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135B1 -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135B1
KR100924135B1 KR1020070076647A KR20070076647A KR100924135B1 KR 100924135 B1 KR100924135 B1 KR 100924135B1 KR 1020070076647 A KR1020070076647 A KR 1020070076647A KR 20070076647 A KR20070076647 A KR 20070076647A KR 100924135 B1 KR100924135 B1 KR 100924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adhesive
hole
pouch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648A (ko
Inventor
김용준
Original Assignee
김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준 filed Critical 김용준
Priority to KR1020070076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1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2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3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the non-integral spout having an elongate cross-sectional shape, e.g. canoe or boat 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주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접합부(133)를 구비하며 접합부(133) 내측으로 수용부(131)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수용부(131)로 연결되는 접착공(139)이 형성된 용기(130)와, 상기 용기(130)의 접착공(139)에 삽입되어 접착되는 스파우트(120)로 이루어지는 파우치(100)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120)는 접착공(139) 내로 삽입되어 접착공(139)의 내면에 접착되는 접착부(127)와, 상기 접착부(127)로부터 연장되어 용기(130) 외측으로 돌출되는 본체부(12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부(127)와 본체부(121)를 관통하는 관통공(120a)이 형성되며, 스파우트(120)를 접착공(139) 내면에 접착할 때 접착부(127)를 관통하는 관통공(120a)의 단면 형상이 변형되도록 상기 스파우트(120)는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100)에 관한 것으로; 스파우트(120)를 용기(130)에 접착할 때 스파우트(120) 접착부(127)의 관통공(120a) 단면 형상이 변형되도록 스파우트(120)를 연질 재질로 형성하므로 스파우트(120)를 용기(130)에 강력하게 접착시킬 수 있으며, 종래 기술과 같은 부피가 큰 접착부(27)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접착부(27)에 접합돌기(29)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한편, 중심에 삽입돌기(117)를 구비하는 뚜껑(110)을 사용함으로써 연질인 스파우트(120)에도 견고하게 뚜껑(110)을 치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삽입돌기(117)와 관통공(120a) 사이의 틈새 최대값을 수나사부(123)의 나사산 높이(H)보다 작도록 함으로써 뚜껑(110)이 본체부(120)에 치합하지 않고 결합하거나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파우트, 파우치

Description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Pouch comprising a spou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우치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스파우트 및 뚜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뚜껑, 스파우트 및 용기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스파우트와 용기의 압착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스파우트와 용기가 압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압착 영역을 도시한 일부 절개 측면도이다.
도 9는 스파우트의 압착 과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압착된 후의 스파우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9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파우트와 뚜껑을 도시한 일부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스파우트와 뚜껑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일부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파우치 110 : 뚜껑
111 : 회전돌기 115 : 암나사부
117 : 삽입돌기 120 : 스파우트
121 : 본체부 123 : 수나사부
126 : 돌기부 127 : 접착부
128 : 절개부 130 : 용기
133 : 접합부
본 발명은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파우트의 재질을 연질 재질로 형성하고, 뚜껑에 중앙 하측으로 연장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게 하며, 접착부에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스파우트를 용기와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으며, 용기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 중 많은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으며, 뚜껑의 체결과 분해에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는 작은 주머니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음료나 빙과류 등을 수용하여 보관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파우치는 전체가 단순하게 합성 수지로 된 용기에 내용물을 담아 밀폐시켜 보관하도록 되어 있으며, 음용시 일측 단을 가위와 같은 절단 수단을 이용하여 개방시켜 내용물을 컵에 따라 마시거나 개방된 부분에 스트로우를 꽂아 음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파우치는 생산이 간단하고 유통 공정에서 내용물이 유출되는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일단 절단하여 개방한 후 다시 밀폐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개방시 절단 수단과 같은 기구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의 일측으로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파우트를 구비한 파우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구성들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일부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1)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30)와, 상기 용기(30)에 결합되며 내용물이 인출되는 통로인 스파우트(20)와, 상기 스파우트(20)에 결합되는 뚜껑(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30)는 그 외주면을 따라 접착 되어 형성되는 접합부(33)를 구비하며, 상기 접합부(33)의 내측으로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31)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30)에는 수용부(31)로 연결되며 스파우트(20)가 삽입되어 접착되는 접착공(39)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파우트(20)의 접착부(27)를 접착공(39)에 삽입하고 양측에서 가열 압착하여 스파우트(20)의 접착부(27)에 접착공(39)의 내면이 접착되도록 한다. 상기 접착부(27) 일측으로 연장되며 외측에 수나사부(23)가 형성된 스파우트(20)의 본체부(21)에는, 외측으로 회전돌기(11)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수나사부(23)에 치합하는 암나사부(15)가 형성된 뚜껑(10)에 결합한다. 상기에서 회전돌기(11)는 뚜껑(10)을 회전시킬 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13은 부정 사용 방지용 스커트를 도시한 것이고, 20a는 음료 등이 인출되는 관통공을 나타낸 것이고, 25는 상기 스커트(13)가 결합되는 돌기부(25)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종래 기술에 의한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1)의 스파우트(20)는 강성이 큰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며, 용기(30)에 열 접착시킬 때 용기(30)와 견고하게 접착하도록 하기 위하여 접착 면적을 크게 하고 열 접착시 관통공(20a)의 단면이 축소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부(27)의 부피를 크게 하여야 하였으며, 강도가 큰 경질 재질로 제조되므로 사용시 소비자의 치아나 안면 피부 등이 손상될 염려가 있으며, 또한 용기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접착부에 용기가 확실하게 접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접착부(27) 표면에 접착돌기(29)를 구비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파우치(1)의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게 되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였으며, 스파우트(20)가 유연하지 못하므로 내용물이 아이스크림 등과 같은 경우 스파우트(20) 내에 있는 내용물은 인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스파우트를 연질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스파우트에 큰 접착면을 가지는 접착부를 구비하지 않고도 용이하고 견고하게 스파우트를 용기에 열 접착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스파우트의 접착부에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접착이 더욱더 견고하게 되며, 한편으로 뚜껑에 있어서 뚜껑 중심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함으로써 연질 재질의 스파우트에 뚜껑을 확실하게 치합하도록 하여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치합이 해제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파우치는 외주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접합부를 구비하며 접합부 내측으로 수용부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수용부로 연결되는 접착공이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접착공에 삽입되어 접착되는 스파우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파우트는 접착공 내로 삽입되어 접착공의 내면에 접착되는 접착부와, 상기 접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용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본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부와 본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스파우트를 접 착공 내면에 접착할 때 접착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의 단면 형상이 변형되도록 상기 스파우트는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
상기에 있어서, 스파우트(120)는 밀도가 0.91∼0.93g/㎤ 범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으로 블로우 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접착공 내로 삽입되어 용기에 접착되는 스파우트의 접착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 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접착부가 접착공 내측으로 삽입되어 접착될 때 절개부 부분이 경방향으로 돌출되면서 그 내측의 일부가 접착되어 접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스파우트는 접착부 내측 일부에 열경화성 재질로 형성되는 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 제조 방법은 외주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접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합부 내측으로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는 접착공이 형성된 용기의 상기 접착공에 연질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스파우트의 접착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스파우트의 관통공에 관통공의 반지름보다 작은 반지름을 가지는 지지막대를 삽입하는 단계와; 접착공의 양측에서 관통공의 반지름보다는 작고 지지막대의 반지름보다는 큰 곡률반경을 가지는 요홈이 형성된 압착구로 고온 압착시켜 스파우트를 용기에 접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스파우트의 접착부를 접착공에 삽입하기 전에 상기 접착부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스파우트의 접착부를 접착공에 삽입하기 전에 상기 접착부를 고온 압착하여 접착부 양측으로 접착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는 뚜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파우트의 본체부 외측으로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은 상기 본체부의 수나사부에 치합하는 암나사부와, 중심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파우트의 본체부에 뚜껑이 치합할 때 관통공과 삽입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최대 틈새는 스파우트의 본체부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의 산높이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의 구성과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며,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파우치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스파우트를 접착공 내로 삽입한 후 양측에서 열 가압하여 접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열 접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가압 영역을 도시하기 위한 일부 절개 측면도이며, 도 9는 스파우트의 예비 가압 과정을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예비 가압된 스파우트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11은 압착된 후 도 10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10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130)와, 상기 용기(130)에 접합되는 스파우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스파우트(120)에 결합되는 뚜껑(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용기(130)는 외주 둘레를 따라 접착된 접합부(133)를 구비하며, 상기 접합부(133) 내측으로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1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으로 상기 수용부(131)에 연결되는 접착공(139)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130)를 이루는 재질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130)는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서로 접착하여 접합부(133)를 이루는 내층은 열융착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폴리프로필렌(PP)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유연성이 양호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 같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융착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의 외측으로 적층하는 재질로는 용기(13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나일론, PET 필름 또는 알루미늄 호일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파우트(120)는 접착공(139)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접착되는 접착부(127)와, 상기 접착부(127)로부터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본체부(121)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21)와 접착부(127)를 관통하는 관통공(120a)이 형성된다. 상기 스파우트(120)는 접착부(127)를 접착공(139)에 삽입할 때 삽입 깊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외 원주를 따라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어 삽입시 접착공(139)에 걸리는 돌기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파우트(120)는 용기(130)의 내층과 열융착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며, 접착부(127)가 접착공(139)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온 가압 될 때 상기 접착부(127)는 내측으로 형성되는 관통공(120a)의 단면 형상이 변형되도록 연질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공(120a)의 단면 형상이 변형되도록 접착부(127)를 구성함으로써 접착부(127)와 접착공(139) 내측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접착면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접착부(127)의 부피를 크게 할 필요도 없게 되는 한편, 접착부(127)는 접착공(139) 내측에 견고하게 접착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관통공(120a)의 단면 형상이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접착부(127)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절개부(12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파우트(120)는 용기(130)의 내층을 이루는 재질과 같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연성이 양호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연질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접착부(127)의 부피를 필요 이상으로 제조하지 않는 경우에도 접착부(127)를 용기(130)에 견고하게 접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접착부(127)의 단면을 원형으로 제조하고 본체부(121)의 단면도 원형으로 제조할 때 상기 본체부(121)의 외경과 접착부(127)의 외경의 차가 20% 이내가 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접착부(127)를 용기(130)에 가열 접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으로 제조되는 스파우트(120)는 블로우 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스파우트(120)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적층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접착공(139)에 삽입되어 접착공(139)에 접착될 때 내측이 서로 열 접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 일부에 열융착이 되지 않는 PET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 는 내층(122)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내층(122)은 접착부(127)가 서로 접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부(127)가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스파우트(120)를 용기(130)에 접착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126)가 용기(130)의 모서리에 접촉할 때까지 접착부(127)를 접착공(139) 내로 삽입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공(139) 외측 양쪽에서 압착구(500)로 가압하며, 가압시 접착공(139)과 접착부(127)가 열 융착될 수 있도록 고온으로 온도를 유지한다. 용기(130)의 내층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접착부(127)를 형성하는 경우 열 융착 온도가 동일하게 되며 따라서 어느 일측 구성의 열 손상 없이 접착공(139)에 접착부(127)를 열 융착시켜 접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접착부(127)의 재질을 연성이 있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형성하는 경우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접착부(127)는 용이하게 변형하게 되어 접착부(127)와 접착공(139) 내측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되므로 접착은 더욱더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접착부(127)와 용기(130)의 내층은 같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성이 있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압착구(500)로 양쪽에서 가압할 때 접착부(127)에 형성되는 관통공(120a)의 단면 형상이 유지되지 못하고 관통공(120a)이 소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압착구(500)에는 요홈(50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요홈(501)의 곡률 반경(r)은 접착부(127)의 반지름(R)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홈(501)의 곡률 반경(r)을 접착부(127)의 반지름(R)보다 작게 함으로써 압착구(500)로 압착할 때 접착부(127)의 일부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돌출되면서 서로 접착하게 되고 그 외측으로 접착공(139)의 내면이 양측에서 접착하게 된다. 따라서 접착공(139) 내면과 접착부(127)의 접착 면적은 증가하게 되고 스파우트(120)는 견고하게 용기(130)에 접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요홈(501)에 접하는 부분의 접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압착구(500)로 압착하기 전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127)에 형성되는 관통공(120a) 내로 지지막대(600)를 미리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막대(600)의 반지름은 관통공(120a)의 반지름(R)보다 작으며, 또한 상기 요홈(501)의 곡률 반경(r)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압착구(500)로 양측에서 압착하는 경우 도 8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압착 영역이 형성되어 스파우트(120)는 접착공(139) 내에서 용기(130)에 견고하게 접착된다. 도 8에서 550은 압착구(500)의 평면 부분에서 압착되는 영역을 도시한 것이고, 570은 압착구(500)의 요홈(501)에 의하여 압착되는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스파우트(120)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기구(700)로 스파우트(120)를 미리 예비 성형하여 접착공(139) 내로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파우트(120)의 양측에서 요홈부(701)가 형성된 압착기구(700)로 접착부(127)를 고온 가압하면 접착부(127)의 일부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이 접착되 면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돌기(127a)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접착부(127)가 양측으로 용이하게 돌출되어 접착돌기(127a)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접착부(127)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절개부(12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착기구(700)에 의하여 압착될 때 접착돌기(127a)가 형성되고 관통공(120a)의 단면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압착기구(700)에는 관통공(120a)의 반지름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지는 요홈부(70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스파우트(127)를 미리 예비 성형하여 접착공(139)에 삽입하여 압착구(500)로 압착시키는 경우 용기(130)와 접착부(127)의 접착이 한층 견고해 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100)는 상기 파우치(100)의 본체부(121)에 결합되는 뚜껑(1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21)에 뚜껑(110)을 결합할 때 본체부(121)의 내측으로 암나사부(115)를 형성하고, 뚜껑(110)의 일부에 수나사부(123)를 형성하여 뚜껑(110)을 스파우트(120)에 치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21)에 수나사부(123)를 형성하고, 뚜껑(110)에 암나사부(115)를 형성하여 치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부(121)에 수나사부(123)를 형성하여 치합하는 경우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본체부(121)에 뚜껑(110)을 용이하게 치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뚜껑(110)은 중심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돌기(11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돌기(117)를 구비하는 뚜껑(110)을 본체부(121)에 체결하는 경우 먼저 삽입돌기(117)가 본체부(121)에 형성되는 관통공(120a)으로 삽입하여 관통공(120a)이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함으로써 본체부(121)의 형태가 유지되어 상기 수나사부(123)와 암나사부(115)는 서로 분리되지 않고 치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돌기(117)는 수나사부(123)와 암나사부(115)의 치합이 이루어지기 전에 수나사부(123)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삽입돌기(117)가 수나사부(123) 내측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본체부(121)의 변형량을 제한하기 위하여 삽입돌기(117)와 본체부(121)의 관통공(120a) 사이에 형성되는 최대 틈새(도 12에 도시한 일측의 틈새(t)의 2배)는 나사산의 높이(H)보다 작도록 하여야 한다. 도 12는 관통공(120a)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는 삽입돌기(117)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연질 재질의 스파우트(120)를 접착공(139)에 삽입하고 압착하여 스파우트(120)를 용기(130)에 접착시키면 도 14에 1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접합부(133)가 형성되어, 스파우트(120)는 견고하게 접착되며 따라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접합돌기(29)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용기(130)와 스파우트(120)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본 발명의 보호 범위로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100)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스파우트(120)를 용기(130)에 접착할 때 스파우트(120) 접착부(127)의 관통공(120a) 단면 형상이 변형되도록 스파우트(120)를 연질 재질로 형성하므로 스파우트(120)를 용기(130)에 강력하게 접착시킬 수 있으며, 접착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과 같은 부피가 큰 접착부(27)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접착부(27)에 접합돌기(29)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으며, 블로우(Blow) 성형하여 스파우트(120)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접착부(127)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128)를 형성함으로써 더욱 간편하고 강력하게 접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중심에 삽입돌기(117)를 구비하는 뚜껑(110)을 사용함으로써 연질 재질인 스파우트(120)에도 견고하게 뚜껑(110)을 치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삽입돌기(117)와 관통공(120a) 사이의 틈새 최대값을 수나사부(123)의 나사산 높이(H)보다 작도록 함으로써 뚜껑(110)이 본체부(120)에 치합하지 않고 결합하거나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외주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접합부(133)를 구비하며 접합부(133) 내측으로 수용부(131)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수용부(131)로 연결되는 접착공(139)이 형성된 용기(130)와, 상기 용기(130)의 접착공(139)에 삽입되어 접착되는 스파우트(120)로 이루어지는 파우치(100)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120)는 접착공(139) 내로 삽입되어 접착공(139)의 내면에 접착되며 그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절개부(128)가 형성된 접착부(127)와, 상기 접착부(127)로부터 연장되어 용기(130) 외측으로 돌출되는 본체부(12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부(127)와 본체부(121)를 관통하는 관통공(120a)이 형성되며; 상기 스파우트(120)를 접착공(139) 내면에 접착할 때 접착부(127)를 관통하는 관통공(120a)의 단면 형상이 변형되도록 상기 스파우트(120)는 연질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접착부(127)가 접착공(139) 내측으로 삽입되어 접착될 때 절개부(128) 부분이 경방향으로 돌출되면서 그 내측의 일부가 접착되어 접착돌기(127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100).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120)는 접착부(127) 내측 일부에 열경화성 재질로 형성되는 내층(1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100).
  5.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100)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주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접합부(133)를 구비하며 상기 접합부(133) 내측으로 수용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31)와 연결되는 접착공(139)이 형성된 용기(130)의 상기 접착공(139)에, 연질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관통공(120a)이 형성된 스파우트(120)의 접착부(127)를 삽입하는 단계(S-130)와; 상기 스파우트(120)의 관통공(120a)에 관통공(120a)의 반지름보다 작은 반지름을 가지는 지지막대(600)를 삽입하는 단계(S-140)와; 접착공(139)의 양측에서 관통공(120a)의 반지름보다는 작고 지지막대(600)의 반지름보다는 큰 곡률반경을 가지는 요홈(501)이 형성된 압착구(500)로 고온 압착시켜 스파우트(120)를 용기(130)에 접착시키는 단계(S-150)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파우트(120)의 접착부(127)를 접착공(139)에 삽입하기(S-130) 전에 상기 접착부(127)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절개부(128)를 형성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100) 제조 방법.
  6. 삭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120)의 접착부(127)를 접착공(139)에 삽입하기(S-130) 전에 상기 접착부(127)를 고온 압착하여 접착부(127) 양측으로 접착돌기(127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100) 제조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100)는 뚜껑(1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파우트(120)의 본체부(121) 외측으로는 수나사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110)은 상기 본체부(121)의 수나사부(123)에 치합하는 암나사부(115)와 중심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120a)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17)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돌기(117)는 본체부(121)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수나사부(123)와 암나사부(115)가 치합되기 전에 상기 관통공(120a)에 삽입되어 수나사부(123)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100).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120)의 본체부(121)에 뚜껑(110)이 치합할 때 관통공(120a)과 삽입돌기(117) 사이에 형성되는 최대 틈새는 스파우트(120)의 본체부(121)에 형성되는 수나사부(123)의 산높이(H)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100).
KR1020070076647A 2007-07-31 2007-07-31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24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647A KR100924135B1 (ko) 2007-07-31 2007-07-31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647A KR100924135B1 (ko) 2007-07-31 2007-07-31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48A KR20090012648A (ko) 2009-02-04
KR100924135B1 true KR100924135B1 (ko) 2009-11-02

Family

ID=4068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647A KR100924135B1 (ko) 2007-07-31 2007-07-31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1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042B1 (ko) * 2015-07-15 2016-03-04 이현영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KR20170048290A (ko) * 2017-04-23 2017-05-08 이현영 끼움 결합에 의하여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3936A (zh) * 2013-12-19 2016-11-23 株式会社盟迪Ksp 袋容器
WO2017010662A1 (ko) * 2015-07-15 2017-01-19 이현영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KR102578778B1 (ko) * 2022-06-21 2023-09-14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0135A (ja) * 1997-10-31 1999-05-18 Okura Ind Co Ltd 液体容器の注排出具
KR100438019B1 (ko) 2002-04-12 2004-06-30 김종기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실링장치, 이를이용한 스파우트의 실링방법 및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
JP2007076696A (ja) * 2005-09-14 2007-03-29 Plasto:Kk スパウト、スパウト付き包装袋、及びスパウト付き包装体
US7232042B2 (en) * 2001-10-11 2007-06-19 Itsac N.V. Plastic spou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0135A (ja) * 1997-10-31 1999-05-18 Okura Ind Co Ltd 液体容器の注排出具
US7232042B2 (en) * 2001-10-11 2007-06-19 Itsac N.V. Plastic spout
KR100438019B1 (ko) 2002-04-12 2004-06-30 김종기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실링장치, 이를이용한 스파우트의 실링방법 및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
JP2007076696A (ja) * 2005-09-14 2007-03-29 Plasto:Kk スパウト、スパウト付き包装袋、及びスパウト付き包装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042B1 (ko) * 2015-07-15 2016-03-04 이현영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KR20170048290A (ko) * 2017-04-23 2017-05-08 이현영 끼움 결합에 의하여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KR101961226B1 (ko) 2017-04-23 2019-03-22 이현영 끼움 결합에 의하여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48A (ko)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135B1 (ko)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RU2685871C1 (ru) Гассет-пакет,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CA1324986C (en) Lid for can-shaped container
EP1846303B1 (en) Liquids packaging
US8608895B2 (en) Easy-open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US20060201967A1 (en) Spout fitting for liquid-containing pouch
JP4228362B2 (ja) 合成樹脂製容器
IE822397L (en) Assembly for forming a package for storage of a medical¹container
EP0330528B1 (fr) Récipient tubulaire déformabl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en une seule pièce
US4408697A (en) Opening means having cutting guide
US20090071960A1 (en) Package
MX2007015098A (es) Un recipiente sellable, y metodo para sellar un recipiente.
WO2015045025A1 (ja) レフィル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フィル容器製品、並びにそれを用いた二重容器製品
KR102322750B1 (ko) 위생적인 잠금 스파우트 파우치
US6354459B1 (en) Closing mechanism for opening of container
KR200466355Y1 (ko) 사출성형된 일체형 스파우트 및 뚜껑이 구비된 음료팩
JP7062872B2 (ja) 樹脂製密閉容器
CN114051478A (zh) 容器
EP2253298B1 (fr) Connecteur pour récipient souple destiné à contenir un liquide médical
JP6085936B2 (ja) パウチ容器
JP3091609B2 (ja) 容器の製造方法
JPH0858854A (ja) シーラント押出し容器
JPH09169366A (ja) 混合袋
KR20200078452A (ko) 접철부상부밀폐부를 원터치방식으로 압박하여 수용부의 저장공간을 개방하는 병뚜껑
WO2002060773A1 (en) Plastic bag with zippered small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