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035B1 - 신규한 질소 원자를 함유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또는 이의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질소 원자를 함유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또는 이의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035B1
KR100927035B1 KR1020070080935A KR20070080935A KR100927035B1 KR 100927035 B1 KR100927035 B1 KR 100927035B1 KR 1020070080935 A KR1020070080935 A KR 1020070080935A KR 20070080935 A KR20070080935 A KR 20070080935A KR 100927035 B1 KR100927035 B1 KR 100927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mide
methyl
piperazine
ethyl
sulfo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4711A (ko
Inventor
한균희
최은현
양지선
홍성희
김명숙
원미선
정경숙
김동명
유향숙
김환묵
박성규
이기호
이창우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80014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acylated on ring nitrogen atoms
    • C07D295/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acylated on ring nitrogen atoms by radicals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or sulfur or nitrogen analogues thereof
    • C07D295/182Radicals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 C07D295/185Radicals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from aliphatic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s in positions 1 and 4
    • C07D24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s in positions 1 and 4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07D295/26Sulfur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질소원자를 함유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활성산소종에 의한 DNA 손상을 유도하여 c-abl 및 p53을 활성화시키고, RhoB를 유도시켜 아폽토시스를 유발하며, 미토콘드리아를 경유하는 신호(signal) 조절 이상으로 생존과 관련된 Bcl2 양이 하향 조절되어 세포사를 일으킴으로써 종양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아폽토시스를 유발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암 질환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질소 원자를 함유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New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treatment of cancer}
본 발명은 신규한 질소 원자를 함유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이란 "제어되지 않는 세포성장"으로 특징지어지며, 이러한 비정상적인 세포성장에 의해 종양(tumor)이라고 불리는 세포 덩어리가 형성되어 주위의 조직으로 침투하고 심한 경우에는 신체의 다른 기관으로 전이되기도 한다. 학문적으로는 신생물(neoplasia)이라고도 불린다.
암은 수술, 방사선 및 화학요법으로 치료를 하더라도 많은 경우에 근본적인 치유가 되지 못하고 환자에게 고통을 주며 궁극적으로는 죽음에 이르게 하는 난치성 만성질환이다. 전 세계적으로 암으로 고통받는 환자는 2000만 명이 넘으며, 매 년 600만 명 이상이 암으로 사망하고 있고, 2020년경에는 1,100만 명이 암으로 사망할 것으로 예측되므로 암은 시급히 그 치료법을 찾아내어야 할 중요 질환이다. 암은 나라마다 차이는 있지만 선진국이나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사망원인의 20% 이상을 차지한다. 하지만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암 발생의 정확한 원인이나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암의 발생요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정상세포가 어떠한 기전을 거쳐 암세포로 형질전환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적어도 80-90%가 환경요인 등 외적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적 요인으로는 유전 인자, 면역학적 요인 등이 있으며, 외적 요인으로는 화학물질, 방사선, 바이러스 등이 있다. 암의 발생에 관련되는 유전자에는 종양형성유전자 (oncogenes)와 종양억제유전자(tumor suppressor genes)가 있는데, 이들 사이의 균형이 위에서 설명한 내적 혹은 외적 요인들에 의해 무너질 때 암이 발생하게 된다.
암은 혈액암과 고형암으로 크게 분류되며, 폐암, 위암, 유방암, 구강암, 간암, 자궁암, 식도암, 피부암 등 신체의 거의 모든 부위에서 발생한다. 이들 악성종양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들 중 수술이나 방사선 요법을 제외한 화학요법제를 총칭하여 항암제라고 하며, 주로 헥산의 합성을 저해하여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이 대부분이다.
화학요법제는 크게 대사길항제(antimetabolites), 알킬화제(alkylating agents), 유사분열 억제제(antimitotic drugs), 호르몬제(hormones) 등으로 분류된다. 대사길항제는 암세포의 증식에 필요한 대사과정을 저해하는 것으로, 메토트렉 세이트(methotrexate)와 같은 엽산 유도체, 6-머캅토퓨린(6-mercaptopurine) 및 6-티오구아닌(6-thioguanine)과 같은 퓨린 유도체,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및 시타라빈(cytarabine)과 같은 피리미딘 유도체 등이 있다. 알킬화제는 DNA의 구아닌 등에 알킬기를 도입하여 DNA의 구조를 변형시키고 사슬을 절단시켜 항암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클로람부실(chlorambucil) 및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와 같은 니트로겐 머스타드계 화합물, 티오테파(thiotepa)와 같은 에틸렌이민계 화합물, 부설판(busulfan)과 같은 알킬설포네이트계 화합물, 카르무스틴(carmustine)과 같은 니트로소우레아계 화합물, 다카바진(dacarbazine)과 같은 트리아젠계 화합물이 있다. 유사분열 억제제는 분열시기 특이성 약물로서 유사분열을 차단하여 세포분열을 억제하는 것으로, 악티노마이신 D(actinomycin D), 독소루비신, 블레오마이신, 미토마이신과 같은 항암성 항암제;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과 같은 식물 알칼로이드; 탁산환을 포함하는 유사분열 저해제인 탁소이드 등이 포함된다. 이외에 부신피질호르몬이나 프로게스테론과 같은 호르몬제와 시스플라틴 같은 백금함유 화합물이 항암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화학요법제의 가장 큰 문제는 약제 내성으로써, 항암제에 의한 초기의 성공적인 반응에도 불구하고 결국에는 치료가 실패하게 되는 주요 요인이다. 약제 내성의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와 동시에 기존의 약제에 내성을 지닌 암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전을 가진 항암제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현재 개발이 진행 중인 항암제는 약제 내성 차단제, 혈관신생 저해제, 종양 전이 억제제, 유전자 발현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양성장을 억제하고 아폽토시스를 유발하는 새로운 기전의 항암제에 대해 연구하던 중, 신규한 질소원자를 함유한 헤테로고리 화합물을 합성하였으며, 이 화합물이 활성산소종에 의한 DNA 손상을 유도하여 c-abl 및 p53을 활성화시키고, RhoB를 유도시켜 아폽토시스를 유발하며, 미토콘드리아를 경유하는 신호(signal) 조절 이상으로 생존과 관련된 Bcl2 양이 하향 조절되어 세포사를 일으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신규한 질소 원자를 함유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질소 원자를 함유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7058294021-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C3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C2~C30의 알케닐이며,
R2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R3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2~C30의 알케닐; 알릴; 또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C6의 알콕시, OCF3, 니트로 및 할로겐 원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이며,
A는 C(=O) 또는 S(=O)2 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이며,
n은 2 또는 3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질소 원자를 함유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중 바람직한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다:
1) 4-도코사노일-1,1-디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2) 1,1-디메틸-4-옥타노일-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3) 1-벤질-1-메틸-4-옥타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4) 1-알릴-1-메틸-4-옥타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 1-(4-메톡시-벤질)-1-메틸-4-옥타노일-피페라진-1-윰 클로라이드,
6) 1-에틸-1-메틸-4-옥타노일-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7) 1-벤질-1-에틸-4-옥타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 1-벤질-4-데카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9) 1-알릴-4-데카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0) 1-벤질-4-데카노일-1-에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1) 1-알릴-4-데카노일-1-에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2) 4-데카노일-1-에틸-1-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디드,
13) 1-알릴-1-메틸-4-테트라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4) 1-에틸-1-메틸-4-테트라데카노일-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15) 1-벤질-1-에틸-4-테트라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6) 1-알릴-1-에틸-4-테트라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7) 1-알릴-4-헥사데카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8) 4-헥사데카노일-1-(4-메톡시-벤질)-1-메틸-피페라진-1-윰 클로라이드,
19) 4-헥사데카노일-1-메틸-1-펜트-4-에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20) 1-부트-3-에닐-4-헥사데카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21) 1-벤질-1-에틸-4-헥사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22) 1-알릴-1-에틸-4-헥사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23) 1-에틸-4-헥사데카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24) 1-에틸-4-헥사데카노일-1-펜트-4-에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25) 1-벤질-1-메틸-4-옥타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26) 1-알릴-1-메틸-4-옥타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27) 1-에틸-1-메틸-4-옥타데카노일-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28) 1-벤질-1-에틸-4-옥타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29) 1-알릴-1-에틸-4-옥타데카노일-피레라진-1-윰 브로마이드,
30) 1-에틸-4-아이코사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31) 4-아이코사노일-1,1-디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32) 1-벤질-4-아이코사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33) 1-알릴-4-아이코사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34) 4-도코사노일-1-에틸-1-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35) 1-벤질-4-도코사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36) 1-알릴-4-도코사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37) 1-벤질-4-도코사노일-1-에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38) 1-알릴-4-도코사노일-1-에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39) 1,1-디메틸-4-테트라코사노일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40) 1-벤질-1-메틸-4-테트라코사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41) 1-알릴-1-메틸-4-테트라코사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42) 1-에틸-1-메틸-4-테트라코사노일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43) 1-알릴-1-메틸-4-언데크-10-에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44) 1-벤질-1-메틸-4-언데크-10-에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45) 1,1-디메틸-4-언데크-10-에노일-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46) 1-벤질-1-메틸-4-팔미토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47) 1-에틸-1-(3-니트로벤질)-4-팔미토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48) 1-에틸-1-(4-플루오로벤질)-4-스테아로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49) 1-에틸-1-(3-니트로벤질)-4-스테아로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0) 1-(4-브로모벤질)-1-에틸-4-스테아로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1) 1-에틸-1-(3-플루오로벤질)-4-테트라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2) 1-에틸-1-(3-메틸벤질)-4-테트라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3) 4-도데카노일-1-에틸-1-(3-니트로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4) 4-도데카노일-1-에틸-1-(3-플루오로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5) 4-도데카노일-1-에틸-1-(3-메틸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6) 1-에틸-1-(3-니트로벤질)-4-테트라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7) 1-에틸-4-옥타데실-1-(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8) 1-에틸-1-(3-메틸벤질)-4-스테아로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9) 1-에틸-1-메틸-4-(옥타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60) 1-알릴-1-에틸-4-(옥탄-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61) 1-알릴-1-메틸-4-(옥탄-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62) 1-벤질-1-메틸-4-(옥탄-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63) 1-(4-플루오로벤질)-1-메틸-4-(옥탄-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64) 1-벤질-1-에틸-4-(언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65) 1-벤질-1-메틸-4-(언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66) 1-(4-플루오로벤질)-1-메틸-4-(언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67) 1-알릴-1-에틸-4-(테트라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68) 1-에틸-1-(4-플루오로벤질)-4-(테트라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69) 1-알릴-1-메틸-4-(테트라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70) 1-벤질-1-메틸-4-(테트라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71) 1-(4-플루오로벤질)-1-메틸-4-(테트라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72) 1-알릴-1-에틸-4-(옥타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73) 1-벤질-1-에틸-4-(옥타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74) 1-알릴-1-메틸-4-(옥타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75) 4-(데칸-1-설포닐)-1,1-디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76) 1-벤질-4-(데칸-1-설포닐)-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77) 1-알릴-4-(데칸-1-설포닐)-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78) 4-(데칸-1-설포닐)-1-에틸-1-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79) 1-벤질-4-(데칸-1-설포닐)-1-에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0) 1-알릴-4-(데칸-1-설포닐)-1-에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1) 1-벤질-4-(도데칸-1-설포닐)-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2) 1-알릴-4-(도데칸-1-설포닐)-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3) 4-(도데칸-1-설포닐)-1-에틸-1-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84) 1-벤질-4-(도데칸-1-설포닐)-1-에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5) 1-알릴-4-(도데칸-1-설포닐)-1-에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6) 4-(데칸-1-설포닐)-1-(4-플루오로벤질)-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7) 4-(데칸-1-설포닐)-1-에틸-1-(4-플루오로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8) 4-(도데칸-1-설포닐)-1-(4-플루오로벤질)-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9) 1-에틸-1-(3-니트로벤질)-4-(노닐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90) 4-(도데칸-1-설포닐)-1-메틸-1-(4-메틸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91) 4-(데칸-1-설포닐)-1-에틸-1-(3-니트로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92) 1,1-디에틸-4-(언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93) 1-에틸-1-메틸-4-(언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94) 1,1-디에틸-4-(테트라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95) 1-에틸-1-메틸-4-(테트라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96) 1-(4-플루오로벤질)-1-메틸-4-(옥타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97) 4-(도데칸-1-설포닐)-1-에틸-1-(4-플루오로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 드,
98) 4-(도데칸-1-설포닐)-1-에틸-1-(3-니트로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99) 1-에틸-1-메틸-4-(노난-1-설포닐)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100) 1-벤질-1-에틸-4-(노난-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01) 1-알릴-1-에틸-4-(노난-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02) 1,1-디메틸-4-(노난-1-설포닐)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103) 1-벤질-1-메틸-4-(노난-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04) 1-(4-플루오로벤질)-1-메틸-4-(노난-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05) 4-(데칸-1-설포닐)-1-메틸-1-(3-니트로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06) 4-(데칸-1-설포닐)-1-메틸-1-(3-메틸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07) 4-(데칸-1-설포닐)-1-메틸-1-(4-메틸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08) 4-(도데칸-1-설포닐)-1-메틸-1-(3-메틸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09) 4-(데칸-1-설포닐)-1-에틸-1-(4-메틸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10) 4-(데칸-1-설포닐)-1-에틸-1-(3-메틸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11) 1-벤질-1-에틸-4-(옥탄-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12) 1-알릴-1-메틸-4-(언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13) 1-벤질-1-에틸-4-(테트라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14) 1-(4-t-부틸벤질)-1-에틸-4-(옥타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 이드,
115) 1-벤질-1-메틸-4-(옥타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16) 1-에틸-1-메틸-4-팔미토일-1,4-디아제판-1-윰 아이오다이드,
117) 4-도데카노일-1,1-디메틸-1,4-디아제판-1-윰 아이오다이드,
118) 1-알릴-4-도데카노일-1-메틸-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19) 4-도데카노일-1-(4-메톡시벤질)-1-메틸-1,4-디아제판-1-윰 클로라이드,
120) 1-알릴-1-메틸-4-팔미토일-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21) 1-(4-플루오로벤질)-1-메틸-4-팔미토일-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22) 4-헥사데카노일-1,1-디메틸-1,4-디아제판-1-윰 아이오다이드,
123) 1,1-디메틸-4-테트라데카노일-1,4-디아제판-1-윰 아이오다이드,
124) 1-벤질-1-메틸-4-테트라데카노일-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25) 1-벤질-1-메틸-4-팔미토일-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26) 4-헥사데실-1-메틸-1-(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27) 1-알릴-1-메틸-4-테트라데카노일-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28) 1-메틸-1-(3-니트로벤질)-4-테트라데카노일-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29) 1,1-디메틸-4-스테아로일-1,4-디아제판-1-윰 아이오다이드,
130) 1-(4-플루오로벤질)-1-메틸-4-스테아로일-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31) 1-알릴-1-메틸-4-옥타데실-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32) 1-메틸-1-(3-메틸벤질)-4-옥타데실-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33) 1-(4-플루오로벤질)-1-메틸-4-테트라데카노일-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34) 1-(4-플루오로벤질)-1-메틸-4-옥타데실-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및
135) 1-메틸-1-(3-니트로벤질)-4-옥타데실-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콜(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 (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 (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빈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제조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 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 염이 포함되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질소 원자를 함유한 헤테로고리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반응식 1 내지 3으로 표시된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A가 C(=O)이며, n이 2인 경우 반응식 1과 같이 제조될 수 있으며,
1) 화학식 2의 유기산 화합물을 유기용매 중에서 티오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킨 후, 알킬피페라진 유도체와 반응시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1)단계에서 제조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할라이드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58294021-pat00002
상기 반응식 1에서, R2, R3 및 X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m은 1 내지 30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A가 S(=O)2이며, n이 2인 경우 반응식 2와 같이 제조될 수 있으며,
1) 화학식 4의 설폰산 화합물을 유기용매 중에서 옥살릴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킨 후, 알킬피페라진 유도체와 반응시켜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1)단계에서 제조된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할라이드 화합물과 반응시 켜 화학식 1-2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58294021-pat00003
상기 반응식 2에서, R2, R3 및 X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m은 1 내지 30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A가 C(=O)이며, n이 3인 경우 반응식 3과 같이 제조될 수 있으며,
1) 화학식 2의 유기산 화합물을 유기용매 중에서 알킬디아제판 유도체와 반응시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1)단계에서 제조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할라이드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3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58294021-pat00004
상기 반응식 3에서, R2, R3 및 X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m은 1 내지 3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반응식 1 내지 3은 상업적으로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는 화학식 2의 유기산 화합물 및 화학식 4의 설폰산 화합물을 출발물질로 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2 단계 제조과정을 나타낸다.
반응식 1 내지 3의 1)단계에서는, 화학식 2의 유기산 화합물 또는 화학식 4의 설폰산 화합물을 유기용매 중에서 티오닐 클로라이드 또는 옥살릴 클로라이드와 상온 내지 60℃ 범위의 온도에서 반응시켜 중간체로 유기산 클로라이드 또는 설폰산 클로라이드를 제조한 다음, 이를 0℃에서 알킬피페라진 유도체와 반응시켜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또는 화학식 2의 유기산 화합물을 유기용매 중에서 알킬디아제판 유도체와 반응시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유기용매로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티오닐 클로라이드 또는 옥살릴 클로라이드는 출발물질인 화학식 2의 유기산 화합물 또는 화학식 4의 설폰산 화합물에 대해 2 내지 4 당량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알킬피페라진은 화학식 2의 유기산 화합물 또는 화학식 4의 설폰산 화합물에 대해 4 당량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식 1 내지 3의 2)단계에서는, 상기 1)단계에서 얻은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5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유기용매 중에서 할라이드 화합 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1 내지 1-3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유기용매로는 톨루엔, 벤젠, 아세토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할라이드 화합물은 메틸아이오다이드, 벤질브로마이드, 알릴브로마이드 등이 바람직하며, 그 사용량은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5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6의 화합물에 대해 2 내지 3 당량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반응은 상온 내지 10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질소 원자를 함유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암은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결장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 암, 피부 또는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위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유방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 종양, 1차 중추신경계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 신경교종, 뇌하수체 선종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30 mg/kg)을 복강 투여한, 인체 유래 전립선암 세포주 PC-3을 이종이식한 누드 마우스는 시험기간 동안 특이한 일반증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체중 감소가 없었고, 84.0%(p<0.001)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종양성장 억제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실험 최종일(21일째)에 79.5%(p<0.001)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종양무게 감소가 관찰되었다(도 1 내지 도 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인체 유래 전립선암 세포주인 PC-3 세포에 처리한 후 웨스턴 블롯 분석을 통해 단백질의 양을 측정한 결과, DNA 손상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c-abl의 양이 증가하였고, p53의 양과 인산화된 p53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아폽토시스(apoptosis)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RhoB의 양도 증가되었고, RhoB를 유도시켜 아폽토시스를 유발하였다(도 4A). 또한, 미토콘드리아를 경유하는 신호(signal) 조절 이상으로 생존과 관련된 Bcl2 양이 하향 조절(down regulation)되었다(도 4B).
또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제거시키는 역할을 하는 항산화제 NAC(N-acetylcysteine)를 인체 유래 전립선암 세포주인 PC-3 세포에 처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만을 전립선암 세포주인 PC-3 세포에 처리한 경우보다 아폽토시스 정도가 현저히 줄어들었다(도 5).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활성산소종에 의한 DNA 손상을 유도하여 c-abl 및 p53을 활성화시키고, RhoB를 유도시켜 아폽토시스를 유발하며, 미토콘드리아를 경유하는 신호(signal) 조절 이상으로 생존과 관련된 Bcl2 양이 하향 조절되어 세포사를 일으킴으로써 종양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아폽토시스를 유발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암 질환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형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 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 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기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랫트,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만으 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반응식 1에 따른 4- 도코사노일 -1,1-디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 다이드의 제조
1. 1-(4- 메틸피페라진 -1-일) 도코산 -1-온의 제조
Figure 112007058294021-pat00005
도코사노산(1 g, 2.93 mmol)의 메틸렌클로라이드 0.1M 용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0.43㎖, 5.86 mmol)를 교반상태에서 주입한 후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생성혼합물을 상온에서 식힌 뒤 0℃에서 메틸피페라진(1.30㎖, 11.72 mmol)을 넣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혼합물을 클로로포름 용액으로 희석한 후에 10% NaOH로 (pH 13이 될 때까지 넣어준다) 세척하였다. 포화 소금물용액으로 세척한 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일차 화합물을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 방법(용출제 : 5% 메탄올/클로로포름)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25%의 수율(307 mg)로 얻었다. (메틸피페라진 대신 에틸피페라진을 넣는 반응도 위의 방법과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1H-NMR (400MHz, DMSO) δ 3.64-3.48(m, 4H), 2.36-2.41(m, 4H), 2.33-2.29 (m, 2H) 2.31(s, 3H), 1.62(br m, 2H), 1.25(br s, 36H), 0.88(t, 3H ,J=6.8Hz).
2. 4- 도코사노일 -1,1-디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의 제조
Figure 112007058294021-pat00006
상기 1 단계에서 얻은 화합물(80 mg, 0.19 mmol)의 톨루엔 0.1M 용액에 아이오도메테인(0.02 ㎖, 0.3 mmol)을 교반상태에서 주입한 후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생성혼합물을 0℃로 충분히 낮춘 뒤에 에틸아세테이트 용액(6.0 ㎖)을 넣은 뒤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으로 여과시켜 목적 화합물을 73.6% 수율(81 mg)로 얻었다.
1H-NMR (300MHz, DMSO) δ 3.76-3.37(m, 8H), 3.12(s, 6H), 2.32(t, 2H, J=7.4Hz), 1.43(br m, 2H), 1.22(br s, 36H), 0.84(t, 3H, J=5.9Hz).
실시예 2~58 :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제조방법과 유사한 제조과정을 수행하여, 실시예 2~58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화합물들의 물성치는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58294021-pat00007
Figure 112007058294021-pat00008
Figure 112007058294021-pat00009
Figure 112007058294021-pat00010
Figure 112007058294021-pat00011
실시예 59 : 반응식 2에 따른 1-에틸-1- 메틸 -4-( 옥타데칸-1-설포닐 )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의 제조
1. 1- 메틸 -4-( 옥타데칸-1-설포닐 )피페라진의 제조
Figure 112007058294021-pat00012
옥타데카노-1-설폰산(2g, 5.6mmol)의 메틸렌클로라이드 0.6M 용액에 옥살릴클로라이드(2.8㎖(2.0M in 메틸렌클로라이드), 5.6mmol)와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Dimethylformamide)(0.3㎖, 0.004mmol)를 교반상태에서 주입한 후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생성혼합물을 상온에서 식힌 뒤 여과시켜 얻은 용액을 0℃에서 메틸피페라진(0.9㎖, 8.4mmol)을 넣고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생성혼합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희석한 후에 포화암모늄클로라이드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포화소금물용액으로 세척한 뒤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일차 화합물을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 방법(용출제: 5% 메탄올/클로로포름)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30%의 수율(702mg)로 얻었다.
1H-NMR (300MHz, CDCl3) δ 3.32-3.30(m, 4H), 2.92-2.87(m, 2H), 2.51-2.48 (m, 4H), 2.34(s, 3H), 1.88-1.75(m, 2H), 1.42-1.26(m, 30H), 0.88(t, 3H, J=6.6Hz)
2. 1-에틸-1- 메틸 -4-( 옥타데칸-1-설포닐 )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의 제조
Figure 112007058294021-pat00013
상기 1 단계에서 얻은 화합물(150mg, 0.36mmol)의 아세토니트릴 0.1M 용액에 아이오도에테인(0.07㎖, 0.87mmol)을 교반상태에서 주입한 후 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생성혼합물을 0℃로 충분히 낮춘 뒤에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으로 여과시켜 목적 화합물을 83% 수율(168mg)로 얻었다.
1H-NMR (300 MHz CDCl3) δ 3.94-3.81(m, 6H), 3.81-3.77(m, 2H), 3.64-3.56 (m, 2H), 3.52(s, 3H), 3.19(t, 2H, J=7.9Hz), 1.81-1.75(m, 2H), 1.49-1.44(m, 5H), 1.23(br s, 28H), 0.86(t, 3H, J=6.7Hz)
실시예 60~115 :
상기 실시예 59에 기재된 제조방법과 유사한 제조과정을 수행하여, 실시예 60~115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화합물들의 물성치는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58294021-pat00014
Figure 112007058294021-pat00015
Figure 112007058294021-pat00016
Figure 112007058294021-pat00017
Figure 112007058294021-pat00018
Figure 112007058294021-pat00019
실시예 116 : 반응식 3에 따른 1-에틸-1- 메틸 -4- 팔미토일 -1,4- 디아제판 -1-윰 아이오다이드의 제조
1. 1-(4- 메틸 -1,4- 디아제판 -1-일) 헥사데칸 -1-온의 제조
Figure 112007058294021-pat00020
팔미토산(1.5g, 5.80mmol)의 메틸렌클로라이드 0.1M 용액에 1-메틸호모피페라진(0.9㎖, 7.54mmol)과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4g, 7.54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2g, 1.74mmol)을 무수, 교반상태에서 주입한 후 상온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혼합물을 클로로포름용액으로 희석한 후에 포화 암모늄 클로라이드용액으로 세 번 세척하였다. 포화소금물용액으로 세척한 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일차 화합물을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 방법(용출제: 5% 메탄올/클로로포름)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92.4%의 수율(1.89g)로 얻었다.
1H-NMR (300MHz, DMSO) δ 3.48-3.41(m, 4H), 2.45-2.40(m, 4H), 2.28-2.22 (m, 5H), 1.81-1.71(m, 2H), 1.47(br s, 2H), 1.24(br s, 24H), 0.85(t, 3H, J=6.3 Hz)
2. 1-에틸-1- 메틸 -4- 팔미토일 -1,4-디 아제판 -1-윰 아이오다이드의 제조
Figure 112007058294021-pat00021
상기 1 단계에서 얻은 화합물(300mg, 0.85mmol)의 아세토니트릴 0.1M 용액에 아이오도에테인(0.14㎖, 1.7mmol)을 교반상태에서 주입한 후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생성혼합물을 0℃로 충분히 낮춘 뒤에 에틸아세테이트용액(6.0㎖)을 넣은 뒤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용액으로 여과시켜 목적 화합물을 70.6% 수율(304mg)로 얻었다.
1H-NMR (300MHz, DMSO) δ 3.77-3.42(m, 10H), 3.01(s, 3H), 2.32(t, 2H, J=7.4Hz), 2.12-2.09(m, 2H), 1.49(br s, 2H), 1.24(br s, 27H), 0.85(t, 3H, J=6.4Hz)
실시예 117~135 :
상기 실시예 116에 기재된 제조방법과 유사한 제조과정을 수행하여, 실시예 117~135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화합물들의 물성치는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58294021-pat00022
Figure 112007058294021-pat00023
실험예 1 : 약리 활성 실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약효를 검색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1. 종양세포의 성장억제실험
인간 종양세포주 PC-3 (전립선암, ATCC, 미국), MBA-MB-231 (유방암, ATCC, 미국), ACHN (신장암, ATCC, 미국), 및 NUGC-3 (위암, ATCC, 미국)를 10% 소 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포함된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항암활성을 측정하고자 할 때는, 5% 소 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RPMI 1640 배지에 적절한 농도(약 5 x 104 cells/㎖)의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5% CO2, 37℃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분주한 후, 하루가 경과한 다음 화합물들을 처리하기 직전의 세포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제로시간(Time zero, T0) 플레이트에 50%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웰당 50㎕씩 넣어 세포들을 고정하고 영점으로 정하였다. 화합물을 처리한 세포들의 경우에는 48시간 이후에 50%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웰당 50㎕씩 넣어 세포들을 고정하였다. 세포에 가해지는 화합물들의 최종 농도는 0.01, 0.03, 0.1, 0.3, 1 ㎍/㎖가 되도록 하였다. 고정한 플레이트는 수돗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0.1% 아세트산에 용해된 설포로다민 B(sulphorhodamine B; SRB)의 0.4% 용액을 웰당 100㎕를 가하여 세포를 염색하였다. 30 분간 방치한 후, 0.1% 아세트산으로 세척하고 다시 상온에서 건조시킨 후 10 mM 트리스 베이스(pH 10.5)를 가하여 염색시약을 용해시켰다. 540 ㎚에서 측정된 흡광도를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환산한 후, 암세포의 성장을 50% 억제하는 화합물의 농도(GI50(㎍/㎖))를 산출하였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58294021-pat00024
Figure 112007058294021-pat00025
Figure 112007058294021-pat00026
1-2. 동물시험계의 종양성장억제실험
인체 유래 전립선암 세포주 PC-3의 3×107 cells/㎖를 암컷 S.P.F BALB/c 누드 마우스(7주령)에 이식한 후, 상기 실시예 55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복강으로 하루 30 mg/kg씩 총 20회를 투여하고, 양성대조군으로는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2 mg/kg을 이틀에 한 번씩 복강 투여하여 10회를 투여하였다.
독성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투여 기간 동안 동물의 체중 변화, 사망동물, 종양크기 및 종양무게를 관찰하였다.
동물의 체중 변화는 도 1에 나타내었고, 종양크기의 변화는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최종일(21일째)에서의 종양무게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실시예 55)을 복강 투여한 마우스는 시험기간 동안 특이한 일반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마우스 체중 변화의 최종일(21일째) 결과를 보면 용매 대조군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시료 투여군에서는 체중 감소가 없었다. 양성대조물질(adriamycin/ 2mg/kg / Q2D: 10회) 투여군에서는 4수의 사망동물 및 13.7%(p<0.001)의 체중 감소가 나타났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종일(21일째) 결과를 보면 용매 대조군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시료 투여군(30 mg/kg)에서 84.0%(p<0.001)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종양성장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양성대조물질(adriamycin/ 2 mg/kg / Q2D: 10회) 투여군에서는 74.4%(p<0.01)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종양성장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 최종일(21일째)에 마우스를 희생시켜 종양을 절제한 후 그 무게를 측정한 결과, 용매대조군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시료 투여군(30 mg/kg)에서 79.5%(p<0.001)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종양무게 감소가 관찰되었다. 양성대조물질(adriamycin/ 2 mg/kg / Q2D: 10회) 투여군에서는 69.8% (p<0.05)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종양무게 감소가 나타났다.
실험예 2 : 웨스턴 블롯 분석( Western Blot Analysis )
인체 유래 전립선암 세포주인 PC-3 세포를 직경 100mm인 배양 접시(culture dish)에 4×106 개를 5% FBS를 포함한 RPMI 배지에 깔아 하루 동안 배양한 뒤, 상기 실시예 55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각각 0, 2, 5uM 의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 후 세포를 10㎖ PBS로 조심스럽게 2번 세척한 후 프로테아제 저해제 칵테일 (protease inhibitor cocktail, Roche, completeTM-mini)이 든 PBS(1 tablet/ 50㎖ PBS)를 접시 당 1㎖ 씩 넣고 세포를 긁어 모아 초음파 처리로 세포를 파쇄시켰다. 이 시료를 마이크로원심기로 12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모아 브래드포드 염료 시약(Bradford dye reagent, Bio-Rad)으로 단백질을 정량한 후 20㎍의 단백질을 SDS-PAGE를 이용하여 겔 상에서 전개하여 이를 다시 니트로셀룰로오스 막(nitrocellulose membrane, from Bio-Rad)으로 옮긴 후 각각의 조사하고자 하는 단백질에 특이적인 일차 항체와 HRP(horseradish peroxidase)가 붙은 이차 항체(Amersham 또는 Bio-Rad), 및 ECL 화학발광 시약(chemiluminescence reagent, Amersham)을 사용하여 각각의 단백질의 양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실시예 55)을 인체 유래 전립선암 세포주인 PC-3 세포에 처리한 후 웨스턴 블롯 분석을 통해 단백질의 양을 측정한 결과, DNA 손상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c-abl의 양이 증가하였고, p53의 양과 인산화된 p53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아폽토시스(apoptosis)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RhoB의 양도 증가되었고, RhoB를 유도시켜 아폽토시스를 유발하였다 (도 4A). 또한, 미토콘드리아를 경유하는 신호(signal) 조절 이상으로 생존과 관련된 Bcl2 양이 하향 조절(down regulation)되었다(도 4B).
실험예 3 : 세포 분석( Flow Cytometric Analysis )
5% CO2가 포함된 37℃ 배양기에서 5% FBS가 포함된 RPMI1640 배지로 키운 인체 유래 전립선암 세포주인 PC-3 세포를 직경 60㎜ 배양접시에 5 x 105 개씩 깔고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여기에 각 5 uM NAC(N-acetylcysteine, Sigma)를 3시간 처리한 후 상기 실시예 55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5uM 농도로 24시간 배양하였고, 0.1%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세포를 떼어내었다. 그 다음 떼어낸 세포를 15㎖ 원추형 시험관(conical tube)에 옮겨 200x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가라앉힌 후 상층 액을 제거하였다. 여기에 0.1mg/㎖ 농도의 RNase A가 포함된 PBS 용액을 0.5㎖ 첨가하여 세포를 재현탁시킨 후, 여기에 PI(propidium iodide) DNA 염색액을 50㎍/㎖ 농도로 처리하여 세포 내의 DNA를 30분 이상 염색하였다. 이렇게 염색된 세포를 유세포 분석기(Becton Dickinson 제품)를 사용하여 488㎚의 레이저 빔(laser beam)을 이용하여 PI를 여기(excitation)시킨 후 발광(emission)된 588㎚ 파장의 빛의 양을 히스토그램으로 표시하고, 이것을 정량 분석하여 세포 내 DNA의 양을 결정하였다.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제거시키는 역할을 하는 항산화제 NAC(N-acetylcysteine)를 인체 유래 전립선암 세포주인 PC-3 세포에 처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실시예 55)만을 전립선암 세포주인 PC-3 세포에 처리한 경우보다 아폽토시스 정도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활성산소종에 의한 DNA 손상에 기인하여 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주사액제의 제조
유효성분 10㎎을 함유하는 주사액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 1g, 염화나트륨 0.6g 및 아스코르브산 0.1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상기 주사액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화학식 1의 화합물 1 g
염화나트륨 0.6 g
아스코르브산 0.1 g
증류수 정량
제제예 2 : 시럽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 2%(중량/부피)로 함유하는 시럽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 사카린, 당을 온수 80g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냉각시킨 후, 여기에 글리세린, 사카린, 향미료, 에탄올, 소르브산 및 증류수로 이루어진 용액을 제조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100㎖가 되게 하였다.
상기 시럽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화학식 1의 화합물 2 g
사카린 0.8 g
당 25.4 g
글리세린 8.0 g
향미료 0.04 g
에탄올 4.0 g
소르브산 0.4 g
증류수 정량
제제예 3 : 정제의 제조
유효성분 15㎎이 함유된 정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 25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상기 정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화학식 1의 화합물 250 g
락토오스 175.9 g
감자전분 180 g
콜로이드성 규산 32 g
10% 젤라틴 용액
감자전분 160 g
활석 50 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g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활성산소종에 의한 DNA 손상을 유도하여 c-abl 및 p53을 활성화시키고, RhoB를 유도시켜 아폽토시스를 유발하며, 미토콘드리아를 경유하는 신호(signal) 조절 이상으로 생존과 관련된 Bcl2 양이 하향 조절되어 세포사를 일으킴으로써 종양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아폽토시스를 유발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암 질환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인체 유래 전립선암 세포주(PC-3)를 이종이식한 누드 마우스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실시예 55)을 복강 투여한 후 체중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인체 유래 전립선암 세포주(PC-3)를 이종이식한 누드 마우스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실시예 55)을 복강 투여한 후 종양크기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인체 유래 전립선암 세포주(PC-3)를 이종이식한 누드 마우스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실시예 55)을 복강 투여한 후 최종일(21일째)에서의 종양 무게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인체 유래 전립선암 세포주(PC-3)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실시예 55)을 처리한 후 웨스턴 블롯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인체 유래 전립선암 세포주(PC-3)에 NAC(N-acetylcysteine)를 처리한 후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실시예 55)을 처리한 다음 아폽토시스 정도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질소 원자를 함유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112009011427165-pat00027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6~C3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C2~C30의 알케닐이며,
    R2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R3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2~C30의 알케닐; 알릴; 또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C6의 알콕시, OCF3, 니트로 및 할로겐 원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이며,
    A는 C(=O) 또는 S(=O)2 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이며,
    n은 2 또는 3의 정수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1) 4-도코사노일-1,1-디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2) 1,1-디메틸-4-옥타노일-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3) 1-벤질-1-메틸-4-옥타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4) 1-알릴-1-메틸-4-옥타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 1-(4-메톡시-벤질)-1-메틸-4-옥타노일-피페라진-1-윰 클로라이드,
    6) 1-에틸-1-메틸-4-옥타노일-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7) 1-벤질-1-에틸-4-옥타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 1-벤질-4-데카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9) 1-알릴-4-데카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0) 1-벤질-4-데카노일-1-에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1) 1-알릴-4-데카노일-1-에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2) 4-데카노일-1-에틸-1-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디드,
    13) 1-알릴-1-메틸-4-테트라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4) 1-에틸-1-메틸-4-테트라데카노일-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15) 1-벤질-1-에틸-4-테트라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6) 1-알릴-1-에틸-4-테트라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7) 1-알릴-4-헥사데카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8) 4-헥사데카노일-1-(4-메톡시-벤질)-1-메틸-피페라진-1-윰 클로라이드,
    19) 4-헥사데카노일-1-메틸-1-펜트-4-에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20) 1-부트-3-에닐-4-헥사데카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21) 1-벤질-1-에틸-4-헥사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22) 1-알릴-1-에틸-4-헥사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23) 1-에틸-4-헥사데카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24) 1-에틸-4-헥사데카노일-1-펜트-4-에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25) 1-벤질-1-메틸-4-옥타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26) 1-알릴-1-메틸-4-옥타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27) 1-에틸-1-메틸-4-옥타데카노일-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28) 1-벤질-1-에틸-4-옥타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29) 1-알릴-1-에틸-4-옥타데카노일-피레라진-1-윰 브로마이드,
    30) 1-에틸-4-아이코사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31) 4-아이코사노일-1,1-디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32) 1-벤질-4-아이코사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33) 1-알릴-4-아이코사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34) 4-도코사노일-1-에틸-1-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35) 1-벤질-4-도코사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36) 1-알릴-4-도코사노일-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37) 1-벤질-4-도코사노일-1-에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38) 1-알릴-4-도코사노일-1-에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39) 1,1-디메틸-4-테트라코사노일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40) 1-벤질-1-메틸-4-테트라코사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41) 1-알릴-1-메틸-4-테트라코사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42) 1-에틸-1-메틸-4-테트라코사노일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43) 1-알릴-1-메틸-4-언데크-10-에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44) 1-벤질-1-메틸-4-언데크-10-에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45) 1,1-디메틸-4-언데크-10-에노일-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46) 1-벤질-1-메틸-4-팔미토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47) 1-에틸-1-(3-니트로벤질)-4-팔미토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48) 1-에틸-1-(4-플루오로벤질)-4-스테아로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49) 1-에틸-1-(3-니트로벤질)-4-스테아로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0) 1-(4-브로모벤질)-1-에틸-4-스테아로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1) 1-에틸-1-(3-플루오로벤질)-4-테트라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2) 1-에틸-1-(3-메틸벤질)-4-테트라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3) 4-도데카노일-1-에틸-1-(3-니트로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4) 4-도데카노일-1-에틸-1-(3-플루오로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5) 4-도데카노일-1-에틸-1-(3-메틸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6) 1-에틸-1-(3-니트로벤질)-4-테트라데카노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7) 1-에틸-4-옥타데실-1-(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8) 1-에틸-1-(3-메틸벤질)-4-스테아로일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59) 1-에틸-1-메틸-4-(옥타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60) 1-알릴-1-에틸-4-(옥탄-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61) 1-알릴-1-메틸-4-(옥탄-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62) 1-벤질-1-메틸-4-(옥탄-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63) 1-(4-플루오로벤질)-1-메틸-4-(옥탄-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64) 1-벤질-1-에틸-4-(언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65) 1-벤질-1-메틸-4-(언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66) 1-(4-플루오로벤질)-1-메틸-4-(언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67) 1-알릴-1-에틸-4-(테트라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68) 1-에틸-1-(4-플루오로벤질)-4-(테트라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69) 1-알릴-1-메틸-4-(테트라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70) 1-벤질-1-메틸-4-(테트라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71) 1-(4-플루오로벤질)-1-메틸-4-(테트라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72) 1-알릴-1-에틸-4-(옥타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73) 1-벤질-1-에틸-4-(옥타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74) 1-알릴-1-메틸-4-(옥타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75) 4-(데칸-1-설포닐)-1,1-디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76) 1-벤질-4-(데칸-1-설포닐)-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77) 1-알릴-4-(데칸-1-설포닐)-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78) 4-(데칸-1-설포닐)-1-에틸-1-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79) 1-벤질-4-(데칸-1-설포닐)-1-에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0) 1-알릴-4-(데칸-1-설포닐)-1-에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1) 1-벤질-4-(도데칸-1-설포닐)-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2) 1-알릴-4-(도데칸-1-설포닐)-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3) 4-(도데칸-1-설포닐)-1-에틸-1-메틸-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84) 1-벤질-4-(도데칸-1-설포닐)-1-에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5) 1-알릴-4-(도데칸-1-설포닐)-1-에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6) 4-(데칸-1-설포닐)-1-(4-플루오로벤질)-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7) 4-(데칸-1-설포닐)-1-에틸-1-(4-플루오로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8) 4-(도데칸-1-설포닐)-1-(4-플루오로벤질)-1-메틸-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89) 1-에틸-1-(3-니트로벤질)-4-(노닐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90) 4-(도데칸-1-설포닐)-1-메틸-1-(4-메틸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91) 4-(데칸-1-설포닐)-1-에틸-1-(3-니트로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92) 1,1-디에틸-4-(언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93) 1-에틸-1-메틸-4-(언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94) 1,1-디에틸-4-(테트라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95) 1-에틸-1-메틸-4-(테트라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96) 1-(4-플루오로벤질)-1-메틸-4-(옥타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97) 4-(도데칸-1-설포닐)-1-에틸-1-(4-플루오로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98) 4-(도데칸-1-설포닐)-1-에틸-1-(3-니트로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99) 1-에틸-1-메틸-4-(노난-1-설포닐)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100) 1-벤질-1-에틸-4-(노난-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01) 1-알릴-1-에틸-4-(노난-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02) 1,1-디메틸-4-(노난-1-설포닐)피페라진-1-윰 아이오다이드,
    103) 1-벤질-1-메틸-4-(노난-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04) 1-(4-플루오로벤질)-1-메틸-4-(노난-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05) 4-(데칸-1-설포닐)-1-메틸-1-(3-니트로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06) 4-(데칸-1-설포닐)-1-메틸-1-(3-메틸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07) 4-(데칸-1-설포닐)-1-메틸-1-(4-메틸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08) 4-(도데칸-1-설포닐)-1-메틸-1-(3-메틸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09) 4-(데칸-1-설포닐)-1-에틸-1-(4-메틸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10) 4-(데칸-1-설포닐)-1-에틸-1-(3-메틸벤질)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11) 1-벤질-1-에틸-4-(옥탄-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12) 1-알릴-1-메틸-4-(언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13) 1-벤질-1-에틸-4-(테트라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14) 1-(4-t-부틸벤질)-1-에틸-4-(옥타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15) 1-벤질-1-메틸-4-(옥타데칸-1-설포닐)피페라진-1-윰 브로마이드,
    116) 1-에틸-1-메틸-4-팔미토일-1,4-디아제판-1-윰 아이오다이드,
    117) 4-도데카노일-1,1-디메틸-1,4-디아제판-1-윰 아이오다이드,
    118) 1-알릴-4-도데카노일-1-메틸-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19) 4-도데카노일-1-(4-메톡시벤질)-1-메틸-1,4-디아제판-1-윰 클로라이드,
    120) 1-알릴-1-메틸-4-팔미토일-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21) 1-(4-플루오로벤질)-1-메틸-4-팔미토일-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22) 4-헥사데카노일-1,1-디메틸-1,4-디아제판-1-윰 아이오다이드,
    123) 1,1-디메틸-4-테트라데카노일-1,4-디아제판-1-윰 아이오다이드,
    124) 1-벤질-1-메틸-4-테트라데카노일-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25) 1-벤질-1-메틸-4-팔미토일-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26) 4-헥사데실-1-메틸-1-(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27) 1-알릴-1-메틸-4-테트라데카노일-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28) 1-메틸-1-(3-니트로벤질)-4-테트라데카노일-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29) 1,1-디메틸-4-스테아로일-1,4-디아제판-1-윰 아이오다이드,
    130) 1-(4-플루오로벤질)-1-메틸-4-스테아로일-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31) 1-알릴-1-메틸-4-옥타데실-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32) 1-메틸-1-(3-메틸벤질)-4-옥타데실-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33) 1-(4-플루오로벤질)-1-메틸-4-테트라데카노일-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134) 1-(4-플루오로벤질)-1-메틸-4-옥타데실-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 및
    135) 1-메틸-1-(3-니트로벤질)-4-옥타데실-1,4-디아제판-1-윰 브로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 원자를 함유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1) 화학식 2의 유기산 화합물을 유기용매 중에서 티오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킨 후, 알킬피페라진 유도체와 반응시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1)단계에서 제조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할라이드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하기 반응식 1로 표시되는 청구항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09051214927-pat00028
    상기 반응식 1에서,
    R2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R3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2~C30의 알케닐; 알릴; 또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C6의 알콕시, OCF3, 니트로 및 할로겐 원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이며,
    X는 할로겐 원자이고,
    m은 5 내지 29의 정수이다.
  4. 1) 화학식 4의 설폰산 화합물을 유기용매 중에서 옥살릴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킨 후, 알킬피페라진 유도체와 반응시켜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1)단계에서 제조된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할라이드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2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하기 반응식 2로 표시되는 청구항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반응식 2>
    Figure 112009051214927-pat00029
    상기 반응식 2에서,
    R2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R3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2~C30의 알케닐; 알릴; 또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C6의 알콕시, OCF3, 니트로 및 할로겐 원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이며,
    X는 할로겐 원자이고,
    m은 5 내지 29의 정수이다.
  5. 1) 화학식 2의 유기산 화합물을 유기용매 중에서 알킬디아제판 유도체와 반응시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1)단계에서 제조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할라이드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3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하기 반응식 3으로 표시되는 청구항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반응식 3>
    Figure 112009051214927-pat00030
    상기 반응식 3에서,
    R2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R3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2~C30의 알케닐; 알릴; 또는 C1~C6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C6의 알콕시, OCF3, 니트로 및 할로겐 원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질이며,
    X는 할로겐 원자이고,
    m은 5 내지 29의 정수이다.
  6. 청구항 1의 질소 원자를 함유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결장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 암, 피부 또는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위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유방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 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 종양, 1차 중추신경계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 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암은 전립선암, 유방암, 신장암 또는 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070080935A 2006-08-10 2007-08-10 신규한 질소 원자를 함유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또는 이의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927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5827 2006-08-10
KR1020060075827 2006-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711A KR20080014711A (ko) 2008-02-14
KR100927035B1 true KR100927035B1 (ko) 2009-11-17

Family

ID=3903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935A KR100927035B1 (ko) 2006-08-10 2007-08-10 신규한 질소 원자를 함유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또는 이의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144708A1 (ko)
EP (1) EP2054398A4 (ko)
JP (1) JP2010500341A (ko)
KR (1) KR100927035B1 (ko)
CN (1) CN101511806A (ko)
CA (1) CA2661131A1 (ko)
WO (1) WO200801877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0209A (en) * 1954-09-02 1959-03-31 Harfenist Morton Piperazine quaternary salts having parasitical activity and method of making
US6037367A (en) * 1995-07-14 2000-03-14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Substituted-pent-4-ynoic acid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1583A (en) * 1954-09-02 1958-07-01 Monsanto Chemicals 5-acyl-2-thiazolesulfenamides
US3869483A (en) * 1972-06-23 1975-03-04 Us Agriculture Quaternary ammonium salts of n-substituted palmitamides
JPS5949535A (ja) * 1982-09-14 1984-03-22 Mitsubishi Paper Mills Ltd 直接ポジ用ハロゲン化銀錯塩拡散転写材料
US4656277A (en) * 1984-06-15 1987-04-07 Nalco Chemical Company Water-soluble cationic quaternary ammonium monomers
US5073544A (en) * 1986-08-15 1991-12-17 Whitby, Inc. Transdermal compositions of 1-oxohydrocarbyl-substituted azacyclohexanes
GB9819860D0 (en) * 1998-09-12 1998-11-04 Zeneca Ltd Chemical compoun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0209A (en) * 1954-09-02 1959-03-31 Harfenist Morton Piperazine quaternary salts having parasitical activity and method of making
US6037367A (en) * 1995-07-14 2000-03-14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Substituted-pent-4-ynoic ac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61131A1 (en) 2008-02-14
EP2054398A1 (en) 2009-05-06
WO2008018778A1 (en) 2008-02-14
US20100144708A1 (en) 2010-06-10
CN101511806A (zh) 2009-08-19
JP2010500341A (ja) 2010-01-07
KR20080014711A (ko) 2008-02-14
EP2054398A4 (en)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4172B2 (ja) カルバゾール化合物および当該化合物の治療用途
JP6866967B2 (ja) サイクリン依存性キナーゼcdk9の新規阻害剤
CN113717156B (zh) Egfr抑制剂、其制备方法及用途
Driowya et al. Synthesis of triazoloquinazolinone based compounds as tubulin polymerization inhibitors and vascular disrupting agents
Wang et al. Design of wogonin-inspired selective cyclin-dependent kinase 9 (CDK9) inhibitors with potent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 activity
CN104557913B (zh) 吡啶并嘧啶类化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792743B1 (ko) 신규한 노카벤즈옥사졸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Sun et al. Design, synthesis, and evaluations of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and aqueous solubility of novel carbazole sulfonamide derivatives as antitumor agents
JP2004513126A (ja) 窒素性複素環式化合物、ならびに窒素性複素環式化合物およびその中間体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KR20090082155A (ko) 신규한 디아민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2005961A1 (en) Prpk inhibitors
KR100927035B1 (ko) 신규한 질소 원자를 함유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또는 이의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230391753A1 (en) Thiobenzimidazole derivativ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use thereof
KR100962581B1 (ko) 물에 대한 용해도가 개선된 신규 신남알데하이드 유도체,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KR101690665B1 (ko) 신규한 2-하이드록시 커큐미노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KR100596360B1 (ko) 항암 활성을 갖는 신규 2-옥소-피페리딘 유도체(ⅰ)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질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CN110615766A (zh) 双取代的α、β不饱和酮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392468B1 (ko)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의 저해제로서 유용한3-히드록시크로멘-4-온 유도체
KR101643306B1 (ko) 신규한 퀸옥살린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100983318B1 (ko) 메조-비스(오쏘-하이드록시페닐)비스(오쏘-하이드록시)살렌의 항암제로서의 용도
KR100594404B1 (ko) 항암 활성을 갖는 신규 2-옥소-아제핀 유도체 화합물 및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질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KR20160042811A (ko) 2-치환 이미다조[4,5-d]페난쓰롤린 유도체 및 암 치료에 있어서의 이의 용도
KR100562081B1 (ko) 항암 활성을 갖는 신규 2-옥소-피롤 유도체(ⅰ)화합물을포함하는 암질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CN115916759A (zh) 取代喹唑啉类化合物、其制备方法、药物组合及应用
KR101357395B1 (ko) 신규한 테트라졸로 하이드라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