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806Y1 - 수직직하 굴착삽 - Google Patents

수직직하 굴착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806Y1
KR200486806Y1 KR2020170002562U KR20170002562U KR200486806Y1 KR 200486806 Y1 KR200486806 Y1 KR 200486806Y1 KR 2020170002562 U KR2020170002562 U KR 2020170002562U KR 20170002562 U KR20170002562 U KR 20170002562U KR 200486806 Y1 KR200486806 Y1 KR 200486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excavating
excavation
present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568U (ko
Inventor
정병덕
Original Assignee
(주)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진 filed Critical (주)광진
Publication of KR201800015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5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8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hand-operated ; handheld soil shifting equipment acting by sucking E02F3/8891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주의 접지선을 시공하기 위한 것과 같이 특정 지역을 좁고 깊게 굴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수직직하 굴착삽에 관한 것으로, 상측이 파지 가능한 제1암(100a), 상기 제1암(100a)과 교차되어 중단이 힌지부(120)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상측이 파지 가능한 제2암(100b), 상기 제1암(100a)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굴착부(200a) 및 상기 제2암(100b)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굴착부(200b)를 포함하되, 작업자는 지면을 굴착시 상기 힌지부(120)의 상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기 제1암(100a) 또는 제2암(100b)의 제1굴착보조부(110a, 110b)를 밟아 하측으로 힘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직하 굴착삽{Shovel for digging narrow and deep area}
본 고안은 수직직하 굴착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전주의 접지선을 시공하기 위한 것과 같이 특정 지역을 좁고 깊게 굴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수직직하 굴착삽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지면에 설치되는 전기시설의 경우 접지 공사를 의무적으로 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원칙적으로는 다수의 동판과 접지저감제를 지하 깊이 매설하여 대지와 접촉시킨 후에 접지선을 배선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지 공사는 노상에 흔히 설치되어 있는 전주에도 적용되는 것으로서, 통상 접지선이 전주의 내부를 통해 지면과 접촉하여 접지하게 된다.
오래전에 설치된 전신주의 경우 이러한 접지시공 자체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새로이 접지시공이 필요하거나, 땅속에 매설된 접지전극의 저항이 변동되어 전극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할 경우 이를 교체해야 하는 보강공사를 할 필요가 있었다.
특히 접지시공의 경우 접지선을 전주 내부에 배치하고, 상측은 전선, 하측엔 땅속에 매설된 접지동봉에 연결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현장여건상 접지선을 전주 내부에 배치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전주의 외면을 따라 접지선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경기침체와 원자재 상승에 따라 이 접지선의 도난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접지선을 전주 내측에 배치하는 방식의 접지시공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643401호("접지선 전주내부 설치공법", 공개일 2016.07.27., 이하 선행기술 1)를 출원하였다. 선행기술 1에는 전주의 지면에 매설된 부분에 위치하는 인출구를 노출시키기 위해 전주에 인접한 지면을 좁고 깊게 굴착하는 제2굴착단계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에는 상기 제2굴착단계의 과정을 개인이 운용 가능한 스크류형 굴착비트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스크류형 굴착비트는 삽과 같은 다른 공구에 비해 경제적이지 않고, 비교적 부피가 크며, 작업자가 별도의 조작법을 익혀야 하기 때문에 운용이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43401호("접지선 전주내부 설치공법", 공개일 2016.07.27.)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수직직하 굴착삽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수직직하 굴착삽의 목적은 한정된 지역을 좁고 깊게 굴착 가능한 수직직하 굴착삽을 제공함으로써, 선행기술 1과 같은 상황 즉, 전주에 인접한 지면을 굴착해 전주의 인출구를 노출시키는 것과 같이 지면을 좁고 깊게 굴착하는 작업시 이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수직직하 굴착삽은, 상측이 파지 가능한 제1암(100a), 상기 제1암(100a)과 교차되어 중단이 힌지부(120)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상측이 파지 가능한 제2암(100b), 상기 제1암(100a)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굴착부(200a) 및 상기 제2암(100b)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굴착부(200b)를 포함하되, 작업자는 지면을 굴착시 상기 힌지부(120)의 상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기 제1암(100a) 또는 제2암(100b)의 제1굴착보조부(110a, 110b)를 밟아 하측으로 힘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은 상기 힌지부(120)의 상측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직하 굴착삽은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200b)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2굴착보조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수직직하 굴착삽에 의하면, 특정 지역을 좁고 깊게 굴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전주의 접지선 시공에 있어서, 매설된 전주의 인출구를 노출시키는 작업시 다른 장비의 운용 없이 개인이 전주의 인접 지면을 굴착 가능하여 상기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특정 지역을 일정 깊이 이상 굴착하더라도 제2굴착보조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지면의 본래 위치에서도 굴착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수직직하 굴착삽이 모였을 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수직직하 굴착삽이 벌어졌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사용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수직직하 굴착삽이 벌어졌을 때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수직직하 굴착삽이 모였을 때의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사용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의한 수직직하 굴착삽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한 수직직하 굴착삽은 제2굴착보조부의 유무에 따라 두 개의 실시예로 나뉘므로, 제2굴착보조부의 유무에 대한 실시예를 기본으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수직직하 굴착삽이 모인 상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수직직하 굴착삽이 벌어진 상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수직직하 굴착삽의 일실시예는 제1암(100a), 제2암(100b), 제1굴착부(200a) 및 제2굴착부(200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은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제1암(100a)은 상측이 파지 가능하고, 제2암(100b) 또한 상측이 파지 가능하다.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은 서로 교차되어 중단의 힌지부(120)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즉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은 서로 엑스자(X) 형태로 결합되되, 상기 힌지부(120)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다.
작업자는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의 상측을 파지한 후 이를 조작하여,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암과 제2암이 회전시 각각의 하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도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 또한 모이거나 벌어진다.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파지가 용이하도록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소재로 형성된 그립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제1암 또는 제2암과 사용자의 손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 사용자가 본 고안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본 고안을 이용한 장시간 작업시 손의 피로감을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수직직하 굴착삽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의 상단에 환 형상의 탄성부재를 끼움으로써, 장비를 보관시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이 벌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은 상기 힌지부(120)의 상측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굴곡된다. 즉, 상기 제1암과 제2암이 만약 일자형의 바(bar)형태라면, 상기 힌지부(120)를 기준으로 엑스자(X) 형상이 되지만, 본 고안에 의한 수직직하 굴착삽은 상기 힌지부(120)의 상측의 상기 제1암(100a) 및 제2암(100b)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1암과(100a)과 제2암(100b)의 굴곡된 부분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이렇게 상기 제1암과 제2암의 상측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이유는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이 상측으로 길게 연장될 경우,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의 상측 끝단이 수평 방향으로 너무 벌어질 수 있어, 작업자의 조작이 불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이 굴곡된 부분은 서로 평행하게 될 수 있으나,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의 굴곡된 부분의 상단이 하단보다 가깝게 기울어진 형태가 될 수 있다. 단, 후자의 경우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이 서로 닿지 않도록 않는 범위 내에서 기울어져야 한다.
상기 힌지부(120)에는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별도의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이 수직 방향으로 좁고 깊게 파기 위해 고안된 것이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을 넓게 벌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고, 필요 이상으로 벌렸을 경우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제1굴착부(200b)와 제2굴착부(200b) 또한 과도하게 벌어져, 작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는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의 하단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는 실질적으로 지면을 굴착하는 부분으로 삽과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제1굴착부(200a) 및 제2굴착부(200b)는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강철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어 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되, 서로 모였을 때 하단이 서로 맞닿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를 이용해 토사를 퍼내야 하기 때문에,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 사이에 위치하는 토사가 하측으로 빠져나가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기울어져 각각의 하단이 서로 맞닿게 형성된다.
또한, 이 때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토사가 위치했을 때, 이 토사가 양측단으로 배출되지 않아야 하므로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의 측단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맞닿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의 측단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굴곡되거나, 일반적인 삽과 같이 곡률을 가지면서 완만하게 굴곡될 수 있다. 단,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의 측단은 완전히 굴곡되지 않고 일부분만 굴곡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좁고 깊게 지면을 굴착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고, 대표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주의 하측에 형성되어 지면에 매설된 인출구를 노출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0)의 인접한 지면에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제1굴착부(200a) 및 제2굴착부(200b)가 하측으로 향하게 위치시키되,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이 벌어지도록 회전시켜 제1굴착부(200a) 및 제2굴착부(200b) 또한 벌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힌지부(120)의 상측에 인접한 제1암(100a)과 제2암(100b)에는 제1굴착보조부(110a, 110b)가 형성된다. 상기 제1굴착보조부(110a, 110b)는 일반적인 삽에 있어서, 삽날의 상측 단부에 해당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작업자는 도 5의 화살표와 같이 제1굴착보조부(110a, 110b)를 밟아 상기 제1굴착부(200a) 및 제2굴착부(200b)에 힘을 전달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제1굴착부(200a) 또는 제2굴착부(200b)를 밟아 하측에 힘을 전달하면 하측에 위치한 제1굴착부(200a) 및 제2굴착부(200b)에 비교적 균일한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굴착보조부(110a, 110b)는 바(bar) 형상의 제1암(100a) 및 제2암(100b)에 위치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면적이 좁아 작업자가 발로 밟을 때 발이 미끄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굴착보조부(110a, 110b)의 면적을 다른 제1암(100a) 또는 제2암(100b)의 다른 부분보다 면적을 넓게 한 뒤, 상기 제1굴착보조부(110a, 110b)에 마찰력이 높은 별도의 탄성부재를 덧대거나, 요철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상기 제1굴착보조부를 밟을 때, 발과 제1굴착보조부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제1굴착보조부를 밟아 상기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의 하단이 지면으로 파고 들어가면, 작업자는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을 서로 모이는 방향, 즉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가 서로 모이도록 하여 도 2의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가 모인 상태에서 본 고안에 의한 수직직하 굴착삽을 들어올려, 토사를 굴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는 서로 모여 맞닿은 상태에서 상측이 뚫려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 사이의 공간을 볼 수 있다. 이는 작업의 용이성을 위한 것이나,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작업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사용하여 지면을 굴착한 뒤, 토사를 떠야 한다. 이때, 토사가 무거울 경우 사용자가 제1암(100a) 및 제2암(100b)을 들어 올리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상기 제1암(100a) 및 제2암(100b)의 일부분이 돌출되어, 작업자가 토사를 들어 올리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가 벌어졌을 때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6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가 모였을 때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홀(H) 및 제2굴착보조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이하 상기 홀(H) 및 제2굴착보조부(300)의 구성 및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사용예시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H)은 상기 힌지부(12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암(100a) 및 제2암(100b)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굴착보조부(300)는 상기 힌지부(12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에 끼워지되,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을 따라 이동 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브라켓(310), 고정나사(320) 및 판(330)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310)은 상기 제1암(100a) 또는 제2암(100b)이 삽입 및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와 교차하되, 상기 제1암(100a) 또는 제2암(100b)에 끼워졌을 때 상기 홀(H)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결합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는 상기 고정나사(320)가 홀(H)과 함께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고정나사(320)는 상기 결합구 및 홀(H)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브라켓(3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브라켓(310)을 상기 제1암(100a) 또는 제2암(100b) 따라 이동시키되, 상기 홀(H)과 결합구가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나사(320)를 상기 홀(H)과 결합구에 삽입하면 상기 브라켓(31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판(330)은 상기 브라켓(310)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지면을 굴착할 때, 발로 밟는 부분이다. 상기 판(330)은 이름 그대로 판 형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1굴착보조부와 동일하게 별도의 탄성부재를 덧대거나 요철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발로 밟을 때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브라켓(310), 고정나사(320) 및 판(330)을 포함하는 제2굴착보조부(300)는 작업자가 일정 깊이만큼 지면을 굴착했을 때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1굴착보조부는 제1암(100a)과 제2암(100b)이 교차해 결합되는 힌지부(120)에 인접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비교적 하측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지면을 일적 깊이 이상 굴착했을 때, 상기 제1굴착보조부를 밟으려면 굴착된 구멍에 들어간 후 작업을 해야 하는데, 굴착된 구멍이 좁을 때에는 작업이 불편할 수 있다. 상기 제2굴착보조부(300)는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지면을 일정 깊이 이상 굴착하더라도 작업자가 지면에서 하측으로 하중을 전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포함된다. 도 9는 상기 제2굴착보조부(300)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작업자가 일정 깊이 이상 지면을 굴착했을 때, 본래 지면의 위치에서도 상기 제2굴착보조부(300)를 밟음으로써 구멍에 내려가지 않더라도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굴착보조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나사(320)의 탈착 및 브라켓(310)의 이동을 통해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밟는 판(330)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굴착되는 깊이가 깊어지더라도 일정 깊이까지는 작업자가 굴착된 구멍에 내려가지 않더라도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330)은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이 벌어졌을 때, 수평한 방향이 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상기 판(330)을 용이하게 밟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이 벌어지는 정도에 따라 상기 판(330)은 수평한 방향이 아닐 수 있으며, 상기 판(330)의 각도가 달라지면 작업자가 하측으로 하중을 전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판(330)은 상기 브라켓(310)과 일체화되지 않고 상기 브라켓(310)에 삽입되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되, 상기 고정나사(320)가 상기 브라켓(310)의 결합구 및 홀(H)에 삽입될 때, 상기 판(330)의 각도 또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 상기 판(330)은 상기 브라켓(310)과 일체화될 수 도 있다.
도 6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굴착보조부(300)는 제1암(100a) 및 제2암(100b)의 동일한 높이에 결합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두 개의 판(330)은 서로 마주보고 있다. 상기 판(330)의 길이는 도 6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판에 닿지 않을 정도의 길이 이지만, 판의 길이가 길어져 서로 마주보는 판에 닿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두 개의 제2굴착보조부(300)를 동일한 높이에 결합시키지 않고, 서로 다른 높이에 결합시켜, 두 개의 판이 서로 맞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 중, 상기 힌지부(120)의 상부는 다단식으로 형성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도 8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인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의 상단부분은 직경이 작은 파이프가 직경이 큰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일정 깊이 이상을 굴착해, 본 고안의 실시예로 굴착하는 것이 어려울 때, 직경이 작은 파이프 또는 큰 파이프를 잡아 당긴 후, 직경이 작은 파이프와 큰 파이프에 형성된 홀(H)을 서로 맞춰 고정나사(320)를 상기 홀(H)에 끼우는 형태로 파이프를 고정함으로써, 제1암(100a)과 제2암(100b)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의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구성은 사용자가 굴착작업을 진행하지 않을 때, 길이를 축소시켜,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 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H : 홀
100a : 제1암
100b : 제2암
110a, 110b : 제1굴착보조부
120 : 힌지부
200a : 제1굴착부
200b : 제2굴착부
300 : 제2굴착보조부
310 : 브라켓
320 : 고정나사
330 : 판

Claims (4)

  1. 상측이 파지 가능한 제1암(100a);
    상기 제1암(100a)과 교차되어 중단이 힌지부(120)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상측이 파지 가능한 제2암(100b);
    상기 제1암(100a)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굴착부(200a); 및
    상기 제2암(100b)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굴착부(200b);
    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부(12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암(100a) 및 제2암(10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홀(H) 및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2굴착보조부(300)를 더 포함하고,
    작업자는 지면을 굴착시 상기 힌지부(120)의 상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기 제1암(100a) 또는 제2암(100b)의 제1굴착보조부(110a, 110b)를 밟거나, 상기 제2굴착보조부(300)를 밟아 하측으로 힘을 전달하며,
    상기 제2굴착보조부(300)는
    상기 제1암(100a) 또는 제2암(100b)에 삽입되되, 상기 홀(H)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구가 형성된 브라켓(310), 상기 결합구 및 홀(H)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310)을 고정하는 고정나사(320) 및 상기 브라켓(310)에 연결되어 굴착시 작업자가 밟는 판(330)을 포함하고,
    상기 판(330)은 상기 브라켓(310)에 삽입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 특징으로 하는 수직직하 굴착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굴착부(200a)와 제2굴착부(200b)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직하 굴착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100a)과 제2암(100b)은
    상기 힌지부(120)의 상측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직하 굴착삽.
  4. 삭제
KR2020170002562U 2016-11-16 2017-05-25 수직직하 굴착삽 KR20048680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66 2016-11-16
KR20160006666 2016-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568U KR20180001568U (ko) 2018-05-25
KR200486806Y1 true KR200486806Y1 (ko) 2018-07-03

Family

ID=6229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562U KR200486806Y1 (ko) 2016-11-16 2017-05-25 수직직하 굴착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80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938Y1 (ko) * 2006-01-20 2006-04-05 이인용 모종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517B1 (ko) * 2008-02-14 2009-10-27 (주)아이티인프라 전주 매립 홀을 형성하기 위한 지반 굴착용 삽
KR101643401B1 (ko) 2016-02-26 2016-07-27 (주)광진 접지선 전주내부 설치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938Y1 (ko) * 2006-01-20 2006-04-05 이인용 모종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568U (ko)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4495B2 (ja) 掘削機のバケット用のトゥース
US6764139B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demolition
US6067733A (en) Ditch trenching device
KR200486806Y1 (ko) 수직직하 굴착삽
KR100923517B1 (ko) 전주 매립 홀을 형성하기 위한 지반 굴착용 삽
KR101672359B1 (ko) 지반 보강용 앙카 파일 시공방법
KR101743664B1 (ko) 자성을 이용한 접지선 전주내부 설치공법 및 접지선 전주내부 설치를 위한 공구세트
US20060012239A1 (en) Head for excavator mounted to power shovel
US20230140097A1 (en) Trench Cleaning Shovel Tool
KR101388422B1 (ko) 백호우 장착형 굴착용 유압식 굴착 스크류
JP5961441B2 (ja) 鋼矢板埋設用掘削装置、及び鋼矢板の埋設方法
JP4256761B2 (ja) アース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5030190A (ja) 手動穴掘り機
KR200317062Y1 (ko) 포크레인에 장착되는 굴착기용 헤드
KR101199008B1 (ko) 압입 및 굴착을 이용한 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공법
JP3228225U (ja) 溝掘作業用具
TW479097B (en) Excavation construction method and excavation device
CN217027252U (zh) 一种水利工程土层厚度检测用土壤开挖装置
KR200244690Y1 (ko) 강관 매설 작업용 작업자 보호장치
CN211777200U (zh) 一种利于钻探造斜的辅助工具
KR20080072127A (ko) 리퍼 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KR100453925B1 (ko) 강관 매설 작업용 작업자 보호장치
US20220312660A1 (en) Digging and Boring Bar
CN206895133U (zh) 一种用于淤泥铲掘的钢锹
KR20220159606A (ko) 수직직하 굴착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