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517B1 - 전주 매립 홀을 형성하기 위한 지반 굴착용 삽 - Google Patents

전주 매립 홀을 형성하기 위한 지반 굴착용 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517B1
KR100923517B1 KR1020080013519A KR20080013519A KR100923517B1 KR 100923517 B1 KR100923517 B1 KR 100923517B1 KR 1020080013519 A KR1020080013519 A KR 1020080013519A KR 20080013519 A KR20080013519 A KR 20080013519A KR 100923517 B1 KR100923517 B1 KR 100923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vel
ground
pole
bag
exca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8144A (ko
Inventor
노용균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인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인프라 filed Critical (주)아이티인프라
Priority to KR1020080013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517B1/ko
Publication of KR20090088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01B1/022Collapsible; extensible; combinations with other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hand-operated ; handheld soil shifting equipment acting by sucking E02F3/889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 매립 홀을 형성하기 위한 지반 굴착용 삽에 관한 것으로서, 전주를 설치를 목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유지하면서 깊이를 갖는 홀을 형성할 수 있는 지반 굴착용 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반 굴착시 흙을 파헤치거나 담아 올리기 위해 마련된 삽판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판의 상단부에는 각각의 자루가 연결되되 상기의 자루는 상호간 X자 형태로 교차하며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삽판의 양측 단부는 어느 일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의 돌출날이 형성되고, 삽판의 상단부는 어느 일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의 발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주, 매립 홀, 굴착용 삽, 발판, 돌출날

Description

전주 매립 홀을 형성하기 위한 지반 굴착용 삽 {Shovel for excavating ground}
본 발명은 지반 굴착용 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를 매립하기 위하여 지반층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안된 전주 매립 홀을 형성하기 위한 지반 굴착용 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라 함은 배전선이나 통신용 중계기 등의 통신장비가 설치되고 하부는 지하에 매립되어 고정하는 기둥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주를 지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반을 일정 깊이로 굴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전주를 지하에 매립하기 위해서는 지반을 굴착할 수 있는 각종 굴착용 장비가 사용되었으며, 암반층 및 콘크리트층과 같이 단단한 지반을 굴착하기 위해서는 굴착용 드릴 또는 굴착용 햄머 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굴착용 드릴 또는 굴착용 햄머 등은 그 크기 및 중량이 커서 휴대와 사용이 불편할 뿐 아니라, 전기 또는 유압장치 등의 별도의 에너지원 에 의해 동작하는 관계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없어 단단한 지반층의 굴착시에만 주로 사용하였다.
암반층 및 콘크리트층이 아닌 흙으로 이루어진 지반층에 대해서는 별도의 에너지원이 필요없이 수작업에 의해 지반을 굴착할 수 있는 삽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인 삽은 손잡이를 포함한 막대 형상의 자루와 흙을 떠올리기 위한 삽판이 연결된 형태를 갖는 것이었다.
그러나, 전주를 매립하기 위해서는 지반층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홀을 형성하는 굴착 작업 후 해당 홀 안에 전주를 매립해야 안전성이 보장되는 것이나, 통상적인 삽을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게 되면 일정한 직경을 갖는 홀을 형성하기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주 매립용 홀을 형성함에 있어서 주변의 지반층이 교란되면 설치된 전주가 기울거나 쓰러질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점도 있으므로, 지반층에 일정한 직경을 유지하면서 굴착할 수 있는 전주 매립용 홀 형성을 목적으로 한 지반 굴착용 삽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주의 하부측을 매립할 수 있는 홀을 형성함에 있어서 일정한 직경을 유지하면서 홀을 형성할 수 있는 지반 굴착용 삽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적은 힘으로도 지반을 굴착할 수 있는 전주 매립 홀을 형성하기 위한 지반 굴착용 삽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은 지반 굴착시 흙을 파헤치거나 담아 올리기 위해 마련된 삽판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판의 상단부에는 각각의 자루가 연결되되 상기의 자루는 상호간 X자 형태로 교차하며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삽판의 양측 단부는 어느 일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의 돌출날이 형성되고, 삽판의 상단부는 어느 일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의 발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의 자루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X자 형태의 연결구조를 갖는 것으로, 삽판 및 자루가 소정의 간격 이상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격제한부가 어느 하나의 자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의 자루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X자 형태의 연결 구조를 갖는 것으로, 어느 하나의 자루가 또 다른 하나의 자루를 관통하는 연결구조를 갖되, 관통부위를 갖는 하나의 자루 양측에는 이격된 자루를 연결 및 고정하는 고정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주 매립 홀을 형성하기 위한 지반 굴착용 삽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삽판을 회전시키며 지반을 굴착하므로 일정한 직경은 유지하면서 깊이를 갖는 홀을 굴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일정한 직경을 유지하며 형성된 전주 매립 홀은 지반의 교란을 방지하므로 안전하게 전주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셋째, 삽판 상부에는 발판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하중을 이용하여 삽판을 지반층에 쉽게 밀어 넣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넷째, 삽판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돌출날을 이용하면 삽판 주변의 흙을 쉽게 긁어 모을 수 있어 적은 힘으로도 지반을 굴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다섯째, 자루에 형성된 이격제한부는 삽판 및 자루의 벌어짐을 제한하는 것으로 굴착되는 홀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더불어 하측으로 전달되는 수직응력을 회전축과 이격제한부를 통해 각각 분산하는 효과도 있다.
여섯째, 관통된 부위를 갖는 어느 하나의 자루에 형성된 고정지지부는 상하 로 이격된 자루의 연결 고정 뿐 아니라 지반 굴착용 삽의 회전동작시 좌우 비틀림 응력을 분산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반 굴착용 삽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지반 굴착용 삽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3은 지반 굴착용 삽에 있어서 삽판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4는 지반 굴착용 삽에 있어서 자루의 연결부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주를 매립할때 사용되는 지반 굴착용 삽(1)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 쌍의 삽판(10)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판(10)의 상단부에는 각각의 자루(20)가 연결되되, 상기의 자루(20)는 상호간 X자 형태로 교차하며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각각의 구성부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삽판(10)은 지반 굴착시 흙을 파헤치거나 담아 올리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통상의 삽판 형태를 갖으나 양측 단부에는 돌출날(11)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발판(12)이 더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에서 돌출날(11)은 삽판(10)의 양측 단부가 어느 일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지반 굴착시 주변의 흙을 교란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삽 판(10)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굴착 과정에서 돌출날(11)이 주변의 흙을 긁어 부수는 기능을 제공하여 적은 힘으로도 쉽게 굴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발판(12)은 삽판(10)의 상단부가 어느 일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고 하중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자루(20)는 소정의 위치가 절곡된 봉 형태를 갖되 한 쌍의 자루(20)가 X자 형태로 교차하며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자루(20)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X자 형태의 연결구조를 갖는 것으로, 자루(20) 하단부에는 삽판(10)이 각각 연결되며, 자루(20) 상단부에는 손잡이(22)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즉, 한 쌍의 자루(20)는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집게 형태의 움직임을 갖는 것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반 굴착용 삽의 동작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또한, 일정한 직경을 유지하면서 지반을 굴착하기 위해서는 삽판(10)이 벌어졌을때 상호간에 형성되는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자루(20)가 소정의 간격 이상으로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이격제한부(23)가 자루(20)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의 이격제한부(23)는 회전축(21)으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걸림기능을 수행하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의 이격제한부(23)는 자루(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삽판(10)의 이격된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지반 굴착용 삽(1)의 하중을 회전축(21)과 함께 분산 수용하는 기능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루(20)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한 쌍의 자루(20)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X자 형태로 교차하는 연결구조를 갖는 것으로, 어느 하나의 자루(20)가 또 다른 하나의 자루(20)를 관통하는 연결구조를 갖는다. 이때, 하나의 자루(20)는 관통부위를 갖되 관통부위 양측에는 고정지지부(24)를 형성하여 관통부위에 따른 이격된 자루(20)를 연결 및 고정 지지하는 것이며, 또한, 회전축(21) 및 이격제한부(23)는 상기의 고정지지부(24)에 각각 고정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굴착용 삽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반 굴착용 삽을 이용하여 전주 매립 홀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굴착 대상이 되는 지표면에 지반 굴착용 삽(1)을 위치시키고 하중을 인가하여 삽판(10)을 지표면 속으로 밀어넣는다. 이때, 사용자는 발판(12)을 이용해 하중을 인가하면 삽판(10)을 지표면 속으로 쉽게 밀어넣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지표면 속으로 인입된 삽판(10)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는 삽판(1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돌출날(11)을 이용하여 주변의 흙을 교란시키는 것이다. 즉, 삽판(10)의 회전동작으로 인해 주변의 흙이 교란되면 삽판(10) 사이로 긁어 모아진 흙이 쌓이게 되는 것으로 이는 적은 힘으로도 쉽게 지반을 굴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판(10) 사이에 모아진 흙은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X자 형태로 연결된 한 쌍의 자루(20)는 집게와 같은 움직임으로 삽판(10) 사이에 모아진 흙을 집어 올릴 수 있는 것이다.
도 5d는 상기의 과정들이 반복되어 소정 깊이의 전주 매립 홀이 형성된 것으로, 자루(20)에 형성된 이격제한부(23)에 의해 자루(20) 및 삽판(10)의 벌어짐을 방지하였으며, 그에 따라 직경이 일정한 홀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반 굴착용 삽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지반 굴착용 삽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3은 지반 굴착용 삽에 있어서 삽판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4는 지반 굴착용 삽에 있어서 자루의 연결부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지반 굴착용 삽의 동작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6a 내지 도 6d는 지반 굴착용 삽을 이용하여 전주 매립 홀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반 굴착용 삽 10 : 삽판
11 : 돌출날 12 : 발판
20 : 자루 21 : 회전축
22 : 손잡이 23 : 이격제한부
24 : 고정지지부

Claims (3)

  1. 지반 굴착시 흙을 파헤치거나 담아 올리기 위해 마련된 삽판(10)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판(10)의 상단부에는 각각의 자루(20)가 연결되되 상기의 자루(20)는 상호간 X자 형태로 교차하며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삽판(10)의 양측 단부는 어느 일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의 돌출날(11)이 형성되고, 삽판(10)의 상단부는 어느 일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의 발판(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매립 홀을 형성하기 위한 지반 굴착용 삽.
  2. 삭제
  3. 삭제
KR1020080013519A 2008-02-14 2008-02-14 전주 매립 홀을 형성하기 위한 지반 굴착용 삽 KR100923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519A KR100923517B1 (ko) 2008-02-14 2008-02-14 전주 매립 홀을 형성하기 위한 지반 굴착용 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519A KR100923517B1 (ko) 2008-02-14 2008-02-14 전주 매립 홀을 형성하기 위한 지반 굴착용 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144A KR20090088144A (ko) 2009-08-19
KR100923517B1 true KR100923517B1 (ko) 2009-10-27

Family

ID=41206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519A KR100923517B1 (ko) 2008-02-14 2008-02-14 전주 매립 홀을 형성하기 위한 지반 굴착용 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5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839B1 (ko) * 2011-10-04 2012-05-25 궤도공영 주식회사 침목 저면의 공극 억제를 위한 다짐장치
KR101683231B1 (ko) 2016-06-14 2016-12-06 전성호 압력용기용 캐리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5442A (zh) * 2014-06-11 2014-08-27 国网浙江余姚市供电公司 一种便携式挖洞夹撬
CN106193143A (zh) * 2016-09-09 2016-12-07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唐山供电公司 一种挖掘杆塔基础坑专用夹锹工具及其使用方法
KR200486806Y1 (ko) * 2016-11-16 2018-07-03 (주)광진 수직직하 굴착삽
KR200485132Y1 (ko) * 2017-07-04 2017-12-28 승건산업 주식회사 빗물받이 집수정 청소용 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055U (ja) 1984-07-07 1986-02-04 日本地工株式会社 複式シヨベル
JPH0967828A (ja) * 1995-08-31 1997-03-11 Komiya Koki Kk 穴掘り工具
JP2000144785A (ja) 1998-11-13 2000-05-26 Takeo Yamaguchi 測量万能鋏器具
KR200412938Y1 (ko) 2006-01-20 2006-04-05 이인용 모종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055U (ja) 1984-07-07 1986-02-04 日本地工株式会社 複式シヨベル
JPH0967828A (ja) * 1995-08-31 1997-03-11 Komiya Koki Kk 穴掘り工具
JP2000144785A (ja) 1998-11-13 2000-05-26 Takeo Yamaguchi 測量万能鋏器具
KR200412938Y1 (ko) 2006-01-20 2006-04-05 이인용 모종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839B1 (ko) * 2011-10-04 2012-05-25 궤도공영 주식회사 침목 저면의 공극 억제를 위한 다짐장치
KR101683231B1 (ko) 2016-06-14 2016-12-06 전성호 압력용기용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144A (ko)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517B1 (ko) 전주 매립 홀을 형성하기 위한 지반 굴착용 삽
JP6661448B2 (ja) 地中連続壁の構築方法
JP2021165468A (ja) 鋼管杭の施工方法
KR100949606B1 (ko) 천공오거 케이싱 외부에 장착하여 일체형으로 시공하는 시트파일 천공항타공법 및 천공항타장치
CA2885091A1 (en) Ground engaging shaft
JP3060063B2 (ja) 接地工事用装置
JP5819736B2 (ja) 掘削用鋼管杭
JP6735138B2 (ja) 土留壁構造の構築方法および土留壁構造
CN211422529U (zh) 便于旋挖硬咬合桩的旋挖钻机
JP4400700B2 (ja) 既設杭の切断・引き抜き工法及びその装置
KR20220130560A (ko) 터널 시공 방법 및 터널 지지 구조
KR101388422B1 (ko) 백호우 장착형 굴착용 유압식 굴착 스크류
KR101822176B1 (ko) 회전삽
KR20070059766A (ko) 목재를 이용한 소일 네일링 시공방법
JP2002138475A (ja) 既設杭の切断・引き抜き工法及びその装置
CN215369722U (zh) 一种旋挖钻机的防倾翻装置
JP6843358B1 (ja) ケーシング、障害破砕方法、及び障害除去方法
KR20220159606A (ko) 수직직하 굴착삽
JP2014169533A (ja) 土試料採取管及び土試料採取管の掘進方法
JP6808255B1 (ja) 障害破砕方法、及び障害除去方法
KR20170061093A (ko) 수직구 굴착방법
JP2018048445A (ja) 解体方法
KR200410602Y1 (ko) 목재를 이용한 소일 네일링 보강재
JP4959746B2 (ja) 障害物撤去工法用ケーシングの排土装置
KR20080072127A (ko) 리퍼 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