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640B1 - 카테터용 핸들 - Google Patents

카테터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640B1
KR100926640B1 KR1020090041103A KR20090041103A KR100926640B1 KR 100926640 B1 KR100926640 B1 KR 100926640B1 KR 1020090041103 A KR1020090041103 A KR 1020090041103A KR 20090041103 A KR20090041103 A KR 20090041103A KR 100926640 B1 KR100926640 B1 KR 100926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atheter
distal end
ring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오카와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36Handl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성이 우수하고, 또한 임의의 축방향 위치에서 조작부를 용이하게 스톱시킬 수 있는 카테터용 핸들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테터용 핸들은, 핸들 본체(24)와, 핸들 본체(24)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자유자재로 장착되는 조작부(22)와, 핸들 본체(24)와 조작부(22) 사이에 장착되고, 조작부(22)의 바깥쪽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면(40)에 안쪽 둘레면이 접촉하는 링형상의 탄성부재(42)와, 탄성부재(42)를 핸들 본체(24)의 축방향 양쪽으로부터 끼워 장착되는 백업 링(41, 43)을 갖는다.

Description

카테터용 핸들{Handle for catheters}
본 발명은 조작성이 우수한 카테터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카테터로서는 각종 카테터가 제안되어 있다. 카테터의 근위단(近位端)측에는, 통상 카테터용 핸들이 설치된다. 카테터용 핸들은 카테터의 종류에 따라서 각종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카테터의 원위단부(遠位端部)를, 카테터용 핸들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구부리거나 늘리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 사용되는 카테터용 핸들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통 속에 구동부재를 삽입한 피스톤 구조의 핸들이 제안되어 있다. 이 종래의 핸들에서는 피스톤의 바깥지름과 실린더의 안지름은 축방향을 따라서 일정하다.
카테터의 사용방법에 따라서는, 카테터의 원위단을 환자의 체내에 삽입하여, 카테터의 원위단을 구부린 채로 형상을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카테터용 핸들에 대해 조작부의 축방향 이동에 브레이크를 걸 필요가 있다. 이에, 피스톤의 바깥쪽 둘레와 실린더의 안쪽 둘레 사이에 O링 등의 링형상 탄 성부재를 장착하여, 카테터용 핸들의 조작부를 축방향으로 임의의 위치에서 브레이크 가능하게 한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핸들에서는 피스톤의 바깥지름과 실린더의 안지름은 축방향을 따라서 일정하기 때문에, 브레이크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면, 핸들에 대한 조작부의 이동조작이 처음부터 무거워져, 조작하기 어렵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조작성을 향상시키면, 브레이크성능이 저하된다는 과제가 있다.
이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피스톤의 바깥쪽 둘레에 테이퍼를 형성한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핸들에서는 핸들의 가동부분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리어런스(간극)가 큰 방향으로 조작부를 이동조작하면, O링이 그 간극에 말려들어가 버릴 우려가 있어, 조작성이 저하된다는 과제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319915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작성이 우수하고, 또한 임의의 축방향 위치에서 조작부를 용이하게 스톱시킬 수 있는 카테터용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카테터용 핸들은
핸들 본체와,
상기 핸들 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자유자재로 장착되는 조작부와,
상기 핸들 본체와 상기 조작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조작부의 바깥쪽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면에 안쪽 둘레면이 접촉하는 링형상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핸들 본체의 축방향 양쪽에서 끼워 장착되는 백업 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에 카테터 튜브의 근위단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핸들 본체에 상기 탄성부재 및 백업 링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 본체의 안쪽 둘레에 상기 조작부의 일부가 들어가고,
상기 핸들 본체의 안쪽 둘레에 들어가 있는 상기 조작부의 바깥쪽 둘레면에 상기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테터 튜브 내에는 조작용 와이어가 삽통(揷通)되어 있고,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이 상기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의 일부에 고정되어 있 으며,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근위단이 상기 핸들 본체의 일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핸들 본체에 대해 상기 조작부를 원위단 방향을 향해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테이퍼면에 있어서의 바깥지름이 큰 쪽으로 축방향으로 상대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들 본체의 안쪽 둘레에 들어가 있는 상기 조작부의 바깥쪽 둘레면에는 원위단 방향으로 바깥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퍼면의 바깥쪽 둘레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안쪽 둘레면과 상기 백업 링의 안쪽 둘레면이 접촉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들 본체에 대해 상기 조작부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부를 조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업 링은 상기 탄성부재보다도 마찰저항이 작은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업 링은 상기 탄성부재보다도 경도가 높은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업 링은 불소 수지 또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성이 우수하고, 또한 임의의 축방향 위치에서 조작부를 용이하게 스톱시킬 수 있는 카테터용 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를 토대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선단 편향조작 가능 카테터(2)는, 예를 들면 심장에 있어서의 부정맥의 진단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카테터 튜브(튜브 부재)(4)의 원위단부에 선단 칩(10)과, 복수의 중간 링(12)이 장착되어 있다. 선단 칩(10) 및 중간 링(12)은 전극으로서 기능하고,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으로 카테터 튜브(4)에 대해 접속 고정된다.
카테터 튜브(4)의 근위단에는 핸들(20)이 장착되어 있다. 카테터 튜브(4) 및 핸들(20) 내부에는 각각 도선이 들어와 통해 있고, 그 선단이 전극을 구성하는 선단 칩(10) 및 중간 링(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 도선의 기단(基端)은 도 2에 나타내는 핸들(20)의 후단부(後端部)에 고정되어 있는 커넥터(21)에 접속된다. 또한, 핸들(20)에는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의 편향 이동조작(머리 흔듦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용 손잡이(22)가 장착되어 있다.
카테터 튜브(4)는 중공(中空)의 튜브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축방향을 따라 동일한 특성의 튜브로 구성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가요성이 우수한 원위단부분과, 원위단부분에 대해 축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원위단부분보다도 비교적 강성(剛性)이 있는 근위단부분을 갖는다. 또한, 도 1에서는 카테터 튜브(4)의 길이가 짧게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핸들(20)의 축방향 길이보다도 수배~수십배 정도 길다.
카테터 튜브(4)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카테터 튜브(4)의 바깥지름은 일반적으 로 0.6~3 ㎜ 정도이고, 그 안지름은 0.5~2.5 ㎜ 정도이다. 카테터 튜브(4)의 축방향 루멘에는 도 1에 나타내는 전극을 구성하는 선단 칩(10) 및 중간 링(12)에 접속되는 도선이 각각 절연되어 통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선단 칩(10) 및 중간 링(12)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 금, 백금 등, 전기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으로 구성된다. 또한, X선에 대한 조영성(造影性)을 양호하게 갖게 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선단 칩(10) 및 중간 링(12)은 백금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 칩(10) 및 중간 링(12)의 바깥지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카테터 튜브(4)의 바깥지름과 동일한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0.5~3 ㎜ 정도이다.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 근방의 내부에는 머리 흔듦 부재가 수용되어 있다. 머리 흔듦 부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판스프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머리 흔듦 부재로서의 판스프링에는 도 2~도 4에 나타내는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이 접속 고정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30)의 바깥지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1~0.3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0.08 ㎜이다. 이 조작용 와이어(30)는 예를 들면 Ni-Ti계 초탄성 합금제로 구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금속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다. 조작용 와이어(30)는, 예를 들면 고강도의 비도전성 와이어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조작용 와이어(30)의 근위단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용 와이어(30)의 장력을 조정한 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장력 조정구(32)에 고정된다. 와이어 장력 조정구(32)는 핸들(20)의 핸들 본체(24) 내부에 축방향 이동 자유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이 와이어 장력 조정구(32)를 핸들 본체(24) 내부의 소정의 축방향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0)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튜브(4)의 근위단은 시스 튜브(26)를 매개로, 조작용 손잡이(22) 및 중축(中軸)부분(28)에 고정되어 있다. 조작용 손잡이(22) 및 중축부분(28)이 조작부에 대응한다. 중축부분(28)은 핸들 본체(24)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축공(軸孔)(25)의 내부에 삽입되어, 핸들 본체(24)에 대해 축방향 이동 자유자재로 되어 있다.
조작자는 핸들 본체(24)를 한손으로 잡고, 그 한손의 손가락으로 조작용 손잡이(22)를 조작하여, 중축부분(28)을 핸들 본체(24)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중축부분(28)은 카테터 튜브(4)의 근위단에 접속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중축부분(28)을 핸들 본체(24)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조작용 와이어(30)에 대해 카테터 튜브(4)의 근위단이 축방향으로 상대이동한다. 또한, 조작용 와이어(30)의 선단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 근방에 설치된 머리 흔듦 부재에 고정되어 있고, 조작용 와이어(30)의 근위단은 핸들(20)에 고정된 와이어 장력 조정구(32)에 고정되어 있다.
중축부분(28)을 원위단측으로 이동시키면, 조작용 와이어(30)의 근위단이 와이어 장력 조정구(32)에 고정된 채로 카테터 튜브(4)의 근위단이 원위단측으로 상대이동한다. 이 경우에는, 당해 중축부분(28)의 조작에 의해서, 조작용 와이어(30) 에는 장력이 걸리고, 카테터 튜브(4)에는 축방향으로 압축하는 힘이 걸리게 된다. 또한, 조작용 와이어(30) 및 카테터 튜브(4)는 거의 축방향의 길이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카테터 튜브(4) 및 조작용 와이어(30)가 구부러지게 된다. 그 결과로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가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리 흔듦 편향동작을 행한다.
즉, 카테터(2)의 원위단은 도 1에 나타내는 핸들(20)의 조작용 손잡이(22)를 축방향 X로 조작함으로써, A방향으로 편향하여 곡절(曲折)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20)을 축 둘레로 회전시키면, 체강 내에 삽입된 상태로 카테터(2)에 대한 A방향의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축부분(28)의 바깥쪽 둘레면에는 테이퍼면(40)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40)은 핸들 본체(24)의 원위단측으로 갈수록 바깥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이다. 테이퍼면(40)의 축방향의 길이는, 핸들 본체(24)에 대해 조작용 손잡이(22)가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범위의 길이와 동등 이상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퍼면(40)의 축방향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5~20 ㎜이다. 테이퍼면(40)의 테이퍼 경사각도는 축심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2.0도의 각도이다.
테이퍼면(40)에 있어서의 최대 바깥지름은 도 2에 나타내는 축공(25)의 안지름에 대해 동등 이하의 치수이고, 중축부분(28)이 축공(25)의 내부를 축방향 X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결정된다. 중축부분(28)의 축방향 길이는 테이퍼면(40)의 축방향 길이보다도, 바람직하게는 40~80 ㎜ 길다.
핸들 본체(24)의 원위단(24a)의 바깥쪽 둘레에는 수나사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 캡(44)의 안쪽 둘레에는 암나사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51)와 암나사부(52)는 나사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선단 캡(44)의 원위단(44a)의 안지름은 암나사부(52)가 형성되는 선단 캡(44)의 안쪽 둘레의 안지름보다도 작다. 핸들 본체(24)의 원위단(24a)과 선단 캡(44)의 원위단(44a) 사이로서, 암나사부(52)의 안쪽 둘레와 중축부분(28)의 바깥쪽 둘레 사이에는 링 홈(46)이 형성된다.
링 홈(46)에는 링형상 탄성부재인 O링(42)과, 그 축방향의 양쪽에 백업 링(41 및 43)이 장착된다. 핸들 본체(24)의 수나사부(51)를 선단 캡(44)의 암나사부(52)에 틀어박음으로써, 링 홈(46)의 축방향 길이가 조절되고, 백업 링(41 및 43)에 끼워진 O링(42)이 축방향으로 변형되어, 중축부분(28)의 테이퍼면(40)에 대한 O링(42)의 조임력이 변화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O링(42)의 축방향의 폭(t0)은 바람직하게는 0.5~4 ㎜이다. 또한, 백업 링(41, 43)의 축방향의 폭(t1, t2)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폭(t1)과 폭(t2)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백업 링을 제조할 때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O링(42)의 축방향의 폭(t0)은 백업 링(41, 43)의 축방향의 폭(t1, t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캡(44)의 근위단(44b)과 핸들 본체(24) 사이에 형성되는 축방향의 간극 폭(t4)의 간극은 백업 링(41, 43)의 폭(t1, t2)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간극 폭(t4)이 가능한 작아지도록 백업 링(41, 43)의 폭(t1, t2)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링(42) 및 백업 링(41, 43)은 이들의 링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동일한 안지름(D2)을 갖는다. 이들의 링(41~43)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안지름(D2)은 중축부분(28)의 테이퍼면(40)의 최대 바깥지름(D1)과 대략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안지름(D2)은 최대 바깥지름(D1)보다도 0.05~0.1 ㎜ 정도 크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O링(42) 및 백업 링(43)의 바깥지름(D4)은 핸들 본체(24)의 원위단(24a)의 안지름과 동일하다. 선단 캡(44)의 원위단(44a)에 접촉하는 백업 링(41)의 바깥지름(D3)은 링 홈(46)에 있어서의 캡(44)의 안지름보다도 작고, 캡(44)의 원위단(44a)의 안지름(D5)보다도 크다.
또한, 도 5에서는 백업 링(41)의 바깥지름(D3)이 백업 링(43)의 바깥지름보다도 크게 그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백업 링(41)의 바깥지름(D3)과 백업 링(43)의 바깥지름(D4)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백업 링(41, 43)을 제조할 때의 비용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O링(42)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니트릴 고무, 불소 고무 등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백업 링(41, 43)은, 예를 들면 불소 수지, 금속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업 링(41, 43)은 O링(42)보다도 마찰저항이 작고(또는 미끄러지기 쉽고), 경도가 높은(또는 영률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O링(42)의 JIS-A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A30~A70이고, 백업 링(41, 43)의 경도는 JIS-D 경도의 D40 이상으로 단단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JIS-A 경도란, JIS 규격 K-6301에 준거하여 계측되는 물성값을 가리킨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선단 편향조작 가능 카테터(2)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자는 핸들 본체(24)를 한손으로 잡고, 그 한손의 손가락으로 조작용 손잡이(22)를 조작하여, 중축부분(28)을 핸들 본체(24)에 대해,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도 4에 나타내는 상태로 조작하였다고 한다.
그 경우에는, 중축부분(28)은 카테터 튜브(4)의 근위단에 접속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30)에 대해 카테터 튜브(4)가 축방향으로 상대이동한다. 그 결과로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가 직선상태에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절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 본체(24)에 대해 중축부분(28)이 원위단 방향을 향해서 이동함으로써, O링(42) 및 백업 링(41, 43)이 당해 중축부분(28)에 대해, 테이퍼면(40)에 있어서의 바깥지름이 작은 쪽에서 큰 쪽으로 축방향으로 상대이동한다. 즉, 이 경우에는, 당해 이동에 따라서 O링(42)을 원주방향으로 넓히는 방향으로의 힘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링 홈(46)의 안지름은 불변하기 때문에, 당해 이동에 따라서 링 홈(46)의 간격이 좁아져, O링(42)이 중축부분(28) 및 핸들 본체(24)를 내리누르는 힘이 강해져, O링(42)과 중축부분(28)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핸들 본체(24)에 대해 중축부분(28)을 가장 근위단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O링(42)은 중축부분(28)에 대해 상대적으로 테이퍼면(40)에 있어서의 바깥지름이 가장 작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경우에는 중축부분(28)과 링 홈(46)의 간격이 가장 넓어지기 때문에, O링(42)이 중축부분(28) 및 캡(44)을 내리누르는 힘이 가장 작아져, O링(42)과 중축부분(28)의 마찰력이 저감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용 손잡이(22)를 핸들 본체(24)에 대해 축방향으로 떨어진 방향을 향해서 이동시키는 이동 초기시에는, 조작용 손잡이(22)는 가벼운 힘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백업 링(41, 43)은 O링(42)보다도 마찰저항이 작은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O링(42)의 테이퍼면(40)에 대한 조임이나 축방향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백업 링(41, 43)은 O링(42)보다도 경도가 높은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O링(42)과는 달리, 탄성 변형에 의한 테이퍼면(40)으로의 조임은 작아, O링(42)의 테이퍼면(40)에 대한 조임이나 축방향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백업 링(41, 43)은 핸들 본체(24)와 테이퍼면(40)의 간극으로 O링(42)이 맞물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특히 선단 캡(44)의 원위단(44a)과 테이퍼면(40)의 간극으로 O링(42)이 맞물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이동조작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용 손잡이(22)로부터 손가락을 떼었다 하더라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깥지름이 큰 테이퍼면(40)에 O링(42)이 접촉하여, 그 마찰력 때문에, 조작용 손잡이(22)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조작용 손잡이(22)로부터 손가락을 떼었다 하더라도, 도 1에 나타내는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는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를 똑바른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테이퍼면(40)과 O링(42)의 마찰력을 거슬러, 조작용 손잡이(22)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도 4에서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돌리면 된다. 그때에는, O링(42)은 테이퍼면(40)에 있어서의 큰 바깥지름부분에서 작은 바깥지름부분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테이퍼면(40)과 O링(42)의 마찰력은 서서히 작아진다.
또한, 백업 링(41, 43)이 O링(42)을 조이는 힘을 조정함으로써, 카테터용 핸들의 조작성을 조정할 수 있다. 조임력이 커지면, 테이퍼면(40)과 O링(42)의 마찰력이 커지고, 조임력이 작아지면, 테이퍼면(40)과 O링(42)의 마찰력이 작아진다.
조임력의 조정은 핸들 본체(24)의 수나사부(51)를 선단 캡(44)의 암나사부(52)에 틀어박음으로써 이루어지고, 링 홈(46)의 축방향 길이가 조절되며, 백업 링(41 및 43)에 끼워진 O링(42)이 축방향으로 변형되어, 중축부분(28)의 테이퍼면(40)에 대한 O링(42)의 조임력이 변화한다.
또한, 선단 캡(44)의 근위단(44b)과 핸들 본체(24) 사이에는 클립용 링(50)을 개재시켜도 된다. 클립용 링(50)은 선단 캡(44)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클릭감을 부여하는 기구를 구비한 부재이다. 조임력의 조정은 카테터용 핸들의 조립 후, 예를 들면 의사 등의 조작자에게 넘기기 전에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조작자 자신이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개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카테터용 핸들은 도시하는 실시형태의 선단 편향조작 가능 카테터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카테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카테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카테터용 핸들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더욱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로부터 조작부를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더욱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2… 선단 편향조작 가능 카테터
4… 카테터 튜브
20… 카테터용 핸들
22… 조작용 손잡이
24… 핸들 본체
30… 조작용 와이어
40… 테이퍼면
42… O링
41, 43… 백업 링

Claims (5)

  1. 핸들 본체와,
    상기 핸들 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자유자재로 장착되는 조작부와,
    상기 핸들 본체와 상기 조작부 사이에 장착되는 링형상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핸들 본체의 축방향 양쪽으로부터 끼워 장착되는 백업 링을 가지며,
    상기 조작부에 카테터 튜브의 근위단(近位端)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핸들 본체에 상기 탄성부재 및 백업 링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 본체의 안쪽 둘레에 상기 조작부를 구성하는 중축(中軸)부분이 들어가고,
    상기 핸들 본체의 안쪽 둘레에 들어가 있는 상기 중축부분의 바깥쪽 둘레면에는 원위단(遠位端) 방향으로 바깥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퍼면의 바깥쪽 둘레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안쪽 둘레면과 상기 백업 링의 안쪽 둘레면이 접촉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카테터 튜브 내에는 조작용 와이어가 삽통(揷通)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이 상기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의 일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근위단이 상기 핸들 본체의 일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 본체에 대해 상기 조작부를 근위단에서 원위단 방향을 향해서 이 동시킴으로써, 상기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부가 곡절(曲折)하는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테이퍼면에 있어서의 바깥지름이 큰 쪽으로 축방향으로 상대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본체에 대해 상기 조작부를 근위단에서 원위단 방향을 향해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부가 직선상태에서 곡절상태가 되는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테이퍼면에 있어서의 바깥지름이 큰 쪽으로 축방향으로 상대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핸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링은 상기 탄성부재보다도 마찰저항이 작은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카테터용 핸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링은 상기 탄성부재보다도 경도가 높은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카테터용 핸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링은 불소 수지 또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카테터용 핸들.
KR1020090041103A 2008-05-20 2009-05-12 카테터용 핸들 KR100926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32514A JP4224122B1 (ja) 2008-05-20 2008-05-20 カテーテル用ハンドル
JPJP-P-2008-132514 2008-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640B1 true KR100926640B1 (ko) 2009-11-13

Family

ID=4040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103A KR100926640B1 (ko) 2008-05-20 2009-05-12 카테터용 핸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24122B1 (ko)
KR (1) KR100926640B1 (ko)
CN (1) CN101584905B (ko)
HK (1) HK1137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1252740B2 (en) * 2010-05-11 2015-05-28 Cathrx Ltd A catheter handle
US9050010B2 (en) 2012-12-31 2015-06-09 Biosense Webster (Israel) Ltd. Double loop lasso with single puller wire for bi-directional actuation
CN105828867B (zh) * 2013-12-20 2019-02-01 圣犹达医疗用品心脏病学部门有限公司 用于医疗装置的致动器抑制组件
US11471650B2 (en) 2019-09-20 2022-10-18 Biosense Webster (Israel) Ltd. Mechanism for manipulating a puller wi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561A (ko) * 2000-12-22 2003-08-06 윌슨-쿡 메디컬, 인크. 카테터의 폐쇄형 시스템 어댑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0476A (en) * 1997-12-01 2000-09-19 Cordis Webster, Inc. Irrigated tip catheter
US6795721B2 (en) * 2000-01-27 2004-09-21 Biosense Webster, Inc. Bidirectional catheter having mapp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561A (ko) * 2000-12-22 2003-08-06 윌슨-쿡 메디컬, 인크. 카테터의 폐쇄형 시스템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55847A (ja) 2011-03-24
HK1137674A1 (en) 2010-08-06
CN101584905B (zh) 2012-10-17
CN101584905A (zh) 2009-11-25
JP4224122B1 (ja)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497B1 (ko) 카테터용 핸들
JP4027411B1 (ja) 電極カテーテル
US7922717B2 (en) High-frequency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KR100926640B1 (ko) 카테터용 핸들
JP5535260B2 (ja) カテーテル用ハンドル
US8414574B2 (en) Treatment instrument having a front-end treatment member
JP4368410B1 (ja) カテーテル用ハンドル
KR100929492B1 (ko) 카테터용 핸들
WO2009142120A1 (ja) カテーテル用ハンドル
US20060178656A1 (en)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JP5429878B2 (ja) カテーテル用ハンドル
JP2007202727A (ja) 生体用電極
KR101871609B1 (ko)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JP5360804B2 (ja) カテーテル用ハンドル
JP4726009B2 (ja) 心臓カテーテル
JP5787394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2008000310A (ja) 内視鏡用処置具
CN107137141B (zh) 一种医用手术器械手柄
JP2009089909A (ja) 電極カテーテル
JP6095215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4908163B2 (ja) 点電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