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057B1 - 미립자 분산제 및 이 분산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도료,잉크, 기억 재료 및 윤활제 - Google Patents

미립자 분산제 및 이 분산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도료,잉크, 기억 재료 및 윤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057B1
KR100924057B1 KR1020047015453A KR20047015453A KR100924057B1 KR 100924057 B1 KR100924057 B1 KR 100924057B1 KR 1020047015453 A KR1020047015453 A KR 1020047015453A KR 20047015453 A KR20047015453 A KR 20047015453A KR 100924057 B1 KR100924057 B1 KR 100924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rythritol
fatty acid
fine particle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5817A (ko
Inventor
고토나오키
에하라타로
카치히사노리
이와모토요시아키
Original Assignee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5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리스리톨 및/또는 지방산과의 하기 일반식(Ⅰ) 또는 (II)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화합물, 에리스리톨 및/또는 에리스리톨 축합물과 다가 카르본산과의 중축합물, 에리스리톨 및/또는 에리스리톨 축합물과 상기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과 다가 카르본산과의 중축합물, 에리스리톨 및/또는 에리스리톨 축합물과 다가 카르본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과, 지방산과의 중축합물, 및 에리스리톨과 지방산 및/또는 다가 카르본산과의 중축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산제를 제공한다.
Figure 112004046702883-pct00019
Figure 112004046702883-pct00012
(상기 식 중, R1∼R4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지방산 잔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 원자, 지방산 잔기 또는 다가 카르본산 잔기를 나타냄.)
이 미립자 분산제는 미립자 분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열안정성 시험에 있어서 성상 열화(냄새, 색)가 적다.
미립자분산제, 화장료, 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 미립자분산성

Description

미립자 분산제 및 이 분산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도료, 잉크, 기억 재료 및 윤활제{FINE PARTICLE DISPERSANT, AND COSMETICS, COATING MATERIALS, INKS, STORAGE MATERIALS AND LUBRICANT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립자 분산제 및 이 분산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도료, 잉크, 기억 재료 및 윤활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미립자 분산 기술은 화장료, 도료, 잉크, 기억 재료, 윤활제, 의약품, 식품 등 여러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미립자 분산능을 결정하는 주된 요인으로서, 안료 등의 미립자의 특성 및 수지, 용제, 첨가제 등의 비히클(vehicle)의 특성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후자는 각 분야에 있어서 미립자 분산능을 높이기 위한 여러가지 고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화장료 용도에서는, 예를 들면 안료를 분산하는 립스틱용 기제유(基劑油)로서 피마자유가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다. 피마자유는 대표적인 히드록시산인 리시놀산이 구성 지방산의 주성분이기 때문에, 다른 식물유에 비하여 극성이 높고 친수성이고 아울러 보습성을 나타내는 고점성유이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오래전부터 안료를 니딩할 때의 매체로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기제중의 액상유에 대하여 20∼50% 사용되는데, 너무 많이 사용하면 피마자유의 냄새나 사용감의 경시 적 열화가 발생한다는 것이 문제로 되고 있다. 또한, 그 특성이 높기 때문에, 탄화수소계의 원료와는 상용성이 낮고, 결합제로서 에스테르계의 유제를 사용해야만 한다. 또한, 자극성을 갖는다는 점에서도 문제로 되고 있다.
한편, 일본 특허공고 소53-46890호 공보에는 트리메틸롤프로판의 풀(full) 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으며, 피부에 대한 감촉성이 우수하고 또한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기초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두발용 화장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1-247844호 공보 및 특허공개 2001-247845호 공보에는, 트리메틸롤프로판 또는 그 축합물, 글리세린 축합물, 탄소수 6∼30의 장쇄 직쇄 포화 이염기산 및 탄소수 8∼28의 지방산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킨 에스테르화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겔화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공보에는 미립자 분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열안정성 시험에 있어서 성상의 열화(냄새, 색)가 적은 미립자 분산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미립자 분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열안정성 시험에 있어서 성상의 열화(냄새, 색)가 적은 미립자 분산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립자 분산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도료, 잉크, 기억 재료 및 윤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에리스리톨(erythritol)과 지방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 에스테르 화합물과 다가 카르본산과의 중축합물 및 에리스리톨과 다가카르본산 중축합물이 미립자 분자제로서 우수한 성능을 가지며, 이에 따르면 상기 과제를 효율적 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발견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에리스리톨 및/또는 에리스리톨 축합물과 지방산과의 하기 일반식(Ⅰ) 및/ 또는 (II)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화합물, 에리스리톨 및/또는 에리스리톨 축합물과 이 에스테르 화합물과 다가 카르본산과의 중축합물, 에리스리톨 축합물 및/또는 에리스리톨 축합물과 다가 카르본산과의 에스테르화합물과, 지방산과의 중축합물 및 에리스리톨 축합물 및/또는 에리스리톨 축합물과 지방산 및/또는 다가 카르본산과의 중축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산제를 제공한다.
Figure 112004046702883-pct00013
Figure 112004046702883-pct00002
(상기 식중, R1∼R4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지방산 잔기 또는 다가 카르본산 잔기를 나타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원자, 지방산 잔기 또는 다가 카르본산 잔기를 나타낸다. 단 R1~R4의 적어도 하나는 수소 원자이고, R 5 또는 R6의 어느 하나가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에리스리톨과 지방산과의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물이며,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 및 테트라에스테르의 함유량이 각각 0~30질량%, 0~80질량%, 10~80질량% 및 0~7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테르화 혼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4046702883-pct00014
(상기 식중, R1∼R4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지방산 잔기 또는 다가 카르본산 잔기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은 에리스리톨 및/또는 에리스리톨 축합물과, 이소옥틸산과의 하기 일반식(I-1) 및/또는 (II-1)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물이며, 일반식(I-1)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 테트라에스테르의 함량이 각각 0~10질량%, 0~30질량%, 18~70질량% 및 6~75질량%이며, 일반식(II-1)을 기본 골격으로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의 함유량을 각각 0~10질량% 및 0~5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테르화 혼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4046702883-pct00015
Figure 112004046702883-pct00005
(식 중, R1'~R4'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이소옥틸산 잔기를 나타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이소옥틸산 잔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 상기 미립자 분산제 또는 에스테르화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도료, 잉크, 기억 재료 및 윤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에스테르 화합물을 형성하기 위한 지방산으로서는, 탄소수 5∼28(더욱 바람직하게는 6∼28)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지방산(즉 지방족 모노카르본산)이 바람직하고, 특히 분기쇄의 지방산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분기쇄의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피발산, 이소헵탄산, 4-에틸펩탄산, 이소옥틸산, 2-에틸헥산산, 4,5-디메틸헥산산, 4-프로필펜탄산, 이소노닐산(이소노난산), 2-에틸헵탄산, 3,5,5-트리메틸헥산산, 이소데칸산, 이소도데칸산, 2-메틸데칸산, 3-메틸데칸산, 4-메틸데칸산, 5-메틸데칸산, 6-메틸데칸산, 7-메틸데칸산, 9-메틸데칸산, 6-에틸노난산, 5-프로필옥탄산, 이소라우린산, 3-메틸헨데칸산, 6-프로필노난산, 이소트리데칸산, 2-메틸도데칸산, 3-메틸도데칸산, 4-메틸도데칸산, 5-메틸도데칸산, 11-메틸도데칸산, 7-프로필데칸산, 이소미리스틴산, 2-메틸트리데칸산, 12-메틸트리데칸산, 이소팔미틴산, 2-헥실데칸산, 14-메틸펜타데칸산, 2-에틸테트라데칸산, 이소스테아린산, 메틸 분기형 이소스테아린산, 2-헵틸운데칸산, 2-이소헵틸이소운데칸산, 2-에틸헥사데칸산, 14-에틸헥사데칸산, 14-메틸헵타데칸산, 15-메틸헵타데칸산, 16-메틸헵타데칸산, 2-부틸테트라데칸산, 이소아라킨산(isoarachic acid), 3-메틸노나데칸산, 2-에틸옥타데칸산, 이소헥사코산(isohexacosanoic acid), 24-메틸헵타코산산, 2-에틸테트라코산산, 2-부틸도코산산, 2-헥실이코산산, 2-옥틸옥타데칸산, 2-데실헥사데칸산 등을 열거할 수 있으며, 이들을 1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탄소수 8∼18의 지방산, 특히 이소옥틸산(더욱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산산, 4,5-디메틸헥산산), 이소노난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2-에틸헵탄산, 3,5,5-트리메틸헥산산), 이소트리데칸산, 이소팔미틴산, 이소스테아린산(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 분기형 이소스테아린산, 2-헵틸운데칸산, 2-이소헵틸이소운데칸산) 등의 탄소수 8∼18의 분기 지방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소옥틸산, 이소노닐산(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칸산, 이소스테아린산 등의 탄소수 8∼18의 분기 포화 지방산(분기 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본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직쇄 지방산이라 함은 탄소수 6∼28의 직쇄 지방산으로, 예를 들면 카프론산(capro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옥틸산(octylic acid), 노닐산(nonylic acid), 데칸산(decanoic acid), 도데칸산(dodecanoic aicd), 라우린산(lauric acid), 트리데칸산(tridecanoic acid), 미리스틴산(myristic acid), 팔미틴산(palmitic acid), 스테아린산(stearic acid), 베헨산(behenic acid) 등의 포화 지방산, 또한 카프롤레인산(caproleic acid), 운데실렌산(undecylenic acid), 미리스톨레인산(myristoleic acid), 팔미톨레인산(palmitoleic acid), 올레인산(oleic acid), 엘라이딘산(elaidic acid), 곤도인산(gondoic acid), 에루카산(erucic acid), 브라신산(brassic acid) 등의 불포화 지방산을 열거할 수 있으며, 이들을 1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I)에서 표시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은 모노에스테르체, 디에스테르체, 트리에스테르체 또는 테트라에스테르체이며, 일반식(II)에서 표시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은 모노에스테르체 또는 디에스테르체인데,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에리스리톨 및/또는 에리스리톨의 분자내 축합물과 지방산과의 일반식(I) 및 (II)에서 표시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물이며, 수산기값이 10~150(바람직하게는 20~120)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에리스리톨 및/또는 에리스리톨 축합물과, 이소옥틸산과의 일반식(I-1) 및/또는 (II-1)에서 표시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을 혼합물이며, 일반식(I-1)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 테트라에스테르의 함량이 각각 0~10중량%, 0~30질량%, 18~70질량% 및 6~7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각각 0~3질량%, 0~20질량%, 13~60질량% 및 8~6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반식(II-1)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의 함유량은 각각 0~10질량%, 0~50질량%가 바람직하며, 나아가 각각 0~3질량%, 0~3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일반식(I)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디에스테르 및 트리에스테르의 합계 함유율이 전체의 20~94질량%, 나아가서는 40~80질량%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히 일반식(I-1)을 기본골격으로 하는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 테트라에스테르의 함량이 0~3질량%, 3~20질량%, 30~70질량%, 8~40질량%, 및 일반식(II-1)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모노에세테르, 디에스테르의 함량이 각각 0~3질량%, 5~3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 중의 이소옥틸산 잔기로서는 -C(=0)-(CH2CH3)CH-(CH2)3 -CH3[2-에틸헥 산산]이나 -C(=O)-(CH2)2-(CH3)CH-(CH3)CH-CH3[4,5-디메틸헥산산]을 들 수 있다.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 테트라에스테르의 함량에 대해서 일반식(I-1)의 경우에 대해서 또는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의 함량에 대해서 일반식(II-1)의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들이 일반식(I)의 경우, 일반식(II)의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중축합물을 제조하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다가 카르본산으로서는, 호박산, 아디핀산, 아젤라인산(azelaic acid), 세바신산(sebacic acid) 등의 탄소수 2∼10의 2염기성 카르본산이 바람직하고, 특히 탄소수 4∼10의 2염기성 포화 카르본산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탄소수 8∼18의 분기 지방산(분기 지방족 모노카르본산, 바람직하게는 분기 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본산)과 탄소수 2∼10의 2염기성 카르본산(특히 탄소수 4∼10의 2염기성 포화 카르본산)과의 혼합물이나, 탄소수8~18이 분기 지방산(분기 지방족 모노카르본산, 바람직하게는 분기 포화지방산 모노카르본산) 및 탄소수 8~18의 직쇄 지방산과 탄소수 2에서 탄소수 10의 2염기 카르본산(특히 탄소수 4~10의 2염기성 포화 카르본산)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분기 포화 지방산과 2염기성 포화 카르본산을 70/30∼95/5(몰비)로 사용하는 것이 좋고, 분기 지방산 및 직쇄 지방산과 2염기성 카르본산과를 70/30~95/5(몰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반식(I) 및/또는 (II)에서 표시되는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과의 중축합물 및 에리스리톨(에리스리톨과의 축합물도 포함됨)과 다가 카르본산과의 중축합물로서는 수산기값(OHV)이 1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90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에스테르화물과의 중축합물 및 에리스리톨(에리스리톨의 축합물도 포함됨)과 다가 카르본산과의 중축합물로서는 수산기값이 10~150의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90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축합물 및 다가 카르본산으로 가교한 중축합물은 그 수산기값: OHV에 의해서 규정된다. OHV이라 함은 시료 1그램 중에 포함되는 유리(遊離) OH기를 아세틸화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수산화 칼륨의 밀리그램수를 말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미입자 분산능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OHV은 이하의 식의 범위에 있는 것이 좋다.
10<OHV<150
OHV가 이 범위에 있으면, 미립자 표면의 젖음을 양호하게 하고, 극성유에 대한 상용성을 양호하게 하고, 입자 분산제로서의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중축합물은 실온에서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점도(25℃)가 30∼30000mPa·s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중축합물은 예를 들면 에리스리톨 1에 지방산 및/또는 다가 카르본산을 1.5∼3.5당량 투입하고, 무촉매 또는 촉매(예를 들면 염화 주석) 존재하에서, 180∼240℃에서 탈수 축합 반응을 행한다. 반응 종료후에는 반응 혼합물에 흡착 처리 등을 실시하여 촉매 제거 처리를 행하고, 증류 등에 의해 미반응 원료 등 저분자 물질을 제거하여, 최종 제품을 얻 는 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중축합물에 의하여 분산할 수 있는 미립자로서는, 수 ㎚에서 수 ㎛, 바람직하게는 10㎚∼1㎛의 범위에 있는 각종 입자, 특히 콜로이드 입자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산화 아연, 산화 티탄, 산화 철, 마이카, 군청, 카본 블랙, 클레이, 카올린, 탈크 등으로 대표되는 무기계 안료, 적색 202호, 적색 226호, 청색 1호, 청색 404호, 황색 4호, 황색 205호로 대표되는 유기계 안료, γ-Fe2O3, Co-γ-Fe2O3, CrO 2와 같은 자성 입자, MoS2 및 그라파이트와 같은 고체 윤활제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중축합물은 상기 미립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도료, 잉크, 기억 재료, 윤활제 등에 바람직하게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장료에 첨가하는 경우는 화장료 원료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산화 티탄, 적색 202호, 아이언 옥사이드 레드(iron oxide red), 마이카 등 안료 0.1∼50부(바람직하게는 1∼30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미립자 분산제를 1/2∼3배 중량(바람직하게는 1∼2배 중량) 첨가하고 니딩한 농축 분산제를 미리 준비하고, 이 농축 분산제를 각종 화장료에 10∼90% 정도 처방함으로써 분산계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이 때, 본 발명의 미립자 분산제를 화장료의 베이스 오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료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카본 블랙, 프탈로시아닌 블루, 프탈로시아닌 그 린, 아이언 옥사이드 옐로, 아이언 옥사이드 레드, 산화 아연 등의 안료 0.1∼30부(바람직하게는 5∼20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미립자 분산제를 1/2∼3배 중량(바람직하게는 1∼2배 중량) 첨가하고 니딩한다. 안료 표면을 충분히 적신 후에, 농축 분산제를 도료 처방에 10∼90% 정도 처방함으로써 안료 분산계 착색 도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카본 블랙, 산화 티탄, 프탈로시아닌 블루, 디스아조 옐로(Disazo Yellow), 카민(Carmine) 6B, 레이크 레드(Lake Red) C 등의 안료 0.1∼30부(바람직하게는 5∼20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미립자 분산제를 1/2∼3배 중량(바람직하게는 1∼2배 중량)을 첨가하고 니딩한다. 안료 표면을 충분히 적신 후에, 농축 분산제를 잉크 처방에 10∼90% 정도 처방함으로써 안료 분산계 잉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 기억 재료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γ-Fe2O3 또는 CrO2 등의 자성 입자 0.1∼20부(바람직하게는 5∼10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미립자 분산제를 1/2∼3배 중량(바람직하게는 1∼2배 중량) 첨가하고 니딩한다. 자성 입자를 충분히 적신 후에, 농축 분산제를 자성 잉크 처방에 10∼30% 정도 처방함으로써 분산성 자성 도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제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그라파이트, 이황화 몰리브덴, PTFE 등의 고체 윤활제 0.1∼15부(바람직하게는 1∼10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미립자 분산제를 1/2∼3배 중량(바람직하게는 1∼2배 중량) 첨가하고 니딩한다. 고체 윤활제를 충분 히 적신 후에, 광물 또는 합성계(또는 광물유와 합성유의 혼합계) 윤활유나 그리스 처방에 1∼30% 정도 처방함으로써, 고체 윤활제 분산계 윤활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화장료의 분야에 있어서 미립자 안료는 하기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①기미, 주근깨 등을 피막하고 적당히 감춘다.
②피부색을 보정하여 자연스럽게 건강한 얼굴색으로 보이게 한다.
③채색하여 원하는 색채를 부여하고 매력적으로 보이게 한다.
④자외선을 차단하여 햇볕으로부터 피부를 지킨다.
⑤피부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피지 등을 흡수하여 피부가 기름지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립자 분산제를 스킨 케어 화장품(특히 바람직하게는 선크림, 팩 등), 메이크업 화장품(특히 바람직하게는 립스틱, 립 크림, 파운데이션, 볼터치, 아이섀도우,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마스카라, 매니큐어 등) 등에 사용함으로써, 분산성이 있어서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첨가제와 함께 처방함으로써, 성상 및 안정성 등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화장품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성분을 배합하고, 목적하는 제품을 상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 성(兩性) 계면활성제,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천연계 계면활성제, 액체 유지, 고체 유지, 왁스류,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콜,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분말 성분, 보습제,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 반합성의 수용성 고분자, 합성의 수용성 고분자, 무기의 수용성 고분자, 증점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이온 봉쇄제, 저급 알콜, 다가 알콜, 단당, 올리고당, 다당, 아미노산, 유기 아민, 합성 수지 에멀젼, pH 조정제, 비타민류, 산화방지제, 산화방지 보조제, 향료, 물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고, 목적하는 제형에 따라서 상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 구체적인 배합 가능 성분을 열거한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비누용 베이스 재료, 라우린산 나트륨, 팔미틴산 나트륨 등의 지방산 비누,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칼륨 등의 고급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POE-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 황산 나트륨 등의 알킬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라우로일사르코신 나트륨 등의 N-아실사르코신산,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리드 나트륨, 라우릴메틸타우리드 나트륨 등의 고급 지방산 아미드 술폰산염, POE-올레일 에테르 인산나트륨, POE-스테아릴 에테르 인산 등의 인산 에스테르염, 디-2-에틸헥실술포호박산 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술포호박산 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술포호박산 나트륨 등의 술포호박산염, 리니어 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리니어 도데실벤젠술폰산 트리에탄올아민, 리니어 도데실벤젠술폰산 등의 알킬벤젠술폰산염, N-라우로일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 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 등의 N-아실글루타민 산염, 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 황산 나트륨 등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로트유(Turkey red oil) 등의 황산화유, POE-알킬에테르카르본산, POE-알킬아릴에테르카르본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고급지방산 에스테르 술폰산염, 이급 알콜 황산 에스테르염, 고급 지방산 알킬롤아미드 황산 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호박산 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 디트리에탄올아민, 카제인 나트륨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 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듐), 염화 세틸피리듐 등의 알킬피리듐염, 알킬 사급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 몰포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 알콜 지방산 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록시 2나트륨염 등의 이미다졸린계 양성 계면활성제,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술포베타인 등의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솔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솔비탄 트리올레이트, 펜타-2-에틸헥실산 디글리세롤 솔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 솔비탄 등의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모노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루카산 글리세린, 세스퀴올레인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α,α'-올레인산 피로글루타민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류, 모노이소스테아린산 디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린산 디글리세릴 등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린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 알킬 에테르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POE-솔비탄 모노올레이트, POE-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솔비탄 모노올레이트, POE-솔비탄 테트라올레이트 등의 POE-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솔비트 모노라우레이트, POE-솔비트 모노올레이트, POE-솔비트 펜타올레이트, POE-솔비트 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POE-솔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모노올레이트, 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이트, 디스테아린산 에틸렌글리콜 등의 POE-지방산 에스테르류, 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 에테르, POE-스테아릴 에테르, POE-베헤닐 에테르, POE-2-옥틸도데실 에테르, POE-콜레스타놀 에테르 등의 POE-알킬 에테르류, 플루로닉(Pluronic) 등의 플루로닉형류, POE·POP-세틸 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POE·POP-모노 부틸에테르, POE·POP-수첨 라놀린, POE·POP-글리세린 에테르 등의 POE·POP-알킬 에테르류, 테트로닉(Tetronic) 등의 테트라POE·테트라 POP-에틸렌디아민 축합물류, POE-피마 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타민산 모노이소스테아린산 디에스테르, POE-경화 피마자유 말레인산 등의 POE-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POE-솔비트 밀랍 등의 POE-밀랍 라놀린 유도체,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린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 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의 알카놀아미드, POE-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POE-알킬아민, POE-지방산 아미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POE-노닐페닐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시드, 트리올레일 인산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천연계 계면활성제로서는 대두 인지질, 수첨 대두 인지질, 난황 인지질, 수첨 난황 인지질 등의 레시틴류나 대두 사포닌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액체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보카도 오일, 동백유, 터틀 오일(turtle oil), 마카다미아 넛츠 오일(macadamia oil), 옥수수유, 해바라기유, 밍크 오일, 올리브유, 채종유, 난황유, 참깨유, 퍼식 오일(persic oil), 밀배아유(wheat germ oil), 사산구아 오일(sasanqua oil), 피마자유, 아마인유, 새플라워 오일(safflower oil), 포도씨 오일(grape seed oil), 면실유, 들깨유, 대두유, 낙화생유, 차실유, 가야 오일(kaya oil), 쌀겨 오일, 중국 동유(Chinese tung oil), 일본 동유(Japanese tung oil), 호호바 오일, 배아유, 달맞이꽃 종자유(evening primrose oil), 트리옥탄산 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틴산 글리세린 등을 열거할 수 있다.
고체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코코아 버터, 야자유, 우지, 양지, 마지, 팜 핵 유, 축지, 우골지, 목랍 핵유, 우각지, 목랍, 경화 야자유, 경화 팜유, 경화 우지, 경화유, 경화 피마자유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왁스류로서는 예를 들면 밀랍, 칸데릴라 왁스(candelilla wax), 코튼 왁스(cotton wax), 카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베이베리 왁스(bayberry wax), 백랍, 경랍, 몬탄 왁스, 쌀겨 왁스, 카폭 왁스(kapox wax),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아세트산 라놀린, 액상 라놀린,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환원 라놀린, 경질 라놀린, 라우린산 헥실, 호호바 왁스, 셀락 왁스(shellac wax), POE 라놀린 알콜 에테르, POE 라놀린 알콜 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 에테르,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POE 수소 첨가 라놀린 알콜 에테르 등을 열거할 수 있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이소파라핀, 파라핀, 오조케라이트(ozocerite), 스쿠알란, 프리스탄(pristane), 세레신(ceresine), 스쿠알렌, 바세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파라핀 왁스, α-올레핀 올리고머 등을 열거할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베헤닌)산, 올레인산, 운데실렌산, 톨오일산(tall oil acid), 이소스테아린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을 열거할 수 있다.
고급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 알콜,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베헤닐 알콜, 미리스틸 알콜, 올레일 알콜, 세토스테아릴 알콜 등의 직쇄 알콜, 모노스테아릴 글리세린 에테르(베틸 알콜),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 알콜, 콜레스테 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카놀, 이소스테아릴 알콜, 옥틸도데카놀 등의 분기쇄 알콜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에스테르유로서는,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옥탄산 세틸,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 부틸, 라우린산 헥실,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올레인산 데실,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젖산 세틸, 젖산 미리스틸, 젖산 옥틸도데실, 아세트산 라놀린, 스테아린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 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 에틸렌 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린산 네오펜틸 글리콜, 사과산 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트리(카르필·카프린·미리스틴·스테아린산)글리세라이드,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틸롤프로판,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틴산 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올레인산 올레일, 아세토글리세라이드, 팔미틴산 2-헵틸운데실, 아디핀산 디이소부틸, (아디핀산·2-에틸헥산·스테아린산)글리세린 올리고 에스테르, (2-헥실데칸산·세바신산)디글리세릴 올리고 에스테르),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 에스테르, 아디핀산 디-2-헵틸운데실, 에틸 아루레이트, 세바신산 디-2-에틸헥실, 미리스틴산 2-헥실데실, 팔미틴산 2-헥실데실, 아디핀산 2-헥실데실, 세바신산 디이소프로필, 호박산 2-에틸헥실,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구연산 트리에틸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실리콘유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 폴리실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젼 폴리실록산 등의 쇄상 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히드로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환상 폴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알킬실록산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분말 성분으로서는, 탈크, 카올린,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리니어 운모, 질석(vermiculite), 탄산 마그네슘, 탄산 칼슘, 규산 알루미늄, 규산 바륨, 규산 칼슘, 규산 마그네슘, 규산 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황산 바륨, 소성 황산 칼슘(소석고), 인산 칼슘, 불소 아파타이트, 히드록시 아파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미리스틴산 아연, 팔미틴산 칼슘,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질화 붕소 등의 무기 분말,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사불화 에틸렌 분말, 셀룰로스 분말 등의 유기 분말, 이산화 티탄, 산화 아연 등의 무기 백색 안료, 산화철(철단), 티탄산 철 등의 무기 적색계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 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 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카본 블랙, 저차 산화 티탄 등의 무기 흑색계 안료, 망고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의 무기 자색계 안료, 산화 크롬, 수산화 크롬, 티탄산 코발트 등의 무기 녹색계 안료, 군청, 감청 등의 무기 청색계 안료, 산화 티탄 코티드(coated) 마이카, 산화 티탄 코티드 옥시 염화 비스무스, 산화 티탄 코디드 탈크, 착색 산화 티탄 코 티드 마이카, 옥시 염화 비스무스, 어린박(魚鱗箔) 등의 펄(pearl) 안료, 알루미늄 파우더, 코퍼(copper) 파우더 등의 금속 분말 안료,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오렌지색 203호, 오렌지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및 청색 404호 등의 유기 안료,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오렌지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및 청색 1호 등의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 클로로필(chlorophyll), β-카로틴 등의 천연 색소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인 화장품에 적용할 수 있는 분말이라면 되고, 상기의 성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 글리콜, 크실리톨, 솔비톨, 말티톨, 콘드로이친 황산, 히아루론산, 무코이틴 황산, 카로닌산, 아테로콜라겐, 콜레스테릴-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젖산 나트륨, 요소, 담즙산염, dl-피롤리돈 카르본산염, 단쇄 가용성 콜라겐, 디글리세린(EO) PO 부가물, 체스트넛 로즈 추출물, 서양 톱풀 추출물, 멜리로투스(melilotus) 추출물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트 검, 갈락탄, 구아 검, 캐럽 검(Carob gum), 카라야 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씨드(모과), 조류 콜로이드(갈조 추출물),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등의 식물계 고분자, 크산탄 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풀루란(pullulan)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를 열거할 수 있다.
반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스, 니트로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셀룰로스 황산 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나트륨, 결정 셀룰로스, 셀룰로스 분말 등의 셀룰로스계 고분자,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를 열거할 수 있다.
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메틸 에테르, 폴리비닐 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카보폴(Carbopol))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00, 40,000, 60,000 등의 폴리옥시 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공중합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카티온 폴리머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무기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벤토나이트, 규산 AlMg(비이검(Veegum)), 라포나이트(Laponite), 헥토라이트, 무수 규산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 검, 카라기난, 카라야 검, 트라가칸트 검, 캐롭 검, 퀸스시드(모과), 카제인, 덱스트린, 젤라틴, 펙틴산 나트륨, 아라긴산 나트륨,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C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PVA, PVM, PVP,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로커스트 빈 검, 구아 검, 타마린드 검, 디알킬디메틸암모늄 황산 셀룰로스, 크산탄 검, 규산 알루미늄 마그네슘,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아미노 안식향산(이하, PABA라 함), PABA 모노글리세린 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 PABA 에틸 에스테르, N,N-디에톡시 PABA 에틸 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에틸 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부틸 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에틸 에스테르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 흡수제,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아밀 살리실레이트, 멘틸 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 옥틸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벤질 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 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 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 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의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3-(4’-메틸벤질리덴)-d,1-캠퍼, 3-벤질리덴-d,1-캠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 에틸 에스테르, 2-페닐-5-메틸벤조크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자라딘,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닐리덴)-3-펜탄-2-온,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 1,3,5-트리아진 등을 열거할 수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로서는, 예를 들면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사나트륨염, 에데트산 이나트륨, 에데트산 삼나트륨, 에데트산 사나트륨, 구연산 나트륨, 폴리인산 나트륨, 메타인산 나트륨, 글루콘산, 인산,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호박산, 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 삼아세트산 삼나트륨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저급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틸 알콜, t-부틸 알콜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다가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1,2-부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2,3-부틸렌 글리콜, 펜타메틸렌 글리콜, 2-부텐-1,4-디올, 헥실렌 글리콜, 옥틸렌 글리콜 등의 2가의 알콜, 글리세린, 트리메틸롤 프로판, 1,2,6-헥산트리올 등의 3가의 알콜, 펜타에리스리톨 등의 4가 알콜, 크실리톨 등의 5가 알콜, 솔비톨, 만니톨 등의 6가 알콜,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콜 중합체,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 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헥실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 2-메틸헥실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이소아밀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벤질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이소프로필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부틸 에테르 등의 2가의 알콜 알킬 에테르류,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틸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이소프로필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등의 2가 알콜 알킬 에테르류,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아디페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숙시네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의 2가 알콜 에테르 에스테르, 크실 알콜, 세라킬 알콜, 바틸 알콜 등의 글리세린 모노알킬 에테르, 솔비톨, 말티톨, 말토트리오 스, 만니톨, 자당, 에리스리톨, 글루코스, 프럭토스, 전분 분해당, 말토스, 크실리토스, 전분 분해당 환원 알콜 등의 당 알콜, 그리소리드,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알콜, POE-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알콜, POP-부틸 에테르, POP·POE-부틸 에테르, 트리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린 에테르, POP-글리세린 에테르, POP-글리세린 에테르 인산, POP·POE-펜탄 에리드리콜 에테르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단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D-글리세릴알데히드, 디히드록시아세톤 등의 삼탄당, D-에리쓰로스(erythrose), D-에리쓰루로스(erythrulose), D-쓰레오스(threose), 에리스리톨(erythritol) 등의 사탄당, L-아라비노스(arabinose), D-크실로스(xylose), L-리키소스(lyxose), D-아라비노스(arabinose), D-리보스(ribose), D-리부로스(ribulose), D-크실루로스(xylulose), L-크실루로스(xylulose) 등의 오탄당, D-글루코스(glucose), D-탈로스(talose), D-프시코스(psicose), D-갈락토스(galactose), D-프럭토스(fructose), L-갈락토스(galactose), L-만노스(mannose), D-타가토스(tagatose) 등의 육탄당, 알도헵토스(aldoheptose), 헵토스(heptose) 등의 칠탄당, 옥토스(octose) 등의 팔탄당, 2-데옥시-D-리보스, 6-데옥시-L-갈락토스, 6-데옥시-L-만노스 등의 데옥시 당, D-글루코사민, D-갈락토사민, 시알산(sialic acid), 아미노우론산, 무라민산 등의 아미노당, D-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D-만누론산, L-글루론산, D-갈락투론산, L-이두론산 등의 우론산(uronic acid)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올리고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자당, 겐티아노스(gentianose), 움벨리페로스(umbelliferose), 락토스(lactose), 플란테오스(planteose), 이소리그노스류 (isolignoses), α,α-트레할로스(trehalose), 라피노스(raffinose), 리그노스류(lignoses), 움빌리신(umbilicine), 스타키오스(stachyose), 버바코스(verbascose)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다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스, 퀸스시드, 콘드로이친 황산, 전분, 갈락탄, 더마탄 황산, 글리코겐, 아라비아 검, 헤파란 황산, 히아루론산, 트라가칸트 검, 케라탄 황산, 콘드로이친, 크산탄 검, 무코이틴 황산, 구아 검, 덱스트란, 케라토 황산, 로커스트 빈 검, 숙시노글루칸, 카로닌산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아미노산으로서, 예를 들면 스레오닌, 시스테인 등의 중성 아미노산, 히드로크실리진(hydroxylysine)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을 열거할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로서, 예를 들면 아실사르코신 나트륨(라우로일사르코신 나트륨), 아실글루타민산염, 아실-β-알라닌 나트륨, 글루타티온, 피롤리돈 카르본산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유기 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르포린,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민-2-메틸-1-프로판올 등을 열거할 수 있다.
합성 수지 에멀젼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에멀젼, 폴리아크릴산에틸 에멀젼, 아크릴 레진액, 폴리아크릴알킬 에스테르 에멀젼,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에멀젼 등을 열거할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젖산-젖산 나트륨, 구연산-구연산 나트륨 등의 완충제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비타민류로서는, 예를 들면 비타민 A, B1, B2, B6, E 및 그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토코페롤류,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몰식자산 에스테르류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산화 방지 보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말레인산, 말론산, 호박산, 케파린(cephalin), 헥사메타포스페이트, 피트산(phytic acid),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열거할 수 있다.
그 밖의 배합 가능 성분으로서는,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의 방부제, 글리시리진산(glycyrrhizic acid) 유도체, 글리시레틴산(glycyrrhetenic acid) 유도체, 살리신산 유도체, 히노키티올(hinokitiol), 산화 아연, 알란토인 등의 소염제, 태반 추출물, 범의귀 추출물 등의 미백제, 황백, 황련, 자근, 작약, 센브리, 버찌, 세이지, 비파, 당근, 알로에, 당아욱, 아이리스, 포도, 율무, 수세미, 백합, 사프란, 천궁, 생강, 고추나물, 오노니스, 마늘, 고추, 진피, 당귀, 해조 등의 추출물, 로얄 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유년 혈액 추출물 등의 부활제, 노닐산 바닐아미드, 니코틴산 벤질 에스테르,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 에스테르, 카파사이신(capsaisine), 진게론(zingerone), 칸타리스 틴크(cantharis tincture), 익타몰(ichthammol),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 토코페롤, 이노시톨 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 데레이트(cyclane derrate), 신나리진(Cinnarizine), 트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Verapamil), 세파란틴(cepharanthine), γ-오리자놀 등의 혈행 촉진제, 유황, 티안톨 등의 항지루제, 트라넥삼산,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 등을 열 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미립자 분산제는 미립자를 분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는 분산계의 분야에 있어서 그 성능에 의해 미립자를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안정되게 분산하는 것에 기여하고, 상기 제품의 제조나 보존에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미립자 분산제의 화장료, 도료, 잉크, 기억 재료, 윤활제 등에의 첨가량은 분산시키고자 하는 미립자의 종류나 양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화장료, 도료, 잉크, 기억 재료, 윤활제 등의 조성물 중에 5질량% 이상 정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상이다. 구체적으로는 5∼9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9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립자 분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열안정성이 높고, 냄새가 없고 자극성이 적은 미립자 분산제가 제공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실시예 1: 에리스리톨과 2-에틸헥산산이 에스테르화물의 조제
2-에틸헥산산[쿄와핫코(주) 제품: 옥틸산] 178g(1.24몰)과 에리스리톨[닛켄카가쿠(주), 에리스리톨]72g(0.59몰)을 교반기, 온도계, 질소가스 취입관, 수분리관(水分離管)을 갖춘 300mL의 4구 플라스크에 충전하고, 환류 용제로서 크실렌을 전체 충전량의 5%의 양으로 첨가하고, 혼하물을 180도~240도에서 20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환류 용제인 크실렌을 감압 제거하고, 활성 백토를 사용하여 탈색 처리하여, 상법에 의한 탈취, 증류 처리를 행하고, 목적으로 하는 수산기값 101의 에리스리톨과 2-에틸헥산산의 부분 에스테르화 혼합물을 142g을 얻었다.
이 에스테르의 혼합물은 일반식(I)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디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 테트라에스테르, 및 일반식(II)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디에스테르의 함유량을 각각 7.7질량%, 41.5질량%, 20.4질량% 및 28.9질량%였다.
실시예 2: 에리스리톨과 이소스테아린과의 에스테르화물 조제
에리스리톨[Unichema사 제품: PRISORIN ISAC3505] 222g(0.78몰) 및 에리스리톨[닛켄카가쿠(주), 에리스리톨] 37g(0.30몰)을 교반기, 온도계, 질소가스 취입관, 수분리관을 갖춘 300ml의 4구 플라스크에 도입하고, 환류 용제로서 크실렌을 전체 충전량의 5%의 양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180∼240℃에서 13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환류 용제인 크시렌을 감압 제거하고, 활성 백토를 사용하여 탈색 처리를 행하고, 상법에 의한 탈취, 증류 처리를 행하여 목적으로 하는 수산기값 50의 에리스리톨과 이소스테아린산의 부분 에스테르화 혼합물 204g을 얻었다.
실시예 3: 에리스리톨과 이소스테아린산과의 및/또는 숙신산(succinic acid)의 에스테르화물의 조제
이소스테아린산[Unichema사 제품: PRISORIN ISAC3505] 185g(0.65몰)과 에리스리톨[닛켄카가쿠(주), 에리스리톨] 37g(0.30몰)을 교반기, 온도계, 질소가스 취입관, 수분리관을 갖춘 300ml의 4구 플라스크에 충전하고, 환류 용제로서 크실렌을 전체 도입량의 5%의 양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180∼210℃에서 10시간 반응시켜 냉각시키고 이어서 무수 숙신산[신니혼리카(주), RICACID SA] 16g(0.16몰)을 추가하고, 다시 120~230도에서 16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환류 용제인 크 실렌을 감압 제거하고, 활성 백토를 사용하여 탈색 처리를 행하고, 상법에 의한 탈취, 증류 처리를 행하여 목적으로 하는 수산기값 39의 에리스리톨과 이소스테아린산 및/또는 숙신산의 부분 에스테르화물 143g을 얻었다.
실시예 4: 에리스리톨과 이소스테아린산 및/또는 세바신산의 부분 에스테르화물의 조제
이소스테아린산[Unichema사 제품: PRISORIN ISAC3505] 185g(0.65몰) 및 에리스리톨[닛켄카가쿠(주), 에리스리톨] 37g(0.30몰)을 교반기, 온도계, 질소가스 취입관, 수분리관을 갖춘 300ml의 4구 플라스크에 충전하고, 환류 용제로서 크실렌을 전체 도입량의 5%의 양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180∼210℃에서 10시간 교반 반응시켜 냉각시키고, 이어서 세바신산[코쿠라고세이코교(주), 세바신산] 31g(0.15몰)을 추가하고, 다시 200~240도에서 20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환류 용제인 크실렌을 감압 제거하고, 활성 백토를 사용하여 탈색 처리를 행하고, 상법에 의한 탈취, 증류 처리를 행하여 목적으로 하는 수산기값 20의 에리스리톨과 이소스테아린산 및/또는 세바신산의 부분 에스테르화 혼합물을 192g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미세입자 분산제인 에스테르화물 및 그 축합물의 미세입자 분산 성능 및 열안정성을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안료 분산성 시험
피그먼트 조정제의 조정
실시예 1 및 2에서 얻어진 미세입자 분산제 또는 비교예 1의 피마자유 60g 및 적색 안료[기시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적색 202호 SG] 40g을 200ml의 유 리 비히커에 칭량하고 예비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이 혼합물을 트리플 롤러에 의해 균일하게 될 때까지 약 10분간 니딩하고, 피그먼트 조정제를 제작하였다.
분산성 평가
상기 방법에 의해 조제된 피그먼트 조정제 25g을 200ml의 스테인레스제 머그에 칭량후, 희석 유제(유동 파라핀, T.I.O:트리 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75g을 주입하고, 디스퍼를 장착한 호모믹서에 의해 1000rpm으로 5분간 교반하였다. 호모믹서에 의해 충분히 혼합된 조정액을 20ml의 뚜껑달린 시험관에 20ml 주입하고, 조정액이 주입되어 뚜껑이 닫혀진 시험관을 그대로 40℃의 항온 베스에서 3일간 정치하여, 각각의 침강율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침강율은 처음에 뚜껑달린 시험관에 주입된 안료 분산 용액의 액면으로부터 안료 분산층(적색으로 착색된 베스)이 어느 정도 침강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침강율 = (조정된 분산액으로부터 분리된 상층의 거리/주입된 안료 분산 용액의 높이)
에 의해 산출된 비율의 백분율로 표시한다. 수치가 작을수록 더욱 분산능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얻어진 침강율을 표 1에 나타낸다.


유제 40℃ 항온 베스에서 3일간 정치후의 침강율(%)
유동 파라핀 T.I.O
실시예 1 2 1
실시예 2 20 2
실시예 3 30 1
실시예 4 30 3
비교예 1 -* 5
비교예 1의 피마자유를 분산제로 하고, 희석 유제로서 유동 파라핀을 사용한 케이스에서는, 피그먼트 조정제와 유동 파라핀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시험을 실시할 수 없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미립자 분산제는 우수한 분산 효과를 나타내었다.
열안정성 시험
시료에 에어를 불어넣고, 일정 온도로 계속하여 가열하였을 때의 샘플의 경시 열화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메트롬(Metrohm)사제의 자동 유지 안정성 시험 장치 란시마트(Rancimat) 743타입을 사용하고, 120℃에서 48시간 열안정성 시험을 행하고, 각 샘플의 성상(냄새와 색)의 열화에 관하여 피마자유(비교예 1)와 비교하였다. 결과에 대해서는 이하의 기준으로 표기한다.
냄새
○: 양호
△: 동등
×: 열등
◎: 변화 없음
○: 약간 착색
△: 동등
×: 열등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열안정성
48시간후의 성상
냄새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5
립스틱 제형
실시예 1 및 2에서 얻어진 미립자 분산제 또는 비교예 1의 피마자유 74g, 상기 안료 분산성 시험에서 조정한 각 피그멘트 10g, 칸데릴라 왁스(candelilla wax) 8g, 세레신 왁스(ceresine wax) 8g을 90도 전후로 가열 용해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균일하게 혼합된 것은 탈포 후, 립스틱 제형을 위한 금형에 유입 충전한 후, 냉각하여 형성함으로써 스틱모양 립스틱을 얻었다.
립스틱의 성상 평가
상기 방법에서 제작한 스틱모양의 립스틱에 대해서, 광택, 부러짐에 대한 강도 평가, 사용감 평가(퍼짐, 밀착성)에 관하여 평가 비교하였다.
부러짐에 대한 강도 평가에 대해서는 레오미터(Rheometer) NRM-2002J(후도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에 의해 측정하고, 비교예 1과 동등한 것을 ○, 비교예 1보다 우수한 것을 ◎로 하였다.
또한, 사용감 평가에 대해서는, 10명으로 이루어지는 패널을 대상으로 하고, 도포시의 퍼짐, 밀착성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비교예 1과 동등한 것을 ○, 비교예 1보다 우수한 것을 ◎로 하였다.
립스틱의 성상 평가
부러짐의 강도평가 사용감 평가
퍼짐 밀착성
실시예 1의 미립자 분산제 함유 립스틱
비교예 1의 피마자유 함유 립스틱

Claims (16)

  1. 에리스리톨 및 에리스리톨 축합물 중 1종 이상과 지방산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하기 일반식(I) 및 (II)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물;
    에리스리톨 및 에리스리톨 축합물 중 1종 이상과 다가 카르본산과의 중축합물;
    에리스리톨 및 에리스리톨 축합물 중 1종 이상과 하기 일반식(I) 및 (II)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물과 다가 카르본산과의 중축합물;
    에리스리톨 및 에리스리톨 축합물 중 1종 이상과 다가 카르본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과, 지방산과의 중축합물; 및
    에리스리톨 및 에리스리톨 축합물 중 1종 이상과 지방산 및 다가 카르본산 중 1종 이상과의 중축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산제.
    Figure 112009031237313-pct00016
    Figure 112009031237313-pct00007
    (상기 식 중, R1~R4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지방산 잔기를 나타내고, R5~R6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지방산 잔기를 나타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 중, R1∼R4의 적어도 하나가 수소 원자이고, R5 ∼R6의 어느 하나가 수소 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산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잔기가 탄소수 5∼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산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잔기가 이소옥틸산 또는 이소스테아린산 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산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카르본산이 이염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산제.
  6. 제1항에 있어서, 수산기값이 1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산제.
  7.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 및 (II)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물을 함유하고, 지방산이 탄소수 8∼18의 분기 포화 지방산이고, 에스테르의 수산기값이 1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산제.
  8. 제7항에 있어서, 지방산이 이소옥틸산 및 이소스테아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 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산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일반식(I)의 기본 골격을 가지는 디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 테트라에스테르의 함량이 각각 3~20질량%, 30~70질량%, 8~40질량%이며 및 일반식(II)의 기본 골격을 가지는 디에스테르의 함량이 5~3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산제.
  11. 제1항에 있어서, 에리스리톨과 지방산과 다가 카르본산과의 중축합물을 함유하고, 지방산이 탄소수 8∼18의 분기 포화 지방산이고, 다가 카르본산이 탄소수 4∼10의 2염기성 포화 카르본산이고, 에스테르의 수산기값이 1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산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의 기재의 미립자 분산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15. 제14항에 있어서, 미립자 분산제가 일반식(I) 및 (II)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물을 함유하고, 지방산이 탄소수 8~18의 분기 포화 지방산이며, 에스테르의 수산기값이 1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6. 제14항에 있어서, 미립자 분산제가 에리스리톨과 지방산과 다가 카르본산과의 중축합물을 함유하고, 지방산이 탄소수 8~18의 분기 포화 지방산이며, 다가 카르본산이 탄소수 4~10의 2염기성 포화 카르본산이고, 에스테르의 수산기값이 1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047015453A 2002-03-28 2003-03-27 미립자 분산제 및 이 분산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도료,잉크, 기억 재료 및 윤활제 KR100924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92186 2002-03-28
JP2002092186 2002-03-28
JPJP-P-2002-00134241 2002-05-09
JP2002134241 2002-05-09
PCT/JP2003/003819 WO2003082454A1 (fr) 2002-03-28 2003-03-27 Dispersant de particules fines et cosmetiques, materiaux de revetement, encre, materiaux de stockage et lubrifiants, contenant lesdits el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817A KR20040105817A (ko) 2004-12-16
KR100924057B1 true KR100924057B1 (ko) 2009-10-27

Family

ID=2867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453A KR100924057B1 (ko) 2002-03-28 2003-03-27 미립자 분산제 및 이 분산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도료,잉크, 기억 재료 및 윤활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488850B1 (ko)
JP (1) JP4188249B2 (ko)
KR (1) KR100924057B1 (ko)
CN (1) CN100467108C (ko)
AU (1) AU2003227261A1 (ko)
ES (1) ES2462790T3 (ko)
TW (1) TW200306318A (ko)
WO (1) WO20030824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5974A2 (ko) * 2011-07-05 2013-01-10 다하텍 주식회사 친환경 습도지시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0902A1 (ja) * 2003-05-13 2004-11-25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油性化粧料
WO2004100917A1 (ja) * 2003-05-13 2004-11-25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水中油型乳化化粧料
WO2007063902A1 (ja) * 2005-11-30 2007-06-07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トレハロース脂肪酸エステル組成物
EP1990041A1 (de) * 2007-05-07 2008-11-12 Cognis IP Management GmbH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Ester auf Basis von 2-Propylheptansäure
KR20100028107A (ko) 2007-06-29 2010-03-11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실리콘을 함유하는 화장료
TWI408180B (zh) * 2010-10-14 2013-09-11 Microjet Technology Co Ltd 減少顏料暈染現象之組成物
TWI410463B (zh) * 2010-10-14 2013-10-01 Microjet Technology Co Ltd 增加顏料穩定性之組成物
CN103420830B (zh) * 2012-05-25 2016-04-20 丰益(上海)生物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赤藓糖醇脂肪酸一酯和二酯的选择性制备方法
CN103421419B (zh) * 2013-08-16 2015-10-14 石家庄世易糠醛糠醇有限公司 一种高性能呋喃类海洋防腐涂料的制备方法
CN103611468B (zh) * 2013-11-20 2015-02-04 桂林理工大学 一种采用废弃食用油制备分散剂的方法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5187A (ja) * 1992-03-10 1993-10-05 Toho Chem Ind Co Ltd 化粧品用油分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58165B (nl) * 1973-05-15 1978-10-16 Amsterdam Chem Comb Werkwijze voor de bereiding van carbonzuuresters van lineaire alifatische suikeralcoholen.
US5282990A (en) * 1990-07-31 1994-02-01 Exxon Chemical Patents Inc. Synergistic blend of amine/amide and ester/alcohol friction modifying agents for improved fuel economy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4288008A (ja) * 1991-03-14 1992-10-13 Taiyo Kagaku Co Ltd エリスリトールエステルを含有する化粧料
JPH0672941A (ja) * 1992-08-28 1994-03-15 Kao Corp 新規ポリカルボン酸又はその塩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AU2000257414A1 (en) * 2000-06-15 2001-12-24 Exxon Chemical Patents Inc. Formulation with ester-containing basestocks having reduced engine wear
FR2820320B1 (fr) * 2001-02-02 2003-04-04 Oreal Suspension de nanospheres de principe actif lipophile stabilisee par des polymeres hydrodispersib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5187A (ja) * 1992-03-10 1993-10-05 Toho Chem Ind Co Ltd 化粧品用油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5974A2 (ko) * 2011-07-05 2013-01-10 다하텍 주식회사 친환경 습도지시카드
WO2013005974A3 (ko) * 2011-07-05 2013-02-28 다하텍 주식회사 친환경 습도지시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462790T3 (es) 2014-05-26
WO2003082454A1 (fr) 2003-10-09
EP1488850A4 (en) 2007-10-03
TW200306318A (en) 2003-11-16
JP4188249B2 (ja) 2008-11-26
JPWO2003082454A1 (ja) 2005-07-28
AU2003227261A1 (en) 2003-10-13
EP1488850A1 (en) 2004-12-22
KR20040105817A (ko) 2004-12-16
EP1488850B1 (en) 2014-05-07
CN100467108C (zh) 2009-03-11
CN1649664A (zh) 2005-08-03
TWI305779B (ko) 200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529B1 (ko) 액상 에스테르 조성물 및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JP5192804B2 (ja) トレハロース脂肪酸エステル組成物
KR102402508B1 (ko) 고형 분말 화장료
EP2550954B1 (en) Vaseline-like composition, and cosmetic preparation
KR100924057B1 (ko) 미립자 분산제 및 이 분산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도료,잉크, 기억 재료 및 윤활제
KR101054682B1 (ko) 미립자 분산제 및 이 분산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도료,잉크, 기억 재료 및 윤활제
KR20110065462A (ko) 투명 겔 화장료 및 겔화제
JP5842280B2 (ja) トレハロース脂肪酸エステル組成物
JP3925961B2 (ja) 化粧料
US20050106198A1 (en) Fine particle disperant and cosmetic, paint, ink, memorizing material and lubricant containing the dispers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