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645B1 -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645B1
KR100927645B1 KR1020080010444A KR20080010444A KR100927645B1 KR 100927645 B1 KR100927645 B1 KR 100927645B1 KR 1020080010444 A KR1020080010444 A KR 1020080010444A KR 20080010444 A KR20080010444 A KR 20080010444A KR 100927645 B1 KR100927645 B1 KR 100927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ight step
switching
magnetic means
corr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336A (ko
Inventor
강봉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0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6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4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02Magnetic work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오프(ON/OFF) 스위칭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서 기준판상부재에 고정되고, 승, 하강 가능하게 형성된 스크류가이더 및 누름판을 통해 기준판상부재에 비해 상향 단차가 형성된 피보정판상부재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복수 배열된 철재 판상부재의 높이 단차를 보정할 수 있는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는 복수 배열된 철재 판상부재의 높이 단차를 보정하기 위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에 있어서, 적정 굽힘 강도를 갖도록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관통 설치되며, 높이 단차 기준면을 갖는 기준판상부재에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장탈 가능하게 온/오프(ON/OFF) 스위칭되도록 형성된 스위칭 자기수단과,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일측 상에 구비된 나사구에 대응 삽입되어, 회전으로 인하여 승, 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크류가이더 및 상기 스크류가이더 하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기준판상부재에 비해 상향 단차가 형성된 피보정판상부재를 높이 단차 기준면만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누름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위험도 높고 정밀도 낮은 용접 및 해머링을 통해 판상부재의 높이 단차를 보정하던 것을 간단한 스위칭 조작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켜 가능케 함으로써, 작업 간소화 및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높이 단차 보정, 스위칭 자기수단, 스크류가이더, 누름판, 지지밀착수단

Description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Apparatus for correction height-error with switching-magnet}
본 발명은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오프(ON/OFF) 스위칭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서 기준판상부재에 고정되고, 승, 하강 가능하게 형성된 스크류가이더 및 누름판을 통해 기준판상부재에 비해 상향 단차가 형성된 피보정판상부재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복수 배열된 철재 판상부재의 높이 단차를 보정할 수 있는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선 산업, 항공 산업 및 각종 플랜트 산업 등에서와 같이, 거대 철재 가공품을 제조하는 기술 영역에서는, 여러 형상의 대형 블록 또는 대형 부재가 이용되는 데, 그 중에서도 기본적인 형상인 판상부재가 가장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판상부재는 각각의 적용 영역에 따라 또다시 다양한 크기 형태로 사전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운반의 편리성이나 공정의 단일성 등과 같은 제품 제조의 효율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통상 일정한 크기를 규격화시켜 이용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특히, 선박의 건조 과정 중에는 선체 주판을 배치하고 제작하는 공정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때, 일정 규격의 철재 판상부재 복수 개를 서로 나란하게 배열한다.
여기서, 복수 배열된 철재 판상부재는 불가피하게 일정한 높이 단차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높이 단차 보정 방법을 도시한 작업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복수 배열된 철재 판상부재의 높이 단차를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기준된 높이 단차 기준면을 갖는 일측의 기준판상부재(1) 상에 먼저 구속용 피스(10)의 일측 바닥면을 가용접시키고, 일측 바닥면과 소정의 높이 차를 갖는 상기 구속용 피스(10)의 타측 바닥면과 피보정판상부재(3) 사이의 빈 공간 상에 높이 단차 보정용 쐐기(20)를 삽입시킨 후, 적절한 해머링을 통해 상기 기준판상부재(1)에 비해 상향 단차가 발생된 상기 피보정판상부재(3)의 높이 단차를 보정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높이 단차 보정 방법은, 상기 구속용 피스(10)의 가용접 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복수 배열된 철재 판상부재의 표면 정밀도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아울러, 높이 단차 보정 작업 후, 다시 해머링을 통해 기준판상부재(1) 상에 가용접된 구속용 피스(10)를 철거시켜야 하므로, 전체적인 작업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높이 단차 보정 방법은, 복수 배열된 철재 판상부재에서 반복된 구속용 피스(10) 가용접 공정 및 해머링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각종 안전 사고 발생의 위험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배열된 철재 판상부재의 높이 단차를 보정하기 위한 전용 장치로서, 종래에 위험도 높고 정밀도 낮은 용접 및 해머링을 통해 수행되었던 높이 단차 보정 작업을 간단한 스위칭 조작 및 회전 레버 조작에 의해 반복적으로 가능케 할 수 있는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복수 배열된 철재 판상부재의 높이 단차를 보정하기 위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에 있어서, 적정 굽힘 강도를 갖도록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관통 설치되며, 높이 단차 기준면을 갖는 기준판상부재에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장탈 가능하게 온/오프(ON/OFF) 스위칭되도록 형성된 스위칭 자기수단;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일측 상에 구비된 나사구에 대응 삽입되어, 회전으로 인하여 승, 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크류가이더; 및 상기 스크류가이더 하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기준판상부재에 비해 상향 단차가 형성된 피보정판상부재를 높이 단차 기준면만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칭 자기수단은, 상기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된 스위칭 핸들; 및 상기 스위칭 핸들과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 하부상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칭 핸들의 온(ON) 조작 시, 자성을 띠어 상기 기준판상부재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스위칭 핸들의 오프(OFF) 조작 시, 자성이 상실되어 상기 기준판상부재로부터 장탈 가능하게 형성된 자기블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길이 방향 타측 상에는, 상기 누름판이 상기 피보정판상부재를 가압 시, 상기 기준판상부재에 고정된 상기 플레이트의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지지밀착수단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밀착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타측 상에 관통 설치되되,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기준판상부재 상부면에 접촉 가압되어, 상기 기준판상부재 상부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밀착부;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상기 밀착부를 하측으로 누름 가압 가능하게 형성된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가이더의 상단에는, 상기 스크류가이더의 회전 작동에 필요한 회전 레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온/오프(ON/OFF) 스위칭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서 기준판상부재에 고정되고, 승, 하강 가능하게 형성된 스크류가이더 및 누름판을 통해 기준판상부재에 비해 상향 단차가 형성된 피보정판상부재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복수 배열된 철재 판상부재의 높이 단차를 보정할 수 있어, 종래와 달리 작업에 높은 정밀도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 안전 확보에도 유리한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작업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작업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을 병행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 배열된 철재 판상부재의 높이 단차를 보정하기 위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로서의 본 실시예는, 직사각 평면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110)와, 상기 플레이트(110)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관통 설치된 스위칭 자기수단(130)과, 상기 플레이트(110)의 길이 방향 일측 상에 구비된 나사구(112)에 대응 삽입된 스크류가이더(150) 및 상기 스크류가이더(15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된 누름판(1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110)는 직사각 평면 형상을 갖는데, 이러한 직사각 평면 형상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변형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10)는 높이 단차 보정 시 벤딩(Bending)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정 굽힘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복수 개를 상하로 적층 결합시킨 복층 형상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스위칭 자기수단(130)은 상기 플레이트(110)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1개 또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가 관통 설치되어, 도 3에 도시된 높이 단차 기준면을 갖는 기준판상부재(1)에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장탈 가능하게 온/오프(ON/OFF) 스위칭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스위칭 자기수단(130)은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판상부재의 높이 단차 보정 방법에서, 구속용 피스(10)를 가용접시켜 기준판상부재(1)에 구속용 피스(10)를 고정시키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10)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 2개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설치된다. 이때,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스위칭 자기수단(130)이 1개만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 자기수단(130) 내에 포함된 자기블럭(134)의 자력 세기를 적절히 조절해 줌으로써, 본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 자기수단(130)은 각각 상기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된 스위칭 핸들(132)과, 상기 스위칭 핸들(132)과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110) 하부상에 설치된 자기블럭(134)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데, 상기 스위칭 핸들(132)의 온/오프(ON/OFF) 조작에 따라 상기 자기블럭(134)에 선택적으로 자기력이 발생된다.
즉, 본 실시예를 이용하여, 높이 단차 보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110)를 기준판상부재(1) 상에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 핸들(132)을 온(ON) 조작시킬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자기블럭(134)은 자성을 띠게 되고, 상기 플레이트(110)는 상기 기준판상부재(1) 상에 고정 장착 가능해진다. 이후, 본 실시예를 이용하여, 높이 단차 보정 작업을 끝낸 경우, 상기 플레이트(110)를 상기 기준판상부재(1)로부터 해체시켜야 하므로, 상기 스위칭 핸들(132)을 오프(OFF) 조작시켜, 상기 자기블럭(134)이 자성을 상실하도록 한다. 이러한 스위칭 자기수단(130)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10)는 상기 기준판상부재(1) 상에 용이하게 장착 또는 장탈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스위칭 자기수단(130)으로는 주지된 것으로서, 온/오프(ON/OFF) 가능한 초강력 영구자석(예: 매그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다양한 실시예를 모두 이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110)의 길이 방향 일측 상에는 나사구(1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나사구(112)에는 상기 플레이트(110)를 상하로 관통하여 회전으로 인하여 승, 하강 가능하게 구성된 스크류가이더(150)가 삽입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가이더(150)의 하단에는 평평한 바닥면을 갖는 누름판(16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가이더(150)의 상단에는 상기 스크류가이더(150)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레버(15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누름판(160)은 도 3에 도시된 기준판상부재(1) 상에 스위칭 자기수단(130)에 의해 고정 장착된 플레이트(110)의 일측 상에서, 높이 단차 기준면을 갖는 기준판상부재(1) 보다 상향 단차가 형성된 피보정판상부재(3)를 하측으로 직접 가압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회전 레버(155)의 회전에 의해 승, 하강 동작되는 스크류가이더(150)의 하단에 고정 장착되어, 피보정판상부재(3)의 높이 단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10)의 길이 방향 타측, 즉, 상기 플레이트(110)에서 상기 스크류가이더(150)가 장착되도록 나사구(112)가 구비된 일측의 길이 방향 반대측에는 지지밀착수단(17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지지밀착수단(170)은 상기 누름판(160)이 상기 피보정판상부재(3)를 가압 시, 상기 기준판상부재(1)에 고정 장착된 상기 플레이트(110)의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이용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110)의 길이 방향 일측 하부에 설치된 상기 누름판(160)이 상기 피보정판상부재(3)를 아래로 밀면서 가압할 경우, 상기 플레이트(110)의 중앙 하부에서 기준판상부재(1)에 부착되어 고정 장착된 자기블럭(134)은 집중 하중을 받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자기블럭(134)에 집중된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밀착수단(170)이 이용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는 높이 단차 보정 작업 중 더욱 견고하게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밀착수단(170)은 상기 플레이트(110)의 길이 방향 타측 상에서 관통 설치되는데, 플레이트(110) 하부에 형성된 밀착부(172)와, 상기 밀착부(172)로부터 중심축 연결되어 플레이트(110) 상부에 형성된 누름부(17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누름부(174)를 아래로 밀면, 상기 누름부(174)와 연결된 밀착 부(172)가 압착되는데, 이러한 밀착부(172)는 기준판상부재(1) 상에 가압 압착되어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부(172)로서, 반구 형상의 고무캡을 이용하나, 이러한 형상 또는 소재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동 개념을 간략히 설명하면, 복수 배열된 철재 판상부재의 높이 단차를 보정하기 위해서, 기준되는 높이 단차 기준면을 갖는 기준판상부재(1)에 스위칭 자기수단(130)이 안착되도록 본 실시예의 플레이트(110)를 배치하고, 스위칭 자기수단(130)의 스위칭 핸들(132)을 온(ON)으로 조작한다. 상기 스위칭 핸들(132)의 온(ON) 조작에 의해 자기블럭(134)은 자성을 띠게 되며, 이러한 자기블럭(134)은 기준판상부재(1) 상에 고정 장착된다. 이로 인하여, 플레이트(110)의 자세는 상기 기준판상부재(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10)의 더욱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지지밀착수단(170)을 더 이용할 수 있는데, 누름부(174)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밀착부(172)를 상기 기준판상부재(1)에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자기블럭(134)에 집중된 하중을 상기 밀착부(172)로 분산시켜, 상기 플레이트(110)에 더 큰 지지력을 발휘케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칭 자기수단(130) 및 지지밀착수단(17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10)가 상기 기준판상부재(1) 상에 고정 지지되면, 플레이트(110) 길이 방향 일측 상부에 구비된 회전 레버(155)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 레버(155)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가이더(150)가 승,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스크류가이더(15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된 누름판(160) 역시 승,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판(160)은 기준판상부재(1)에 비해 상향 단차가 형성된 피보정판상부재(3)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누름판(160)의 하강 동작에 의하여 상기 피보정판상부재(3)는 상기 기준판상부재(1)의 높이 단차 기준면만큼 하측으로 가압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판(160)의 하강으로 인한 상기 피보정판상부재(3)의 높이 단차 보정 정도는 상기 스크류가이더(150)의 직경 및 나사 피치 간격을 사전에 조절함으로써, 상기 회전 레버(155)의 회전수에 대응된 상기 피보정판상부재(3)의 높이 단차 누름값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높이 단차 보정 방법을 도시한 작업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작업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작업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플레이트
112 : 나사구 130 : 스위칭 자기수단
132 : 스위칭 핸들 134 : 자기블럭
150 : 스크류가이더 155 : 회전 레버
160 : 누름판 170 : 지지밀착수단
172 : 밀착부 174 : 누름부

Claims (5)

  1. 복수 배열된 철재 판상부재의 높이 단차를 보정하기 위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에 있어서,
    직사각 평면 형상을 가지며, 높이 단차 보정 시 벤딩(Bending)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굽힘 강도를 갖도록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관통 설치되며, 높이 단차 기준면을 갖는 기준판상부재에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장탈 가능하게 온/오프(ON/OFF) 스위칭되도록 형성된 스위칭 자기수단;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일측 상에 구비된 나사구에 대응 삽입되어, 회전으로 인하여 승, 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크류가이더; 및
    상기 스크류가이더 하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기준판상부재에 비해 상향 단차가 형성된 피보정판상부재를 높이 단차 기준면만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자기수단은,
    상기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된 스위칭 핸들; 및
    상기 스위칭 핸들과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 하부상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 칭 핸들의 온(ON) 조작 시, 자성을 띠어 상기 기준판상부재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스위칭 핸들의 오프(OFF) 조작 시, 자성이 상실되어 상기 기준판상부재로부터 장탈 가능하게 형성된 자기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길이 방향 타측 상에는,
    상기 누름판이 상기 피보정판상부재를 가압 시, 상기 기준판상부재에 고정된 상기 플레이트의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지지밀착수단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밀착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타측 상에 관통 설치되되,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기준판상부재 상부면에 접촉 가압되어, 상기 기준판상부재 상부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밀착부;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상기 밀착부를 하측으로 누름 가압 가능하게 형성된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가이더의 상단에는,
    상기 스크류가이더의 회전 작동에 필요한 회전 레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
KR1020080010444A 2008-02-01 2008-02-01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 KR100927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444A KR100927645B1 (ko) 2008-02-01 2008-02-01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444A KR100927645B1 (ko) 2008-02-01 2008-02-01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336A KR20090084336A (ko) 2009-08-05
KR100927645B1 true KR100927645B1 (ko) 2009-11-20

Family

ID=4120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444A KR100927645B1 (ko) 2008-02-01 2008-02-01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6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3632A (zh) * 2016-04-25 2017-10-31 特变电工沈阳变压器集团有限公司 一种变压器槽形加强铁压紧工具及其压紧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180U (ja) * 1993-05-14 1994-11-29 有限会社開伸 鉄板の溶接用位置合わせ装置
US5878944A (en) 1995-05-15 1999-03-09 Elpatronic A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wo metallic workpieces together
JP2000000689A (ja) 1998-06-16 2000-01-07 Nippon Steel Corp 帯状鋼板の長手方向の連続溶接方法および連続溶接設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180U (ja) * 1993-05-14 1994-11-29 有限会社開伸 鉄板の溶接用位置合わせ装置
US5878944A (en) 1995-05-15 1999-03-09 Elpatronic A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wo metallic workpieces together
JP2000000689A (ja) 1998-06-16 2000-01-07 Nippon Steel Corp 帯状鋼板の長手方向の連続溶接方法および連続溶接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336A (ko)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308475U (zh) 一种平板对接焊接试验夹具
KR101118781B1 (ko) 3차원 형상의 오목, 볼록 판재 겸용 자동경사조절 장치
AU201130051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oeuvring and support of panels
KR20120076405A (ko) 드릴 가공물을 고정하는 프레스 장치
KR20140000310U (ko) H형 빌트업 형강재 취부지그
KR100927645B1 (ko) 스위칭 자기수단을 이용한 높이 단차 보정 장치
CN104278843A (zh) 一种钢结构梁吊装对接的纠偏装置及使用方法
CN107470820B (zh) 反装组焊工装
KR20150000988U (ko) 판계 용접용 단차 정렬 장치
CN207239570U (zh) 一种焊接工装气动定位机
CN105436924B (zh) 放线滑车主架槽钢钻孔固定平台
CN103658277A (zh) 一种槽形板成型装置
CN102699608A (zh) 一种轨道车辆裙板边框组合焊接用工装
CN216728889U (zh) 一种矫直设备
CN105665999A (zh) 适用于长缝薄板的焊接夹具
JPH04319096A (ja) 大型鋼構造物製作装置および同装置における板状部品位置合わせ装置
KR20130006526U (ko) 해양구조물의 블록 조립용 정반 레벨링 지그
KR20130002747U (ko) 플레이트 취부용 지그
CN114226498A (zh) 一种矫直设备及矫直工艺
CN214921758U (zh) 倾斜支架小组焊接工装
KR101491110B1 (ko) 상자 이동용 팔레타이저
CN218800157U (zh) 一种立式底座加工用夹持装置
KR102352200B1 (ko) 선체블록 취부용 단차 조정장치
KR20140004400U (ko)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
CN206750930U (zh) 一种钢瓶滚印用夹持架自主移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