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862B1 -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862B1
KR100924862B1 KR1020070133909A KR20070133909A KR100924862B1 KR 100924862 B1 KR100924862 B1 KR 100924862B1 KR 1020070133909 A KR1020070133909 A KR 1020070133909A KR 20070133909 A KR20070133909 A KR 20070133909A KR 100924862 B1 KR100924862 B1 KR 100924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hard mask
gate contact
flash
o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6405A (ko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070133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862B1/ko
Publication of KR20090066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82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123Lithography-related aspects, e.g. sub-lithography lengths; Isolation-related aspects, e.g. to solve problems arising at the crossing with the side of the device isolation; Planarisation aspects
    • H01L21/28141Lithography-related aspects, e.g. sub-lithography lengths; Isolation-related aspects, e.g. to solve problems arising at the crossing with the side of the device isolation; Planarisation aspects insulating part of the electrode is defined by a sidewall spacer, e.g. dummy spacer, or a similar technique, e.g. oxidation under mask, p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63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 H01L21/67075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for wet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플래시 게이트 콘택을 형성하기 위해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을 증착하고, 플로팅 게이트 폴리 실리콘(FG Poly)과, 게이트 절연막(ONO), 콘트롤 게이트 폴리 실리콘(CG Poly)을 차례로 형성하고, 게이트 콘택 패턴의 형성을 위해 하드마스크를 증착하고, 하드마스크 표면에 게이트 콘택 포토레지스트를 증착하며,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하여 하드마스크 패터닝을 수행하고, 열산화 공정을 통하여 잔존하는 상기 하드마스크에 대응하는 두께로 산화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며, 잔존 하드마스크 및 측면 스페이서 산화막 제거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래시 소자의 제조 공정 시 게이트 콘택의 패터닝 이후, 잔존하는 TEOS를 제거하는 경우, VPC 공정에 의한 게이트 절연막(ONO)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플래시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키며, 제조 공정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 소자, 게이트 콘택, 하드마스크

Description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FLASH DEVICE FABRICATION METHOD}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콘택을 구성하는 경우, 게이트 콘택 패턴(pattern)의 형성 시 발생되는 하부 산화막/질화막/상부 산화막이 적층된 게이트 절연막(ONO, Oxide/Nitride/Oxide)의 손상 방지를 수행하는데 적합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공정시 게이트 콘택(GC:Gate Contact)의 구성은, 터널 산화막(Tunnel Oxide), 플로팅 게이트 폴리 실리콘(FG POLY:Floating Gate Poly), 게이트 절연막(ONO:Oxide/Nitride/Oxide), 콘트롤 게이트 폴리 실리콘(CG POLY)이 차례로 증착된 다층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높은 게이트 콘택 스택은 게이트 콘택 반응성 이온 식각(RIE:reactive ion etching) 공정에서 한번의 건식 식각(Dry Etch) 공정을 통하여 게이트 콘택 패턴을 형성하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게이트 콘택 PEP(Photo Engraving Process, 이른바 photo-lithography)를 이용하여 형성된 게이트 콘택 하드 마스크(Hard Mask)(Oxide)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게이트 콘택 하드 마스크는, 게이트 콘택 반응성 이온 식각 패턴 후 제거하는 VPC(불화수소 증기(HF Vapor)를 이용한 습식 식각 공정)공정 시 게이트 콘택 스택의 게이트 절연막(ONO)층의 산화막에 대한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래시 소자의 단면에서 게이트 콘택에 발생된 데미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공정에서 게이트 콘택의 반응이온 식각시에 발생하는 게이트 콘택 스택의 플라즈마 식각 손상(100)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플래시의 게이트 콘택 패턴은, 게이트 콘택 하드 마스크 공정을 이용한 게이트 콘택 반응성 이온 식각 공정 이 후 잔존하는 게이트 콘택 하드 마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VPC 공정을 하게 되지만, VPC 공정이 등방성 습식 식각(Wet Etch) 공정이므로 게이트 콘택 스택의 게이트 절연막(ONO)에 손상(100)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식에 있어서, 게이트 콘택을 구성하는 경우, 게이트 콘택의 산화막을 이용한 게이트 콘택의 패턴 형성 시 발생하게 되는 게이트 절연막의 손상은 플래시 소자의 중요한 전기적 특성 중에 하나인 커플링비(C/R:coupling ratio)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시 게이트 콘택의 스택을 형성하는 경우 게이트 절연막(ONO)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 콘택의 스택 형성시, 게이트 콘택의 패턴 이후 잔존하는 TEOS에 대응하는 두께로 산화막 스페이서를 형성한 후, VPC 공정을 수행하여 표면의 TEOS 및 산화막 스페이서를 제거하여, 게이트 콘택 패턴의 형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게이트 절연막(ONO)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방법은, 플래시 게이트 콘택을 형성하기 위해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을 증착하고, 플로팅 게이트 폴리 실리콘(FG Poly)과, 게이트 절연막(ONO), 콘트롤 게이트 폴리 실리콘(CG Poly)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콘택 패턴의 형성을 위해 하드마스크를 증착하고, 상기 하드마스크 표면 에 게이트 콘택 포토레지스트를 증착하는 단계;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하드마스크 패터닝을 수행하는 단계; 열산화 공정을 통하여 잔존하는 하드마스크에 대응하는 두께로 산화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잔존 하드마스크 및 측면 스페이서 산화막 제거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플래시 소자의 제조 공정 시 게이트 콘택의 패터닝 이후, 잔존하는 TEOS를 제거하는 경우, VPC 공정에 의한 게이트 절연막(ONO)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SPA 산화막과, VPC 공정을 통하여 게이트 콘택의 임계면적(CD) 조절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플래시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키며, 제조 공정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시 게이트 콘택의 스택을 형성하는 경우 게이트 절연막(ONO)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게이트 콘택의 스택 형성 시, 게이트 콘택의 패턴 이후 잔존하는 하드마스크 TEOS에 대응하는 두께로 산화막 스페이서(Oxidation Spacer)를 형성한 후, VPC 공정(불화수소 계열의 증기(HF Vapor)를 이용한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표면의 TEOS 및 산화막 스페이서를 제거함으로써, 게이트 콘택 패턴의 형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게이트 절연막(ONO)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즉, 게이트 콘택의 패턴 이후 열산화 공정을 진행하여 잔존하는 하드마스크 TEOS 두께 정도의 산화막 스페이서를 형성함으로서, 후속 VPC 공정에서 잔존 하드마스크 TEOS를 제거하는 경우, 게이트 절연막(ONO) 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90nm 이하의 작은 게이트 콘택의 임계면적(CD) 형성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소자의 게이트 콘택을 형성하는 공정단계를 나타낸 공정 수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플래시 메모리 제조 시 플래시 게이트 콘택을 형성하기 위해 반도체 기판(100)상에 터널 산화막(102)을 증착하고, 플로팅 게이트 폴리 실리콘(104)와, 게이트 절연막(106)와, 콘트롤 게이트 폴리 실리콘(108)을 차례로 형성한다.
여기서 플로팅 게이트 폴리 실리콘(104)으로서, 플로팅 게이트는 데이터의 프로그램 및 소거시 터널 산화막(102)의 전하 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터널링 소오스로 제공되며, 통상 도핑된 폴리실리콘(104)으로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막(106)은 플로팅 게이트 내에 저장된 전하를 보존하는 역할을 하며, 통상 하부 산화막/질화막/상부 산화막이 적층된 ONO막으로 형성한다.
콘트롤 게이트 폴리 실리콘 실리콘(108)으로서, 컨트롤 게이트는 데이터의 프로그램 및 소거시 기판의 전자들을 플로팅 게이트로 이동시키거나, 플로팅 게이트 내의 전자들을 기판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전압이 인가되는 층으로서, 저항을 낮추기 위하여 폴리 실리콘과 금속 실리사이드가 적층된 폴리사이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콘트롤 게이트 폴리 실리콘(108)의 상부에는 게이트 콘택 패턴의 형성을 위해 추가로 하드마스크로서 TEOS(Tetra-ethyl-ortho-silicate)(110)를 증착한 후, 게이트 콘택 포토레지스트(112)를 게이트 콘택 패턴을 형성할 영역에 증착한 후, 게이트 콘택 포토레지스트(112)를 PEP공정을 이용하여 하드마스크 패터닝을 수행한다. 이에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콘택 하드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 게이트 콘택 반응성 이온 식각(RIE)을 통하여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콘택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콘택의 패턴을 형성한 후, 열산화 공정을 진행하여 잔존하는 하드마스크(110) 두께 정도의 산화막 스페이서(114)를 형성한다. 이후, 도 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VPC 공정을 통하여 잔존한 하드마스크(1100)와, 측면 산화막 스페이서(114)를 제거함으로써, 게이트 절연막(ONO) 층(106)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며, 90nm 이하의 작은 게이트 콘택의 임계면적(CD) 형성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시 게이트 콘택의 스택을 형성하는 경우 게이트 절연막(ONO)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게이트 콘택의 스택 형성 시, 게이트 콘택의 패턴 이후 잔존하는 TEOS에 대응하는 두께로 산화막 스페이서를 형성한 후, VPC 공정(불화수소 증기(HF Vapor)를 이용한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표면의 TEOS 및 산화막 스페이서를 제거함으로써, 게이트 콘택 패턴의 형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게이트 절연막(ONO)의 손상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래시 소자의 단면에서 게이트 콘택에 발생된 데미지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소자의 게이트 콘택을 형성하는 공정단계를 나타낸 공정 수순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4)

  1. 플래시 게이트 콘택을 형성하기 위해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을 증착하고, 플로팅 게이트 폴리 실리콘(FG Poly)과, 게이트 절연막(ONO), 콘트롤 게이트 폴리 실리콘(CG Poly)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트롤 게이트 폴리 실리콘 상에 TEOS막으로 하드마스크를 증착하고, 상기 하드마스크 표면에 게이트 콘택 포토레지스트를 증착하는 단계;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하드마스크 패터닝을 수행하여 게이트 콘택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열산화 공정을 통하여 잔존하는 하드마스크에 대응하는 두께로 상기 게이트 콘택 패턴의 측면에 산화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및
    HF 계열의 증기를 이용한 습식 식각(VPC)으로 상기 잔존하는 하드마스크 및 산화막 스페이서의 제거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잔존하는 하드마스크 및 산화막 스페이서의 제거 공정을 통하여 게이트 콘택 임계면적(CD) 조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70133909A 2007-12-20 2007-12-20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924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909A KR100924862B1 (ko) 2007-12-20 2007-12-20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909A KR100924862B1 (ko) 2007-12-20 2007-12-20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405A KR20090066405A (ko) 2009-06-24
KR100924862B1 true KR100924862B1 (ko) 2009-11-02

Family

ID=4099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909A KR100924862B1 (ko) 2007-12-20 2007-12-20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8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975B1 (ko) * 2009-08-05 2016-01-15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임베디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CN102891149A (zh) * 2012-09-25 2013-01-23 北京大学 浮栅闪存器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382A (ko) * 2001-06-29 2003-0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382A (ko) * 2001-06-29 2003-0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405A (ko)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033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1221598B1 (ko) 유전막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제조방법.
KR100554516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10381358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8504679A (ja) ナノクラスタ電荷蓄積デバイスを形成する方法
US7811888B2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4104125A (ja) 不揮発性メモリ装置の製造方法
TWI332253B (en) Memory cel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924862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001466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US20190088486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JP4391354B2 (ja) 側壁方式を用いたフラッシュメモリの形成方法
US2009014291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20080054338A1 (en) Flash memory device
KR100827441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9017026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KR100986632B1 (ko) 플래시 메모리의 컨트롤 게이트 제조방법
KR20190093880A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용 게이트 구조물의 형성 방법
TWI478293B (zh) 非揮發性記憶元件的製造方法
JP2005166714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652349B1 (ko) 자기 정렬 소노스 메모리 셀 제조 방법
US7071085B1 (en) Predefined critical spaces in IC patterning to reduce line end pull back
KR100192442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51431B1 (ko) 플래쉬 메모리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100823694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플로팅 게이트 구조물의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