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032B1 -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장치와 프로토콜 변환 프로그램을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장치와 프로토콜 변환 프로그램을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032B1
KR100924032B1 KR1020087010505A KR20087010505A KR100924032B1 KR 100924032 B1 KR100924032 B1 KR 100924032B1 KR 1020087010505 A KR1020087010505 A KR 1020087010505A KR 20087010505 A KR20087010505 A KR 20087010505A KR 100924032 B1 KR100924032 B1 KR 100924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data
bit rate
fram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6004A (ko
Inventor
히로아끼 데이
가즈노리 오자와
가즈히로 고야마
다쯔야 나까자와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6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33Signalling gateways
    • H04L65/104Signalling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6Call signalling protocols; H.323 and re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패킷 교환망과 회선 교환망을 통한 미디어 통신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망과 상기 회선 교환망 사이에서 프로토콜을 변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변환 장치로서 호접속부와 프로토콜 변환부를 갖고 있다. 호접속부는, 패킷 교환망측의 단말기 및 회선 교환망측의 단말기 사이에서 미디어 통신의 호접속 처리를 행한다. 프로토콜 변환부는,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의 패킷을 해석해서 그 음성 패킷에서의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특정한다. 계속해서, 프로토콜 변환부는, 그 부호화 비트 레이트로부터 회선 교환망 상의 프레임 다중화에 이용하는 다중화 테이블을 특정한다. 또한, 프로토콜 변환부는,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를, 특정된 다중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다중화해서 프레임을 생성하여 회로 접속망에 송신한다.
패킷 교환망, 회선 교환망, 프로토콜, 비트 레이트, 페이로드 길이, 음성 데이터, 다중화

Description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장치와 프로토콜 변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PROTOCOL CONVERSION SYSTEM IN MEDIA COMMUNICATIONS BETWEEN PACKET EXCHANGING NETWORK AND LINE EXCHANGING NETWORK}
본 발명은, 회선 교환망에 접속되는 단말기와, 패킷 교환망에 접속되는 단말기 사이에서, 음성이나 영상의 미디어 통신을 행할 때, 쌍방의 망 사이에 설치한 장치에 의해 전송 프로토콜을 변환해서 미디어를 중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패킷으로 음성이나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통신하는, 소위 VoIP(Voice over IP)나 TVoIP(TV over IP)라고 불리우는 쌍방향 통신 시스템이나 회의 시스템이 급속하게 보급되어 오고 있다. 또한, 이러한 패킷 교환망에 접속되는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제3세대의 휴대 단말기(3G 단말기) 중에는, 회선 교환망 상에서, 단말기 사이에서 TV 전화가 가능한 단말기가 있으며, 이것도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들 단말기는, 음성이나 영상을 주고 받는 부호화 방식, 부호화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송 프로토콜, 서로의 호를 접속하는 호접속 프로토콜 등, 각각의 망에 맞춘 사양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부호화 방식은 동일하여도 전송 프로토콜이 서로 다르면 상호의 통신이 불가능하다. 그 때문에, 서로 다른 망에 접속되 는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쌍방의 망 사이에 접속되어, 부호화 데이터의 교환을 중계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패킷 교환망에 접속하는 단말기(SIP 단말기)가 서포트하고 있는 전송 프로토콜이,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UDP(User Datagram Protocol)/IP(Internet Protocol)이고, 단말기의 능력 교환을 행하는 호접속 프로토콜이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회선 교환망에 접속하는 단말기가 ITU-T 권고 H.324(제3세대 휴대 단말기에서는 3G-324M 및 Q.931)를 서포트하고, 전송 프로토콜로서 ITU-T 권고 H.223(이후 H.223), 능력 교환 프로토콜로서 ITU-T 권고 H.245(이후 H.245)를 따르기로 한다. 그 경우, 패킷 교환망과 회선 교환망 사이의 장치에서, RTP/UDP/IP와 H.223의 상호의 변환, SIP와 H.245의 상호 변환이 필요하다. 이들에 대해서는 이하에 기재하는 4개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문헌 1: Handley, M., Schulzrinne, H., Schooler, E., Rosenberg, J.,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RFC 2543, March 1999
문헌 2: Handley, M., Jacobson, V., "SDP: Session Description Protocol", RFC 2327, April 1998
문헌 3: Schulzrinne, H., Casner, S., Frederick, R., Jacobson, V., "RTP: A Transport Protocol for Real-Time Applications", RFC 3550, July 2003
문헌 4: Sjoberg, J., Westerlund, M., Lakaniemi, A., Xie, Q., "Real-Time Transport Protocol(RTP) Payload Format and File Storage Format for the Adaptive Multi-Rate(AMR) and Adaptive Multi-Rate Wideband(AMR-WB) Audio Codecs", RFC 3237, June 2002
이러한 패킷 교환망에 접속하는 SIP 단말기와 3G 단말기의 통신을 실현하는 1종류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에만 대응한 접속 시스템(게이트웨이)이 제안되어 있다. 이 접속 장치에 의해, 패킷 교환망에 접속하는 단말기와 회선 교환망에 접속하는 단말기가 서로의 전송 프로토콜이나 호접속 프로토콜을 의식하지 않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비트 레이트의 변경에 대응하는 다중화 테이블의 변경 방법을 채용한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3-19863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11730호 공보 참조).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접속 시스템의 전송 프로토콜 변환 장치에서는, 부호화 데이터의 사양과 전송 프로토콜의 사양이 서로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부호화 데이터의 사양에 적합한 프로토콜 변환이 곤란하였다. 예를 들면, 통신 중에 음성이나 영상의 부호화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의 변경이 허용된 사양이어도, 비트 레이트의 변동에 맞춰서 전송 프로토콜의 변환을 변화시키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 때문에, 통신 중에는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고정해서 데이터의 중계를 행하는 것이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11730호 공보에 기재된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은, 통신 중의 음성 부호화 레이트를 변경할 필요가 생긴 경우, 그 때마다, 단말기 사이에서, 레이트 변경에 관한 다중화 테이블의 변경에 대한 교환을 행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다중화 테이블 변경의 교환을 종료한 후에는, 기본적으로는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고정해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것이었다.
또한, 패킷 교환망에 접속된 SIP 단말기가 서포트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와, 회선 교환망에 접속된 3G 단말기가 서포트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가 서로 다른 경우, 접속 시스템에서 비트 레이트 변환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전송 프로토콜 변환 처리에서 대응할 수 있도록, 각각을 고정의 비트 레이트로 하고, 그 동안의 비트 레이트 변환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역시 통신 중에 비트 레이트를 변환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킷 교환망과 회선 교환망의 전송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하는 시스템에서, 복수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패킷 교환망과 회선 교환망을 통한 미디어 통신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망과 상기 회선 교환망 사이에서 프로토콜을 변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변환 장치로서 호접속부와 프로토콜 변환부를 갖고 있다.
호접속부는, 패킷 교환망측의 단말기 및 회선 교환망측의 단말기 사이에서 미디어 통신의 호접속 처리를 행한다. 프로토콜 변환부는,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의 패킷을 해석해서 그 음성 패킷에서의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특정한다. 계속해서, 프로토콜 변환부는, 그 부호화 비트 레이트로부터 회선 교환망 상의 프레임의 다중화에 이용하는 다중화 테이블을 특정한다. 또한, 프로토콜 변환부는,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를, 특정된 다중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다중화해서 프레임을 생성하여 회선 교환망에 송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4의 실시 형태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제1∼5의 실시 형태에서의 다중화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제1∼5의 실시 형태에서 회선 교환망으로부터 패킷 교환망에 미디어를 송신할 때의 처리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제1, 2 실시 형태에서, H.223 다중화 프레임으로부터 음성 RTP 패킷을 생성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1, 2 실시 형태에서, H.223 다중화 프레임으로부터 음성 RTP 패킷을 생성할 때 음성 트랜스코더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제1∼4 실시 형태에서,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회선 교환망에 미디어를 송신할 때의 처리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제1, 2 실시 형태에서, RTP(음성) 패킷으로부터 H.223 다중화 프레임을 생성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제1, 2 실시 형태에서 RTP(음성) 패킷으로부터 H.223 다중화 프레임을 생성할 때에 음성 트랜스코더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제3, 4 실시 형태에서 H.223 다중화 프레임으로부터 음성 RTP 패킷을 생성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제3, 4 실시 형태에서 H.223 다중화 프레임으로부터 음성 RTP 패킷 을 생성할 때에 음성 트랜스코더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제3, 4 실시 형태에서 RTP(음성) 패킷으로부터 H.223 다중화 프레임을 생성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제3, 4 실시 형태에서 RTP(음성) 패킷으로부터 H.223 다중화 프레임을 생성할 때에 음성 트랜스코더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접속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4는,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처리 플로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제5 실시 형태에서의 다른 처리 플로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회선 교환망과 패킷 교환망 사이에, 프로토콜 변환을 행하는 접속 게이트웨이가 배치된다. 접속 게이트웨이는,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음성 부호화 데이터 및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성 패킷의 페이로드 길이로부터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판단하고, 필요하면 음성 부호화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를 변환한다. 접속 게이트웨이는, 복수의 다중화 테이블을 미리 갖고 있고, 변환 후의 음성 비트 레이트에 따라서 다중화 테이블을 선택하고, 그 다중화 테이블을 이용해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 및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다중화해서 회선 교환망에 송신한다.
또한, 접속 게이트웨이는, 회선 교환망으로부터 다중화 데이터를 수신하면, 다중화 테이블 정보에 따라서 다중화 데이터를 음성 부호화 데이터와 영상 부호화 데이터로 분리한다. 그리고, 접속 게이트웨이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대해서, 부호화 데이터 길이로부터 판단해서 필요하면 음성 부호화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를 변환한다. 계속해서, 접속 게이트웨이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 및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각각 패킷화해서 패킷 교환망에 송신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은, 접속 게이트웨이(100), 회선 교환 단말기(101), 패킷 교환 단말기(102), 회선 교환망(103), 패킷 교환망(104), 및 SIP 서버(108)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 게이트웨이(100)는, 호접속 부(105), 전송 프로토콜 변환부(106), 음성 트랜스코드부(107)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 게이트웨이(100)를 구성하는 각 부는 각각이 독립된 장치이어도 되고, 동일한 장치 내에 존재하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선 교환 단말기(101)는 회선 교환망(103)과 접속된다. 회선 교환 단말기(101)는, 3G-324M(영상 압축 부호화)에 따라서, 호접속 처리에 H.245를 이용하고, 전송 프로토콜로서 H.223을 이용한다. 패킷 교환 단말기(102)는, IP(Internet Protocol)에 의해 패킷 교환망(104)과 접속된다. 패킷 교환 단말기(102)는, 호접속 처리로서 SIP를 이용하고, 전송 프로토콜로서 UDP/RTP를 이용한다.
또한, 접속 게이트웨이(100)는, 회선 교환망(103) 및 패킷 교환망(104)의 쌍방에 접속된다. 접속 게이트웨이(100)는, 회선 교환망(103)측에서 3G-324M을 종단 하고, 패킷 교환망(104)측에서 SIP 및 UDP/RTP를 종단하여, 쌍방의 단말기 사이의 호접속 처리 및 미디어의 중계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선 교환 단말기(101)는 제3세대(3G) 휴대 TV 전화 단말기이며, 음성 부호화 방식(음성 압축 부호화 방식)으로서 AMR(Adaptive Multi-Rate)을 서포트하고, 영상 부호화 방식(영상 압축 부호화 방식)으로서 MPEG-4를 서포트하고 있다. 패킷 교환 단말기(102)는, 퍼스널 컴퓨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패킷 교환 단말기(102)는, 미디어의 부호화 방식으로서, 회선 교환 단말기(101)와 동일한 AMR 및 MPEG-4를 서포트하고, 전송 프로토콜로서, 제3세대(3G)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표준 규격의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규격 등을 서포트한다. 단, 본 발명이, 이들 부호화 방식 등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이 프로토콜에 의한 호접속 처리 및 전송 프로토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도 문제가 없는 것은 물론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H.223 다중화 프레임 및 음성 RTP 패킷이 모두 하나의 AMR 부호화 프레임을 포함하는 예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회선 교환 단말기(101)는, 패킷 교환 단말기(102)와 접속하고자 할 때, 우선 접속 게이트웨이(100)와의 접속을 확립한다. 회선 교환 단말기(101)는, AMR 음성 부호화 데이터와 MPEG-4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H.223에 의해 다중화해서 송신하기 위해, 접속을 확립할 때의 H.245 니고시에이션에서, H.223의 다중화 테이블 정보를 접속 게이트웨이(100)의 호접속부(105)에 통지한다. 이 다중화 테이블은, 회선 교환 단말기(101)가 서포트하는 AMR의 모드마다 준비해 둘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여기에서는 복수의 다중화 테이블 정보가 통지된다.
접속 게이트웨이(100)는, 패킷 교환망(104)에 접속되어 있는 SIP 서버(108)로부터, 패킷 교환 단말기(102)의 능력(AMR의 서포트 모드 정보)을 SIP/SDP의 기술로부터 취득하고, 그것에 맞춘 복수의 다중화 테이블을 설정한다. 그리고, 접속 게이트웨이(100)는, H.245 니고시에이션에서, 다중화 테이블 정보를 회선 교환 단말기(101)에 통지한다. 이 때, 접속 게이트웨이(100)가 패킷 교환 단말기(102)의 IP 어드레스를 미리 알고 있으면, SIP 서버(108)가 아니라, SIP에 의해 패킷 교환 단말기(102)로부터 직접, 능력을 취득하여도 된다.
여기에서, 접속 게이트웨이(100)는, 다중화 테이블에 나타내어진 1종류 이상의 음성 데이터 길이로부터, 회선 교환 단말기(101)가 서포트하고 있는 AMR의 모드를 파악하고, 패킷 교환 단말기(102)와의 SIP에서의 능력 교환시에, SDP 기술의 "mode-set="로, 서포트되어 있는 모드만을 기재(전체 모드 서포트이면 기재는 생략 가능)해서 패킷 교환 단말기(102)에 통지하면, 패킷 교환 단말기(102)로부터 회선 교환 단말기(101)를 향하는 방향의 통신이 프로토콜 변환만으로 가능해져, 비트 레이트의 변환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SDP 기술에서는, AMR 중 서포트하는 모드의 기술로서, 예를 들면 "mode-set=5, 7;"로 기술되어 있으면, 모드 5와 7이 서포트되어 수신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mode-set=1, 2, 3, 4, 5, 6, 7;"로 기술하거나, 혹은 "mode-set="의 기술이 없으면, 전체 모드가 서포트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비트 레이트 변환을 행하는 것이라면, 접속 게이트웨이(100)는 전체 모드를 서포트하는 취지의 SIP/SDP 응답을 패킷 교환 단말기(102)에 보내면 된다. 그리고, 접속 게이트웨이(100)는, 패킷 교환 단말기(102)로부터 수신한 AMR 데이터를, H.245 니고시에이션에서 파악한 회선 교환 단말기(101)가 서포트하는 AMR 모드로 되도록, 비트 레이트 변환해서 회선 교환 단말기(101)에 송신하면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SIP/SDP로 나타내어진 패킷 교환 단말기(102)가 서포트하는 AMR의 모드가, H.245 니고시에이션에서 파악되는 회선 교환 단말기(101)가 서포트하는 AMR 모드와 동일하면, 회선 교환 단말기(101)로부터 패킷 교환 단말기(102)에의 방향에서는, 비트 레이트 변환을 행하지 않고, 프로토콜 변환만으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그들이 서포트하는 모드가 서로 다르면, 접속 게이트웨이(100)는, 회선 교환 단말기(101)로부터의 AMR 데이터를, SIP/SDP로 나타내어진 패킷 교환 단말기(102)가 서포트하는 AMR 모드로 비트 레이트 변환해서, 패킷 교환 단말기(102)에 송신하면 된다.
접속 게이트웨이(100)는, 회선 교환 단말기(101)로부터의 음성과 영상의 다중화 데이터를 전송 프로토콜 변환부(106)에서 수신하면, H.245의 니고시에이션에서 얻은 회선 교환 단말기(101)의 다중화 테이블 정보를 바탕으로, 다중화 데이터의 각 미디어를 분리한다.
도 2는, 접속 게이트웨이(100)가 설정하는 복수의 다중화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해서 다중화 테이블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중화 프레임 1∼4, 201∼204는, AMR의 각 모드에 대응한 다중화 프레임이다. H.223 헤더에는, 각각의 H.223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 정보, 다중화 테이블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다중화 테이블 식별 정보에 의해, H.245 니고시에이션에서 취득한 테이블 정보 중에서, 그 H.223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에 이용된 다중화 테이블을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테이블 정보로부터, 다중화 프레임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부의 길이를 알 수 있다. 즉, 다중화 테이블 식별 정보로부터, 다중화 프레임 1∼4, 201∼204의 음성 데이터부의 길이(음성 데이터 길이 a1∼a4)를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회선 교환 단말기(101)로부터 패킷 교환 단말기(102)에의 미디어의 흐름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회선 교환망으로부터 패킷 교환망으로 미디어를 송신할 때의 상세한 처리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수신 처리(302)에서, 전송 프로토콜 변환부(106)는, 회선 교환 단말기(101)로부터의 H.223 다중화 데이터를 회선 교환망(103)을 통해서 수신한다. H.223 다중화 데이터에서는, 다중화 프레임의 각각에 다중화 테이블 식별 정보가 부가되어 있다. H.223 분리 처리(303)는, 이 다중화 테이블 식별 정보와 H.245 니고시에이션에 의해 얻은 다중화 테이블 정보에 기초해서, 음성 및 영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분리한다.
여기에서, AMR에서는 부호화 프레임 길이가 부호화 비트 레이트의 모드와 1:1로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분리된 음성 부호화 데이터(304)의 길이로부터 AMR의 부호화 모드가 판명된다. 즉, H.223 프레임에서 얻어진 다중화 테이블 식별 정보로부터, H223 다중화 테이블의 음성 데이터부의 길이를 알 수 있으면, AMR의 부호화 모드를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선 교환 단말기(101)로부터의 H.223 다중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모드가 통신 중에 변화하여도, 최단으로 AMR의 부호화 프레임(20 msec)마다의 음성 부호화 비트 레이트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만약, 이 음성 부호화 데이터(304)가, 패킷 교환 단말기로부터 얻은 능력 정보로 서포트되어 있지 않은 음성 부호화 모드이면, 음성 트랜스코더(305)에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304)의 비트 레이트를 변환한다. 패킷 교환 단말기가, 음성 부호화 데이터(304)의 부호화에 이용되고 있는 부호화 모드를 서포트하고 있으면, 음성 트랜스코더(305)에서의 처리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변환하는 트랜스코더는, 디코더와 인코더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탠덤 트랜스코더이어도 상관없고, 파라미터 맵핑 등에 의한 비탠덤 트랜스코더이어도 상관없다.
필요에 따라서 부호화 비트 레이트가 변환된 음성 부호화 데이터는, 음성 페이로드 포맷화 처리(306)에 의해, RTP 페이로드의 포맷에 맞도록 포맷화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송 프로토콜로서 RTP가 이용되기 때문에, 음성 페이로드 포맷화 처리(306)가 필요하지만, 전송 프로토콜이 RTP가 아니면, 그 처리는 불필요하게 된다.
도 4는, H.223 다중화 프레임으로부터 음성 RTP 패킷을 생성하는 흐름을 설 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H.223 다중화 프레임으로부터 음성 RTP 패킷을 생성할 때에 음성 트랜스코더를 사용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H.223 다중화 프레임으로부터 음성의 RTP 패킷을 생성하는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4의 예에서는, H.223 다중화 프레임(401)에 포함되는 음성 데이터부의 길이(음성 데이터 길이 a3)로부터, AMR의 부호화 모드를 일의적으로 특정한다. 그리고, 부호화 데이터에 페이로드 포맷화 처리(402)를 실시해서 RTP 패킷화하여, RTP 패킷(403)을 생성한다.
또한, 도 5의 예에서는, H.223 다중화 프레임(501)에 포함되는 음성 데이터부의 길이(음성 데이터 길이 a3)로부터, AMR의 부호화 모드를 특정한다. 특정된 부호화 모드가 패킷 교환 단말기가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모드이면, 음성 트랜스코더(502)에서, 패킷 교환 단말기가 서포트하는 부호화 모드(비트 레이트)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부호화 데이터에 페이로드 포맷 처리(503)를 실시해서 RTP 패킷화한다. 이에 의해 RTP 패킷(504)이 생성된다.
또한, 패킷 교환 단말기와의 능력 교환에 의해, 패킷 교환 단말기가 멀티 프레임의 RTP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면, 페이로드 포맷화 처리(402, 503)에서, 복수의 AMR 부호화 프레임을 동일한 RTP 패킷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만약에 H.223 분리 처리(303)에 입력된 다중화 프레임에 음성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음성 부호화 데이터(304)로서, 무음 부호화 데이터(AMR 의 경우에는, NO DATA 프레임)를 RTP 패킷화하여, 패킷 교환망(104)에 송신하면, 패킷 교환 단말기(102)에서의 음질 열화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RTP 페이로드 포맷화된 데이터가 음성 RTP 패킷화 처리(307)에 의해 RTP 패킷화된다. 음성 RTP 패킷은, 음성 송신 처리(308)에 의해, 패킷 교환망(104)을 경유해서 패킷 교환 단말기(102)에 송신된다.
다음으로 영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H.223 분리 처리(303)에서 분리된 영상 부호화 데이터(309)는, 영상 페이로드 포맷화 처리(310)에서,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RTP로 전송하기 위한 처리가 실시된다. 그 처리 후의 영상 부호화 데이터는, 영상 RTP 패킷화 처리(311)에 의해 RTP 패킷화된다. 영상 RTP 패킷은, 영상 송신 처리(312)에 의해, 패킷 교환망(104)을 경유해서 패킷 교환 단말기(102)에 송신된다. 또한, 전송 프로토콜이 RTP가 아니면, 음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영상 페이로드 포맷화 처리(310)가 불필요하게 된다.
다음으로, 패킷 교환 단말기(102)로부터 회선 교환 단말기(101)에의 미디어의 흐름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패킷 교환망(104)으로부터 회선 교환망(103)에 미디어를 송신할 때의 상세한 처리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접속 게이트웨이(100)는, 패킷 교환망(104)으로부터 음성의 RTP 패킷을 음성 수신 처리(602)에서 수신하고, 영상의 RTP 패킷을 영상 수신 처리(607)에서 수신한다. 그들 RTP 패킷은, 패킷 교환망(104)에 의해 순서가 교체되어 있어도 음성 RTP 처리(603) 또는 영상 RTP 처리(608)에 의해, 원래의 순서로 정돈된다. 또한, 음성 페이로드 포맷 처리(604)에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605)가 추출되고, 영상 페이로드 포맷 처리(609)에서 영상 부호화 데이터(610)가 추출된다.
여기에서, 음성 RTP 처리(603)에 의해 얻어진 RTP 페이로드 길이로부터, 음성 부호화 데이터(605)의 부호화 모드(비트 레이트)가 일의적으로 특정된다. 음성 부호화 데이터(605)가, H.245 니고시에이션에서 얻어진 회선 교환 단말기(101)가 서포트하는 부호화 모드가 아니면, 음성 트랜스코더(606)에 의해, 음성 부호화 데이터(605)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가 변환된다. 회선 교환 단말기(101)가, 음성 부호화 데이터(605)의 부호화에 이용된 부호화 모드를 서포트하고 있으면, 음성 트랜스코더(606)에서의 처리는 불필요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부호화 비트 레이트가 변환된 음성 부호화 데이터는, H.223 다중화 처리(611)에 의해, 영상 부호화 데이터(610)와 함께 다중화되고, 송신 처리(612)에 의해 회선 교환망(103)을 통해서 회선 교환 단말기(101)에 송신된다. H.223 다중화 처리(611)에서는, 다중화하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모드) 정보로부터 음성 부호화 데이터 길이를 일의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H.245에서 회선 교환 단말기(101)에 통지한 다중화 테이블 중에서 적절한 테이블을 선택하고, 그 다중화 테이블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H.223 헤더에 저장한다.
도 7은, RTP(음성) 패킷으로부터 H.223 다중화 프레임을 생성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RTP(음성) 패킷으로부터 H.223 다중화 프레임을 생성할 때에 음성 트랜스코더를 사용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RTP(음성) 패킷으로부터 H.223 다중화 프레임을 생성하는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의 예에서는, 음성 RTP 패킷(701)의 RTP 페이로드 길이로부터, RTP 패킷(701)에 포함되는 AMR 부호화 모드(비트 레이트)가 일의적으로 특정된다. 그리고, RTP 페이로드에 페이로드 포맷 처리(702)를 실시해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를 취출한다. 마찬가지로, 패킷 교환망(104)으로부터 수신된 영상 RTP 패킷에 포함되는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취출한다.
그리고, H.245 니고시에이션에서 회선 교환 단말기(101)에 통지한 H.223 다중화 테이블 중에서 AMR 부호화 모드에 적합한 다중화 테이블을 선택하고, 그 다중화 테이블을 이용해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와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H.223 다중화 프레임(703)을 생성한다.
도 8의 예에서는, 음성 RTP 패킷(801)의 RTP 페이로드 길이로부터, RTP 패킷(801)에 포함되는 AMR 부호화 모드(비트 레이트)가 일의적으로 특정된다. 그것이 회선 교환 단말기(101)가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모드이면, 음성 트랜스코더(803)에 의해, 회선 교환 단말기(101)가 서포트하는 부호화 모드(비트 레이트)로 변환된다. 변환 후의 음성 부호화 데이터와, 패킷 교환망(104)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RTP 패킷으로부터 취출한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H.245 니고시에이션에서 회선 교환 단말기에 통지한 H.223 다중화 테이블 중에서 선택한 비트 레이트 변환 후의 AMR 부호화 모드에 적합한 다중화 테이블을 이용해서 다중화하여, H.223 다중화 프레임(804)을 생성한다.
또한, 만약에 H.223 다중화 처리(611)가 음성 부호화 데이터와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타이밍에,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음성 데이터가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되어 있지 않으면), 음성 데이터 대신에 무음 부호화 데이터(AMR의 경우에는, NO DATA 프레임)를 다중화해서 회선 교환망(103)에 송신하면 된다. 이에 의해, 회선 교환 단말기(101)에서의 음질 열화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회선 교환에서는, H.223 다중화 데이터의 전송 비트 레이트에 상한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것을 초과하는 레이트의 다중화 데이터를 송신하면 지연이 발생한다. 따라서, 다중화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를 억제하기 위해, 일부의 유음의 음성 부호화 데이터를, 보다 데이터량이 작은(비트 레이트가 낮은) 무음의 부호화 데이터(AMR의 경우에는, NO DATA 프레임)로 치환해서 H.223 다중화 처리를 행하여, 회선 교환망(103)에 송신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회선 교환망과 패킷 교환망 사이에, 프로토콜 변환을 행하는 접속 게이트웨이가 배치된다. 접속 게이트웨이는,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음성 부호화 데이터 및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비트 레이트 정보로부터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판단하고, 필요하면 음성 비트 레이트를 변환한다. 접속 게이트웨이는, 복수의 다중화 테이블을 미리 갖고 있고, 변환 후의 음성 비트 레이트에 따라서 다중화 테이블을 선택하고, 그 다중화 테이블을 이용해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 및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회선 교환망에 송신한다.
또한, 접속 게이트웨이는, 회선 교환망으로부터 다중화 데이터를 수신하면, 다중화 테이블 정보에 따라서 다중화 데이터를 음성 부호화 데이터와 영상 부호화 데이터로 분리한다. 그리고, 접속 게이트웨이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대해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비트 레이트 정보로부터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판단하고, 필요하면 음성 비트 레이트를 변환한다. 계속해서, 접속 게이트웨이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 및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각각 패킷화해서 패킷 교환망에 송신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지만, 음성 부호화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모드)의 판단 방법이 서로 다르다. 여기에서는 주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는 호접속 프로토콜, 전송 프로토콜, 및 부호화 방법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며, 예시한 프로토콜 및 부호화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는, H.245 니고시에이션의 처리나 다중화 테이블에 관한 처리(도 2) 등, 회선 교환 단말기(101) 및 패킷 교환 단말기(102)와의 호접속 처리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회선 교환 단말기(101)로부터 패킷 교환 단말기(102)에의 미디어의 흐름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신 처리(302)에서, 전송 프로토콜 변환부(106)는, 회선 교환 단말기(101) 로부터의 H.223 다중화 데이터를 회선 교환망(103)을 통해서 수신한다. H.223 다중화 데이터에서는, 다중화 프레임의 각각에 다중화 테이블 식별 정보가 부가되어 있다. H.223 분리 처리(303)는, 이 다중화 테이블 식별 정보와 H.245에 의해 얻은 다중화 테이블 정보에 기초해서, 음성 및 영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분리한다.
여기에서, AMR은, 부호화 데이터의 선두에 부호화 비트 레이트의 모드 정보(부호화 비트 레이트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분리된 음성 부호화 데이터(304)로부터 AMR의 부호화 모드가 판명된다. 이에 의해, 회선 교환 단말기(101)로부터의 H.223 다중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모드가 통신 중에 변화하여도, 최단으로 AMR의 부호화 프레임(20 msec)마다의 음성 부호화 비트 레이트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만약, 이 음성 부호화 데이터(304)가, 패킷 교환 단말기로부터 얻은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음성 부호화 모드로 서포트되어 있지 않으면, 음성 트랜스코더(305)에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304)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변환한다. 패킷 교환 단말기가, 음성 부호화 데이터(304)의 부호화에 이용되고 있는 부호화 모드를 서포트하고 있으면, 음성 트랜스코더(305)에서의 처리는 불필요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부호화 비트 레이트가 변환된 음성 부호화 데이터는, 음성 페이로드 포맷화 처리(306)에 의해, RTP 페이로드의 포맷에 맞도록 포맷화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송 프로토콜로서 RTP가 이용되기 때문에, 음성 페이로드 포맷화 처리(306)가 존재하지만, 전송 프로토콜이 RTP가 아니면, 그 처리는 불필요하게 된다.
다음으로, 패킷 교환 단말기(102)로부터 회선 교환 단말기(101)에의 미디어의 흐름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접속 게이트웨이(100)는, 패킷 교환망(104)으로부터 음성의 RTP 패킷을 음성 수신 처리(602)에서 수신하고, 영상의 RTP 패킷을 영상 수신 처리(607)에서 수신한다. 그들 RTP 패킷은, 패킷 교환망(104)에 의해 순서가 교체되어 있어도, 음성 RTP 처리(603) 또는 영상 RTP 처리(608)에 의해 원래의 순서로 정돈된다. 또한, 음성 페이로드 포맷 처리(604)에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605)가 추출되고, 영상 페이로드 포맷 처리(609)에서 영상 부호화 데이터(610)가 추출된다.
여기에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605)가, H.245 니고시에이션에서 얻어진 회선 교환 단말기(101)가 서포트하는 부호화 모드가 아니면, 음성 트랜스코더(606)에 의해, 음성 부호화 데이터(605)의 비트 레이트가 변환된다. 회선 교환 단말기(101)가, 음성 부호화 데이터(605)의 부호화에 이용된 부호화 모드를 서포트하고 있으면, 음성 트랜스코더(606)에서의 처리는 불필요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부호화 비트 레이트가 변환된 음성 부호화 데이터는, H.223 다중화 처리(611)에 의해, 영상 부호화 데이터(610)와 함께 다중화되고, 송신 처리(612)에 의해 회선 교환망(103)을 통해서 회선 교환 단말기(101)에 송신된다. H.223 다중화 처리(611)에서는, 다중화하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모드) 정보로부터 음성 부호화 데이터 길이를 일의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H.245에서 회선 교환 단말기(101)에 통지한 다중화 테이블 중에서 적절한 테이블을 선택하고, 그 다중화 테이블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H.223 헤더에 저장한다.
이상에 설명한 AMR의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부호화 모드 정보로부터 AMR 부호화 프레임의 비트 레이트를 식별하는 처리 이외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3 실시 형태>
회선 교환망과 패킷 교환망 사이에, 프로토콜 변환을 행하는 접속 게이트웨이가 배치된다. 접속 게이트웨이는,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음성 부호화 데이터 및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성 패킷의 페이로드 길이로부터 부호화 프레임 길이를 판단하고, 수신 데이터를 부호화 프레임으로 분리하며, 필요하면 음성 비트 레이트를 변환한다. 접속 게이트웨이는, 복수의 다중화 테이블을 미리 갖고 있고, 변환 후의 음성 비트 레이트에 따라서 다중화 테이블을 선택하고, 그 다중화 테이블을 이용해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 및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회선 교환망에 송신한다.
또한, 접속 게이트웨이는, 회선 교환망으로부터 다중화 데이터를 수신하면, 다중화 테이블 정보에 따라서 다중화 데이터를 음성 부호화 데이터와 영상 부호화 데이터로 분리한다. 그리고, 접속 게이트웨이는, 부호화 데이터 길이로부터 판단하여 필요하면 음성 비트 레이트를 변환한다. 계속해서, 접속 게이트웨이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 및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각각 패킷화해서 패킷 교환망에 송신한다.
또한, 패킷의 페이로드를 부호화 프레임으로 분리할 때, 호접속 처리로부터 얻어진 음성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이용하여도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지만, H.223 다중화 프레임에 포함되는 음성 부호화 프레임과, 음성 RTP 패킷에 포함되는 음성 부호화 프레임이 모두 복수인 점에서 서로 다르다. 여기에서는 주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3 실시 형태는 호접속 프로토콜, 전송 프로토콜, 및 부호화 방법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며, 예시한 프로토콜 및 부호화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3 실시 형태는, H.245 니고시에이션의 처리나 다중화 테이블에 관한 처리(도 2) 등, 회선 교환 단말기(101) 및 패킷 교환 단말기(102)와의 호접속 처리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회선 교환 단말기(101)로부터 패킷 교환 단말기(102)에의 미디어의 흐름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신 처리(302)에서, 전송 프로토콜 변환부(106)는, 단말기로부터의 H.223 다중화 데이터를 회선 교환망(103)을 통해서 수신한다. H.223 다중화 데이터에서는, 다중화 프레임의 각각에 다중화 테이블 식별 정보가 부가되어 있다. H.223 분리 처리(303)는, 이 다중화 테이블 식별 정보와 H.245에 의해 얻은 다중화 테이블 정보에 기초해서, 음성 및 영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분리한다.
여기에서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의 길이가 AMR의 1 부호화 프레임의 길이의 정수배와 동일하면, 음성 부호화 데이터를 정수개로 분할한 AMR의 1 부호화 프레임 길이로부터 AMR의 부호화 모드(비트 레이트)가 판명된다.
만약, 이 음성 부호화 데이터(304)로부터 판명된 음성 부호화 모드가, 패킷 교환 단말기로부터 얻은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음성 부호화 모드로 서포트되어 있지 않으면, 음성 트랜스코더(305)에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304)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변환한다. 패킷 교환 단말기가, 음성 부호화 데이터(304)의 부호화에 이용된 부호화 모드를 서포트하고 있으면, 음성 트랜스코더(305)에서의 처리는 불필요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부호화 비트 레이트가 변환된 음성 부호화 데이터는, 음성 페이로드 포맷화 처리(306)에 의해, RTP 페이로드의 포맷에 맞춰서 포맷화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송 프로토콜로서 RTP가 이용되기 때문에, 음성 페이로드 포맷화 처리(306)가 존재하지만, 전송 프로토콜이 RTP가 아니면, 그 처리는 불필요하게 된다.
도 9는, H.223 다중화 프레임으로부터 음성 RTP 패킷을 생성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H.223 다중화 프레임으로부터 음성 RTP 패킷을 생성할 때에 음성 트랜스코더를 사용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H.223 다중화 프레임으로부터 음성의 RTP 패킷을 생성하는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의 예에서는, H.223 다중화 프레임(901)에 포함되는 음성 데이터부의 길이(음성 데이터 길이 a4)가 AMR의 부호화 프레임 길이 f의 정수배라고 하면, AMR의 부호화 모드 및 프레임수를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있어, 개개의 AMR 부호화 프레임 902∼904를 분리할 수 있다. AMR 부호화 프레임(902)에, 페이로드 포맷화 처 리(905)를 실시해서 RTP 패킷화함으로써 RTP 패킷(906)이 생성된다.
도 10의 예에서는, H.223 다중화 프레임(1001)에 포함되는 음성 데이터부의 길이(음성 데이터 길이 a4)가 AMR의 부호화 프레임 길이 f의 정수배이면, 그것에 기초해서 AMR의 부호화 모드 및 프레임수가 일의적으로 특정된다. 그리고, AMR의 부호화 모드가 패킷 교환 단말기가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모드이면, 음성 트랜스코더(1005)에 의해, 패킷 교환 단말기가 서포트하는 부호화 모드(비트 레이트)로 변환된다. 그리고, 변환 후의 부호화 데이터에 페이로드 포맷 처리(1006)를 실시해서 RTP 패킷화하여, RTP 패킷(1007)을 생성한다.
또한, 패킷 교환 단말기와의 능력 교환에 의해, 패킷 교환 단말기에 멀티 프레임의 RTP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이 판명되면, 페이로드 포맷화 처리(905, 1006)에서, 복수의 AMR 부호화 프레임을 동일한 RTP 패킷에 포함시킬 수 있다. 패킷 교환 단말기에 멀티 프레임의 RTP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능력이 없으면, 음성 부호화 프레임마다 RTP 패킷 페이로드 포맷 처리 및 RTP 패킷화를 행한다.
다음으로, 패킷 교환 단말기(102)로부터 회선 교환 단말기(101)에의 미디어의 흐름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접속 게이트웨이(100)는, 패킷 교환망(104)으로부터 음성 및 영상의 RTP 패킷을 음성 수신 처리(602) 및 영상 수신 처리(607)에서 각각 수신한다. 그들 RTP 패킷은, 음성 RTP 처리(603) 또는 영상 RTP 처리(608)에 의해, 패킷 교환망(104)에 의해 교체된 순서가 정돈된다. 음성 페이로드 포맷 처리(604)에서 음성 부호화 데 이터(605)가 추출되고, 영상 페이로드 포맷 처리(609)에서 영상 부호화 데이터(610)가 추출된다.
또한, 음성 페이로드 포맷 처리(604)에서는, 하나의 음성 RTP 패킷에 복수의 AMR 부호화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으면, 개개의 AMR 부호화 프레임으로 분리함으로써 복수의 음성 부호화 데이터가 얻어진다. 전송 프로토콜로서 RTP 혹은 RTP 페이로드 포맷을 이용하고 있지 않으면, 페이로드부의 길이가 1 음성 부호화 프레임의 정수배이기 때문에, 개개의 프레임을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호접속 처리에서 얻어지는, 패킷 교환 단말기(102)가 서포트하는 부호화 모드로부터 프레임 길이를 추측하여도 된다.
음성 부호화 데이터(605)가, H.245 니고시에이션에서 얻어진 회선 교환 단말기(101)가 서포트하는 부호화 모드가 아니면, 음성 트랜스코더(606)가 음성 부호화 데이터(605)의 비트 레이트를 변환한다. 회선 교환 단말기가, 음성 부호화 데이터(605)의 부호화에 이용된 부호화 모드를 서포트하고 있으면, 음성 트랜스코더(606)에서의 처리는 불필요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부호화 비트 레이트가 변환된 음성 부호화 데이터는, H.223 다중화 처리(611)에 의해, 영상 부호화 데이터(610)와 함께 다중화되고, 송신 처리(612)에 의해 회선 교환망(103)을 경유해서 회선 교환 단말기에 송신된다. H.223 다중화 처리(611)에서는, 다중화하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모드) 정보에 의해, 음성 부호화 데이터 길이를 일의적으로 알 수 있다. 그 때문에, 동일 H.223 프레임에 포함시키는 음성 부호화 프레임의 개수배로 한 음성 데이터 길이를 파악하고, H.245에서 회선 교환 단말기에 통지한 다중화 테이블 중에서 적절한 테이블을 선택하고, 그 다중화 테이블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H.223 헤더에 저장한다.
도 11은, RTP(음성) 패킷으로부터 H.223 다중화 프레임을 생성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RTP(음성) 패킷으로부터 H.223 다중화 프레임을 생성할 때에 음성 트랜스코더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RTP(음성) 패킷으로부터 H.223 다중화 프레임을 생성하는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의 예에서는, 음성 RTP 패킷(1101)의 RTP 페이로드인 음성 데이터에 페이로드 포맷 처리(1102)를 실시하여, 개개의 AMR 부호화 프레임 1103∼1105을 취출한다. 전송 프로토콜로서 RTP 및 RTP 페이로드 포맷에 따르고 있지 않는 경우, 페이로드 길이가 1 음성 부호화 프레임의 정수배이면, 그것에 기초해서 개개의 음성 부호화 프레임을 분리한다. 그 음성 부호화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패킷 교환망(104)으로부터 수신된 영상 RTP 패킷에 포함되어 있었던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H.223 다중화 프레임(1106)을 생성한다. 그 다중화에는, 동일한 H.223 다중화 프레임에 포함시키는 부호화 프레임 길이의 합계에 따라서 H.245 니고시에이션에서 회선 교환 단말기(101)에 통지한 H.223 다중화 테이블 중에서, AMR 부호화 모드에 적합한 다중화 테이블이 이용된다. 도 11의 예에서는, 복수의 음성 부호화 프레임이 하나의 H.223 다중화 프레임의 음성 데이터부에 다중화되어 있다. 그러나, H.223 다중화 테이블의 음성 데이터부에, 단일한 음성 부호화 프레임에 상 당하는 테이블밖에 없으면, 개개의 음성 부호화 프레임을 각각 다중화한 복수의 H.223 다중화 프레임을 생성한다.
또한, 도 12의 예에서는, 음성 RTP 패킷(1201)의 RTP 페이로드인 음성 데이터에 페이로드 포맷 처리(1202)를 실시하여, 개개의 AMR 부호화 프레임 1203∼1205를 취출한다. 다음으로, 이들 AMR 부호화 프레임 길이로부터 AMR의 부호화 모드(비트 레이트)를 일의적으로 특정한다. 특정된 AMR의 부호화 모드가 회선 교환 단말기(101)가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모드이면, 음성 트랜스코더(1206)에 의해, 회선 교환 단말기(101)가 서포트하는 부호화 모드(비트 레이트)로 변환된다. 얻어진 음성 부호화 프레임과, 패킷 교환망(103)으로부터 수신된 영상 RTP 패킷에 포함되어 있었던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H.223 다중화 프레임(1207)을 생성한다. 그 다중화에는, H.245 니고시에이션에서 회선 교환 단말기에 통지한 H.223 다중화 테이블 중에서, 비트 레이트 변환 후의 AMR 부호화 모드에 적합한 다중화 테이블이 이용된다. 도 12의 예에서도, 복수의 음성 부호화 프레임이 하나의 H.223 다중화 프레임의 음성 데이터부에 다중화되어 있다. 그러나, H.223 다중화 테이블의 음성 데이터부에, 단일한 음성 부호화 프레임에 상당하는 테이블밖에 없으면, 개개의 음성 부호화 프레임을 각각 다중화해서 복수의 H.223 다중화 프레임을 생성한다.
또한, 도 11, 도 12에서는 하나의 H.223 다중화 프레임에 포함되는 AMR 부호화 프레임수가 3개인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다중화 프레임에 포함되는 AMR 부호화 프레임의 개수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 설명한 내용 이외에 대해서, 제3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 가지이다.
<제4 실시 형태>
회선 교환망과 패킷 교환망 사이에, 프로토콜 변환을 행하는 접속 게이트웨이가 배치된다. 접속 게이트웨이는,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음성 부호화 데이터 및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비트 레이트 정보로부터 1 부호화 프레임 길이를 판단해서 부호화 프레임으로 분리하고, 필요하면 음성 비트 레이트를 변환한다. 접속 게이트웨이는, 복수의 다중화 테이블을 미리 갖고 있고, 변환 후의 음성 비트 레이트에 따라서 다중화 테이블을 선택하고, 그 다중화 테이블을 이용해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 및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회선 교환망에 송신한다.
또한, 접속 게이트웨이는, 회선 교환망으로부터 다중화 데이터를 수신하면, 다중화 테이블 정보에 따라서 다중화 데이터를 음성 부호화 데이터와 영상 부호화 데이터로 분리한다. 그리고, 접속 게이트웨이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대해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비트 레이트 정보로부터 판단해서 필요하면 음성 비트 레이트 변환한다. 계속해서, 접속 게이트웨이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 및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각각 패킷화해서 패킷 교환망에 송신한다. 또한, 패킷의 페이로드를 부호화 프레임 단위로 분리할 때, 호접속 처리로부터 얻어진 음성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이용하여도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는, 제3 실시 형태와 유사하지만, 음성 부호화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모드)의 판단 방법만이 서로 다르다. 여기에서는 주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4 실시 형태는 호접속 프로토콜, 전송 프로토콜, 및 부호화 방식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며, 예시한 프로토콜 및 부호화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4 실시 형태는, H.245 니고시에이션의 처리나 다중화 테이블에 관한 처리(도 2) 등, 회선 교환 단말기(101) 및 패킷 교환 단말기(102)와의 호접속 처리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회선 교환 단말기(101)로부터 패킷 교환 단말기(102)에의 미디어의 흐름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신 처리(302)에서, 전송 프로토콜 변환부(106)는, 회선 교환 단말기(101)로부터의 H.223 다중화 데이터를 회선 교환망(103)을 통해서 수신한다. H.223 다중화 데이터에서는, 다중화 프레임의 각각에 다중화 테이블 식별 정보가 부가되어 있다. H.223 분리 처리(303)는, 이 다중화 테이블 식별 정보와 H.245에 의해 얻은 다중화 테이블 정보에 기초해서, 음성 및 영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분리한다.
여기에서, AMR은, 부호화 데이터의 선두에, 부호화 비트 레이트의 모드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분리된 음성 부호화 데이터(304)의 데이터로부터, AMR의 부호화 모드가 판명된다. 이것은, 회선 교환 단말기(101)로부터의 H.223 다중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모드가 통신 중에 변화하여 도, 최단으로 AMR의 부호화 프레임(20 msec)마다의 음성 부호화 비트 레이트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만약, 이 음성 부호화 데이터(304)가, 패킷 교환 단말기로부터 얻은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음성 부호화 모드로 서포트되어 있지 않으면, 음성 트랜스코더(305)에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304)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변환한다. 패킷 교환 단말기가, 음성 부호화 데이터(304)의 부호화에 이용되고 있는 부호화 모드를 서포트하고 있으면, 음성 트랜스코더(305)에서의 처리는 불필요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부호화 비트 레이트가 변환된 음성 부호화 데이터는, 음성 페이로드 포맷화 처리(306)에 의해, RTP 페이로드의 포맷에 맞춰서 포맷화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송 프로토콜로서 RTP가 이용되기 때문에, 음성 페이로드 포맷화 처리(306)가 존재하지만, 전송 프로토콜이 RTP가 아니면, 그 처리는 불필요하게 된다.
패킷 교환 단말기(102)로부터 회선 교환 단말기(101)에의 미디어의 흐름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9의 예에서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의 선두에 포함되는 부호화 모드 정보로부터 음성 부호화 프레임(902)의 프레임 길이가 판명된다. 그 다음의 음성 부호화 프레임(903)의 선두에 포함되는 부호화 모드 정보로부터 음성 부호화 프레임(903)의 프레임 길이가 판명된다. 그 다음의 음성 부호화 프레임(904)의 선두에 포함되는 부호화 모드 정보로부터 음성 부호화 프레임(904)의 프레임 길이가 판명된다. 이에 의해, 부호화 프레임(902∼904)의 개개를 분리할 수 있고, 또한 각각 의 부호화 모드(비트 레이트)가 판명된다. 계속해서, AMR 부호화 프레임(902)에, 페이로드 포맷화 처리(905)를 실시하고, RTP 패킷화함으로써, RTP 패킷(906)이 생성된다.
한편, 도 10의 예에서는, H.223 다중화 프레임(1001)에 포함되는 음성 데이터에 포함되는 부호화 모드 정보로부터, 도 9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개개의 음성 부호화 프레임(1002∼1004)을 분리하여, 부호화 모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만약, 음성 부호화 프레임(1002∼1004)이, 패킷 교환 단말기(102)가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부호화 모드이면, 음성 트랜스코더(1005)에서, 패킷 교환 단말기가 서포트하는 부호화 모드(비트 레이트)로 변환된다. 그리고, 변환 후의 부호화 데이터에 페이로드 포맷 처리(1006)를 실시해서 RTP 패킷화함으로써 RTP 패킷(1007)을 생성한다.
또한, 패킷 교환 단말기와의 능력 교환에 의해, 패킷 교환 단말기가 멀티 프레임의 RTP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이 판명되면, 페이로드 포맷화 처리(905, 1006)는, 복수의 AMR 부호화 프레임을 동일한 RTP 패킷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패킷 교환 단말기(102)로부터 회선 교환 단말기(101)에의 미디어의 송신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접속 게이트웨이(100)는, 패킷 교환망(104)으로부터 음성 및 영상의 RTP 패킷을 음성 수신 처리(602) 및 영상 수신 처리(607)에서 각각 수신한다. 그들 RTP 패킷은, 음성 RTP 처리(603) 또는 영상 RTP 처리(608)에 의해, 패킷 교환망(104)에 의해 교체된 순서가 정돈된다. 음성 페이로드 포맷 처리(604)에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605)가 추출되고, 영상 페이로드 포맷 처리(609)에서 영상 부호화 데이터(610)가 추출된다.
또한, 음성 페이로드 포맷 처리(604)에서는, 하나의 음성 RTP 패킷에 복수의 AMR 부호화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으면, 개개의 AMR 부호화 프레임을 분리해서 복수의 음성 부호화 데이터를 취득한다. 만약, 전송 프로토콜로서 RTP 혹은 RTP 페이로드 포맷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각 음성 부호화 프레임의 선두에 포함되는 부호화 모드 정보로부터 1 음성 부호화 프레임 길이를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그 1 음성 부호화 프레임 길이에 기초해서 개개의 부호화 프레임을 분리한다.
이상에 설명한 내용 이외에 대해서는, 제4 실시 형태는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5 실시 형태>
도 13은,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접속 게이트웨이를 실현하는 컴퓨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컴퓨터 처리 시스템은 프로토콜 변환 서버로서 실현되며, 제1∼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패킷 교환망과 회선 교환망 사이에서의 미디어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토콜 변환 처리를 실행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컴퓨터 처리 시스템은, 데이터 처리 장치(CPU)(1301), 비트 레이트 변환부(음성 트랜스코드부)(1302), 기억부(1303), 호접속부(1304), 입출력부(1305)로 구성되어 있다. 비트 레이트 변환부(1302)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변환한다. 기억부(1303)는, 처리 프로그램 및 복수의 다중화 테 이블의 정보 등,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호접속부(1304)는, H.245 니고시에이션 등을 포함하는 호접속의 처리를 행한다. 입출력부(1305)는, 패킷 교환망(104)과 회선 교환망(103) 사이에서 교환되는 미디어를 데이터 처리 장치(1301)에 입출력한다.
도 1에 도시한 접속 게이트웨이(100)에서의 전송 프로토콜 변환부(106), 음성 트랜스코드부(107), 및 호접속부(105)에 따른 처리는, 주로 도 13의 데이터 처리 장치(1301) 등에서 실행된다.
제5 실시 형태의 기본적 기능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5 실시 형태는, 호접속 프로토콜, 전송 프로토콜, 부호화 방식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H.245 니고시에이션이나 다중화 테이블(도 2) 등, 회선 교환 단말기(101) 및 패킷 교환 단말기(102)와의 호접속 처리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한 프로토콜이나 부호화 방식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접속 게이트웨이(100)의 처리는, 데이터 처리 장치(1301)가 기억부(1303)에 저장된 프로토콜 변환용의 처리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행해진다. 즉, 판독된 처리 프로그램이 데이터 처리 장치(1301)의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장치(1303)가 프로토콜 변환의 처리를 행한다.
회선 교환망(103)과 패킷 교환망(104)이 각각 접속된 단말기(101, 102) 사이의 쌍방향 통신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호접속부(1304)를 통하는 프로토콜 변환에 관한 각종 니고시에이션이 필요하다. 호접속부(1304)는, 단말기 사이의 통신에서 의 비트 레이트 변경시의 다중화 테이블의 변경에 대한 H.245 니고시에이션 등의 교환을 행한다. 또한, 호접속부(1304)는, 패킷 교환망(104)의 단말기(102)에 관한 SIP/SDP 등에서 파악하는 교환의 능력 정보의 취득 등도 행한다. 그리고, 호접속부(1304) 및 데이터 처리 장치(1301)의 처리에 의해 니고시에이션에 의한 모든 다중화 테이블(데이터의 할당)의 통지에 의한 복수의 다중화 테이블(정보) 등, 필요한 정보가 사전에 기억부(1303)에 저장된다.
도 14는, 회선 교환망(103)과 패킷 교환망(104)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미디어에 대한 데이터 처리 장치(1301)의 기본적 처리 기능과 처리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1, 제2 실시 형태에 상당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회선 교환망(103)과 패킷 교환망(104) 사이의 구체적인 미디어의 변환 처리 플로우는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기본적 처리 플로우만을 도시한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제1 실시 형태에 상당하는 프로토콜 변환 처리에 의한 회선 교환 단말기와 패킷 교환 단말기 사이의 미디어의 흐름과 처리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패킷 교환망(104)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면 (1402), 그 음성 패킷의 페이로드 길이에 기초해서 음성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참조한다(1403).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회선 교환망(103)으로부터 다중화 데이터를 수신하면(1409), 그 다중화 데이터의 다중화 테이블로부터 얻어지는 음성 데이터 길이에 기초해서 음성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참조한다(1410).
그리고,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패킷 교환망(104)으로부터 수신한 음성 부호화 데이터 및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음성 패킷의 페이로드 길이로부터 판단하고, 필요하면 비트 레이트 변환부(1302)에서 회선 교환망(103)의 비트 레이트로 비트 레이트 변환한다(1404).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계속해서, 변환 후의 음성 비트 레이트에 대응하는 적절한 다중화 테이블을 기억부(1303)로부터 선택하고(1405), 음성 부호화 데이터를 그 다중화 테이블에 기초해서 다중화하고(1406), 얻어진 다중화 데이터를 회선 교환망(103)에 송신한다(1407).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회선 교환망(103)으로부터 수신한 다중화 데이터를 다중화 테이블 정보(1410)에 따라서 음성의 부호화 데이터와 영상의 부호화 데이터로 분리한다(1411). 그리고,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대해서, 부호화 데이터 길이로부터 비트 레이트를 판단하고, 필요가 있으면 비트 레이트 변환을 한다(1412). 계속해서,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음성의 부호화 데이터와 영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각각 패킷화하여(1413), 패킷 교환망(103)에 송신한다(1414).
다음으로,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제2 실시 형태에 상당하는 프로토콜 변환 처리에 의한 회선 교환 단말기(101)와 패킷 교환 단말기(102) 사이의 미디어의 흐름을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패킷 교환망(104)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면(1402), 그 패킷으로부터 얻어지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비트 레이트 정보를 추출한다(1403).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회선 교환망(103)으로부터 다중화 데이터를 수신하면(1409), 그 다중화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음성 부 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비트 레이트 정보를 추출한다(1410).
그리고,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패킷 교환망(104)으로부터 수신한 음성 부호화 데이터 및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그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비트 레이트 정보로부터 판단해서 필요하면 비트 레이트 변환부(1302)에서 비트 레이트 변환한다(1404). 계속해서,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음성 비트 레이트에 기초해서 적절한 다중화 테이블을 기억부(1303)로부터 선택하고(1405), 그 다중화 테이블을 이용해서 다중화하여(1406), 회선 교환망(103)에 송신한다(1407).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회선 교환망(103)으로부터 수신한 다중화 데이터를, 그 다중화 테이블 정보(1410)에 기초해서 음성의 부호화 데이터와 영상의 부호화 데이터로 분리한다(1411). 그리고,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대해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비트 레이트 정보로부터 판단해서 필요하면 비트 레이트 변환을 행한다(1412). 계속해서,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음성의 부호화 데이터와 영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각각 패킷화해서 (1413), 패킷 교환망(104)에 송신한다(1414).
도 15는, 회선 교환망(103)과 패킷 교환망(104)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미디어에 대한 데이터 처리 장치(1301)의 기본적 처리 기능과 처리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3, 제4 실시 형태에 상당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회선 교환망(103)과 패킷 교환망(104) 사이의 구체적인 미디어의 변환 처리 플로우는 도 9∼12에 도시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기본적 처리 플로우만을 도시한다.
다음으로,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제3 실시 형태에 상당하는 프로토콜 변환 처리에 의한 회선 교환 단말기와 패킷 교환 단말기 사이의 미디어의 흐름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 나타내는 프로토콜 변환 처리는, 복수의 음성 부호화 프레임을 포함하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는 예이다.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패킷 교환망(104)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면 (1502), 그 패킷으로부터 얻어지는 페이로드 길이로부터 음성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참조한다(1503).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회선 교환망(103)으로부터 다중화 데이터를 수신하면(1510), 그 다중화 데이터의 다중화 테이블로부터 얻어지는 음성 데이터 길이로부터 비트 레이트를 참조한다(1511).
그리고,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패킷 교환망(104)으로부터 음성 부호화 데이터 및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성 패킷의 페이로드 길이로부터 음성 부호화 데이터의 복수의 음성 부호화 프레임의 1 부호화 프레임 길이를 판단하고, 그 1 부호화 프레임 길이에 기초해서 부호화 데이터를 부호화 프레임으로 분리한다(1504).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필요하면, 음성 부호화 데이터를 비트 레이트 변환한다(1505). 계속해서,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변환 후의 음성 비트 레이트에 따라서 적절한 다중화 테이블을 기억부(1303)로부터 선택하고(1506), 다중화 테이블에 의해 다중화해서(1507), 회선 교환망(103)에 송신한다(1508).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회선 교환망(103)으로부터 수신한 다중화 데이터를, 그 다중화 테이블 정보(1511)에 따라서 음성의 부호화 데이터와 영상의 각 부호화 데이터로 분리한다(1512). 그리고,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음성 부 호화 데이터에 대해서, 부호화 데이터 길이로부터 비트 레이트를 판단해서 필요하면, 비트 레이트 변환을 행한다(1513). 계속해서,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음성의 부호화 데이터와 영상의 각 부호화 데이터를 각각 패킷화해서(1514), 패킷 교환망(104)에 송신한다(1515).
이상의 처리에 있어서, 음성 패킷의 페이로드를 부호화 프레임 단위로 분리할 때, 호접속부(1304)의 호접속 처리로부터 음성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얻는 처리 기능을 마련하고, 그로부터 얻어진 음성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제4 실시 형태에 상당하는 프로토콜 변환 처리에 의한 회선 교환 단말기와 패킷 교환 단말기 사이의 미디어의 흐름을 도 15에 의해 설명한다. 이 프로토콜 변환 처리도 음성 부호화 프레임이 복수로 이루어지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패킷 교환망(104)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면 (1502), 그 패키지로부터 얻어지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비트 레이트 정보를 추출한다(1503).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회선 교환망(103)으로부터 다중화 데이터를 수신하면(1510), 그 다중화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비트 레이트 정보를 추출한다(1511).
그리고,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패킷 교환망(104)으로부터 수신한 음성 부호화 데이터 및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비트 레이트 정보로부터 1 부호화 프레임 길이를 판단하고, 그 1 부호화 프레임 길이에 기 초해서 부호화 프레임으로 분리한다(1504).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필요하면, 부호화 프레임을 비트 레이트 변환한다(1505). 계속해서,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변환 후의 음성 비트 레이트에 따라서 적절한 다중화 테이블을 기억부(1303)로부터 선택하고(1506), 그 다중화 테이블에 의해 다중화해서(1507), 회선 교환망(103)에 송신한다(1508).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회선 교환망(103)으로부터 수신한 다중화 데이터를, 그 다중화 테이블 정보(1511)에 따라서 음성의 부호화 데이터와 영상의 부호화 데이터로 분리한다(1512).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대해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비트 레이트 정보로부터 판단해서 필요하면, 비트 레이트 변환을 행한다(1513). 계속해서, 데이터 처리 장치(1301)는, 음성의 부호화 데이터와 영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각각 패킷화해서(1514), 패킷 교환망(104)에 송신한다(1515).
이상의 처리에서, 음성 패킷의 페이로드를 부호화 프레임 단위로 분리할 때, 호접속부(1304)의 호접속 처리로부터 음성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얻는 처리 기능을 마련하고, 그로부터 얻어진 음성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Claims (25)

  1. 패킷 교환망과 회선 교환망을 통한 미디어 통신에서 상기 패킷 교환망과 상기 회선 교환망 사이에서 프로토콜을 변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변환 방법으로서,
    상기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의 패킷을 해석하여, 그 음성 패킷에서의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 비트 레이트로부터, 상기 회선 교환망 상의 프레임의 다중화에 이용하는 다중화 테이블을 특정하는 단계,
    상기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를, 특정된 상기 다중화 테이블을 이용해서 다중화하여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프레임을 상기 회선 교환망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변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의 상기 패킷의 페이로드 길이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특정하는 프로토콜 변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의 상기 패킷의 페이로드 길이가, 어느 하나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의 음성 부호화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의 정수배이면, 그 부호화 비트 레이트가, 상기 음성 패킷에서의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라고 판단하는 프로토콜 변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의 상기 패킷의 페이로드 내의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비트 레이트 정보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특정하는 프로토콜 변환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교환망측의 단말기에 서포트되어 있지 않은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상기 패킷 교환망측의 단말기에 허가한 경우에, 상기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의 패킷 내용을 해석해서 특정한 상기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가, 상기 회선 교환망측의 단말기에 서포트되어 있지 않으면, 그 단말기에 서포트되어 있는 부호화 비트 레이트로 변환되고, 변환 후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로부터 상기 다중화 테이블을 특정하는 프로토콜 변환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의 패킷의 음성 데이터와 영상의 패킷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다중화 테이블을 이용해서 프레임에 다중화하는 프로토콜 변환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을 생성하는 타이밍에, 그 프레임에 다중화할 음성 데이터가 없으면, 무음의 음성 데이터를 그 프레임에 다중화하는 프로토콜 변환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내용을 해석하여, 그 프레임의 다중화에 이용된 다중화 테이블을 특정하고,
    상기 다중화 테이블에 기초해서 그 프레임에 다중화되어 있는 데이터를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데이터를 패킷화해서 상기 패킷 교환망에 송신하는 프로토콜 변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데이터 중의 음성 데이터를 해석하여, 그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에 이용되고 있는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특정하고,
    특정된 부호화 비트 레이트가 상기 패킷 교환망측의 단말기에 서포트되어 있지 않으면, 그 단말기에 서포트되어 있는 부호화 비트 레이트로 변환한 후에 패킷화하는 프로토콜 변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데이터 중의 음성 데이터를 해석하여, 그 음성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로부터 상기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특정하는 프로토콜 변환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데이터 중의 음성 데이터를 해석하여, 그 음성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부호화 비트 레이트 정보로부터 상기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특정하는 프로토콜 변환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에 음성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있지 않으면, 무음의 음성 데이터를 패킷화해서 상기 패킷 교환망에 송신하는 프로토콜 변환 방법.
  13. 패킷 교환망과 회선 교환망을 통한 미디어 통신에서 상기 패킷 교환망과 상기 회선 교환망 사이에서 프로토콜을 변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변환 장치로서,
    상기 패킷 교환망측의 단말기 및 상기 회선 교환망측의 단말기 사이에서 상기 미디어 통신의 호접속 처리를 행하는 호접속부와,
    상기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의 패킷을 해석해서 그 음성 패킷에서 의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특정하고, 그 부호화 비트 레이트로부터 상기 회선 교환망 상의 프레임의 다중화에 이용하는 다중화 테이블을 특정하고, 상기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를, 특정된 상기 다중화 테이블을 이용해서 다중화하여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회선 교환망에 송신하는 프로토콜 변환부
    를 갖는 프로토콜 변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의 상기 패킷의 페이로드 길이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특정하는 프로토콜 변환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의 상기 패킷의 페이로드 길이가, 어느 하나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의 음성 부호화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의 정수배이면, 그 부호화 비트 레이트가, 상기 음성 패킷에서의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라고 판단하는 프로토콜 변환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의 상기 패 킷의 페이로드 내의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비트 레이트 정보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특정하는 프로토콜 변환 장치.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회선 교환망측의 단말기에 서포트되어 있지 않은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상기 패킷 교환망측의 단말기에 허가한 경우에, 상기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의 패킷 내용을 해석해서 특정한 상기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가, 상기 회선 교환망측의 단말기에 서포트되어 있지 않으면, 그 단말기에 서포트되어 있는 부호화 비트 레이트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로부터 상기 다중화 테이블을 특정하는 프로토콜 변환 장치.
  18.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의 패킷의 음성 데이터와 영상의 패킷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다중화 테이블을 이용해서 프레임에 다중화하는 프로토콜 변환 장치.
  19.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타이밍에, 그 프레임에 다중화할 음성 데이터가 없으면, 무음의 음성 데이터를 그 프레임에 다중화하는 프로토콜 변환 장치.
  20.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회선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내용을 해석해서 그 프레임의 다중화에 이용된 다중화 테이블을 특정하고, 그 다중화 테이블을 기초로 그 프레임에 다중화되어 있는 데이터를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데이터를 패킷화해서 상기 패킷 교환망에 송신하는 프로토콜 변환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데이터 중의 음성 데이터를 해석하여, 그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에 이용되고 있는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특정하고, 그 부호화 비트 레이트가 상기 패킷 교환망측의 단말기에 서포트되어 있지 않으면, 그 단말기에 서포트되어 있는 부호화 비트 레이트로 변환한 후에 패킷화하는 프로토콜 변환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데이터 중의 음성 데이터를 해석하여, 그 음성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로부터 상기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특정하는 프로토콜 변환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데이터 중의 음성 데이터를 해석하여, 그 음성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부호화 비트 레이트 정보로부터 상기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특정하는 프로토콜 변환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에 음성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있지 않으면, 무음의 음성 데이터를 패킷화해서 상기 패킷 교환망에 송신하는 프로토콜 변환 장치.
  25. 패킷 교환망과 회선 교환망을 통한 미디어 통신에서 상기 패킷 교환망과 상기 회선 교환망 사이에서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토콜 변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 프로그램은,
    상기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의 패킷을 해석하여, 그 음성 패킷에서의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 레이트를 특정하는 수순과,
    상기 부호화 비트 레이트로부터, 상기 회선 교환망 상의 프레임의 다중화에 이용하는 다중화 테이블을 특정하는 수순과,
    상기 패킷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를, 특정된 상기 다중화 테이블을 이용해서 다중화하여 프레임을 생성하는 수순과,
    생성된 상기 프레임을 상기 회선 교환망에 송신하는 수순
    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20087010505A 2005-10-06 2006-09-26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장치와 프로토콜 변환 프로그램을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0924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94001 2005-10-06
JPJP-P-2005-00294001 2005-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004A KR20080066004A (ko) 2008-07-15
KR100924032B1 true KR100924032B1 (ko) 2009-10-27

Family

ID=3790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0505A KR100924032B1 (ko) 2005-10-06 2006-09-26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장치와 프로토콜 변환 프로그램을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128715A1 (ko)
EP (1) EP1933511A1 (ko)
JP (1) JP4645856B2 (ko)
KR (1) KR100924032B1 (ko)
CN (1) CN101283556B (ko)
BR (1) BRPI0617968A2 (ko)
RU (1) RU2008117998A (ko)
WO (1) WO20070400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1448B2 (ja) * 2006-09-28 2010-06-30 日本電気株式会社 着信転送方法および着信転送システム
EP2175445A3 (en) * 2007-04-17 2010-05-19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US20100226289A1 (en) * 2007-10-08 2010-09-09 Maeenpaeae Jouni Floor control in telecommunications conference calls
US7913030B2 (en) * 2007-12-28 2011-03-22 Sandisk Il Ltd. Storage device with transaction logging capability
US7979662B2 (en) * 2007-12-28 2011-07-12 Sandisk Il Ltd. Storage device with transaction indexing capability
US9705935B2 (en) * 2008-01-14 2017-07-11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interworking between circuit-switched and packet-switched multimedia services
EP2234353A4 (en) * 2008-01-16 2013-12-25 Nec Corp GATEWAY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WO2009090983A1 (ja) * 2008-01-16 2009-07-23 Nec Corporation 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システム、並びに、通信方法
WO2009104493A1 (ja) * 2008-02-19 2009-08-27 日本電気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方法
TW200943841A (en) * 2008-04-07 2009-10-16 Chunghwa Telecom Co Ltd System of integrating and transmitting internet phone signal and method thereof
EP2302887A4 (en) * 2008-07-16 2013-01-16 Nec Corp GATEWAY DEVICE, PROCESS AND PROGRAM
CN102090133A (zh) * 2008-07-16 2011-06-08 日本电气株式会社 用于报告Iu-UP协议协商结果信息的方法、协议转换方法、通信网络系统、互通设备、用于获取Iu-UP协议协商结果信息的设备以及计算机可读的信息记录介质
WO2010035787A1 (ja) * 2008-09-26 2010-04-01 日本電気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と方法と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US8325605B1 (en) * 2008-12-09 2012-12-0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anaging media resources utiliz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US20110268035A1 (en) * 2009-01-09 2011-11-03 Kazunori Ozawa Gateway apparatus, gateway method, and program
JP5299438B2 (ja) * 2009-01-09 2013-09-25 日本電気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と方法及びシステム
US9042387B2 (en) * 2009-01-16 2015-05-26 Broadcom Corporation Utilizing a gateway for brokering and/or arbitrating service consumption options
JP5545224B2 (ja) * 2009-02-16 2014-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とシステムと方法
CN102349283A (zh) * 2009-03-13 2012-02-08 日本电气株式会社 网关装置、网关方法和通信系统
US20120174174A1 (en) * 2009-09-14 2012-07-05 Kazunori Ozawa Delivery system, gateway, delivery method, and program
CN102598642A (zh) * 2009-11-04 2012-07-18 日本电气株式会社 网关装置、便携终端、便携通信方法以及程序
CN101778485A (zh) * 2010-02-12 2010-07-14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WiFi手持设备的电路域链路建立方法和装置
JPWO2011162349A1 (ja) * 2010-06-24 2013-08-22 日本電気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モバイル回線交換ネットワーク、音声データの中継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125207A (zh) * 2013-04-27 2014-10-29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支持电路交换及分组交换的通信系统、装置以及方法
ES2929903T3 (es) * 2013-11-27 2022-12-02 Ericsson Telefon Ab L M Formato de carga útil RTP híbrido
CN104298196B (zh) * 2014-09-26 2017-06-13 国家电网公司 一种智能表库的多协议适配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1324A (ja) * 1996-01-10 1997-07-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ネットワークアダプタ装置
WO2001061963A1 (fr) 2000-02-17 2001-08-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éthode et dispositif pour conversion de protocoles
JP2002111730A (ja) 2000-09-29 2002-04-12 Toshiba Corp 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とその通信装置及び多重化テーブル変更方法
JP2003198638A (ja) 2001-11-02 2003-07-11 Acme Packet Inc 交換網およびパケット網間の通信を改良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7027A (ja) * 1989-11-15 1991-07-05 Fujitsu Ltd 多重伝送方式
JPH04330885A (ja) * 1991-05-02 1992-11-18 Nec Eng Ltd 多重化画像伝送装置
JP3668742B2 (ja) * 1996-11-28 2005-07-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US6175590B1 (en) * 1997-08-08 2001-01-16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rate of received data in a variable rate communication system
US7177278B2 (en) * 1999-12-09 2007-02-13 Broadcom Corporation Late frame recovery method
WO2001078415A1 (de) * 2000-04-06 2001-10-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m anschluss einer telekommunikationseinrichtung an ein paketvermittelndes kommunikationsnetz
US6879581B1 (en) * 2000-08-22 2005-04-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l-time packetized voice and data services ove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030028643A1 (en) * 2001-03-13 2003-02-06 Dilithium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oding video and speech signals
JP4159275B2 (ja) * 2001-10-17 2008-10-01 日本電気株式会社 メディアゲートウェイ装置
US7469209B2 (en) * 2003-08-14 2008-12-23 Dilithium Networks Pt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classification and rate determination in voice transcoders for telecommunications
US7613606B2 (en) * 2003-10-02 2009-11-03 Nokia Corporation Speech codecs
KR20050052717A (ko) * 2003-12-01 2005-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원본 보존 트랜스코딩 시스템 및 방법
JP3720345B2 (ja) * 2004-02-17 2005-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伝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1324A (ja) * 1996-01-10 1997-07-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ネットワークアダプタ装置
WO2001061963A1 (fr) 2000-02-17 2001-08-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éthode et dispositif pour conversion de protocoles
JP2002111730A (ja) 2000-09-29 2002-04-12 Toshiba Corp 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とその通信装置及び多重化テーブル変更方法
JP2003198638A (ja) 2001-11-02 2003-07-11 Acme Packet Inc 交換網およびパケット網間の通信を改良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7040085A1 (ja) 2009-04-16
BRPI0617968A2 (pt) 2011-08-09
RU2008117998A (ru) 2009-11-20
US20100128715A1 (en) 2010-05-27
JP4645856B2 (ja) 2011-03-09
CN101283556B (zh) 2011-07-06
EP1933511A1 (en) 2008-06-18
KR20080066004A (ko) 2008-07-15
CN101283556A (zh) 2008-10-08
WO2007040085A1 (ja) 200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032B1 (ko)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장치와 프로토콜 변환 프로그램을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CN101218579B (zh) 转移数据的系统和方法
KR100763269B1 (ko) 화상 부호화 데이터의 전환 방법 및 장치,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6603774B1 (en) Signaling and handling method for proxy transcoding of encoded voice packets in packet telephony applications
CN101292543B (zh) 用于在网络转接单元和控制单元中转发信令数据的方法以及相应的单元
EP2271174B1 (en) Gateway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WO2012077701A1 (ja) 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音声通信方法
JP2007288342A (ja) メディアストリーム中継装置および方法
WO2010007977A1 (ja)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方法とプログラム
JP5516408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と方法とシステム
JP5459309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と方法と通信システム
JP5316546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と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65935A (ja) 制御情報の変換装置及び制御情報の変換方法
KR20060038296A (ko)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플렉싱 장치 및 방법
JP5516409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と方法とシステム並びに端末
JP5477475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携帯端末、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74555A (ja) マルチメディアゲートウェイにおける音声・動画調整方式
JP4491448B2 (ja) 着信転送方法および着信転送システム
JP5454354B2 (ja) 制御情報の変換装置及び制御情報の変換方法
JP2006197331A (ja) ストリーミングシステム、インタフェース変換装置、バッファリ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