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400U -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400U
KR20140004400U KR2020130000319U KR20130000319U KR20140004400U KR 20140004400 U KR20140004400 U KR 20140004400U KR 2020130000319 U KR2020130000319 U KR 2020130000319U KR 20130000319 U KR20130000319 U KR 20130000319U KR 20140004400 U KR20140004400 U KR 201400044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hole
bolt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3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춘구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03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400U/ko
Publication of KR201400044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4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2Pressure but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맞대기 용접이 이루어질 두 판부재의 사이에 인입되며, 관통홀이 구비되는 가이드부; 상기 판부재의 하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판부재의 하면을 지지하는쐐기부; 상기 판부재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관통홀에 구비되어 상기 판부재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는, 용접이 필요한 두 판부재의 사이에 가이드부를 삽입하고, 가이드부에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판부재의 하방으로 노출되는 관통홀에는 쐐기를 설치하고, 판부재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관통홀에는 가압부가 볼트 방식으로 상하 이동함으로써 두 판부재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여, 취부용 피스의 용접 작업 등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 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An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difference of plate material}
본 고안은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대량의 광물이나 원유 또는 몇천 개 이상의 컨테이너 등을 싣고 대양을 항해하는 운송수단으로서, 강철로 이루어져 있고 부력에 의해 수선면에 부유한 상태에서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해 발생되는 추력을 통해 이동한다.
이러한 선박은 복수 개의 블록이 조립됨으로써 건조되며, 각 블록은 수많은 부재들의 결합에 의해 탄생된다. 따라서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가공, 소조립, 대조립, PE(Pre-Erection) 등과 같이 여러 단계의 생산 공정을 거쳐야 한다.
이때 각 생산 공정에서는 용접 방법을 이용하여 자재들을 연결한다. 용접 방법은 접합하는 위치에 국부적으로 열을 가해 자재의 일부를 일단 용융상태로 만들어 서로 섞은 다음 냉각시켜서 굳히는 접합 방법이다. 용접 방법은 볼트로 조이는 기계적인 접합에 비하면 접합부의 강도가 높고 밀폐성이 좋으며, 결합 부위가 깔끔하게 마무리되므로, 선박을 제작할 시에는 용접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용접 방법 중에서, 평판 또는 곡판의 변을 서로 맞대어 두 판부재를 용접하는 방식을 맞대기 용접이라 하며, 평판 또는 곡판에 수직하게 다른 부재를 용접하는 방식을 필렛 용접이라 한다.
맞대기 용접의 경우, 두께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두 판부재를 용접하는 작업이므로, 작업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 판부재 간의 높낮이를 정확히 맞추어야 한다.
종래의 경우, 두 판부재를 근접 배치하고, 뒤집어진 'U'자 형태의 취부용 피스를 각 판부재에 용접한 뒤 판부재를 지지하는 핀지그 등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용접이 이루어져야 하는 부분의 단차를 조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차 조정 방법은, 취부용 피스의 용접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 공수가 늘어나며, 용접이 완료된 이후에는 취부용 피스를 제거하여야 하므로 절단 시 판부재 손상이 우려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절단 부분의 사상작업으로 인해 작업공수가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판부재 사이의 용접 부분에 얇은 판 형태의 가이드부가 삽입되도록 하고, 가이드부의 하방에는 쐐기부를 설치하여 두 판부재를 지지하고, 상방에서는 가압부로 두 판부재를 누름으로써 용이하게 단차를 조정할 수 있는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는, 맞대기 용접이 이루어질 두 판부재의 사이에 인입되며, 관통홀이 구비되는 가이드부; 상기 판부재의 하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판부재의 하면을 지지하는쐐기부; 상기 판부재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관통홀에 구비되어 상기 판부재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는, 용접이 필요한 두 판부재의 사이에 가이드부를 삽입하고, 가이드부에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판부재의 하방으로 노출되는 관통홀에는 쐐기를 설치하고, 판부재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관통홀에는 가압부가 볼트 방식으로 상하 이동함으로써 두 판부재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여, 취부용 피스의 용접 작업 등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 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1)는, 가이드부(10), 쐐기부(20), 가압부(30), 볼트부(40), 손잡이부(5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0)는, 맞대기 용접이 이루어질 두 판부재(2)의 사이에 인입되며, 관통홀(11)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판부재(2)는, 평판 또는 곡판으로서 서로 변이 인접하게 배치된 후 일 방향으로 용접이 이루어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두 판부재(2)의 두께는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판부재(2)의 높이는 핀지그 등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두 판부재(2)에 취부용 피스를 용접하고 핀지그를 사용하여 단차를 제거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취부용 피스의 사용 없이 단차 조정이 가능하다. 이는 이하 후술할 쐐기부(20)와 가압부(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두 판부재(2)는 맞대기 용접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인접 배치될 수 있고, 이때 용접 부위에는 갭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0)는 이와 같은 갭에 인입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가이드부(10)의 두께는 충분히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부(10)의 두께는 각 판부재(2)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가이드부(10)는 판부재(2)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큰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이드부(10)는 판부재(2) 사이의 갭에 인입되더라도 상방 및 하방으로 일정 높이만큼 노출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0)의 관통홀(11)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판부재(2)의 상방으로 노출된 가이드부(10)와 판부재(2)의 하방으로 노출된 가이드부(10)에 모두 관통홀(11)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통홀(11)은 판부재(2)의 두께보다 크며 후술할 가압부(30)와 쐐기부(20)가 안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10)는, 적어도 일부분이 평판 형태일 수 있다. 이는 판부재(2) 사이의 갭에 가이드부(10)가 인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인입의 용이성을 위해, 가이드부(10)의 하단은 테이퍼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0)의 두께는 하단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얇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가이드부(10)는 정면에서 볼 때 관통홀(11)이 중앙 부분에 구비된 사각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다만 작업자의 보호를 위해 각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부(10)는 후술할 쐐기부(20)가 견고히 안착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부(10)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 즉 역삼각형 형태를 가질 경우, 관통홀(11) 역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쐐기부(20)는 관통홀(11)의 하단에 쉽게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쐐기부(20)를 관통홀(11)에 삽입 설치할 때, 본 실시예는 쐐기부(20)가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가이드부(10)가 사각 단면을 갖되 관통홀(11)이 역삼각형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가이드부(10)와 관통홀(11)의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다만 판부재(2)의 단차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가압부(30)와 쐐기부(20)에 의한 압력을 견뎌낼 수 있는 구조로 가이드부(10)를 제작할 수 있다.
쐐기부(20)는, 판부재(2)의 하방으로 노출되는 관통홀(11)에 삽입 설치되어 판부재(2)의 하면을 지지한다. 쐐기부(2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쐐기부(20)는 측면이 삼각형 형태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직각 삼각형 형태일 수 있다.
쐐기부(20)의 측면을 직각 삼각형으로 제작하는 것은, 상면이 판부재(2)를 지지할 때, 측면이 상면과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측면에 해머 등으로 충격을 가할 때 쐐기부(20)가 보다 원활히 관통홀(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쐐기부(20)는 관통홀(11)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쐐기부(20)는 관통홀(11)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11)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역삼각형 형태 등을 가질 경우, 쐐기부(20)는 관통홀(11)의 형태에 대응하여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쐐기부(20)와 관통홀(11)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쐐기부(20)가 관통홀(11)에 삽입 설치되었을 때, 쐐기부(20)의 미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판부재(2)의 단차가 정확히 조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압부(30)는, 판부재(2)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관통홀(11)에 구비되어 판부재(2)의 상면을 가압한다. 가압부(30)는 하면이 평평할 수 있고,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관통홀(11) 내에서 상하로 움직이기 위해 관통홀(11)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가압부(30)의 평면 면적은, 적어도 판부재(2) 사이의 갭을 충분히 커버하는 동시에, 갭에 인접한 판부재(2)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판부재(2)의 단차를 제거할 수 있는 크기가 바람직하다.
가압부(30)는 후술할 볼트부(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부(4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작업자가 볼트부(40)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트부(40)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가압부(30)가 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때 가압부(30)는 두 판부재(2)를 가압하여 단차를 제거할 수 있다.
볼트부(40)는, 가압부(30)를 상하 이동시킨다. 볼트부(40)는 가이드부(10)에 삽입 설치되어 가이드부(10)의 일부분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10)에는 볼트부(40)의 삽입을 위한 볼트 홀(12)이 형성될 수 있고, 볼트 홀(12)의 내면에는 볼트부(40)와 맞물리기 위한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볼트부(40)는 작업자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부(30)를 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고, 또는 본 실시예를 판부재(2)로부터 제거하여야 할 경우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부(30)를 상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볼트부(40)에서 일부는 관통홀(11)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가이드부(10)의 볼트 홀(12)에 맞물려 있을 수 있으며, 나머지는 가이드부(1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0)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은 작업자가 볼트부(40)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이 부분에는 후술할 손잡이부(50)가 체결될 수 있다.
손잡이부(50)는, 볼트부(40)의 상단에 연결되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볼트부(40)의 회전을 가이드 한다. 볼트부(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통홀(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가압부(30)를 상하로 움직이기 위해, 일부가 관통홀(11)의 내측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가 가이드부(10)의 상부로 돌출되는데, 이때 본 실시예는 가이드의 상부로 돌출된 볼트부(40)에 손잡이부(50)를 연결시켜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볼트부(40)를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작업자는 손잡이부(50)를 파지한 상태로 볼트부(40)를 회전시켜 가압부(30)가 판부재(2)를 강하게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판부재(2) 간의 단차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때 작업자의 편의성을 위해 손잡이부(50)는 충분한 길이로 볼트부(40)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50)는 바 형태일 수 있으며, 이때 손잡이부(50)에서 작업자가 파지하는 부분에는,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해 탄성재질로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덧씌워져 있을 수 있다.
또는 손잡이부(50)는 적어도 일부분의 단면이 파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손잡이부(5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1)는, 작업자가 손잡이부(50)를 파지한 상태로 볼트부(40)를 회전함에 따라, 가압부(30)가 판부재(2) 사이의 갭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판부재(2) 간의 단차가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1)에서 판부재(2)의 하방으로 노출된 관통홀(11)에는 쐐기부(20)가 강하게 고정되어, 가압부(30)가 판부재(2)를 하방으로 밀어내더라도 쐐기부(20)가 판부재(2)를 지지하여 판부재(2)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두 판부재(2)가 쐐기부(20)와 가압부(30)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하여 단차 조정을 원활히 이루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판부재(2)의 단차를 조정할 때, 취부용 피스를 용접할 필요없이 가압부(30)와 쐐기부(20)를 통해 두 판부재(2)를 압착하여 단차를 제거할 수 있어, 작업공수를 절감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 2: 판부재
10: 가이드부 11: 관통홀
12: 볼트 홀 20: 쐐기부
30: 가압부 40: 볼트부
50: 손잡이부

Claims (5)

  1. 맞대기 용접이 이루어질 두 판부재의 사이에 인입되며, 관통홀이 구비되는 가이드부;
    상기 판부재의 하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판부재의 하면을 지지하는쐐기부;
    상기 판부재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관통홀에 구비되어 상기 판부재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평판 형태이며, 상부에 상기 볼트부의 삽입을 위한 볼트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
KR2020130000319U 2013-01-14 2013-01-14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 KR201400044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319U KR20140004400U (ko) 2013-01-14 2013-01-14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319U KR20140004400U (ko) 2013-01-14 2013-01-14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400U true KR20140004400U (ko) 2014-07-23

Family

ID=5244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319U KR20140004400U (ko) 2013-01-14 2013-01-14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40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668A (ko) * 2019-02-20 2020-08-28 강영태 평판 맞대기 용접용 가접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668A (ko) * 2019-02-20 2020-08-28 강영태 평판 맞대기 용접용 가접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6276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welding preforms and associated method
CN204308475U (zh) 一种平板对接焊接试验夹具
KR101614942B1 (ko) 박판용접용 정밀 클램프 지그
JP2008523997A (ja) 少なくとも2つの部品、特に航空機用の部品をクランプし、2つの部品の縁部間での摩擦攪拌接合により形成される溶接線で部品同士を接続するための装置
JP4913676B2 (ja) 接合用治具
US20170014939A1 (en) Workpiece securing device for friction stir welding device
US20080023529A1 (en) Ultrasonic welding apparatus
WO2015122093A1 (ja) 接合方法
CN202539772U (zh) 薄板角焊缝自动焊接设备
KR101799218B1 (ko) 마찰 교반 접합 방법
KR20140004400U (ko) 판부재 단차 조정장치
CN104384788A (zh) 用于折板对接焊的夹具
CN202825344U (zh) 机床夹具
KR101257755B1 (ko) 백비드 형성용 용접장치
CN102430845A (zh) 薄板角焊缝自动焊接设备
KR100561819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헤비 스틸 코너의 자동용접을 위한 헤비 스틸 코너용 그리퍼를 구비한 로봇
CN202388161U (zh) 倒装式驾驶室前下围焊接夹具
JP5391287B2 (ja) 接合用治具
CN207787524U (zh) 不规则钣金件的纵向夹持定位工装
KR200475774Y1 (ko) 절삭 가공용 바이스
KR20200001776U (ko) 파이프 용접 시험편용 지그
KR20140006195U (ko) 맞대기 용접용 모재 구속장치
JP5391288B2 (ja) 接合用治具
CN109382623A (zh) 一种应用于工程机械钣金零件的焊接定位工装
CN202240334U (zh) 焊接用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