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862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26862B1 KR100926862B1 KR1020077011406A KR20077011406A KR100926862B1 KR 100926862 B1 KR100926862 B1 KR 100926862B1 KR 1020077011406 A KR1020077011406 A KR 1020077011406A KR 20077011406 A KR20077011406 A KR 20077011406A KR 100926862 B1 KR100926862 B1 KR 1009268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rope
- friction coefficient
- iron
- sheave
- c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 B66B15/04—Friction sheaves; "Koepe" pulley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가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는, 메인 로프가 감긴 구동 쉬브를 가지고 있다. 메인 로프의 표면은,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메인 로프는, 메인 로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 쉬브에도 감겨 있다. 종동 쉬브의 외주부에는, 메인 로프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의 내면과 메인 로프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는,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메인 로프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린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트랙션(traction)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상기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메인 로프의 거는 방법이 2:1 로핑 방식으로 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가 설치되고, 균형추에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 내의 바닥부에는, 구동 쉬브(sheave)를 가지는 권상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 및 균형추 측 리턴 풀리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 로프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승강로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 로프는, 일단부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 구동 쉬브, 균형추 측 리턴 풀리 및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의 순서로 감겨, 타단부에 이르러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특개2004-269074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시에,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메인 로프로 매달기 위해서, 각 쉬브 사이에서 메인 로프를 끌고 다니면서, 메인 로프를 각 쉬브에 감는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 때, 메인 로프가 무심코 떨어져 버린 경우, 메인 로프의 무게로 쉬브가 회전하여, 메인 로프가 고속으로 낙하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회전 저지 도구를 각 쉬브에 장착하여 각 쉬브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나서, 메인 로프를 각 쉬브에 감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동 쉬브,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 및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 등의 쉬브나 메인 로프에는, 철제(鐵製)인 것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철제의 구동 쉬브와의 마찰 계수를 높여, 쉬브의 트랙션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표면이 수지로 형성된 메인 로프가 제안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메인 로프를 상기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한 경우, 각 쉬브와 메인 로프와의 마찰력이 크고, 쉬브의 수도 많기 때문에, 각 쉬브에 회전 저지 도구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메인 로프를 당기는 데에 노력을 필요로 하여, 메인 로프를 감는 작업이 번거로워져 버린다.
또,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메인 로프로 매단 후에도, 각 쉬브와 메인 로프와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메인 로프의 전장(全長)의 장력이 균일하게 되기까지 시간이 걸리고, 예를 들면 승강로의 바닥부에 설치된 완충기와 균형추의 하부와의 사이의 클리어런스(clearance)의 조정 등에도 시간이 걸려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메인 로프의 표면이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복수의 쉬브에 메인 로프를 감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메인 로프의 전장에 걸쳐 장력의 균일화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표면이 수지로 형성되고,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로 내에 매다는 메인 로프, 메인 로프가 감긴 구동 쉬브를 가지며,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 및 메인 로프가 감겨 지며, 메인 로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 쉬브를 구비하고, 종동 쉬브의 외주부에는, 메인 로프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며, 홈부의 내면과 메인 로프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는,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게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의 외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의 외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의 외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복수 개의 메인 로프(4)에 의해 매달려 있다. 승강로(1) 내의 바닥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권상기(구동 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5)는, 모터를 포함한 권상기 본체(6)와, 권상기 본체(6)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7)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8)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3)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9)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 및 균형추 측 리턴 풀리(11)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저지 장치(12) 및 균형추 측 로프 저지 장치(13)가 설치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4)의 일단부(4a)는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저지 장치(12)에 접속되고, 메인 로프(4)의 타단부(4b)는 균형추 측 로프 저지 장치(13)에 접속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4)는, 일단부(4a)로부터, 각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8),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 구동 쉬브(7), 균형추 측 리턴 풀리(11) 및 균형 추 서스펜딩 풀리(9)의 순서로 감겨, 타단부(4b)에 이르러 있다.
각 메인 로프(4)는, 구동 쉬브(7)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다. 각 메인 로프(4)가 이동되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8),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9),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 및 균형추 측 리턴 풀리(11)가 회전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8),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9),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 및 균형추 측 리턴 풀리(11)는, 각 메인 로프(4)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 쉬브로 이루어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각 메인 로프(4)의 이동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각 메인 로프(4)는, 각 쉬브(7 ~ 11)와의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지제(樹脂製)의 피복재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즉, 각 메인 로프(4)의 표면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피복재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 고무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피복재의 재료를 우레탄 고무로 한 경우, 철로 형성된 쉬브와 메인 로프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는, 대체로 0.4 이상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고정축(14)에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와 고정축(14)과의 사이에는, 베어링(15)이 개재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는, 고정축(14)을 중심으로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의 외주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홈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로프(4)는, 각 홈부(16)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의 외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각 홈부(16) 내에는, 홈부(16)의 내면을 형성하는 라이닝(lining)(17)이 설치되어 있다. 라이닝(17)에는, 메인 로프(4)가 접촉하고 있다. 라이닝(17)과 메인 로프(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는,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게 되어 있다. 즉, 라이닝(17)의 재료는, 메인 로프(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가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은 재료로 되어 있다. 라이닝(17)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불소계 수지(테플론(Teflonⓡ)(등록상표))이나 고체 윤활제를 확산시킨 도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인 로프(4)와 라이닝(17)과의 사이의 마찰 계수가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은 경우에, 메인 로프(4)를 감는 작업에 지장이 없는 것은, 실험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라이닝(17)과 메인 로프(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는,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은 값인 대략 0.2 정도보다 낮게 되어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8),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9) 및 균형추 측 리턴 풀리(11)의 구성은,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의 구성과 같다.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는, 각 메인 로프(4)가 삽입되는 복수의 홈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 쉬브(7)의 각 홈부의 내면은, 철로 형성되어 있다. 즉, 종동 쉬브(8 ~ 11)에 형성된 홈부(16)의 내면과 메인 로프(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는, 구동 쉬브에 형성된 홈부의 내면과 메인 로프(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게 되어 있다.
다음에, 각 메인 로프(4)를 구동 쉬브(7) 및 종동 쉬브(8 ~ 11)에 감을 때의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떨어지지 않도록, 예를 들면 체인에 의한 매닮 등을 행하여,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로(1) 내에 고정한다. 또, 메인 로프(4)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각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8),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9),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 및 균형추 측 리턴 풀리(11)의 각각에 회전 저지 도구를 장착한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저지 장치(12)에 각 메인 로프(4)의 일단부(4a)를 접속한다. 이 후, 각 메인 로프(4)를 당기면서, 각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8),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 구동 쉬브(7), 균형추 측 리턴 풀리(11) 및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9)의 순서로 감아, 각 메인 로프(4)의 타단부(4b)를 균형추 측 로프 저지 장치(13)에 접속한다.
이 후, 각 메인 로프(4)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 측 로프 저지 장치(12) 및 균형추 로프 저지 장치(13)를 조작하여, 각 메인 로프(4)의 일단부(4a) 및 타단부(4b)의 상하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한다. 이 때, 공통의 메인 로프(4)에 있어서 장력의 크기에 편향이 생기면, 장력의 크기의 편향이 작은 단계에서, 메인 로프(4) 전장의 장력의 크기가 균일하게 되는 방향(장력의 편향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메인 로프(4)가 종동 쉬브(8 ~ 11)에 대해서 미끄러진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의 고정을 제외하고, 종동 쉬브(8 ~ 11)에 장착된 회전 저지 도구를 떼어낸다. 이와 같이 하여, 각 메인 로프(4)를 구 동 쉬브(7) 및 종동 쉬브(8 ~ 11)에 감는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종동 쉬브(8 ~ 11)의 외주부에 형성된 각 홈부(16)의 내면과 메인 로프(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가,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게 되어 있으므로, 메인 로프(4)의 표면이 미끄러지기 어려운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종동 쉬브(8 ~ 11)에 대해서 메인 로프(4)를 미끄러지기 쉽게 할 수 있어, 메인 로프(4)를 구동 쉬브(7) 및 종동 쉬브 (8 ~ 11)에 감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메인 로프(4)가 종동 쉬브(8 ~ 11)에 감김으로써, 공통의 메인 로프(4) 내에서 장력의 크기에 편향이 생긴 경우에 있어서도, 장력의 크기의 편향이 작은 단계에서, 메인 로프(4)를 종동 쉬브 (8 ~ 11)에 대하여 미끄러지게 할 수 있어, 각 메인 로프(4)의 전장에 걸쳐 장력의 균일화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 각 홈부(16) 내에는, 홈부(16)의 내면을 형성하는 라이닝(17)이 설치되고 있고, 라이닝(17)의 재료가 예를 들면 불소계 수지 등으로 되어 있으므로, 메인 로프(4)의 표면이 미끄러지기 어려운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기존의 종동 쉬브의 홈부에 라이닝을 설치하는(코팅하는) 것만으로, 종동 쉬브에 대해서 메인 로프(4)를 미끄러지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종동 쉬브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종동 쉬브(8 ~ 11)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각 홈부(16) 내에 라이닝(17)을 설치하여 메인 로프(4)와 홈부(16)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를 줄이고 있지만, 종동 쉬브(8 ~ 11)의 외 주부 자체의 재료를, 메인 로프(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가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은 재료로 하는 것에 의해, 홈부의 내면과 메인 로프(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를 줄이도록 하여도 좋다.
즉,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의 외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는, 쉬브 본체(21)와, 쉬브 본체(21)를 둘러싸도록 쉬브 본체(21)에 설치된 쉬브 외주부(22)를 가지고 있다. 쉬브 본체(21)의 재료는, 철로 되어 있다. 또, 쉬브 외주부(22)의 재료는, 메인 로프(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가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은 재료로 되어 있다. 쉬브 외주부(22)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쉬브 외주부(22)에는, 메인 로프(4)가 삽입되는 복수의 홈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4)는, 홈부(23)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다. 각 홈부(23)의 내면은, 쉬브 외주부(22)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즉, 홈부(23)의 내면과 메인 로프(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는,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홈부(23)와 메인 로프(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는, 0.2보다 낮게 되어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8),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9) 및 균형추 측 리턴 풀리(11)(도 1)의 구성은,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도 4)의 구성과 같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종동 쉬브(8 ~ 11)의 쉬브 외주부(22)의 재료가 예를 들면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등으로 되어 있으므로, 쉬브 외주부(22)에 형성된 홈부(23)의 내면과 메인 로프(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를,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종동 쉬브(8 ~ 11)에 대해서 메인 로프(4)를 미끄러지기 쉽게 할 수 있어, 메인 로프(4)를 구동 쉬브(7) 및 종동 쉬브(8 ~ 11)에 감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각 메인 로프(4)의 전장에 걸친 장력의 균일화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로프(4)와 홈부(23)와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홈부(23)가 마모해도, 메인 로프(4)와 홈부(23)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를 낮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어떠한 원인에 의해 홈부 내에 라이닝을 코팅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종동 쉬브(8 ~ 11)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또, 실시 형태 2에서는, 종동 쉬브(8 ~ 11)의 외주부의 재료만, 메인 로프(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가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은 재료로 되어 있지만, 종동 쉬브(8 ~ 11) 자체의 재료를, 메인 로프(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가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은 재료로 하여도 좋다.
즉,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의 외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의 재료는, 실시 형태 2의 쉬브 외주부(22)의 재료와 같은 재료로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의 외주부에는, 메인 로프(4)가 삽입되는 복수의 홈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4)는, 홈부(31)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다. 각 홈부(31)의 내면은,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즉, 홈부(31)의 내면과 메인 로프(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는,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홈부(31)와 메인 로프(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는, 0.2보다 낮게 되어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8),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9) 및 균형추 측 리턴 풀리(11)(도 1)의 구성은,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10)(도(5))의 구성과 같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이, 종동 쉬브(8 ~ 11) 자체의 재료를, 메인 로프(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가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은 재료로 하여도,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메인 로프(4)를 구동 쉬브(7) 및 종동 쉬브 (8 ~ 11)에 감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각 메인 로프(4)의 전장에 걸친 장력의 균일화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로프(4)와 홈부(31)와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홈부(31)가 마모하여도, 메인 로프(4)와 홈부(31)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를 낮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각 종동 쉬브(8 ~ 11)를 일체 성형에 의해 제작할 수 있어, 종동 쉬브(8 ~ 11)를 더욱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 로프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린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트랙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5)
- 승강로 내를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표면이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상기 승강로 내에 매다는 메인 로프,상기 메인 로프가 감긴 구동 쉬브를 가지고, 상기 구동 쉬브의 외주부에는 상기 메인 로프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 및상기 메인 로프가 감겨 지며, 상기 메인 로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 쉬브를 구비하고,상기 종동 쉬브의 외주부에는, 상기 메인 로프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며,상기 종동 쉬브의 외주부에 형성된 홈부의 내면과 상기 메인 로프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는, 상기 구동 쉬브의 외주부에 형성된 홈부의 내면과 메인 로프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종동 쉬브의 외주부에 형성된 홈부 내에는, 상기 홈부의 내면을 형성하는 라이닝이 설치되어 있고,상기 라이닝의 재료는, 상기 메인 로프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가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은 재료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종동 쉬브의 상기 외주부의 재료는, 상기 메인 로프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가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은 재료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종동 쉬브의 재료는, 상기 메인 로프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가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은 재료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상기 메인 로프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가 철과 철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은 상기 재료는,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7011406A KR100926862B1 (ko) | 2005-07-13 | 2005-07-13 | 엘리베이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7011406A KR100926862B1 (ko) | 2005-07-13 | 2005-07-13 | 엘리베이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4384A KR20070084384A (ko) | 2007-08-24 |
KR100926862B1 true KR100926862B1 (ko) | 2009-11-13 |
Family
ID=3861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11406A KR100926862B1 (ko) | 2005-07-13 | 2005-07-13 | 엘리베이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26862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21176A (ja) | 2002-01-09 | 2003-08-05 | Kone Corp | エレベータ |
JP2005008415A (ja) * | 2003-06-19 | 2005-01-13 | Inventio Ag | 可動式牽引手段による負荷輸送用の昇降機 |
-
2005
- 2005-07-13 KR KR1020077011406A patent/KR10092686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21176A (ja) | 2002-01-09 | 2003-08-05 | Kone Corp | エレベータ |
JP2005008415A (ja) * | 2003-06-19 | 2005-01-13 | Inventio Ag | 可動式牽引手段による負荷輸送用の昇降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4384A (ko) | 2007-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0012146A (ko) |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 | |
KR101016822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WO2007007400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0975689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CN110191855B (zh) | 电梯的安装方法 | |
KR100926862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WO2023223554A1 (ja) |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 |
KR101238084B1 (ko) | 엘리베이터장치 | |
JP4491110B2 (ja) | エレベータのロープ掛け工法 | |
WO2006040813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WO2005056456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WO2006095390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6602923B1 (ja) | エレベータの重量物運搬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 |
KR100792092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WO2006043317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7144905B1 (ja) | 揚程延長式工事用エレベーター | |
CN116588822B (zh) | 吊装装置 | |
JP7054069B1 (ja) | エレベータ用シーブ及びエレベータ | |
CN215516473U (zh) | 一种钢带单点吊机 | |
JP2017210829A (ja) |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 |
JPH0920480A (ja) | ロープ式エレベーターを利用した重量物運搬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重量物運搬装置 | |
JP6743762B2 (ja) | 吊り上げ装置用のシーブ設計方法 | |
KR100872928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H07252052A (ja) | エレベーターの主ロープ取替方法 | |
KR200251266Y1 (ko) |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