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229B1 - 도광판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광판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229B1
KR100924229B1 KR1020030015673A KR20030015673A KR100924229B1 KR 100924229 B1 KR100924229 B1 KR 100924229B1 KR 1020030015673 A KR1020030015673 A KR 1020030015673A KR 20030015673 A KR20030015673 A KR 20030015673A KR 100924229 B1 KR100924229 B1 KR 100924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mper
mold
light guide
guide plat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0718A (ko
Inventor
이홍수
황재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229B1/ko
Priority to US10/742,803 priority patent/US7293973B2/en
Publication of KR20040080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718A/ko
Priority to US11/979,930 priority patent/US2008009375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탬퍼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도광판의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장치는 도광판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스탬퍼와, 상기 스탬퍼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스탬퍼를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형성되는 제1 및 제2 측면금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광판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Light Guide Panel}
도 1은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광판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광판의 다른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광판의 또 다른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 측면금형을 상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 측면금형과 하부스탬퍼의 조립방법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측면금형을 상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램프 12 : 도광판
14 : 램프 하우징 16 : 반사판
18 : 확산시트 20, 22 : 프리즘시트
24 : 보호필름 32,34,82,84 : 금형
36,38,86,88 : 고정부 40,70,90 : 측면금형
44,94 : 공기 흡입관 46,72,96 : 스탬퍼
48,98 : 스크류 66 : 스크류홈
본 발명은 도광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탬퍼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도광판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함)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다수의 액정셀들과 이들 액정셀들 각각에 공급될 비디오 신호를 절환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용 스위치들로 구성된 액정패널에 의해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에서 공급되는 광의 투과량이 조절되어 화면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발생시키는 램프(10)와, 램 프(10)가 장착된 램프하우징(14)과, 램프(1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도광판(12), 도광판(12) 상에 부착되어 표시패널 쪽으로 입사되는 광효율을 높이기 위한 광학시트들(18,20,22,24)과, 도광판(12)의 배면에 부착되어 도광판(12)의 후면으로 방출되는 광을 표시패널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16)를 구비한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 상에 도시되지 않은 표시패널이 위치하며, 표시패널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여 화상을 구현한다.
램프(10)로는 주로 냉음극 형광램프가 사용되며, 램프(10)에서 발생된 광은 도광판(12)의 측면에 존재하는 입사면을 통해 도광판(12)에 입사된다.
램프 하우징(14)은 램프(10)를 감싸는 형태로 내면에 반사면을 갖도록 설치되어 램프(10)로부터의 광을 도광판(12)의 입사면 쪽으로 반사시킨다.
도광판(12)은 램프(1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면광원으로 전환하게 된다. 이러한 도광판(12)은 경사진 하면과 수평인 상면을 가지며 도광판(12)의 입사면과 출사면이 직각을 이루도록 제작된다. 도광판(12)의 배면에는 반사판(16)이 대면되도록 설치된다. 도광판(12)은 램프(10)로부터 입사된 광이 램프(10)와 거리가 먼 곳까지 광이 도달되도록 한다. 도광판(12)은 일반적으로 강도가 높아 쉽게 변형되거나 깨지지 않으며 투과율이 좋은 PMMA(Polymethylmethacrylate)로 형성된다.
반사판(16)은 도광판(12)의 배면을 통해 자신에게 입사되는 광을 도광판(12) 쪽으로 재반사시킴으로써 광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램프(10)로부터의 광이 도광판(12)에 입사되면 경사면인 배면에서 소정 경사각으로 반사되어 출사면 쪽으로 균일하게 진행하게 된다. 이때, 도광판(12)의 하면 및 측면으로 진행한 광은 반사판(16)에 반사되어 출사면 쪽으로 진행하게 된다. 도광판(12)의 출사면을 경유하여 출사된 광은 확산시트(18)에 의해 전영역으로 확산되게 된다. 한편, 액정패널에 입사되는 광은 수직을 이룰 때 광효율이 커지게 된다. 이를 위해, 도광판(12)에서 출사된 광의 진행각도를 액정패널과 수직을 이루도록 프리즘시트(20, 22)를 2매 적층한다.
제1 및 제2 프리즘시트(20, 22)는 산과 골을 가지는 다수의 프리즘 막대 형태로 이루어진다. 두 프리즘시트(20, 22)는 확산시트(18)로부터 출사된 광을 화면에 수직방향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보호필름(24)은 제2 프리즘시트(22)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광의 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도 한다.
한편, 종래 도광판(12)에는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면 및 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12)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조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도광판 제조장치는 도광판(12)의 상면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금형(32)과, 측면금형(40) 및 상부금형(32)과 함께 사출성형기의 금형을 이루며 도광판(12)의 하면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하부금형(34)과, 상부금형(32), 하부금형(34) 및 측면금형(40)을 외부에서 고정하는 제1 및 제2 고정부(36,38)를 구비한다. 상부금형(32) 및 하부금형(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도광판(12)의 광학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패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 패턴은 절삭가공 또는 부식방법등을 통해 상부금형(32) 및 하부금형(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직접 가공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도광판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금형(32) 및 하부금형(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패턴은 절삭가공 또는 부식방법을 통해서는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광판을 형성하는데는 상부금형제작, 패턴형성, 하부금형제작 등 약 2개월정도의 제작기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도광판 제조장치가 제안되었다.
도 3에 도시된 도광판 제조장치는 상부금형(32)에 부착되어 도광판(12)의 상면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스탬퍼(46)와, 공기흡입력으로 스탬퍼(46)를 상부금형(32)에 부착시키는 공기 흡입관(44)과, 상부금형(32)의 측부에 위치하여 스탬퍼(46)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스탬퍼 고정편(42)을 구비한다. 스탬퍼(46)에는 도광판의 상면의 패턴을 결정하는 출사패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금형(34)에는 절삭가공 또는 부식방법 등을 통해 도광판의 하면의 패턴을 결정하는 배면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탬퍼(46)를 이용한 도광판 제조장치는 상부금형(32)에 스탬퍼(46)를 부착함으로써 도광판의 제작기간이 단축되지만 하부금형(34)에 스탬퍼를 조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하부금형(34)에 스탬퍼(46)를 조립할 경우, 스탬퍼(46)를 고정시키기 위한 공기흡입관(44)들이 추가로 필요해 도광판 제조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도광판 제조장치가 제안되었다.
도 4에 도시된 도광판 제조장치는 스크류(48)에 의해 하부금형(34)에 고정된 하부스탬퍼(28)를 구비한다. 하부스탬퍼(28)와 상부금형(32)에 부착된 상부스탬퍼(46)에는 각각 도광판의 하면패턴과 상면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패턴들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스탬퍼(28)는 공기흡입관없이 고정되기 위해서 약 4~8mm 두께로 형성되어 스크류(48)로 고정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도광판 제조장치의 하부스탬퍼(28)는 공기흡입관없이 고정되기 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므로 박판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하부스탬퍼(28)의 두께가 두꺼우므로 하부스탬퍼(28)의 패턴형성을 하는데 제작기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탬퍼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도광판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장치는 도광판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스탬퍼와, 상기 스탬퍼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스탬퍼를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형성되는 제1 및 제2 측면금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광판의 제조장치는 제1 측면금형, 스탬퍼 및 제2 측면금형의 일부를 관통하는 스크류홈과, 상기 스크류홈에 삽입되어 상기 스탬퍼와 제1 및 제2 측면금형을 고정하는 스크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탬퍼는 약 0.3~1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탬퍼에는 상기 도광판의 하면의 패턴을 결정하는 돌기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패턴은 상기 금형과 중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광판의 제조장치는 상기 제2 측면금형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스탬퍼가 부착되는 제1 금형과, 상기 제1 금형과 제1 및 제2 측면금형을 외부에서 고정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도광판의 상면의 패턴을 결정하는 제2 스탬퍼와, 상기 제2 스탬퍼가 부착된 제2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을 외부에서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스탬퍼는 공기흡입관에 의해 상기 제2 금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장치는 도광판의 패턴을 결정하기 위해 소정패턴이 형성된 스탬퍼와, 상기 스탬퍼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스탬퍼의 소정패턴이 비형성된 영역과 접촉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측면금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광판의 제조장치는 상기 측면금형과 금형의 일부를 관통하는 스크류홈과, 상기 스크류홈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금형과 금형을 고정하는 스크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탬퍼는 약 0.3~1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방법은 도광판 의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스탬퍼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스탬퍼를 제1 측면금형과 하부금형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 측면금형 사이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스탬퍼가 고정된 하부금형과 제2 스탬퍼가 고정된 상부금형을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도광판재료를 주입하여 도광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스탬퍼를 제1 측면금형과 제2 측면금형 사이에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측면금형, 제1 스탬퍼, 제2 측면금형의 일부를 관통하는 스크류홈에 스크류를 삽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방법은 도광판의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스탬퍼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스탬퍼를 절곡된 측면금형을 이용하여 하부금형상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스탬퍼가 고정된 하부금형과 제2 스탬퍼가 고정된 상부금형을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도광판재료를 주입하여 도광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 제조장치는 도광판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상/하부 스탬퍼(96,72)와, 상/하부 스탬퍼(96,72)가 각각 부착된 상/하부금형(82,84)과, 하부스탬퍼(72)를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형성되는 측면금형(70,90)과, 상부금형(82)과 하부금형(84)을 각각 외부에서 고정하는 제1 및 제2 고정부(86,88)를 구비한다.
상부스탬퍼(96)에는 도광판의 상면의 패턴모양을 결정하기 위한 패턴들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스탬퍼(96)에는 도광판의 상면에 요철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홈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금형(82)과 접촉하는 상부스탬퍼(96)의 일면에는 공기흡입관(94)에 연결된 다수의 공기 흡입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즉, 공기흡입관(94)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흡입장치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면 상부스탬퍼(96)는 공기흡입력에 의해 상부금형(82)에 부착된다.
하부스탬퍼(72)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의 하면의 패턴모양을 결정하기 위한 패턴들(74)이 하부금형(84)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스탬퍼(72)는 제1 및 제2 측면금형(70,90) 사이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 하부스탬퍼(72)는 상부스탬퍼(96)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약 0.3~1mm의 두께를 갖는다.
상부금형(82)에는 공기흡입력에 의해 상부스탬퍼(96)가 부착된다. 하부금형(84)은 하부스탬퍼(72)와 부착되는 면이 하부스탬퍼(72)와 동일하게 소정각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부금형(84)과 하부스탬퍼(72)는 스크류(98)에 의해 일체화된다.
측면금형은 하부스탬퍼(72)를 사이에 두고 분리되는 제1 및 제2 측면금형(70,90)을 구비한다.
스크류(98)는 하부스탬퍼(72)와, 제1 및 제2 측면금형(70,90)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스크류(98)는 램프(도시하지 않음)와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하는 도광판과 인접한 제1 및 제2 측면금형(70,90)을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즉, 스크류(98)는 제1 측면금형(70), 하부스탬퍼(72), 제2 측면금형(90)의 소정깊이까지 형성된 스크류홈(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됨으로써 이들을 고정하게 된다.
스탬퍼 고정편(92)은 상부금형(82)의 일측부에 위치하여 스탬퍼(96)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도광판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먼저, 스탬퍼고정편에 의해 위치가 결정된 상부스탬퍼가 부착된 상부금형과 하부스탬퍼가 부착된 하부금형을 마련하게 된다.(S1단계) 하부금형에 부착된 하부스탬퍼는 제1 및 제2 측면금형(70,90)과 고정된다. 이를 도 8a 내지 도 8d를 결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측면금형(90)과 하부금형(84)을 고정한 후 돌기패턴(74)이 형성된 하부스탬퍼(72)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면금형(90)과 하부금형(84)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하부스탬퍼(72)의 돌기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측면 상에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금형(70)이 위치하게 된다. 순차적으로 정렬된 제2 측면금형(90), 하부스탬퍼(72), 제1 측면금형(70)을 관통하는 스크류홈(66)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이 스크류홈에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98)를 삽입하여 제1 및 제2 측면금형(70,90)과 하부스탬퍼(72)를 고정하게 된다.
상부스탬퍼가 부착된 상부금형과 하부스탬퍼가 부착된 하부금형을 조립하여 상부스탬퍼와 하부스탬퍼 사이에 도광판의 형상과 대응하는 공간(62)이 마련된다.(S2단계) 이 공간(62) 상에 도광판의 재료를 주입한 후 응고되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분리하여 도광판을 사출하게 된다.(S3,S4 단계)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장치 및 방법은 측면금형을 제1 및 제2 측면금형으로 분리하여 그 사이에 하부스탬퍼를 고정하고, 스크류를 이용해 이들을 결합하게 된다. 즉, 하부스탬퍼를 제1 및 제2 측면금형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하부스탬퍼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박판화가 가능하다. 박판화가 가능함으로써 하부스탬퍼의 패턴형성이 용이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장치는 도 5에 도시된 제조장치와 비교하여 하부스탬퍼와 하부금형의 측면을 고정하는 측면금형을 절곡되게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장치의 측면금형(70)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측면금형(70)은 하부금형과 접촉하는 기둥부(70b)와, 기둥부(70b)에서 절곡된 절곡부(70a)를 갖는다. 절곡부(70a)는 제1 두께로 형성되어 램프(도시하지 않음)와 인접한 도광판영역과 접촉하며, 제1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2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램프와 상대적으로 먼 도광판영역과 접촉한다. 이러한 측면금형(70)의 절곡부(70a)를 이용하여 약 0.3~1mm의 두께를 갖는 하부스탬퍼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스탬퍼(72), 상부금형(82), 하부금형(84) 및 측면금형(70)을 별도로 제작한 후 하부금형(84)에 하부스탬퍼(72)를 부착한다. 그런 다음, 절곡부를 갖는 측면금형(70)을 이용하여 하부스탬퍼(72)를 고정한 후 스크류(98)를 이용하여 제2 고정부(88)에 측면금형(70)을 고정하게 된다. 하부스탬퍼(72)가 부착된 하부금형(84)과 상부스탬퍼(96)가 부착된 상부금형(82)을 조립한다. 이 후, 도광판재료를 상/하부스탬퍼(96,72)가 각각 부착된 상부금형(82)과 하부금형(84) 사이에 마련된 공간(62)에 주입하고 이를 응고시켜 사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 제조장치 및 그 방법은 절곡부를 갖는 측면금형을 이용하여 하부스탬퍼를 하부금형 상에 고정시킴으로써 하부스탬퍼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박판화가 가능하다. 박판화가 가능함으로써 하부스탬퍼의 패턴형성이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장치 및 방법은 하부스탬퍼를 하부금형 상에 고정시킴으로써 하부스탬퍼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박판화가 가능하다. 박판화가 가능함으로써 하부스탬퍼의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장치 및 방법은 양쪽면에 패턴을 갖는 도광판을 상/하부스탬퍼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어 도광판의 광전달기능 및 광분포성능 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 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3)

  1. 도광판의 상부면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스탬퍼와,
    상기 도광판의 하부면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스탬퍼와,
    상기 제1 스탬퍼가 부착되는 제1 금형과,
    상기 제2 스탬퍼가 부착되는 제2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을 사이에 두고 분리된 측면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금형은 상기 제2 스탬퍼를 사이에 두고 분리된 제1 및 제2 측면금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금형, 제2 스탬퍼 및 제2 측면금형의 일부를 관통하는 스크류홈과,
    상기 스크류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스탬퍼와 제1 및 제2 측면금형을 고정하는 스크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탬퍼는 0.3~1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탬퍼에는 상기 도광판의 하면의 패턴을 결정하는 삼각돌기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돌기패턴은 상기 금형과 중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을 외부에서 고정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금형의 일측부에 위치하여 제1 스탬퍼의 위치를 결정하는 스탬퍼 고정편과,
    상기 제2 금형과 상기 제1 및 제2 측면금형을 외부에서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탬퍼는 공기흡입관에 의해 상기 제1 금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장치.
  8. 도광판의 상부면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스탬퍼와,
    상기 도광판의 하부면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스탬퍼와,
    상기 제1 스탬퍼가 부착되는 제1 금형과,
    상기 제2 스탬퍼가 부착되는 제2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을 사이에 두고 분리된 측면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금형은 상기 제2 스탬퍼의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과 접촉되도록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금형과 금형의 일부를 관통하는 스크류홈과,
    상기 스크류홈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금형과 금형을 고정하는 스크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탬퍼는 0.3~1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장치.
  11. 도광판의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스탬퍼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스탬퍼를 제1 측면금형과 하부금형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 측면금형 사이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스탬퍼가 고정된 하부금형과 제2 스탬퍼가 고정된 상부금형을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도광판재료를 주입하여 도광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탬퍼를 제1 측면금형과 제2 측면금형 사이에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측면금형, 제1 스탬퍼, 제2 측면금형의 일부를 관통하는 스크류홈에 스크류 를 삽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13. 도광판의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스탬퍼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스탬퍼를 절곡된 측면금형을 이용하여 하부금형상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스탬퍼가 고정된 하부금형과 제2 스탬퍼가 고정된 상부금형을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도광판재료를 주입하여 도광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KR1020030015673A 2003-03-13 2003-03-13 도광판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24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673A KR100924229B1 (ko) 2003-03-13 2003-03-13 도광판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742,803 US7293973B2 (en) 2003-03-13 2003-12-23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light guide panel
US11/979,930 US20080093754A1 (en) 2003-03-13 2007-11-09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light guide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673A KR100924229B1 (ko) 2003-03-13 2003-03-13 도광판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718A KR20040080718A (ko) 2004-09-20
KR100924229B1 true KR100924229B1 (ko) 2009-11-02

Family

ID=3736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673A KR100924229B1 (ko) 2003-03-13 2003-03-13 도광판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2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245B1 (ko) * 2006-02-15 2007-08-17 제일모직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유닛용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KR101318215B1 (ko) * 2006-06-30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이크로 콘택 프린팅 스탬프 장비 및 이를 이용한패턴형성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495A (ko) * 1999-11-26 2001-06-15 구본준 도광판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495A (ko) * 1999-11-26 2001-06-15 구본준 도광판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718A (ko) 2004-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105B1 (ko) 면광원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US7356235B2 (en) Light guide plate for surface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211131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7961271B2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US7894012B2 (en)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1876481A1 (en) Light guide member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light guide mem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light guide members and backlight units
KR20080029552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37165A (ko) 표시장치
KR20030010525A (ko) 면형 조명장치
JP4142329B2 (ja) 面状発光装置
US20110109836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30054948A (ko) 백라이트 유닛
JP2008262766A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4152496A (ja) 導光板
US20080093754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light guide panel
KR100924229B1 (ko) 도광판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49438B1 (ko) 도광판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3090919A (ja) 導光板、導光板用金型及び導光板用金型の製造方法
JP3261651B2 (ja) 導光板金型
JP5511072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モジュール
CN210090875U (zh) 背光模组和液晶模组
KR100729806B1 (ko) 백라이트 유니트용 도광판, 백라이트 유니트용 도광판제조금형 및 백라이트 유니트용 도광판 제조방법
KR100956954B1 (ko) 액정표시모듈
JP2917503B2 (ja) 液晶表示装置
JPH07301713A (ja) バックライト用導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