절개홈(5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홈(53)에는 후술할 온도센서(80)의 단부가 위치된다. 따라서 온도센서(80)는 이 절개홈(53)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다. 셀블록몸체(51)의 내부 양측에는 회로기판(20)에 연결되도록 두 전극구멍(54)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두 전극구멍(54)들 사이에는 일단이 절개홈(53)에 연결되고 타단이 회로기판(20)에 연결되도록 온도센서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셀블록몸체(51)에는, 셀블록커버(61)의 삽입방향을 따라 가이드돌기(57)가 형성되어 있고, 셀블록몸체(51)의 단턱(56)에는 결합위치조정돌기(58)가 형성되어 있다. 셀블록몸체(51)의 외주면은, 셀블록몸체(51)의 중심과 셀블록커버(61)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도 셀블록몸체(51)의 단부를 셀블록커버(61)의 중심측으로 안내하면서 삽입되도록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셀블록커버(61)는, 셀블록몸체(51)에 결합되어서 그 둘레를 감싸며 염도 측정 후 셀블록몸체(51)의 단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이로부터 착탈된다. 셀블록커버(61)의 하단에는 셀블록몸체(51)의 절개홈(53)에 대응되도록 절개홈(6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셀블록커버(61)에는, 가이드돌기(57)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홈(63)이 형성되어 있고, 셀블록커버(61)의 상단에는 셀블록몸체(51)의 결합위치조정돌기(58)에 삽입되도록 결합위치조정홈(64)이 형성되어 있다. 셀블록몸체(5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셀블록커버(61)의 내주면은, 셀블록몸체(51)의 중심과 셀블록커버(61)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도 셀블록몸체(51)의 단부를 셀블록커버(61)의 중심측으로 안내하면서 삽입되도록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셀블록커버(61)의 둘레에는, 미끄럼방지돌기(65)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셀블록커버(61)의 내주면에는, 셀블록몸체(51)의 단부가 셀블록커버(61)의 내부에 삽입될 시 셀블록몸체(51) 단부가 지지되면서 그 삽입이 제한되도록 진입제한턱(66)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70)들은, 셀블록몸체(51)의 두 전극구멍(54)들에 삽입된다. 전극(70)들의 일단은 회로기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시료에 담겨져 염도를 측정한다.
온도센서(80)는 셀블록몸체(51)의 온도센서구멍(55)에 삽입된다. 이 온도센 서(80)의 일단은 회로기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절개홈(53)에 노출되어서 단부가 시료에 직접 접촉된다.
조인트(90)는, 그 내주면에 몸체(10)의 제2수나사부(14)에 체결되도록 암나사부(9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인트(90)는 셀블록몸체(51)의 플랜지(52)를 몸체(10)의 단부에 눌러서 지지시키므로 셀블록몸체(51)을 몸체(10)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염도계는, 셀블록(50)이, 셀블록몸체(51)와 전극(70) 및 온도센서(80)의 하단들을 감싸는 셀블록커버(61)로 이루어지며, 셀블록커버(61)가 셀블록몸체(51)에 대해 착탈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염도측정 후 셀블록커버(61)를 셀블록몸체(51)로부터 분리하면 전극(70) 및 온도센서(8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이에 따라 그 둘레를 간편하고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블록몸체(51)의 단턱에는 결합위치조정돌기(58)가 형성되어 있으며, 셀블록커버(61)의 상단에는 셀블록몸체(51)의 결합위치조정돌기(58)에 삽입되도록 결합위치조정홈(6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셀블록몸체(51)의 결합위치조정돌기(58)와 셀블록커버(61)의 결합위치조정홈(64)을 대향시킨 후 서로 밀어 끼우면 셀블록몸체(51) 및 셀블록커버(61)가 정확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단번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셀블록커버(61) 및 셀블록몸체(51)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 다.
또한, 셀블록몸체(51)의 외주면과 이에 결합되는 셀블록커버(61)의 내주면에는 서로 동일한 각도의 테이퍼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셀블록몸체(51)의 하단 중심과 셀블록커버(61)의 상단 중심이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삽입되어도 셀블록몸체(51)의 외측 테이퍼면이 셀블록커버(61)의 내측 테이퍼면에 접촉되면서 셀블록몸체(51)의 단부가 셀블록커버(61)의 중심측으로 안내하면서 삽입된다.
그리고 셀블록몸체(51)의 하단 외경보다 셀블록커버(61)의 상단 내경이 더 크므로 셀블록커버(61) 및 셀블록몸체(51)의 초기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셀블록커버(61)의 둘레에는 미끄럼방지돌기(65)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셀블록커버(61)의 둘레를 잡고 셀블록몸체(51)에 착탈시킬 때에 손가락과 셀블록커버(61)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셀블록커버(61)의 착탈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셀블록몸체(51)에 측정캡(100)을 결합하여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여기서, 측정캡(100)은 측정 시료를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한 수저 형태의 수납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수납부(101)의 일측에는 셀블록몸체(51)에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도록 결합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02)의 내주면 양측에는 셀블록몸체(51)의 가이드돌기(57)에 삽입되도록 가이드 홈(103)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102)의 상단에는 셀블록몸체(51)의 결합위치조정돌기(58)에 삽입되도록 결합위치조정홈(10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02)의 하단에는 셀블록몸체(51)의 절개홈(53)에 대응되도록 다른 절개홈(10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염도계는 셀블록커버(61)를 셀블록몸체(51)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술한 측정캡(100)을 셀블록몸체(51)에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캡(100)을 이용하여서 시료의 염도를 측정할 경우 측정캡(100)의 결합부(102)를 셀블록몸체(51)에 밀어 끼우고, 측정캡(100)의 수납부(101)에 충분한 양의 시료가 담겨지도록 한 후 측정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염도계도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
도 6은 셀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로써, 셀블록몸체(51) 및 셀블록커버(61)에는, 셀블록커버(61)를 셀블록몸체(51)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착탈수단이 구비된다.
이 착탈수단은, 셀블록몸체(51)의 결합구멍(51a) 내에 구비되는 스프링(67)과, 결합구멍(51a) 내에 구비되고 스프링(67)에 의해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외주면 일부가 결합구멍(51a) 외측으로 노출되는 볼(68)과, 셀블록커버(61)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볼(68)의 외주면 일부가 착탈되는 착탈홈(61a)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셀블록(50)은, 셀블록몸체(51) 및 셀블록커버(61)가 서로 결합되면 볼(68)의 외주면 일부가 셀블록커버(61)의 착탁홈(61a)에 안착되며 스프링(67)의 탄력에 의해 볼(68)과 착탈홈(61a)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셀블록몸체(51) 및 셀블록커버(61)가 결합되면 스프링(67), 볼(68), 착탈홈(61a)에 의해 일정한 결합력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염도계에 흔들림이 발생되어도 셀블록몸체(51)와 셀블록커버(61)가 불필요하게 분리되지 않는다.
도 7은 셀블록(5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분리 사시도로써, 셀블록몸체(51) 및 셀블록커버(61)에는, 셀블록커버(61)를 셀블록몸체(51)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착탈수단이 구비된다.
이 착탈수단은, 셀블록몸체(51)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있는 착탈돌기(69)와, 셀블록커버(61)를 셀블록몸체(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시킨 후 회전시키면 착탈돌기(69)가 진입된 후 지지되도록 셀블록커버(61)의 내주면 상단에 L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착탈홈(61b)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염도계는, 착탈돌기(69)와 착탈홈(61b)의 입구를 대향시킨 후 셀블록커버(61)를 셀블록몸체(51)에 삽입시키고 셀블록커버(61)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셀블록몸체(51)의 착탈돌기(69)가 착탈홈(61b)의 내측 단부에 위치되면서 셀블록몸체(51) 및 셀블록커버(61)가 결합된다. 따라서 셀블록커버(61)를 일부로 분리시키지 않는 한 셀블록커버(61)가 셀블록몸체(5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염도계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개략적 결합 단면도
도 4는 셀블록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염도계에 수저 형태의 측정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염도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염도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누름부
12 : 관통구멍 13 : 제1수나사부
14 : 제2수나사부 15 : 제1패킹
16 : 제2패킹 20 : 회로기판
21 : 버튼 22 : 디스플레이부
30 : 베터리캡 31,91 : 암나사부
32 : 걸고리 40 : 베터리
50 : 셀블록 51 : 셀블록몸체
51a : 결합구멍 52 : 플랜지
53,62 : 절개홈 54 : 전극구멍
55 : 온도센서구멍 56 : 단턱
57 : 가이드돌기 58 : 결합위치조정돌기
61 : 셀블록커버 61a,61b : 착탈홈
63 : 가이드홈 64 : 결합위치조정홈
65 : 미끄럼방지돌기 66 : 진입제한턱
67 : 스프링 68 : 볼
69 : 착탈돌기 70 : 전극
80 : 온도센서 90 : 조인트

Claims (9)

  1. 외측면에 복수의 누름부(11)가 형성되고, 누름부(11)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관통구멍(12)이 형성되며, 양단부에 제1수나사부(13) 및 제2수나사부(14)가 각각 형성된 중공형 몸체(10);
    몸체(10)의 내부에 내장되고 누름부(11)에 대향되도록 버튼(21)들이 형성되며 관통구멍(12)에 대향되도록 디스플레이부(22)가 형성된 회로기판(20);
    몸체(10)의 제1수나사부(13)에 체결되도록 암나사부(31)가 형성되고 외측에 걸고리(32)가 형성된 베터리캡(30);
    베터리캡(30)에 내장되고 회로기판(20)에 연결되는 베터리(40);
    일단이 회로기판(20)의 단부에 대향되도록 몸체(10)의 단부에 삽입되고 일단 둘레에 몸체(10)의 대응 단부에 지지되도록 플랜지(5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 절개홈(53)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양측에 회로기판(20)에 연결되도록 두 전극구멍(54)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두 전극구멍(54)들 사이에 일단은 절개홈(53)에 연결되고 타단은 회로기판(20)에 연결되도록 온도센서구멍(55)이 형성되어 있는 셀블록몸체(51)와, 셀블록몸체(51)에 결합되어서 그 둘레를 감싸며 염도 측정 후 셀블록몸체(51)의 단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이로부터 착탈되는 셀블록커버(61)로 이루어진 셀블록(50);
    셀블록(50)의 두 전극구멍(54)들에 삽입되고 일단이 회로기판(20)에 연결되며 타단이 시료에 담겨져 염도를 측정하는 전극(70)들;
    셀블록(50)의 온도센서구멍(55)에 삽입되고 일단이 회로기판(20)에 연결되며 타단이 절개홈(53)에 노출되어서 단부가 시료에 직접 접촉되는 온도센서(80);
    몸체(10)의 제2수나사부(14)에 체결되어서 셀블록(50)을 몸체(10)에 결합시키는 조인트(9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계.
  2. 제1항에 있어서,
    셀블록몸체(51)에는,
    셀블록커버(61)의 삽입방향을 따라 가이드돌기(57)가 형성되어 있고, 셀블록몸체(51)의 단턱(56)에는 결합위치조정돌기(58)가 형성되어 있으며,
    셀블록커버(61)에는,
    가이드돌기(57)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홈(63)이 형성되어 있고, 셀블록커버(61)의 상단에는 셀블록몸체(51)의 결합위치조정돌기(58)에 삽입되도록 결합위치조정홈(6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계.
  3. 제1항에 있어서, 셀블록몸체(51)의 외주면과 이에 결합되는 셀블록커버(61)의 내주면은,
    셀블록몸체(51)의 중심과 셀블록커버(61)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도 셀블록몸체(51)의 단부를 셀블록커버(61)의 중심측으로 안내하면서 삽입되도록 테이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계.
  4. 제1항에 있어서, 셀블록커버(61)의 둘레에는,
    미끄럼방지돌기(65)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계.
  5. 제1항에 있어서, 셀블록커버(61)의 내주면에는,
    셀블록몸체(51)의 단부가 셀블록커버(61)의 내부에 삽입될 시 셀블록몸체(51) 단부가 지지되면서 그 삽입이 제한되도록 진입제한턱(6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계.
  6. 제2항에 있어서,
    측정 시료를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한 수저 형태의 수납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수납부(101)의 일측에는 셀블록몸체(51)에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도록 결합부(102)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102)의 내주면 양측에는 셀블록몸체(51)의 가이드돌기(57)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홈(103)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102)의 상단에는 셀블록몸체(51)의 결합위치조정돌기(58)에 삽입되도록 결합위치조정홈(104)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102)의 하단에는 셀블록몸체(51)의 절개홈(53)에 대응되도록 다른 절개홈(105)이 형성되어 있는 측정캡(1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계.
  7. 제1항에 있어서, 셀블록몸체(51) 및 셀블록커버(61)에는,
    셀블록커버(61)를 셀블록몸체(51)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착탈수단이 구비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계.
  8. 제7항에 있어서, 착탈수단은,
    셀블록몸체(51)의 결합구멍(51a) 내에 구비되는 스프링(67)과, 결합구멍(51a) 내에 구비되고 스프링(67)에 의해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외주면 일부가 결합구멍(51a) 외측으로 노출되는 볼(68)과, 셀블록커버(61)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볼(68)의 외주면 일부가 착탈되는 착탈홈(61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계.
  9. 제7항에 있어서, 착탈수단은,
    셀블록몸체(51)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있는 착탈돌기(69)와, 셀블록커버(61)를 셀블록몸체(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시킨 후 회전시키면 착탈돌기(69)가 진입된 후 지지되도록 셀블록커버(61)의 내주면 상단에 L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착탈홈(61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계.
KR1020090051117A 2009-06-09 2009-06-09 염도계 KR100928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117A KR100928040B1 (ko) 2009-06-09 2009-06-09 염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117A KR100928040B1 (ko) 2009-06-09 2009-06-09 염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040B1 true KR100928040B1 (ko) 2009-11-24

Family

ID=4160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117A KR100928040B1 (ko) 2009-06-09 2009-06-09 염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04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742B1 (ko) * 2010-01-20 2012-03-23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카드형 염도계
KR200473902Y1 (ko) * 2013-02-06 2014-08-07 유보상 염도계가 구비된 주방 기물
KR101448486B1 (ko) 2013-12-18 2014-10-13 길주형 수질측정센서용 분리형 캡을 갖는 센서 몸체
KR101728835B1 (ko) 2015-06-29 2017-04-27 김영규 정밀도가 향상된 염분측정기
KR20180081260A (ko) 2017-01-06 2018-07-16 김만중 음식물의 염도 및 나트륨 측정 장치
KR20180081259A (ko) 2017-01-06 2018-07-16 김만중 고객 맞춤형 반찬 플랫폼 장치
KR102030588B1 (ko) * 2018-11-29 2019-10-10 박병규 염도계 결합형 국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3584A (ja) 1997-01-30 1998-08-11 Sekisui Chem Co Ltd 塩分摂取量測定方法及び簡易式塩分摂取量測定装置
JP2002005862A (ja) 2000-06-20 2002-01-09 Teruo Kawaida 塩分濃度測定回路
KR200308415Y1 (ko) 2002-12-04 2003-03-26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휴대용 염분 측정기
KR20090011295A (ko) * 2007-07-25 2009-02-02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염분측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3584A (ja) 1997-01-30 1998-08-11 Sekisui Chem Co Ltd 塩分摂取量測定方法及び簡易式塩分摂取量測定装置
JP2002005862A (ja) 2000-06-20 2002-01-09 Teruo Kawaida 塩分濃度測定回路
KR200308415Y1 (ko) 2002-12-04 2003-03-26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휴대용 염분 측정기
KR20090011295A (ko) * 2007-07-25 2009-02-02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염분측정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742B1 (ko) * 2010-01-20 2012-03-23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카드형 염도계
KR200473902Y1 (ko) * 2013-02-06 2014-08-07 유보상 염도계가 구비된 주방 기물
KR101448486B1 (ko) 2013-12-18 2014-10-13 길주형 수질측정센서용 분리형 캡을 갖는 센서 몸체
KR101728835B1 (ko) 2015-06-29 2017-04-27 김영규 정밀도가 향상된 염분측정기
KR20180081260A (ko) 2017-01-06 2018-07-16 김만중 음식물의 염도 및 나트륨 측정 장치
KR20180081259A (ko) 2017-01-06 2018-07-16 김만중 고객 맞춤형 반찬 플랫폼 장치
KR102030588B1 (ko) * 2018-11-29 2019-10-10 박병규 염도계 결합형 국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040B1 (ko) 염도계
KR101105022B1 (ko) 전자식 염도계
US8564316B2 (en) Gem tester
US8330604B2 (en) Handheld salinity analyzer
KR101277773B1 (ko) 홀더 교체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홀더 조립체
RU2451269C1 (ru) Электронный термометр
KR100898216B1 (ko) 센서 위치를 갖는 전자 온도계
JP2009047436A (ja) 屈折計
US20100315106A1 (en) Strip Connectors For Measurement Devices
US20020163955A1 (en) Detachable probe mounting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clinical thermometer
GB0424333D0 (en) Kelvin connector including temperature sensor
KR100756654B1 (ko) 탈 부착형 맥박 산소포화도 측정기
CN101116594A (zh) 带有热指示器的食物烹调容器
KR101030302B1 (ko) 염도계
US6781921B2 (en) Wristwatch with measuring function
US10115503B2 (en) Terminal-thermistor assembly
US6918291B2 (en) Pressure gauge and cap
JP2008113913A (ja) 電子体温計
AU2010236088B2 (en) Thermometer Probe
JP4970519B2 (ja) 電子式塩分計
CN211317559U (zh) 一种热电偶测温装置
JPS59155732A (ja) 電子体温計
CN215687816U (zh) 生物阻抗的测量手柄及生物阻抗的测量系统
CN113616183A (zh) 生物阻抗的测量手柄及生物阻抗的测量系统
WO2017146255A1 (ja) 口腔関連圧力測定用プロ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