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629B1 -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629B1
KR100926629B1 KR1020070110040A KR20070110040A KR100926629B1 KR 100926629 B1 KR100926629 B1 KR 100926629B1 KR 1020070110040 A KR1020070110040 A KR 1020070110040A KR 20070110040 A KR20070110040 A KR 20070110040A KR 100926629 B1 KR100926629 B1 KR 100926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welded wire
bending
machine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8889A (ko
Inventor
최오영
최상필
Original Assignee
최오영
최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오영, 최상필 filed Critical 최오영
Publication of KR20080108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1F27/20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plaster-carrying net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B21F27/1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with soldered or welded cros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설공사 현장에서 건축 및 토목 공사에서 콘크리트 타설 보강제로 사용하는 용접철망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설명을 하면 경질의 와이어 롯트를 냉 간 신선하여 KS D 7017 의 규격에 의한 용접철망을 제조함에 있어서, 표준 선지름 2m/m∼9m/m의 철선을 마이방에 넣어 잘 풀려 나오도록 하여 가로선(3)으로 용접철망기계의 뒷면에 용접철망을 제조 할 수 있는 소정의 수량으로 배열하고, 배열한 마이방의 철선을 한 가닥씩 용접철망기계에 나열하여 가로선(3)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신선한 철선을 직선하여 소정의 길이로 일정하게 절단하여 세로선(4)을 다량 제조 묶음 하여, 자동철망용접기의 상단 비치소에 저장하여 용접철망 제조 시에 한 가닥씩 내려오게 하며, 용접철망의 망 눈 형태의 규격에 따라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 등의 형상에 따라 자동으로 한 가닥씩 내려와서, 하단의 가로선(3)과 세로선(4)철선이 직각으로 배열시켜 교차가 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배열 교차점을 전기 저항용접 하여 소정의 규격치수의 교차점의 접촉부를 용접하여 용접철망이 일정한 간격으로 일체화로 제조되면서 이송하여 소정의 길이 한 평(1.8m x 1.8m)이 되면 자동 절단 되면서 연속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을 제조 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연속 용접철망을 제조하는 자동용접철망기계의 절단기 바로 앞에, 절 곡기를 새로 설치하여 이송 되어 오는 용접철망을 절곡함에 있어서,
절곡기의 절곡금형이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오르내리며 가압하고, 상단의 절곡금형은 절 곡기체대에 고정 부착되어 있음으로 하단의 절곡금형이 용접철망을 위로 밀어 올려주어 용접철망의 절곡된 형상을
Figure 112007508793991-pat00005
Figure 112007508793991-pat00006
,
Figure 112007508793991-pat00007
형,
Figure 112007508793991-pat00008
형 등으로 형성하면서 종전의 용접철망기계의 제조공정에 아무런 지장 없이 용접철망이 이송되며 자동절곡 되며 연속 생산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방법{omitted}
본 발명은 각 건설공사 현장에서 건축 및 토목 공사 시에 콘크리트 타설 보강제로 사용하는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전의 자동 용접철망기계에서 제조하는 용접철망을 절곡하기위하여 절 곡기를 새로 설치하여, 종전의 자동용접철망제조공정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고, 동시에 용접철망을 절곡하는 절 곡기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절곡금형을 상단에 설치된 절곡금형으로 미러 올려 가압 하여 소정의 형상을
Figure 112007508793991-pat00009
Figure 112007508793991-pat00010
Figure 112007508793991-pat00011
형,
Figure 112007508793991-pat00012
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콘크리트 타설 보강제의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을 제조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건설현장에서 건축 및 토목공사에서 콘크리트 타설 구조내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보강제로 사용하는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경질의 와이어 롯트를 냉 간 신선하여 KS D 1017의 규격철선으로 표준 선지름 2m/m∼9m/m 로 하고, 가로선(3) 및 세로선(4)으로 사용하며, 용접철망의 표준 형태는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으로 하고, 표준 망 눈의 치수는 주문자의 지정에 따라 50m/m∼300m/m 까지 하며, 표준치수는 나비 1m∼2m 와 길이 1m∼4m의 규격 내에서 제조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은 선경 4m/m∼6m/m이고, 형상은 정사각형 이며, 망 눈은 100m/m * 100m/m 및 150m/m * 150m/m로 하고, 규격은 한 평을 1.8m * 1.8m로 제조하고 있으며, 사용처는 주로 건축공사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보강제로서 아파트 바닥 및 공장바닥 , 마당바닥 과 토목용으로 옹벽 및 도로바닥 농로 등의 바닥 콘크리트 타설 보강제로 사용하고 있으나,
시공현장에서 종전의 용접철망을 바닥 지면에 놓고 콘크리트 타 설을 하면, 그 부력으로 인하여 용접철망이 균형을 잃고 아래위로 불규칙 하게 되어 타설 공이 인위적으로 밟아 주며 콘크리트 타 설을 하여 불실 공사를 막고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 시에 불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로 지지대를 삼각형으로 제조하여 지면에 안착하게 놓고, 그 상단에 용접철망을 놓아 콘크리트 타설 공사를 하고 있으며,
또한 용접철망을 제조한 후, 그 용접철망을 앞면과 뒷면으로 절곡하고 절곡된 가로선(3) 위에 세로선(4)을 놓고 용접을 하여 용접철망의 지지대(8)를 형성 하여 주고 있음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작업을 하면, 콘크리트 타설 시에 공기지연과 노무비 상승 요인으로 경제성과 시공성이 희박하고, 용접철망 제조 시에도 많은 공정을 거치게 됨으로 제조비가 상승하고 생산 능률이 나지 않아 제조비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전의 자동용접철망기계에서 연속하여 생산되는 용접철망을 생산과 동시에 절곡하여, 그 용접철망을 상단으로 돌출부 요를 형성하게 하기 위하여, 새로 절 곡기를 종전의 자동용접철망기계의 절단기 바로 앞에 설치하고, 연속으로 이송되어 오는 용접철망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하고, 절곡된 돌출부의 요가 상단으로 향하게 하여 종전의 용접철망 이송 대에 걸리지 않고 종전의 용접철망생산 자동공정에서 동시에 절곡하며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용접철망은 상기한바와 같이 종전의 자동용접철망기계에서 아무런 이상 없이 종전의 규격으로 용접철망을 제조하며, 동시에 용접철망을 소정의 규격으로 절곡하면서 생산이 됨으로 제조경비가 절감되고,
공사형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시에 밟거나, 별도의 지지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본 발명의 용접철망이 절곡된 돌출부의 요를 지상에 안착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 타 설을 하면 자연히 구조 내력을 증가 시키며, 종전의 용접철망을 2장 설 치 한 것과 같으며, 생산성, 시공성, 안전성, 경제성이 탁월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균열을 방지하는 일석삼조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접철망 3.3㎡는 상단으로 소정의 돌출부 요부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 용접철망으로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전의 자동용접철망기계에서 소정의 규격으로 용접철망을 자동으로 생산하여 이송하며 3.3㎡를 단위로 절단되는 공정에서, 절단기 바로 앞에 새로 절 곡기를 설치하여, 소정의 요철형으로 절곡하면서 종전의 자동화 용접철망의 생산 공정과 동일하게 동시에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을 제조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 방법은 용접철망 1.8m *1.8m 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요부형을 상단으로 형성하여 철망의 지지대를 구성하도록 절단기 바로 앞에 절곡기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절곡기의 절곡금형은 상단 절곡금형과 하단 절곡금형으로 2개의 요철형으로 구성하고, 상단 절곡금형은 오목 철부형으로 절곡기의 체대에 고정부착하고, 하단 절곡금형은 돌출 요부형으로 상, 하로 작동 가동되고, 하단의 절곡기의 체대에 고정부착하며, 전공정인 자동용접철망제조공정으로부터 이송되는 철망을 절곡하여 돌출 요부형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절곡금형을 상, 하의 요. 철 형상으로 제조하여, 절곡된 형상은
Figure 112009039018879-pat00029
형 또는
Figure 112009039018879-pat00030
형, 또는
Figure 112009039018879-pat00031
형, 또는
Figure 112009039018879-pat00032
형으로 구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종전의 용접철망에 돌출부 요철을 상단으로 형성하여 주는 방법을 터득하기까지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다시 말하면 종전의 절 곡기는 하향식으로 절곡금형이 위로부터 아래로 압력을 가하며 하단의 절곡금형의 요철에 접하여 소정의 절곡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절곡하여 보니 새로이 형성된 돌출부의 요가 종전의 용접철망이 이송하는 평판에 걸려 이송이 되지 않아 제조를 중지하게 되였으며, 다시 연구하여 절 곡기의 절곡 금형을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가압 하여 상, 하,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상단의 절곡금형은 절 곡기 체대에 고정 설치하고, 절곡금형은 상향식으로 하여, 절곡되는 형상은
Figure 112007508793991-pat00013
Figure 112007508793991-pat00014
형,
Figure 112007508793991-pat00015
형,
Figure 112007508793991-pat00016
형 등으로 하여 종전의 자동용접철망제조 공정과 동시에 절곡된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을 일원화하여 제조하게 하였다,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은 KS D 7017의 규격으로 생산한 용접철망의 사시도로서, 소정의 규격을 3.3㎡으로 하고, 망 눈의 치수(2)를 100m/m * 100m/m의 정사각형으로, 표준치수 나비1.8m * 길이1.8m 로 제조된 사시도로서, 가로선(3)을 18가닥으로 배열하고, 세로선(4)은 20가닥으로 하여 도합 38가닥으로 구성된 용접철망의 형상은
Figure 112007508793991-pat00017
형으로 되었으며, 절곡 각도(6)는 30∼90도이고, 절곡 높이(10)는 4cm∼8cm으로, 절곡 하여 돌출부 요 철 형상을 갖는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은 종전의 수량 치수에 비하여 10∼20%가 가산된다,
도 2는 도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용접철망의 절곡된 형상이
Figure 112007508793991-pat00018
형으로 가로선(3)이 18가닥 세로선(4)이 19가닥으로 도합 37가닥으로 구성된 절곡하여 돌출부 요 철 형상을 갖는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1과 동일한 방법으로 용접철망을 제조하는 공정은 같으나, 용접철망의 구성은 망 눈의 치수(2)가 150m/m *150m/m의 정사각형으로, 표준치수 나비1,8m에 길이 1.8m로서, 가로선(3) 12가닥 과 세로선(4) 15가닥을 합한 27가닥으로 구성된 용접철망의 형상은
Figure 112007508793991-pat00019
형으로 절곡하여 돌출부에 요의 형상을 갖는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용접철망의 절곡된 형상이
Figure 112007508793991-pat00020
형으로 가로선(3)이 11가닥 과 세로선(4)이 15가닥으로 도합 26가닥으로 구성된 절곡하여 돌출부에 요의 형상을 갖는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사시도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철망에
Figure 112007508793991-pat00025
형으로 절곡하여 하단으로 지지대가 4곳 구성된 사시도 및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철망에
Figure 112007508793991-pat00026
형으로 절곡하여 하단으로 지지대가 4곳 구성된 사시도 및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철망에
Figure 112007508793991-pat00027
형으로 절곡하여 하단으로 지지대가 4곳 구성된 사시도 및 측면도,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철망에
Figure 112007508793991-pat00028
형으로 절곡하여 하단으로 지지대가 3곳 구성된 사시도 및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용접철망 2. 망눈의 치수 3. 세로선(나름철선)
4. 가로선(씨철선) 5. 절곡부 6. 절곡각도
7. 돌출길이 8. 지지대 9. 용접점 10. 절곡된 높이

Claims (1)

  1. 용접철망 1.8m *1.8m 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요부형을 상단으로 형성하여 철망의 지지대를 구성하도록 절단기 바로 앞에 절곡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절곡기의 절곡금형은 상단 절곡금형과 하단 절곡금형으로 2개의 요철형으로 구성하고, 상단 절곡금형은 오목 철부형으로 절곡기의 체대에 고정부착하고, 하단 절곡금형은 돌출 요부형으로 상, 하로 작동 가동되고, 하단의 절곡기의 체대에 고정부착하며, 전공정인 자동용접철망제조공정으로부터 이송되는 철망을 절곡하여 돌출 요부형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절곡금형을 상, 하의 요. 철 형상으로 제조하여, 절곡된 형상은
    Figure 112009039018879-pat00021
    형 또는
    Figure 112009039018879-pat00022
    형, 또는
    Figure 112009039018879-pat00023
    형, 또는
    Figure 112009039018879-pat00024
    형으로 구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 방법.
KR1020070110040A 2007-06-11 2007-10-31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방법 KR100926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56520 2007-06-11
KR1020070056520 2007-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889A KR20080108889A (ko) 2008-12-16
KR100926629B1 true KR100926629B1 (ko) 2009-11-11

Family

ID=40368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040A KR100926629B1 (ko) 2007-06-11 2007-10-31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092A (ko) * 2018-08-29 2020-03-10 주식회사 하이메쉬코리아 기능성 데크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349A (ko) * 2010-05-14 2010-06-23 기술뱅크(주)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 및 그 제조방법
KR102064747B1 (ko) * 2019-06-25 2020-01-13 (주)대청이엔지 격자형 철근 조립체 절곡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636U (ja) * 1992-08-31 1994-03-29 日興金網工業株式会社 溶接金網
KR200394568Y1 (ko) * 2005-06-01 2005-09-05 길인환 콘크리트 보강재용 유형 와이어 메시
KR100650316B1 (ko) * 2005-09-05 2006-11-29 김영춘 디자인 메쉬휀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636U (ja) * 1992-08-31 1994-03-29 日興金網工業株式会社 溶接金網
KR200394568Y1 (ko) * 2005-06-01 2005-09-05 길인환 콘크리트 보강재용 유형 와이어 메시
KR100650316B1 (ko) * 2005-09-05 2006-11-29 김영춘 디자인 메쉬휀스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092A (ko) * 2018-08-29 2020-03-10 주식회사 하이메쉬코리아 기능성 데크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77402B1 (ko) * 2018-08-29 2020-11-11 주식회사 하이메쉬코리아 기능성 데크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889A (ko) 200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629B1 (ko)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방법
KR100936618B1 (ko)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방법
CN207681389U (zh) 一种钢筋笼成型胎具
KR100843647B1 (ko) 굴곡부를 갖는 와이어메쉬의 자동 절곡성형장치
CN102936958B (zh) 工具式支架定位混凝土楼板上部钢筋的施工方法
CN111441509A (zh) 一种带保温空腔剪力墙的竖向插筋结构生产方法
KR101480275B1 (ko) 입체형 수평전단 연결재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슬래브 및 그 시공 방법
KR101196144B1 (ko) 지지대가 형성되는 용접철망의 제조 장치
CN107620422A (zh) 一种混凝土预制墙板
CN212336724U (zh) 一种高低跨模板支架
CN205502382U (zh) 预应力混凝土带肋叠合板
KR101202166B1 (ko)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
CN211333892U (zh) 一种预应力带肋混凝土叠合板生产线
KR102304359B1 (ko) 콘크리트 수로관용 와이어메쉬 제작방법 및 제작장치
CN210082029U (zh) 一种堵浆条及带有该堵浆条的成型模具
CN208323721U (zh) 一种十字拖具模具和十字拖具
CN208438547U (zh) 一种不同梁长通用的预制箱梁钢筋绑扎模具
CN204850195U (zh) 预埋有接线盒的压型钢板混凝土楼板
CN211806845U (zh) 一种可调节式四脚水泥马镫模具
CN209615937U (zh) 用于生产预应力水泥柱的模具装置
CN109914663A (zh) 一种楼面预制预应力双t板
CN215702637U (zh) 一种预制梁的新型生产模具
CN209907741U (zh) 一种多用途钢筋保护层垫块
JP5445988B1 (ja) ベタ基礎の立ち上り部形成用PCaでなるキット。
CN213946926U (zh) 一种用于混凝土管桩制作的钢筋固定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