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166B1 -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166B1
KR101202166B1 KR20100051932A KR20100051932A KR101202166B1 KR 101202166 B1 KR101202166 B1 KR 101202166B1 KR 20100051932 A KR20100051932 A KR 20100051932A KR 20100051932 A KR20100051932 A KR 20100051932A KR 101202166 B1 KR101202166 B1 KR 101202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fixing piece
binding structure
wire
de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5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2102A (ko
Inventor
박길순
유재순
정진석
Original Assignee
크린파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파워(주) filed Critical 크린파워(주)
Priority to KR20100051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166B1/ko
Publication of KR20110132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16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의 결속이 압착 방식에 의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로프 결속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로프 망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는,
일정한 폭의 띠 형태로 된 금속재의 것으로,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 반원형태의 함몰부(11)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되게 마련되고, 각 함몰부(11)의 일측 상부에 함몰부(11)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면서 굽힘 가공에 의해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2)가 마련된 고정편(10)과;
상기 고정편(10)의 각 함몰부(11)에 안착되는 것으로, 동일 직경의 와이어(21)가 꼬여서 된 와이어로프(20);로 이루어지되,
연속 배열되는 고정편(10)의 각 함몰부(11)에 와이어로프(20)가 안착된 이후 고정편(10)의 각 돌출부(12)가 와이어로프(20) 상면의 굴곡을 따라 압착됨으로써 고정편(10)상에 와이어로프(20)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 wire rope binding structure for production of wire rope mesh }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 결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로프의 결속이 압착 방식에 의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로프 결속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로프 망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 구조물의 신설 및 유지 보수 과정에서는 콘크리트 타설이 따르게 되는데, 콘크리트 타설 부위에는 콘크리트 타설 이전 철근과 같은 심재가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 부위의 내구성을 보강하고 있다.
한편, 최근의 건축 현장에서는 콘크리트 타설 부위의 심재로서 와이어로프로 된 망의 사용이 늘고 있고 있다.
와이어로프 망은 종방향 와이어와 횡방향 와이어가 격자 형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철근을 설치하는 것에 비해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굴곡 형성이 용이하여 다양한 건축 구조물의 신설 및 유지 보수 과정에 따르는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심재로서 폭 넓게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와이어로프 망에서 종방향 와이어와 횡방향 와이어는 각 교차 지점이 용접되거나 클립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결속이 이루어져 왔다.
종방향 와이어와 횡방향 와이어의 각 교차 저점을 용접하거나 클립으로서 결속하는 방법은 종방향 와이어와 횡방향 와이어를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기는 하였으나 양자 모두는 번거로움이 따르는 작업을 요하는 것이어서 와이어로프 결속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었으므로 결과적으로 와이어로프 망 제작의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와이어로프 결속 방법에서 용접에 의한 와이어 결속방법의 경우 와이어로프 용접 과정에서 가해지는 고열로 인하여 와이어로프 자체가 열변성이 발생하였으므로 와이어로프 자체가 갖는 애초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클립에 의한 결속의 경우 클립 제작에 별도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을 뿐 아니라 클립 이탈시 와이어로프의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관계인들은 와이어로프 망 제작 과정에서 간편하고 견고하게 와이어로프 망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로프 결속구조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에는 만족할만한 결과물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와이어로프의 결속이 압착 방식에 의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로프 결속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로프 망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는,
일정한 폭의 띠 형태로 된 금속재의 것으로,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 반원형태의 함몰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되게 마련되고, 각 함몰부의 일측 상부에 함몰부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면서 굽힘 가공에 의해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각 함몰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동일 직경의 와이어가 꼬여서 된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되,
연속 배열되는 고정편의 각 함몰부에 와이어로프가 안착된 이후 고정편의 각 돌출부가 와이어로프 상면의 굴곡을 따라 압착됨으로써 고정편상에 와이어로프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는 와이어로프가 고정편의 함몰부에 안착된 이후 고정편의 돌출부가 와이어로프 상면의 굴곡을 따라 압착됨으로써 고정편상에 와이어로프가 결속되는 것인바, 고정편의 돌출부를 압착하는 작업 외에 별도의 작업을 요하지 않는 것이므로 와이어로프 결속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와이어로프 망 제작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돌출부 압착 상태를 인위적으로 해제하지 않는 한 결속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어서 장기간 견고한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내구성이 우수한 와이어로프 망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를 적용한 와이어로프 망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에서 고정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에서 고정편을 통한 와이어로프 결속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가 적용된 와이어로프 망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에서 고정편의 결속을 통한 와이어로프 좌우 이격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는 고정편(10)과 와이어로프(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편(10)은 일정한 폭의 띠 형태로 된 금속재의 것으로,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 반원형태의 함몰부(11)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되게 마련된 것이고, 각 함몰부(11)의 일측 상부에 함몰부(11)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면서 굽힘 가공에 의해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2)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편(10)에서 함몰부(11)의 직경은 결속 대상이 되는 와이어로프(20)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편(10)에서 함몰부(11) 직경이 결속 대상이 되는 와이어로프(20)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결속 대상이 되는 와이어로프(20)가 함몰부(11)에 안착될 때 결속 대상이 되는 와이어로프(2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편(10)에서 돌출부(12)의 돌출 높이는 결속 대상이 되는 와이어로프(20) 둘레의 60-70%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편(10)에서 돌출부(12)의 돌출 높이가 결속 대상이 되는 와이어로프(20) 둘레의 60-70% 길이로 이루어짐으로써 돌출부(12)가 결속 대상이 되는 와이어로프(20) 상부 곡면을 따라 압착될 때 돌출부(12) 일측면이 결속 대상이 되는 와이어로프(20) 상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게 되므로 결속 대상이 되는 와이어로프(20)의 결속 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편(10)의 좌우 양단부와 함몰부(11)와 함몰부(11) 사이에는 통공(1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편(10)의 좌우 양단부와 함몰부(11)와 함몰부(11) 사이에 통공(13)이 마련됨으로써 통공(13)에 고정못(14)을 타정하여 고정편(10)을 콘크리트 타설 부위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정편(10)에서 함몰부(11)와 돌출부(12)를 포함하는 전체의 상면과 저면에는 미세한 요철(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편(10)에서 함몰부(11)와 돌출부(12)를 포함하는 전체의 상면과 저면에 미세한 요철(15)이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고정편(10) 상면과 저면에 콘크리트 몰탈의 점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로프(20)는 고정편(10)의 각 함몰부(11)에 안착되는 것으로, 동일 직경의 와이어(21)가 꼬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와이어로프(20)는 통상적인 것인바,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를 통한 와이어로프(20) 결속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와이어로프(20)가 고정편(10)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배열된다.
본 발명에서 고정편(10)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태로 된 함몰부(11)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되게 마련되어 있는바, 각 와이어로프(20)를 고정편상(10)의 각 함몰부(11)에 안착함으로써 간단히 고정편(10)상에 와이어로프(20)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배열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 와이어로프(20)는 롤상태로 권취된 상태에서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인바, 연속적인 와이어로프(20) 안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와이어로프(20)가 고정편(10)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배열된 상태에서 각 함몰부(11) 일측에 마련된 돌출부(12)가 안착상태의 와이어로프(20) 상면을 향해 압착된다.
각 함몰부(11)에 와이어로프(20)가 안착된 상태에서 돌출부(12)가 안착상태의 와이어로프(20) 상면을 향해 압착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 일측면이 와이어로프(20) 상면의 굴곡을 따라 압착되며 와이어로프(20)를 압박하게 되므로 와이어로프(20)는 저면이 함몰부(11) 내면과 밀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면이 돌출부(12) 내면과 밀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와이어로프(20)와 고정편(10)의 결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돌출부(12)의 압착 작업은 프레스 머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인바, 일 고정편(10)에 마련된 모든 돌출부(12)를 일시에 압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압력으로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일 고정편(10)의 돌출부(12) 압착이 완료된 이후 돌출부(12) 압착이 완료된 고정편(10)과 인접하는 차순위 고정편(10)의 돌출부(12) 압착을 연속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배열되는 고정편(10)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와이어로프(20)를 결속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와이어로프 망(100)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선순위 고정편(10)과 차순위 고정편(10)을 동일 방향으로 배열하여 돌출부(12)가 동일 방향에서 압착되며 와이어로프(20)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무방하나, 애초 선순위 고정편(10)과 인접하는 차순위 고정편(10)을 반대 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순위 고정편(10)의 돌출부(12) 방향을 함몰부(11) 기준 우측에 두고 차순위 고정편(10)의 돌출부(12) 방향을 함몰부(11) 기준 좌측에 두어 선순위 고정편(10)과 차순위 고정편(10)의 돌출부(12)가 서로 반대 방향에서 압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로프(2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우에서 압박을 받게 되므로 고정편(10)과의 결속 상태에서 좌우로의 이격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와이어로프(20) 결속 과정을 거쳐 제작된 와이어로프 망(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부위에 고정 설치된 이후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고정편(10)에는 통공(13)이 마련되어 있는바, 각 통공(13)을 통해 고정못(14)을 타침하게 되면 와이어로프 망(100)의 고정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건축 구조물의 신설 및 유지 보수에 뒤따르는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와이어로프 망(10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데, 고정편(10)의 상면과 저면에는 미세한 요철(15)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편 자체에의 콘크리트 몰탈 점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고정못(14)에 의해 고정된 고정편(10)의 돌출부(12)는 와이어로프(20)의 상단 곡면을 따라 압착된 상태에서 와이어로프(20) 상면을 굴곡을 따라 라운드를 이루게 되어 돌출부(12)를 제외한 고정편(10) 상면과 콘크리트 타설 부위의 기초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콘크리트 몰탈이 고정편(10) 상면과 콘크리트 타설 부위의 기초 사이로 침투할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 부위의 기초면에의 콘크리트 몰탈 점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이 더욱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고정편 11 : 함몰부
12 : 돌출부 13 : 통공
14 : 고정못 15 : 요철
20 : 와이어로프 21 : 와이어
100 : 와이어로프 망

Claims (3)

  1. 일정한 폭의 띠 형태로 된 금속재의 것으로,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 반원형태의 함몰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되게 마련되고, 각 함몰부의 일측 상부에 함몰부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면서 굽힘 가공에 의해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각 함몰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동일 직경의 와이어가 꼬여서 된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되,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열되는 상기 고정편의 각 함몰부에 상기 와이어로프가 안착된 이후 상기 고정편의 각 돌출부가 와이어로프 상면의 굴곡을 따라 압착되어 상기 고정편 상에 와이어로프가 결속되도록 하며,
    연속하여 배치된 고정편에 대하여, 선순위 고정편과 차순위 고정편을 동일 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동일 방향에서 압착되어 상기 와이어로프가 결속되도록 하거나, 상기 선순위 고정편과 차순위 고정편을 반대 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상기 선순위 고정편의 돌출부와 상기 차순위 고정편의 돌출부가 서로 반대 방향에서 압착되어 상기 와이어로프가 결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의 함몰부 직경은 결속 대상이 되는 와이어로프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돌출부의 돌출 높이는 결속 대상이 되는 와이어로프 둘레의 60-70%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의 좌우 양단부와 함몰부와 함몰부 사이에는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
KR20100051932A 2010-06-01 2010-06-01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 KR101202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1932A KR101202166B1 (ko) 2010-06-01 2010-06-01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1932A KR101202166B1 (ko) 2010-06-01 2010-06-01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102A KR20110132102A (ko) 2011-12-07
KR101202166B1 true KR101202166B1 (ko) 2012-11-15

Family

ID=45500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51932A KR101202166B1 (ko) 2010-06-01 2010-06-01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1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499A (ko) 2020-12-10 2022-06-17 정진석 ㄱ형으로 벤딩된 와이어로프 골조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 클립
KR20230061734A (ko) 2021-10-29 2023-05-09 정진석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결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1106U (ja) 1983-04-28 1984-11-15 株式会社 キタイ製作所 棒状物品の並設用連結具
JP2006219838A (ja) 2005-02-08 2006-08-24 Yoshiyuki Ogushi 補強鉄筋支持具、及び補強鉄筋支持具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躯体の補強方法、コンクリート躯体の補強構造
KR100657205B1 (ko) 2004-05-06 2006-12-14 주식회사 청림테크 와이어로프 체결용 박판스프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1106U (ja) 1983-04-28 1984-11-15 株式会社 キタイ製作所 棒状物品の並設用連結具
KR100657205B1 (ko) 2004-05-06 2006-12-14 주식회사 청림테크 와이어로프 체결용 박판스프링
JP2006219838A (ja) 2005-02-08 2006-08-24 Yoshiyuki Ogushi 補強鉄筋支持具、及び補強鉄筋支持具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躯体の補強方法、コンクリート躯体の補強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499A (ko) 2020-12-10 2022-06-17 정진석 ㄱ형으로 벤딩된 와이어로프 골조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 클립
KR20230061734A (ko) 2021-10-29 2023-05-09 정진석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결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2569279B1 (ko) * 2021-10-29 2023-08-21 정진석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결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102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9393B2 (en) Masonry reinforcing tie
KR101202166B1 (ko) 와이어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로프 결속구조
KR20130100665A (ko) 3조각 하이브리드 빔 및 그 제조방법
CN111441509A (zh) 一种带保温空腔剪力墙的竖向插筋结构生产方法
KR100658832B1 (ko) 비용접 고정식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60185310A1 (en) Arrangement of truss cords
KR101480275B1 (ko) 입체형 수평전단 연결재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슬래브 및 그 시공 방법
JP4541592B2 (ja) 段差スラブ成形用コンクリート版及びこれを用いた段差スラブ構造
KR20160086435A (ko) 프리스트레스트 도입과 절곡스터럽을 이용한 거더교 콘크리트 데크
KR101994089B1 (ko) 인발전단메쉬부재가 구성되며 넓은 폭을 갖는 현장 타설용 하프 pc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KR20090057505A (ko)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방법
ITBO20080144A1 (it) Pannello per la realizzazione di un solaio o simile.
KR100926629B1 (ko)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방법
JP2013163954A (ja) 中空コンクリート基盤の施工方法
JP2016079695A (ja) 梁の構築方法および梁用プレキャスト板
JP6411836B2 (ja) 既設構造物と取替用部材との接合方法及び構造
CN209989959U (zh) 混凝土后浇板钢筋预留装置
KR102569279B1 (ko)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결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59663A (ko)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360212Y1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CN103213190B (zh) 预应力梁制造台模
KR20090003892A (ko) 휀스용 복합무늬철망의 제조방법
JPH1010266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876768B2 (ja) 断面欠損用部材の固定器具
JP3979585B2 (ja) 溶接鉄筋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