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895B1 - 개폐시스템이 구비되는 식재용 하우스 - Google Patents

개폐시스템이 구비되는 식재용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895B1
KR100698895B1 KR1020050117323A KR20050117323A KR100698895B1 KR 100698895 B1 KR100698895 B1 KR 100698895B1 KR 1020050117323 A KR1020050117323 A KR 1020050117323A KR 20050117323 A KR20050117323 A KR 20050117323A KR 100698895 B1 KR100698895 B1 KR 100698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use
shutters
planting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웅
Original Assignee
정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웅 filed Critical 정지웅
Priority to KR1020050117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식재용 하우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용 하우스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식재용 하우스의 외부에 대하여 그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개폐시스템이 구비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면적과 식재 대상 작물에 가장 알맞은 온도ㆍ일사량ㆍ습도조절 등의 환경을 사용자가 소망하는 형태로 설정하여 줄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은 물론, 모듈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바, 그 설치작업 등이 비교적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식용작물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특히 도심의 건물옥상 등에 설치가 용이하여 식용작물, 관상용 작물 등을 제배할 수 있는 등 설치목적과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식재(植栽), 하우스(House), 작물, 셔터(Shutter), 골조프레임

Description

개폐시스템이 구비되는 식재용 하우스{cultural house with opening and shutt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용 하우스의 외관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가 닫힌 상태와 개방된 상태를 각 도시한 식재용 하우스의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셔터와 골조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의 마디 구성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용 하우스가 캐빈(Cabin)형으로 구현된 예를 각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용 하우스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11은, 도 10을 일부분해한 구성예시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요부 ‘A'를 확대 도시한 구성사시도.
도 13은, 도 10의 식재용 하우스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14는, 도 11의 요부 ‘A'의 변형예를 확대 도시한 구성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16은, 도 10 내지 도 15의 셔터와 골조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 17 및 도 18은, 도 1 내지 도 9에 따른 식재용 하우스의 골조프레임에 적용되어 셔터의 변위를 제한하도록 기능하는 리미트바아의 적용예도 및 조립예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 식재용 하우스
110 : 개폐도어
120a, 120b, 320a, 320b : 골조프레임
121, 122, 321, 322 : 레일 123 : 체결요홈
130a, 130b : 셔터 131 : 셔터마디
132 : 삽입단 132a, 133a : 결자부
133 : 수용공 134 : 수용단
135 : 지지패널 140 : 상단커버
141 : 체결돌부 142 : 걸림부
150 : 리미트바아(Limit bar) 170 : 볼트
350 : 동력전달수단 351 : 구동기어
352 : 제1종동기어 353 : 피니언
354 : 제2종동기어 360 : 거치프레임
360a, 360b : 권취롤러 M : 구동모터
370 : 핸들 380 : 레버
본 발명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식재용 하우스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개폐시스템이 구비되는 식재용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식재용 또는 관상용 작물 등의 효율적인 재배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비닐하우스가 널리 활용 및 보급되어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재배면적당 작물의 생산량을 극대화시키고, 동절기에도 작물을 재배할 수 있어 농가소득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는 반면, 해당 작물별 생장환경 등을 세심하게 관리 및 유지하여야만 하는 요구조건이 따른다.
이러한 이유로 동일품종이거나 유사류의 작물들은 하나의 비닐하우스에서 동시에 재배되고 있는 실정이며, 생장환경이 상이한 작물들은 각기 별도의 비닐하우스로부터 재배되어야만 하였던 바, 현재까지는 생장환경이 상이한 재배대상작물(예컨대, 꽃과 파인애플의 경우)을 동일한 비닐하우스 내에서 동시에 재배할 수 없었다. 물론, 위와 같은 작물의 재배방식은 재배대상작물의 생산성과 관리의 용이성을 도모하고자 실시되고는 있는 실정이나, 다종의 작물을 소량 재배하고자할 경우 앞서 언급한 비닐하우스는 적절한 대응방안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비닐하우스는, 작물에 따라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조절과 습도조절 등을 실시할 필요성이 요구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의 양측단을 마 감하고 있는 비닐을 통상의 바아(Bar)로서 권취시킨 상태에서 비닐하우스의 양측 상단부위에 마련된 끈 등의 바이더(binder)로써 비닐이 권취된 바아를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비닐하우스의 내부를 개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은 그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자칫 비닐이 찢겨질 수 있다는 위험성이 상존하였다.
한편, 위와 같은 비닐하우스는, 다수의 호형상의 만곡부를 구비한 지주폴이 다수 구비되고, 이를 지면에 고정 및 입설시켜 골조를 생성한 후, 비닐을 이용하여 이들 골조에 포장하여 고정 및 마감하는 설치과정을 거치게 되는 바,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였음은 물론, 일정주기별 및 위와 같은 이유 등으로 비닐이 파손되었을 경우 국부적 또는 비닐전체를 교체 사용하여야만 하였던 바, 능률적인 측면에서나 경제적인 측면 등에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은 비효율적인 요소들이 다수 존재하였던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비닐하우스는, 농촌과 같은 경작지에서나 그 설치와 구축이 가능한 형태와 구성을 갖는 것이었으므로, 도심의 건물 옥상 등에서와 같은 한정된 공간과 땅이 아닌 콘크리트기반에서는 그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소규모형태의 식용 또는 관상용 작물 등을 전술한 비닐하우스를 통해 건물에 설치 및 구축할 수 없었으므로, 비닐하우스의 다양화 및 다각화를 도모할 수 없었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식재용 하우스의 골조를 이루는 골조프레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레일을 구성하고, 비닐을 대신하여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접철형 셔터의 양단이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구동수단에 의한 자동식 또는 수동식으로서 상기 셔터를 슬라이딩 변위시켜 식재용 하우스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개폐시스템이 구비된 식재용 하우스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조프레임을 모듈형태로 구성함에 따라, 각 종의 규격별로서 중소규모 및 대규모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건물 옥상 등과 같은 콘크리트 기반 및 포장도로 등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식재용 하우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조프레임은 알루미늄 압출재로서 양산하고, 셔터는 투광성 합성수지로서 각기 양산하여 구성부품의 경량화 및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식재용 하우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구성과 작동원리에 의해 생장환경을 달리하는 여러 작물을 하나의 하우스를 통해 다양한 생장환경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식재용 하우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와 증설 및 해체작업이 용이한 식재용 하우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지된 하우스형태는 물론, 캐빈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이에 전술한 자동식 또는 수동식 개폐시스템이 구비되는 식재 용 하우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구체화 될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재용 하우스로서는,
식재용 하우스에 있어서, 다수의 마디(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셔터(130a, 130b); 상기 셔터(130a, 130b)의 양단이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그 일측방면 또는 양측방면에서 2개의 요홈상의 레일(121, 122)이 구비되는 복수의 골조프레임(120a, 120b); 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골조프레임(120a, 120b)이 일정간격으로 이격 및 입설 배치되어 상기 식재용 하우스의 골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셔터(130a, 130b)의 각 양단이 상기 레일(121, 122)에 슬라이딩 변위가 가능하도록 삽입 및 제한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식재용 하우스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도록 구현되는 특징이 있다.
한편, 구동모터를 이용한 자동 개폐시스템이 채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는 바, 이에 따르면,
식재용 하우스에 있어서, 다수의 마디(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셔터(130a, 130b); 상기 셔터(130a, 130b)의 양단이 각각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그 일측방면 또는 양측방면에서 하나씩의 요홈상의 레일(121, 122)이 구비되는 복수의 골조프레임(120a, 120b); 상기 골조프레임(120a, 120b)의 내측 상단면 상에 고정 및 거치되는 거치프레임(360); 상기 거치프레임(360)에 고정되는 구동모터(M); 상기 거치프레임(360)에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셔터(130a, 130b)의 일단이 고정 장착되어 있으며,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는 2개의 권취롤러(360a, 360b); 상기 거치프레임(360)에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어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력을 상기 권취롤러(360a, 360b)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350); 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는 달리 구동모터의 구성을 생략한 형태의 수동형 개폐시스템이 채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는 바, 이에 따르면,
식재용 하우스에 있어서, 다수의 마디(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셔터(130a, 130b); 상기 셔터(130a, 130b)의 양단이 각각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그 일측방면 또는 양측방면에서 하나씩의 요홈상의 레일(121, 122)이 구비되는 복수의 골조프레임(120a, 120b); 상기 골조프레임(120a, 120b)의 내측 상단면 상에 고정 및 거치되는 거치프레임(360); 상기 거치프레임(360)에 고정되어 외력에 의해 구동력이 인가되는 핸들(370); 상기 거치프레임(360)에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셔터(130a, 130b)의 일단이 고정 장착되어 있으며,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는 2개의 권취롤러(360a, 360b); 상기 거치프레임(360)에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어 상기 핸들(370)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권취롤러(360a, 360b)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350); 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골조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장홈상의 체결요홈(123)이 더 구비되도록 구현됨에 따라, 골조프레임의 경량화는 물론, 골조프레임을 제작하는 데에 소요되는 소재를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구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골조프레임들이 배치된 간격과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체결요홈(123)과 상응하는 저면부위에 상기 체결요홈(123)과 체결을 이루는 체결돌부(141)가 구비되는 상단커버(140)를 더 포함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식재용 하우스의 단열성 및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셔터(130a, 130b)는, 일방향으로만 접철되도록 구현되어 접철이 용이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며, 작은 외력으로도 상기 셔터의 개방 및 폐쇄작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현됨이 좋다.
그리고, 상기 셔터(130a, 130b)는 투광성 합성수지재이고, 상기 골조프레임은, 알루미늄 압출재, 합성수지재, 철재로부터 선택됨에 따라, 식재용 하우스의 내부로의 투광효율이 우수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고, 식재용 하우스의 골조가 다양한 방법과 소재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레일(121 또는 122)의 소정 부위면에서 상호 레일(121 또는 122)을 상호 연결 체결하여 상기 셔터(130a 또는 130b)의 슬라이딩 변위를 제한하도록 기능하는 리미트바아(150)가 추가로 더 구비됨에 따라 하나의 셔터가 식재 용 하우스의 일측면에 대하여 개방 및 폐쇄작용이 실시되도록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도록 한다. 단, 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들 실시예들로부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기재의 편의상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물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 제1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용 하우스(100)의 외관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가 닫힌 상태와 개방된 상태를 각 도시한 식재용 하우스의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셔터와 골조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의 마디 구성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재용 하우스(100)의 전체적인 구성은, 식재용 하우스(100)의 일측면 및/또는 상기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 접철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자바라식 개폐도어(110)가 구비되어 식재용 하우스(100)의 내부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다수의 골조프레임(120a, 120b)이 적절한 간격을 두고 지상으로부터 입설되고, 상기 골조프레임(120a, 120b)이 상호 대향되는 부위면 상에 형성된 레일(121, 122) 에 일방향 접철구조를 가지며 다수의 마디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셔터(130a, 130b)의 양단이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골조프레임(120a, 120b)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체결요홈(123)에 체결되어 식재용 하우스(100)의 상부면 상에 위치되는 상단커버(140)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도 1 참조).
여기에서, 상기 골조프레임(120a, 120b)은,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은 횡단면으로 이루어지는 바, 식재용 하우스(100)의 말단부위에 위치되는 골조프레임(120a)과, 상기 골조프레임(120a)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골조프레임(120b)의 구성이 약간의 차이점이 있음을 살필 수가 있다. 상기 골조프레임들(120a, 120b)은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셔터(130a, 130b)의 양단을 구속하여 일정한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변위되도록 기능하는 2개의 레일(121, 122)이 상기 골조프레임들(120a, 120b)이 상호 대향되는 면인 내측면 상에서 장홈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도 4참조). 따라서 2개의 셔터(130a, 130b)가 상기 골조프레임들(120a, 120b)의 대향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레일(121, 122)에 그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체결을 이루는 바, 하나의 셔터(130a 또는 130b)가 하나씩의 레일(121 또는 122)에서 슬라이딩 유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속되어 식재용 하우스(100)의 양측방면에서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기능한다(도 2 및 도 3참조).
이러한 식재용 하우스(100)의 개폐시스템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식재용 하우스(100)의 양측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양측면 모두를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 설정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개방정도를 용이하게 조절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식재용 하우스 내에서 식재되고 있는 작물이 다품종일 경우 이에 따라 일정한 섹터별(예컨대, 골조프레임간에 형성되는 일정한 면적)로 식재 대상 작물을 구획 식재하고 해당 작물의 식재환경에 대응하여 선별적으로 개방 및/또는 폐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셔터(130a, 130b)의 폭방향 길이가 1m 내외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셔터(130a, 130b)에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용이하게 슬라이딩 변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됨이 좋으며, 셔터(130a, 130b)의 길이(레일이 연장된 방향)는 식재용 하우스(100)의 내부를 폐쇄 설정한 상태에서 셔터(130a, 130b)가 상호 충분히 겹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어 셔터(130a, 130b)간의 공간으로 하여금, 식재용 하우스(100)의 내기와 외기가 상호 교류됨이 없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도 2참조).
이 때, 상기 셔터들(130a, 130b)이 식재용 하우스(100)의 내부를 외부에 대하여 폐쇄 설정한 상태라 하더라도 골조프레임(120a, 120b)의 레일들(121, 122)간에는 어쩔 수 없는 공간과 유격이 발생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외기와 내기가 앞서 언급한 레일간의 유격부로부터 유입 및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식재용 하우스(100)의 상부를 적절한 수단에 의해 마감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골조프레임(120a, 120b) 중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외주면 상에는 골조프레임(120a, 120b)의 외주면을 따라 장홈상의 체결요홈(123)이 형성되며(도 4의 “a"도면 참조), 상기 골조프레임(120a, 120b)간의 면적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골조프레임(120a, 120b)의 만곡형태와 대응된 형태로서의 폭방향 길이를 가지며 상기 골조프레임(120a, 120b)에 형성된 체결요홈(123)과 상응하는 저면부위로부 터 하측방 돌출되어 상기 체결요홈(123)과 억지끼움 체결을 이루는 상단커버(140)가 구비된다. 상기한 상단커버(140)는 도 1과 도 4의 도면 "(b)"에서와 같이 체결돌부(141)가 체결요홈(123)에 억지끼움결합 또는 걸림부(142)를 상기 체결돌부(141)의 말단부위에 형성하고 이와 체결되는 상기 체결요홈(123)에도 또한 상기 걸림부(142)가 걸려 지지될 수 있는 형태로서의 요홈이 형성됨으로서 구현된다. 상기한 체결요홈(123) 등은 위와 같은 기능과 역할 이외에도 골조프레임(120a, 120b)의 변형을 방지하고, 골조프레임을 이루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제조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전술한 기능의 체결요홈(123) 및 상단커버(140)의 구성을 폐하고, 도 4의 "도면 (c)"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상단커버(140) 및/또는 상기 셔터(130a, 130b)는 식재대상 작물에 따라 투광성 소재, 불투광성 소재, 반투광성 소재로부터 구현될 수 있으며, 합리적인 제조원가와 경량체로서의 구현이 가능한 합성수지재가 그 소재로서 채택됨이 좋다. 그리고, 상기 골조프레임(120a, 120b)은 경량체이면서도 변형이 적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알루미늄압출재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조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특정의 소재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역할과 기능을 갖는 상기 셔터(130a, 130b)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은 셔터마디(131)가 다수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셔터마디(131)는 일단과 타단에서 각각 격자부(132a, 133b)가 형성되고, 상기 격자부(132a)로부터 말단부에 이루는 면적을 지지패널(135)을 향해 고리형상으로 내향 굴곡시켜 형성되 는 삽입단(132)과, 상기 삽입단(132)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격자부(133a)로부터 말단부에 이루는 면적을 지지패널(135)에 대하여 외향 굴곡시켜 그 말단부가 상기 지지패널(135)을 향하도록 하는 고리형태의 수용단(134)이 형성되는 바, 상기 삽입단(132)의 외경이 상기 수용단(134)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133)으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셔터마디(131)가 연속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셔터(130a, 130b)가 구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현되는 상기 셔터(130a, 130b)는 일방향으로만 접철되고 타측방으로는 상기 격자부(132a, 133a)가 상호 지지되게 되어 접철작용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식재용 하우스(100)의 개방 또는 폐쇄작용 시에 사용자의 외력이 상기 셔터(130a, 130b)의 어느 부위에서 작용된다하더라도 작용된 외력이 상기 셔터(130a, 130b)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어, 작은 외력으로도 셔터(130a, 130b)의 변위가 보다 용이하게 작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과 작동원리를 갖는 셔터(130a, 130b)는 식재용 하우스(100)의 규모에 따라 비교적 소규모인 경우 도 5에 개시된 셔터마디(131)를 채택하고, 중대형 규모인 경우 도 6의 셔터마디(131a)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형태의 셔터(130a, 130b)를 구현 설계할 수도 있다. 물론, 도 5 및 도 6의 셔터마디(131, 131a)를 혼합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 또한 가능하며, 이는 제조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범주 내에 있다할 것이다.
< 제2실시예 >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용 하우스가 캐빈(Cabin)형으로 구현된 예를 각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에서 잘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캐빈형 식재용 하우스(20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단커버(140)가 생략된 상태이고, 골조프레임(120a, 120b)의 형태를 다각형상으로 구현하여 캐빈형태로서의 식재용 하우스(200)를 구현한 것이다. 그 외의 작용효과와 작동원리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 제3실시예 >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용 하우스(30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을 일부분해한 구성예시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요부 ‘A'를 확대 도시한 구성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식재용 하우스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로서, 셔터의 자동 개폐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을 살펴보면, 하나의 구동모터(M)와, 이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350)과, 상기 동력전달수단(350)의 작용에 의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셔터(130a, 130b)의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장착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권취롤러(360a, 360b) 및, 이들 구성물(M, 350, 360a, 360b)을 고정시킴은 물론, 식재용 하우스(300)를 구성하는 골조프레임(320a, 320b)의 상방 내측면 상에 볼트 등의 적절한 체결수단에 의해 견고히 체결 고정되도록 기능하는 거치프 레임(360)이 구비된다(도 12 참조).
상기 거치프레임(360)은 일정한 형상과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구동모터(M)가 고정 체결됨은 물론,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축(미도시)에 체결되어 있는 구동기어(351)와 다른 위치에서 각각 치합되는 제1종동기어(352) 및 피니언(353) 그리고 상기 피니언(353)의 다른 위치에서 치합되는 제2종동기어(354)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수단(350)이 고정되는 바, 상기 동력전달수단(350)을 구성하는 각 구성물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거치프레임(36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 체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종동기어(352, 354)에는 각각 셔터(130a, 130b)의 일단부가 고정 장착되어 있는 드럼형상의 권취롤러(360a, 360b)가 축설된다.
따라서, 구동모터(M)가 정ㆍ역회전됨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351)가 일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동이 개시되면, 제1종동기어(352)는 이와 반대방향(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피니언(353)을 매개로 하여 회동력이 인가되는 제2종동기어(354)는 상기 구동모터(M)과 동일방향으로 회동이 개시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종동기어(352, 354)와 각각 연동되는 권취롤러들(360a, 360b)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실시되므로, 상기 권취롤러(360a, 360b)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셔터들(130a, 130b)이 식재용 하우스(300)의 측방면에서 골조프레임(320a, 320b)에 형성된 하나의 레일(321)을 따라 슬라이딩 변위가 이루어져 식재용 하우스(300)의 양측면을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도 13 및 도 16 참조).
이 때, 상기 골조프레임(320a, 320b)에는, 앞서 개시되었던 제1실시예와는 달리 상호 대향되는 부위면 상에 하나씩의 레일(321)이 형성되되, 식재용 하우스(300)의 상부 즉, 상기 권취롤러(360a, 360b)와 상응하는 부위면이 상기 권취롤러(360a, 360b)를 향하여 개방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셔터(130a, 130b)가 상기 권취롤러(360a, 360b)로 안내되도록 하여 셔터의 권취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와 같은 구성과 작동원리를 갖는 식재용 하우스(300)에는 전술한 상단커버(140)가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골조프레임(310a, 310b)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레일(321)이 구비되는 것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현되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구동기어(351), 피니언(353), 제1 및 제2종동기어(352, 354)는 동일한 규격의 제품을 사용하여 권취롤러(360a, 360b)로부터 권취 및 권취해제가 동일한 속도와 정도로서 진행될 수 있도록 구현됨이 좋다. 또한, 권취롤러(360a, 36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드럼형상으로 형성하여 작용하중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 제4실시예 >
도 14는 도 11의 요부 “A”의 변형예를 확대 도시한 구성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16은 도 10 내지 도 15의 셔터와 골조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횡단면도로서, 전술한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구동모터(M)의 구성을 생략하고 구동기어(351)를 수동 회전시키는 역할의 핸 들(370)이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도 14 참조). 또한, 도 15에서와 같이, 식재용 하우스(400)가 대형화 제작되었을 경우 레버(380)를 이용하여 상기 핸들(370)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한 형태를 예시하였다.
< 제5실시예 >
도 17 및 도 18은, 도 1 내지 도 9에 따른 식재용 하우스의 골조프레임에 적용되는 셔터변위제한부재의 적용예도 및 조립예도로서, 전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같은 수동식 셔터개폐시스템에서 각 셔터(130a, 130b)가 식재용 하우스(100)의 일측방면에 대하여 개폐동작이 실시되도록 각 셔터(130a, 130b)의 변위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용도로서의 리미트바아(Limit-bar)(150)가 구비되어 도 17 및 도 18과 같이, 골조프레임(130a, 130b) 중 해당 셔터(130a, 130b)를 제한하기 위한 위치에서 볼트(170)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체결원리를 갖는다. 따라서 도 17에서와 같이, 각 셔터(130a, 130b)는 상기 리미트바아(150)에 의해 변위동작이 제한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즉, 전술한 제1 내지 제5실시예에 따른 식재용 하우스의 내부에 온열작용을 실시하는 전열기구 등을 설치하여 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골조프레임을 적절한 크기와 길이별 모듈형태로 생산 제작하여 식재용 하우스의 골조형성작업 시에 이를 조립하여 설치하는 방식 등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골조프레임간에 각기 형성되는 단위면적을 하나의 섹터로 하여 상기 골조프레임의 내주면에 체결되어 각 섹터가 별도로 구획되도록 하는 별도의 마감벽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생장환경별 작물을 상기한 마감벽재에 의해 마감된 각 섹터별로 구분하여 재배하는 것 또한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물론, 제조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전술한 제1 내지 제5실시예의 특정 구성물을 상호 변경 또는 조합하여 식재용 하우스를 설계 변경할 수 있음 또한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할 것 같으면, 식재용 하우스의 개방 및 폐쇄가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어 온도 및 습도조절 등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다종의 작물을 하나의 하우스를 통해 재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조프레임을 모듈화 생산하여 다양한 규격별로 대량 양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모듈구성으로 인하여 건물 옥상 등과 같은 콘크리트 지반 또는 포장도로 등에서도 용이한 설치/증설/해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와 대비하여 비닐을 대신하여 투광성 합성수지로 구현되는 접철형 셔터가 사용되므로, 장치의 내구성이 우수하여 일정주기별로 교체할 필요성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8)

  1. 식재용 하우스에 있어서,
    다수의 마디(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셔터(130a, 130b);
    상기 셔터(130a, 130b)의 양단이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그 일측방면 또는 양측방면에서 2개의 요홈상의 레일(121, 122)이 구비되는 복수의 골조프레임(120a, 120b);
    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골조프레임(120a, 120b)이 일정간격으로 이격 및 입설 배치되어 상기 식재용 하우스의 골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셔터(130a, 130b)의 각 양단이 상기 레일(121, 122)에 슬라이딩 변위가 가능하도록 삽입 및 제한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식재용 하우스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하우스.
  2. 식재용 하우스에 있어서,
    다수의 마디(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셔터(130a, 130b);
    상기 셔터(130a, 130b)의 양단이 각각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그 일측방면 또는 양측방면에서 하나씩의 요홈상의 레일(121, 122)이 구비되는 복수의 골조프레임(120a, 120b);
    상기 골조프레임(120a, 120b)의 내측 상단면 상에 고정 및 거치되는 거치프 레임(360);
    상기 거치프레임(360)에 고정되는 구동모터(M);
    상기 거치프레임(360)에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셔터(130a, 130b)의 일단이 고정 장착되어 있으며,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는 2개의 권취롤러(360a, 360b);
    상기 거치프레임(360)에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어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력을 상기 권취롤러(360a, 360b)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3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하우스.
  3. 식재용 하우스에 있어서,
    다수의 마디(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셔터(130a, 130b);
    상기 셔터(130a, 130b)의 양단이 각각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그 일측방면 또는 양측방면에서 하나씩의 요홈상의 레일(121, 122)이 구비되는 복수의 골조프레임(120a, 120b);
    상기 골조프레임(120a, 120b)의 내측 상단면 상에 고정 및 거치되는 거치프레임(360);
    상기 거치프레임(360)에 고정되어 외력에 의해 구동력이 인가되는 핸들(370);
    상기 거치프레임(360)에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셔터(130a, 130b)의 일단이 고정 장착되어 있으며,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는 2개의 권취롤러(360a, 360b);
    상기 거치프레임(360)에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어 상기 핸들(370)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권취롤러(360a, 360b)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3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하우스.
  4. 제1항 내지 제3항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장홈상의 체결요홈(12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하우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프레임들이 배치된 간격과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체결요홈(123)과 상응하는 저면부위에 상기 체결요홈(123)과 체결을 이루는 체결돌부(141)가 구비되는 상단커버(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하우스.
  6. 제1항 내지 제3항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130a, 130b)는, 일방향으로만 접철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하우스.
  7. 제1항 내지 제3항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130a, 130b)는 투광성 합성수지재이고,
    상기 골조프레임은, 알루미늄 압출재, 합성수지재, 철재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하우스.
  8. 제1항 내지 제3항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121 또는 122)의 소정 부위면에서 상호 레일(121 또는 122)을 상호 연결 체결하여 상기 셔터(130a 또는 130b)의 슬라이딩 변위를 제한하도록 기능하는 리미트바아(150)가 추가로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하우스.
KR1020050117323A 2005-12-05 2005-12-05 개폐시스템이 구비되는 식재용 하우스 KR100698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323A KR100698895B1 (ko) 2005-12-05 2005-12-05 개폐시스템이 구비되는 식재용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323A KR100698895B1 (ko) 2005-12-05 2005-12-05 개폐시스템이 구비되는 식재용 하우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154U Division KR200409947Y1 (ko) 2005-12-05 2005-12-05 개폐시스템이 구비되는 식재용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895B1 true KR100698895B1 (ko) 2007-03-23

Family

ID=4156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323A KR100698895B1 (ko) 2005-12-05 2005-12-05 개폐시스템이 구비되는 식재용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8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966B1 (ko) 2009-05-06 2011-12-22 주식회사 세영에너텍 하우스형 난방장치
CN115211308A (zh) * 2022-08-17 2022-10-21 南通科技职业学院 一种基于植物种的高存活型种苗繁育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260A (ja) * 1991-07-10 1993-01-26 Norin Suisansyo Tohoku Nogyo Shikenjo ビニールハウス用電動側壁開閉装置
JPH054855U (ja) * 1991-07-12 1993-01-26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ハウス内被覆装置
KR100191273B1 (ko) 1997-03-12 1999-06-15 곽재순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의 개폐장치
KR200154785Y1 (ko) 1997-06-27 1999-08-16 박학서 농작물재배하우스의 비닐개폐장치
KR20050029558A (ko) * 2003-09-23 2005-03-28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연동비닐온실의 지붕자동완전개폐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260A (ja) * 1991-07-10 1993-01-26 Norin Suisansyo Tohoku Nogyo Shikenjo ビニールハウス用電動側壁開閉装置
JPH054855U (ja) * 1991-07-12 1993-01-26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ハウス内被覆装置
KR100191273B1 (ko) 1997-03-12 1999-06-15 곽재순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의 개폐장치
KR200154785Y1 (ko) 1997-06-27 1999-08-16 박학서 농작물재배하우스의 비닐개폐장치
KR20050029558A (ko) * 2003-09-23 2005-03-28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연동비닐온실의 지붕자동완전개폐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966B1 (ko) 2009-05-06 2011-12-22 주식회사 세영에너텍 하우스형 난방장치
CN115211308A (zh) * 2022-08-17 2022-10-21 南通科技职业学院 一种基于植物种的高存活型种苗繁育设备
CN115211308B (zh) * 2022-08-17 2023-11-21 南通科技职业学院 一种基于植物种的高存活型种苗繁育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0324B1 (en) Deformable slat system
CN106034851A (zh) 用于温室的多段式内保温遮阳系统及含有该系统的温室
CN202035336U (zh) 转动式支架及穹顶保温温室
KR100698895B1 (ko) 개폐시스템이 구비되는 식재용 하우스
CN209693605U (zh) 一种塑料大棚通风防虫装置
KR200409947Y1 (ko) 개폐시스템이 구비되는 식재용 하우스
CN207885298U (zh) 一种双侧温室自动铺卷帘幕装置
KR100926656B1 (ko)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
CN205077902U (zh) 一种能够与生态树相结合的景观廊架
KR20000024582A (ko) 하우스구조물용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KR102115554B1 (ko) 친환경 발전형 가금용 축사
RU185229U1 (ru) Раздвижная система
CN105165469A (zh) 一种大跨度拱形被动式智能温室
KR200464124Y1 (ko) 소형온실형 비닐하우스
CN209268169U (zh) 一种温室遮阳保温系统
US20040118038A1 (en) Knock-down structure
CN104278865A (zh) 多层保温塑钢大棚
KR100359701B1 (ko) 온실
CN210267667U (zh) 一种根据温度自动控制开关的通风口
CN2667878Y (zh) 一种新型生态温室
CN2521365Y (zh) 具有卷绳器的百叶窗
CN218389241U (zh) 一种智能动物住所
KR20020092512A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KR200215995Y1 (ko) 블라인드
CN1127609C (zh) 无线电遥控多功能全通风推拉门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