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600B1 -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600B1
KR100926600B1 KR1020090025185A KR20090025185A KR100926600B1 KR 100926600 B1 KR100926600 B1 KR 100926600B1 KR 1020090025185 A KR1020090025185 A KR 1020090025185A KR 20090025185 A KR20090025185 A KR 20090025185A KR 100926600 B1 KR100926600 B1 KR 100926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immon
drying
porcelain
dried
dy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열
Original Assignee
김병열
이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열, 이몽숙 filed Critical 김병열
Priority to KR1020090025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6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은 도자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감에서 추출한 감물을 흙의 부피를 기준으로 10%를 흙에 넣고 반죽하는 반죽단계, 상기 반죽단계에서 반죽된 반죽흙을 도자기 형상으로 형성한 뒤에 이를 그늘에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도자기를 1200℃ ∼ 1300℃의 온도로 소성하는 소성단계, 상기 소성단계에서 소성된 도자기의 표면에 감물로 감칠한 뒤에 이를 건조하는 것을 다수회 반복하는 감칠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도자기는 감물의 색상이 용이하게 착색되고, 도자기의 표면에 감물을 용이하게 칠하며, 감의 유익한 성분을 인하여 도자기 주위의 실내를 아토피 피부염 등을 일으키는 유해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감칠, 도자기, 감칠도자기,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

Description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Manufacture Method Of Chinaware}
본 발명은 감물을 도자기의 표면에 칠한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물의 색상을 도자기에 용이하게 착색하고 도자기의 표면에 감물을 용이하게 칠하며, 감의 유익한 성분을 인하여 도자기 주위의 실내를 아토피 피부염 등을 일으키는 유해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의 제작방법은 고령토, 점토, 사토 및 황토를 섞어서 반죽한 뒤, 이 반죽물을 수작업 또는 형틀을 이용하여 성형하고, 이 성형물을 700℃ ∼ 800℃의 온도로 초벌구이하며, 초벌구이를 실시한 성형물을 유약으로 유약 처리한 후에 다시 1200℃ ∼ 1300℃의 온도로 재벌구이를 실시하여 완성된 도자기를 제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약은 규석, 장석, 석회석, 바륨, 아연, 티타늄을 소정량의 물에 투입되어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수작업으로 초벌구이한 성형물을 담그거나 기계적으로 성형물에 분사하게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도자기를 만들 때, 초벌 및 재벌시 가마온도는 최대한 빠른 시간에 적정온도로 상승시킨 다음, 최대한 빠른 시간에 온도를 낮추는 과정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감물 또는 천연염료로 도자기의 색상을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천연 색상의 아름다움을 도자기 애용가에게 제공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물의 색상을 도자기에 용이하게 착색하고 도자기의 표면에 감물을 용이하게 칠하며, 감의 유익한 성분을 인하여 도자기 주위의 실내를 아토피 피부염 등을 일으키는 유해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은 도자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감에서 추출한 감물을 흙의 부피를 기준으로 10%를 흙에 넣고 반죽하는 반죽단계, 상기 반죽단계에서 반죽된 반죽흙을 도자기 형상으로 형성한 뒤에 이를 그늘에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도자기를 1200℃ ∼ 1300℃의 온도로 소성하는 소성단계, 상기 소성단계에서 소성된 도자기의 표면에 감물로 감칠한 뒤에 이를 건조하는 것을 다수회 반복하는 감칠단계로 이루어지는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도자기는 감물의 색상이 용이하게 착색되고, 도자기의 표면에 감물을 용이하게 칠하며, 감의 유익한 성분을 인하여 도자기 주위의 실내를 아토피 피부염 등을 일으키는 유해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은 감물을 이용하여 도자기를 제조하는 것으로, 우선 반죽단계에서 감에서 추출한 감물을 흙의 부피를 기준으로 10%를 흙에 넣고 반죽하게 된다.
이 때 우리나라에서 감의 크기가 지름 3cm일 때 즉 7월 경에 탄닌 성분이 가장 강한 시기에 감을 수확하게 되며, 이와 같이 수확된 감을 이용하여 감물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감물과 흙을 혼합 반죽한 감물흙을 사용하는 것은 도자기에 근분적으로 감물을 착색하기 위한 것이며, 이렇게 제조되는 반죽흙을 이용하여 건조단계에서 도자기 형상으로 형성한 뒤에 이를 그늘에 건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햇볕이 없는 서늘한 그늘에서 건조하는 것은 탄닌 성분이 햇볕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도자기를 소성단계에서 1200℃ ∼ 1300℃의 온도로 소성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성단계에서 소성된 도자기 의 표면에 감물로 감칠한 뒤에 이를 건조하는 것을 다수회 반복하는 감칠단계를 포함한다.
더우기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감칠단계에서 감칠과 건조를 반복하여 도자기 표면에 두텁게 감칠하는 것인 바, 일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성단계에서 나오는 도자기의 표면을 감물로 1차 감칠한 뒤에 자연 건조하고, 1차로 감칠 건조된 도자기의 표면에 2차로 감칠한 뒤에 70℃의 온도로 3시간동안 가열 건조한다.
그리고 2차로 감칠 건조된 도자기의 온도를 70℃로 유지하면서 3차로 감칠하여 200℃온도로 5시간동안 가열 건조하는 것이다.
여기서 3차로 감칠할 때, 2차로 감칠 건조된 도자기의 온도를 70℃로 유지하면서 다시 감칠하는 이유는 칠의 두께를 최대한 두텁게 하면서 칠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도자기는 통상적으로 감물의 색상인 갈색을 나타내는 것인데, 색상을 더욱 다양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감칠단계에 사용되는 감물에 치자염료, 소목염료, 오배자염료, 쪽물염료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천연염료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치자염료와 감물을 혼합하면 노란색으로 감칠할 수 있고, 소목염료와 감물을 혼합하면 빨간색으로 감칠할 수 있고, 오베자염료와 감물을 혼합하면 회색으로 감칠할 수 있으며, 쪽물염료와 감물을 혼합하면 푸른색으로 감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천연염료에 의해 다양한 색상이 표현된 도자기를 원활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천염염료 이외에도 다양한 색상을 구비한 천연염료를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도자기 자체에도 감물이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감칠을 원활하게 하여 감칠도자기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감에서 추출한 감물을 흙의 부피를 기준으로 10%를 흙에 넣고 반죽하는 반죽단계, 상기 반죽단계에서 반죽된 반죽흙을 도자기 형상으로 형성한 뒤에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도자기를 1200℃ ∼ 1300℃로 소성하는 소성단계, 상기 소성단계에서 소성된 도자기의 표면에 감물로 감칠하는 것과 건조를 다수회 반복하는 감칠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칠단계는 상기 소성단계에서 나오는 도자기의 표면을 감물로 1차 감칠한 뒤에 자연 건조하고, 1차로 감칠 건조된 도자기의 표면에 2차로 감칠한 뒤에 70℃로 3시간동안 가열 건조하며, 2차로 감칠 건조된 도자기의 온도를 70℃로 유지하면서 3차로 감칠하여 200℃로 5시간동안 가열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칠단계에 사용되는 감물에 치자염료, 소목염료, 오배자염료, 쪽물염료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천연염료를 혼합하여 감칠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20090025185A 2009-03-23 2009-03-23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0926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185A KR100926600B1 (ko) 2009-03-23 2009-03-23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185A KR100926600B1 (ko) 2009-03-23 2009-03-23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600B1 true KR100926600B1 (ko) 2009-11-11

Family

ID=4156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185A KR100926600B1 (ko) 2009-03-23 2009-03-23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6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4112A (zh) * 2014-04-23 2014-07-30 黄冈市华窑中启窑炉科技有限公司 用于太阳能多晶硅石英坩埚的生产工艺及其养护干燥设备
KR20190018861A (ko) * 2017-08-16 2019-02-26 안용학 친환경 채색 코팅을 갖는 도기 오카리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1351A (ja) * 1993-01-25 1994-09-27 Eguchi Koichiro やきもの及びセメント製品の製造法
JP2005119937A (ja) 2003-10-16 2005-05-12 Yuki Kikaku:Kk 貝殻と柿渋で創る擬石タイル又はブリック。
KR200421061Y1 (ko) 2006-04-07 2006-07-10 전흥자 납골함
KR100837850B1 (ko) * 2007-06-12 2008-06-13 동서산업주식회사 토양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1351A (ja) * 1993-01-25 1994-09-27 Eguchi Koichiro やきもの及びセメント製品の製造法
JP2005119937A (ja) 2003-10-16 2005-05-12 Yuki Kikaku:Kk 貝殻と柿渋で創る擬石タイル又はブリック。
KR200421061Y1 (ko) 2006-04-07 2006-07-10 전흥자 납골함
KR100837850B1 (ko) * 2007-06-12 2008-06-13 동서산업주식회사 토양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4112A (zh) * 2014-04-23 2014-07-30 黄冈市华窑中启窑炉科技有限公司 用于太阳能多晶硅石英坩埚的生产工艺及其养护干燥设备
KR20190018861A (ko) * 2017-08-16 2019-02-26 안용학 친환경 채색 코팅을 갖는 도기 오카리나
KR101959249B1 (ko) * 2017-08-16 2019-03-18 안용학 친환경 채색 코팅을 갖는 도기 오카리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600B1 (ko) 감칠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0908305B1 (ko) 결정유 도자기 제조방법
CN105601110A (zh) 黑色银滴还原窑变釉及用其制备的黑色银滴还原窑变釉陶瓷制品及制备方法
KR101138140B1 (ko) 도자기의 페인팅 방법
KR101014114B1 (ko) 음이온 방사기능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CN105174971A (zh) 绞胎陶瓷的制备方法
CN101367642A (zh) 一种二次烧成的釉下彩陶瓷生产方法
FI127951B (en) A method for preparing a naturally-cooled pottery vessel
KR101295499B1 (ko) 도자기 제조방법
CN105686619B (zh) 养生陶瓷锅具生产工艺
KR20090099023A (ko) 우 분뇨를 이용한 청자 유약 조성물
KR940006436B1 (ko) 황금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0408756B1 (ko) 점토 및 고령토 벽돌용 분장소지 조성물
CN112457059A (zh) 一种用于釉下和釉中颜色底上进行书画的色料及其应用方法
CN103570338A (zh) 一种低温节能一遍烧成红土绘彩上釉陶制品的制造方法
KR100320400B1 (ko) 도자기 제조방법
KR101103219B1 (ko) 벽돌의 제조방법
CN101759396B (zh) 可塑免烧陶
CN110092647B (zh) 一种定窑黑釉描金艺术瓷板
CN110053134A (zh) 陶瓷工艺品的制作方法
KR20050071440A (ko) 참숯이 혼합된 생활 도자기의 제조방법
CN1053432C (zh) 平面网釉陶瓷及其制作方法
KR20040058820A (ko)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190083798A (ko) 채색 도자기 제조 방법
KR20090054420A (ko) 도자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