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656B1 -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 - Google Patents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656B1
KR100926656B1 KR1020070123377A KR20070123377A KR100926656B1 KR 100926656 B1 KR100926656 B1 KR 100926656B1 KR 1020070123377 A KR1020070123377 A KR 1020070123377A KR 20070123377 A KR20070123377 A KR 20070123377A KR 100926656 B1 KR100926656 B1 KR 100926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drive shaft
folding
operations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6292A (ko
Inventor
정웅선
Original Assignee
정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웅선 filed Critical 정웅선
Priority to KR102007012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656B1/ko
Publication of KR20090056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군부대의 위병소에서 차량 등의 원천 저지 및 통제를 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 자형 연결간을 갖는 견고한 차량 저지 바가 지주 쪽의 상 방향으로 접철되어 개방되는 신규한 개폐 방식의 접철식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는, 한쌍의 상호 평행하는 주작동간과, 적어도 하나의 한쌍의 상호 평행하는 보조 작동간과, 상기 한쌍의 주작동간과 한쌍의 보조 작동간을 피벗 핀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다수의 "∩" 자형 연결간으로 이루어지는 접철식 격자형 도어와; 상기 한쌍의 보조 작동간의 각 일단부가 피벗 축을 경유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한쌍의 주작동간 중 어느 하나의 주작동간의 일단부가 구동 축을 경유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부 수납 지주로 구성되며;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하는 상기 구동축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는 상기 주작동간의 일단부가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의 상방으로 피벗 운동함에 따라 상기한 접철식 격자형 도어가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측, 상향, 접철, 연결간, 구동축, 구동 모터

Description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ONE SIDE UPWARDLY FOLDABLE OUTDOOR STRUCTURES}
본 발명은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군부대의 위병소에서 차량 등의 원천 저지 및 통제를 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 자형 연결간을 갖는 견고한 차량 저지 바가 지주 쪽의 상 방향으로 접철되어 개방되는 신규한 개폐 방식의 접철식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원주택용이나 전원 공장용, 도시의 일반 가정용, 또는 공공 건축물이나 대형 건축물의 대문 구조에 있어서, 공간 이용 효율성이 우수하도록 일측 상향으로 접철되는 대문 구조체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일측 상향 접철식 대문 구조체는, 주작동간과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작동간 및, 주작동간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작동간을 피벗 핀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간과, 선택적으로 상기한 피벗 핀에 연결되는 광고 또는 안내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철식 격자형 대문(도어)과; 주작동간과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작동간의 일단부가 피벗 축을 경유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주작동간의 일단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가 장착되는 작동부 수납 지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일측 상향 접철식 대문 구조체의 자세한 구조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 등록실용실안 공보 제 20-0352384 호(등록일: 2004년 5월 25일)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음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측 상향 접철식 대문 구조체에서는 구동 장치로서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피스톤 로드 등이 작동부 수납 지주 자체에 설치됨으로써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연결간이 단순히 격자형상의 바 형태로 되어 있어 견고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군부대의 위병소나 검문소의 경우 차량 등의 원천 저지 및 통제를 위한 차량 통과 저지용 삼각 철제 바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삼각 철제 바는 이동형임으로, 사용자가 필요할 때만다 일일이 중량감 있는 삼각 철제 바를 수작업으로 직접 이송해야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군부대의 위병소에 설치되는 차량의 원천 저지 및 통제를 위한 저지바를 일측 접철식으로 적용한 예는 전혀 개시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시공을 하지 않고도 지주 쪽의 상 방향으로 매우 견고한 도어가 자동으로 접철되어 자동 개폐됨으로써 사용 편리성이 증대되면서도 군부대의 위병소에서 차량을 원천 저지 및 통제할 수 있는 도어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간 이용 효율성이 우수하고 외관이 미려한 도어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는, 한쌍의 상호 평행하는 주작동간과, 적어도 하나의 한쌍의 상호 평행하는 보조 작동간과, 상기 한쌍의 주작동간과 한쌍의 보조 작동간을 피벗 핀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다수의 "∩" 자형 연결간으로 이루어지는 접철식 격자형 도어와; 상기 한쌍의 보조 작동간의 각 일단부가 피벗 축을 경유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한쌍의 주작동간 중 어느 하나의 주작동간의 일단부가 구동 축을 경유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부 수납 지주로 구성되며;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하는 상기 구동축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는 상기 주작동간의 일단부가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의 상방으로 피벗 운동함에 따라 상기한 접철식 격자형 도어가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주작동간의 일단부는 피벗 축을 경유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 자형 연결간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으로 상기 피벗 핀을 게재하여 상기 한쌍의 평행하는 주작동간과 한쌍의 평행하는 보조 작동간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모터와, 상기 구 동 모터의 기어에 맞물려 그 회전비를 감속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기어와 맞물려 구동력이 전달되어 일단이 상기 한쌍의 주작동간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주작동간의 일단부와 키(key) 결합되는 상기 구동 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축의 타단에는 그 외주연에 릴이 형성된 구동 플라이 휠이 상기 구동 축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풀라이 휠의 상기 릴을 따라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되며,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고정 스프링에 연결되어 플라이 휠이 탄성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속기에는 체인을 통해 연결되는 리미터 스위치가 설치되어 상기 접철식 격자형 도어의 완전 개방 및 완전 닫힘을 전자적으로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 장치에는 상기 구동 축에 맞물리는 수동 기어가 연결되는 수동 핸들이 설치되어 수동으로 상기 구동 축을 구동하여 상기 접철식 격자형 도어를 개폐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 자형 연결간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단에는 지지각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는 복잡한 시공을 하지 않고도 복수개의 "∩" 자형 연결간을 갖는 견고한 차량 저지바가 지주 쪽의 상 방향으로 자동으로 접철되어 자동 개폐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 증대되면서도 군부대의 위병소에서 차량을 원천 저지 및 통제할 수 있고, 공간 이용 효율성 이 우수하며, 접철식 격자형 도어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관계로 철재 소요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제작 경제성이 양호하고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는 신규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의 "∩" 자형 연결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의 주작동간 및 보조 작동간과 작동부 수납지주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군부대의 위병소 등에서 차량 등의 원천 저지 및 통제를 위한 차량 통과 저지 바(접철식 도어 형태)의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전원 주택과 같은 가정용 주택이나 공장의 도어나, 주행차량을 저지 및 통제하기 위한 고속도로 톨게이트 등에 설치되는 차량 주행 저지 바(접철식 도어 형태) 등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1)는, 한쌍의 상호 평행하는 주작동간(11-1)(11-2)과, 한쌍의 상호 평행하는 보조 작동 간(12-1)(12-2)과, 상기 한쌍의 주작동간(11-1)(11-2)과 한쌍의 보조 작동간(12-1)(12-2)을 피벗 핀(14-1)(14-2)(15-1)(15-2)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다수의 "∩" 자형 연결간(13)으로 이루어지는 접철식 격자형 도어(10)와; 상기 한쌍의 보조 작동간(12-1)(12-2)의 각 일단부(12b-1)(12b-2)가 피벗 축(17-1)(17-2)을 경유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한쌍의 주작동간(11-1)(11-2) 중 어느 하나의 주작동간(11-1)의 일단부(11b-1)가 구동 축(31)을 경유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장치(30)(도 2a 참조)가 수납되는 작동부 수납 지주(20)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한쌍의 평행하는 보조 작동간(12-1)(12-2)이 하나 뿐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한 보조 작동간(12-1)(12-2)이 두 개 이상인 경우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한쌍의 주작동간(11-1)(11-2) 중 어느 하나의 주작동간(11-1)의 일단부(11b-1)가 작동부 수납 지주(20)내에 수납된 구동 장치(30)와 키(key) 결합되어 피벗 운동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31)에 연결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주작동간(11-2)의 일단부는 피벗 축(31-1)을 경유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20)에 고정되어 진다. 이러한 구동 장치(3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2a 내지 도 2c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다수의 "∩" 자형 연결간(13)은 파이프 형태이며, 그 재질로는 강성을 갖는 스틸 또는 스테인레스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강성을 갖는 것이라 면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 자형 연결간(13)의 가로폭은 대략 20cm 정도가 바람직하나, 그 이상 또는 이하도 가능하며 그 가로폭의 크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파이프 형태의 각 "∩" 자형 연결간(13)의 양 하단에는 지지각(50)이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1)가 완전히 닫힌 경우(도 1a), 바닥의 콘크리트에 타설된 홈들(도면 번호 미부여)에 완전 삽입되어, 강성을 갖는 다수의 "∩" 자형 연결간(13)과 함께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 차량 등이 부딪히더라고 쉽게 파손되지 않아 미확인된 외부 차량 등의 무단 통과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다수개가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된 "∩" 자형 연결간(13)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에 상하로 다수개의 피벗 핀(14-1)(14-2)(15-1)(15-2)을 게재하여 한쌍의 평행하는 주작동간(11-1)(11-2)과 한쌍의 평행하는 보조 작동간(12-1)(12-2)이 연결되어 피봇 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한쌍의 평행하는 주작동간(11-1)(11-2)과 한쌍의 평행하는 보조 작동간(12-1)(12-2)을 연결하는 피벗 핀(14-1)(14-2)(15-1)(15-2)에 의하여 상기한 한쌍의 보조 작동간(12-1)(12-2)은 주작동간(11-1)(11-2)에 대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한 한쌍의 주작동간(11-1)(11-2)중 구동축(30)에 연결된 주작동간(11-1)이 피벗 운동에 의하여 지주 쪽의 상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는 경우,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한쌍의 평행하는 주작동간(11-1)(11-2)과 한쌍의 평행하는 보조 작동간(12-1)(12-2)을 연결하는 "∩" 자형 연결간(13)은 나란히 접 철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어서, 작동부 수납 지주(20)에 대하여 언급하면, 대략 직사각 박스 형태의 작동부 수납 지주(20)는 접철식 격자형 도어(10)의 일단부, 즉, 상기 한쌍의 보조 작동간(12-1)(12-2)의 각 일단부(12b-1)(12b-2) 및 한쌍의 주작동간(11-1)(11-2)의 일단부(11b-1)(11b-2)가 길이 형태로 형성된 직사각 장홈(21)내에 삽입되어 각각 피벗 축(17-1)(17-2)과, 구동축(31) 및 다른 피벗 축(31-1)에 의해 힌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작동부 수납 지주(20)의 상호 대향된 반대쪽에는 구동수단(30)은 수납되지 않고, 접철식 격자형 도어(10)의 타단부, 즉, 상기 한쌍의 보조 작동간(12-1)(12-2)의 각 타단부(12a-1) 및 한쌍의 주작동간(11-1)(11-2)의 타단부(11a-1)가 길이 형태로 형성된 직사각 장홈(21)내에 구동축(30)에 연결된 주작동간(11-1)이 피벗 운동에 의하여 작동부 수납 지주(20)쪽의 상 방향으로 접철되어 들어올리질 수 있도록 단순히 삽입되도록 다른 지주(20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와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결합 상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30)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모터(32)와, 상기 구동 모터(32)의 기어(미도시)에 맞물려 그 회전비를 감속하는 감속기(33)와, 상기 감속기(33)의 기어(미도시)와 맞물려 구동력이 전달되어 일단이 상기 한쌍의 주작동간(11-1)(11-2) 중 하나의 주작동간(11-1)의 일단부(11b-1)와 키(key) 결합되는 상기 구동 축(3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감속기는 웜 감속기, 유성치차 감속기 또는 베벨 감속기 등일 수 있으나,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구동 축(31)의 타단에는 그 외주연에 릴(34-1)이 형성된 구동 플라이 휠(34)이 구동 축(31)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풀라이 휠(34)의 릴을 따라 와이어(34-2)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되어 있으며, 와이어(34-2)의 타단은 고정 스프링(탄성 수단)(35)에 연결되어 플라이 휠(34)이 탄성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라이 휠(34)이 고정 스프링(35)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이에 연결된 구동 축(31)도 탄성적으로 유연성 있게 회전함으로써, 구동 축(31)을 통해 접철식 격자형 도어(10)가 급격히 접철되어 개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감속기(33)는 체인(도면 번호 미부여)을 통해 연결되는 리미터 스위치(36)가 설치되어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구동 장치(30)의 구동 축(31)의 회전 한계를 제어함으로써, 접철식 격자형 도어(10)의 완전 개방 및 완전 닫힘을 전자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리미터 스위치는 널리 알려진 기술임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한 구동 장치(30)에는 상기 구동 축(31)에 맞물리는 수동 기어(37-1)가 연결되는 수동 핸들(37)을 형성하여 제어부(40)에 의한 자동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수동으로 구동 축(31)을 구동하여 접철식 격자형 도어(10)를 개폐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1b와 같이 상기한 본 발명의 도어 구조체(1)를 리모컨 원격 조작(제어부(40)) 또는 수동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개방시키게 되는데, 구동장치(30)의 구동 축(3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한쌍의 주작동간(11-1)(11-2) 중 하나의 주작동간(11-1)은 구동 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종 방향으로 기립하게 된다. 이때, 다른 주작동간(11-2) 및 한쌍의 보조 작동간(12-1)(12-2)도 각각 피벗 축(31-1)(17-1)(17-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종 방향으로 기립하게 된다. 따라서, 한쌍의 주작동간(11-1)(11-2)과 한쌍의 보조 작동간(12-1)(12-2)은 상호 평행하게 유지됨과 아울러, 다수의 파이프 형태의 "∩" 자형 연결간(13)은 상호 접촉된 상태로 접철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요지 및 스코프를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의 "∩" 자형 연결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의 주작동간 및 보조 작동간과 작동부 수납지주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와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결합 상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
10: 접철식 격자형 도어
11-1, 11-2: 한쌍의 상호 평행하는 주작동간(主作動杆)
12-1, 12-2: 한쌍의 상호 평행하는 보조 작동간(作動杆)
13: 다수의 "∩" 자형 연결간(連結杆)
14-1, 14-2, 15-1, 15-2 : 피벗 핀(pivot pin)
17-1, 17-2: 피벗 축 20: 작동부 수납 지주(支柱)
20a: 지주 21: 직사각 장홈
30: 구동 장치 31: 구동 축
32: 구동 모터 33: 감속기
34: 구동 플라이 휠 35: 고정 스프링
36: 리미터 스위치 37: 수동 핸들
40: 제어부 50: 지지각

Claims (8)

  1. 한쌍의 상호 평행하는 주작동간과, 적어도 하나의 한쌍의 상호 평행하는 보조 작동간과, 상기 한쌍의 주작동간과 한쌍의 보조 작동간을 피벗 핀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다수의 "∩" 자형 연결간으로 이루어지는 접철식 격자형 도어와,
    상기 한쌍의 보조 작동간의 각 일단부가 피벗 축을 경유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한쌍의 주작동간 중 어느 하나의 주작동간의 일단부가 구동 축을 경유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부 수납 지주와,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기어에 맞물려 그 회전비를 감속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기어와 맞물려 구동력이 전달되어 일단이 상기 한쌍의 주작동간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주작동간의 일단부와 키(key) 결합되는 상기 구동축으로 이루어지는 구동 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하는 상기 구동축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는 상기 주작동간의 일단부가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의 상방으로 피벗 운동함에 따라 상기한 접철식 격자형 도어가 접철되며, 상기 다수의 "∩" 자형 연결간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으로 상기 피벗 핀을 게재하여 상기 한쌍의 평행하는 주작동간과 한쌍의 평행하는 보조 작동간이 연결되며, 상기 구동 축의 타단에는 그 외주연에 릴이 형성된 구동 플라이 휠이 구동 축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풀라이 휠의 릴을 따라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고정 스프링에 연결되어 플라이 휠이 탄성적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감속기는 체인을 통해 연결되는 리미터 스위치가 설치되어 상기 접철식 격자형 도어의 완전 개방 및 완전 닫힘을 전자적으로 조절하며, 상기 구동 장치에는 상기 구동 축에 맞물리는 수동 기어가 연결되는 수동 핸들이 설치되어 수동으로 상기 구동 축을 구동하여 상기 접철식 격자형 도어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주작동간의 일단부는 피벗 축을 경유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 자형 연결간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단에는 지지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
KR1020070123377A 2007-11-30 2007-11-30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 KR100926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377A KR100926656B1 (ko) 2007-11-30 2007-11-30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377A KR100926656B1 (ko) 2007-11-30 2007-11-30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292A KR20090056292A (ko) 2009-06-03
KR100926656B1 true KR100926656B1 (ko) 2009-11-17

Family

ID=4098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377A KR100926656B1 (ko) 2007-11-30 2007-11-30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6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846B1 (ko) * 2011-08-04 2011-12-21 이경재 휀스형 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1560A (zh) * 2016-08-30 2017-01-25 广东金大田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旋转门的电动伸缩门
CN110130237B (zh) * 2019-06-14 2023-06-30 安徽理工大学 一种社区用静音减损耐用的车速限制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665530B1 (ko) * 2021-04-20 2024-05-10 송호정 접철이 가능한 사다리식 대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789A (ja) * 2001-04-27 2002-11-08 Ig Tech Res Inc 壁材の取付構造
KR200315694Y1 (ko) * 2003-03-21 2003-06-09 정웅선 상방향 접기식 대문
KR200346767Y1 (ko) * 2004-01-19 2004-04-08 (주)정선기공 개폐장치를 구비한 정문
KR100475689B1 (ko) * 2002-10-10 2005-03-10 박복식 주차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789A (ja) * 2001-04-27 2002-11-08 Ig Tech Res Inc 壁材の取付構造
KR100475689B1 (ko) * 2002-10-10 2005-03-10 박복식 주차관리장치
KR200315694Y1 (ko) * 2003-03-21 2003-06-09 정웅선 상방향 접기식 대문
KR200346767Y1 (ko) * 2004-01-19 2004-04-08 (주)정선기공 개폐장치를 구비한 정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846B1 (ko) * 2011-08-04 2011-12-21 이경재 휀스형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292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656B1 (ko)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
KR100772149B1 (ko) 가변 벽체 시스템
CN101353883B (zh) 可三维转动的电动栅栏门
KR100805185B1 (ko)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
KR20140101525A (ko) 비닐하우스 2중 보온덮개 개폐장치
KR200215954Y1 (ko) 체인 내장형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CN206844974U (zh) 一种平开门的折叠机构及平开折叠门
CN206329227U (zh) 一种可翻转新型智能窗
CN103479007B (zh) 可自动开闭的遮阳伞
KR101513865B1 (ko) 천정형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KR200403256Y1 (ko) 자동 개폐 접철식 대문
JP3061710U (ja) 多連棟型温室の天窓開閉装置
CN202195563U (zh) 嵌入式空调及其面板部件
KR20020092512A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0698895B1 (ko) 개폐시스템이 구비되는 식재용 하우스
KR100704208B1 (ko) 깃발의 자동 게양장치
CN216446660U (zh) 一种交通工程用具有折叠功能的警示型围栏
CN219974341U (zh) 一种户外百叶篷用驱动机构
CN220353686U (zh) 一种玻璃窗遥控用柔性齿条装置
CN217629591U (zh) 一种远程控制的全封闭式道闸
KR200220475Y1 (ko) 축사용 측면 개폐기
JP2003055922A (ja) アーム式ゲート
CN113179814B (zh) 一种温室大棚智能卷被装置
KR20190106606A (ko) 비닐하우스 개폐기
CN215107938U (zh) 一种可自动开合的栅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