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127B1 - 화염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화염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127B1
KR100923127B1 KR1020080000067A KR20080000067A KR100923127B1 KR 100923127 B1 KR100923127 B1 KR 100923127B1 KR 1020080000067 A KR1020080000067 A KR 1020080000067A KR 20080000067 A KR20080000067 A KR 20080000067A KR 100923127 B1 KR100923127 B1 KR 100923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element
semiconductor light
light receiving
flame
photo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6554A (ko
Inventor
테츠야 야마다
노리오 키쿠치
아키라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야마타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타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야마타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66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08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light-sensitive elements
    • F23N5/08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light-sensitive elements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9/00Flame sensors
    • F23N2229/04Flame sensors sensitive to the colour of fl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수광 셀로서 반도체 수광소자를 사용한 화염검출장치로서, 반도체 수광소자의 역접속을 방지하는 동시에, 반도체 수광소자의 단락 고장을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간단한 구성의 화염검출장치를 제공한다. 화염이 발하는 가시광을 검지하는 반도체 수광소자와,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에 그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에 의한 화염검지 신호를 검출하여 화염의 유무를 판정하는 검출장치 본체를 구비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와 상기 케이블 사이에 역접속 방지용 다이오드를 직렬로 끼워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검출장치 본체에 상기 화염의 유무를 판정하는 제1의 임계값에 더하여,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의 역접속 및 단락을 각각 판정하는 제2 및 제3의 임계값을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광 셀, 수광소자, 화염검출장치, 역접속 방지용 다이오드

Description

화염검출장치{FLAME DETECTOR}
본 발명은, 화염이 발하는 가시광을 검지하는 수광 셀로서, 포토다이오드 등의 반도체 수광소자를 사용한 화염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 버너나 오일 버너 등의 화염을 검출하여 그 연소(점화)제어에 이용되는 화염검출장치는, 예를 들면 화염이 발하는 가시광을 검지하는 수광 셀을 짜 넣은 센서 헤드와, 케이블을 통해 상기 수광 셀에 그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수광 셀에 의한 화염검지 신호를 검출하여 화염의 유무를 판정하는 검출장치 본체를 구비하여 구성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를 참조).
즉 오일 버너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풍기(1)의 송풍구(블라스트 튜브)내에 연료분사노즐(2)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연료분사노즐(2)의 노즐구에 근접시켜 점화 전극(3)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오일 버너의 화염을 검출하여 그 연소를 제어하기 위한 화염검출장치에 있어서의 센서 헤드(4)는, 예를 들면 상기 연료분사노즐(2)의 뒤쪽에 위치하여 상기 연료분사노즐(2)의 노즐구에 형성되는 화염이 발하는 가시광을 검출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센서 헤드(4)에 삽 입되는 수광 셀로서는, 종래부터 오로지 CdS셀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오일 버너의 연소 제어는, 도 5에 그 점화 제어 시퀀스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너의 기동 지령을 받아 우선 송풍기(1)를 작동시킨 후에 점화 트랜스를 작동시켜서 점화 전극(3)에 스파크를 발생시키고, 스파크가 안정된 상태에서 연료밸브를 여는 것으로 상기 연료분사노즐(2)로부터 분사되는 연료를 착화한다. 그리고 연료의 연소에 의한 화염이 상기 화염검출장치에서 검출된 후, 상기 점화 트랜스의 작동을 정지함으로써 그 점화 제어가 완료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을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261443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 제3255442호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6-288541호
그러나 최근, RoHS(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위험물질에 관한 제한)지령 등의 화학물질규제에 의해 Cd(카드뮴)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최근에는 화염검출장치의 수광 셀로서, 종래의 CdS셀 대신에 포토다이오드 등의 반도체 수광소자를 사용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CdS셀은 무극성의 것이지만 Si포토다이오드 등의 반도체 수광소자는 유극성으로, 구동전원에 대하여 양극과 음극을 바르게 접속할 필요가 있다. 즉 반도체 수광소자를 역접속한 경우에는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며 아울러, 그 출력 신호 자체가 부정이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반도체 수광소자의 역접속을 확실하게 검출하여, 역접속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또 반도체 수광소자는, 빛에 대한 검출 감도가 높고, 또한 수광강도에 대한 전류출력 특성이 리니어이며, 암흑(화염 없음)의 상태에 있어서는 그 출력 전류가 몇 nA정도로 극히 작다는 출력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반도체 수광소자를 바르게 접속했다고 해도, 반도체 수광소자가 단락 고장되고 있는 경우에는 화염검출 신호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화염검출 신호를 얻을 수 없는 이유가, 암흑(화염 없음) 상태이거나, 또는 단락 고장인 지를 판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광 셀로서 포토다이오드 등의 반도체 수광소자를 사용한 화염검출장치로서, 특히 반도체 수광소자의 역접속을 확실하게 검출하는 동시에, 역접속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반도체 수광소자의 단락 고장을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간단한 구성의 화염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염검출장치는, 화염이 발하는 가시광을 검지하는 반도체 수광소자와,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에 그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에 의한 화염검지 신호를 검출하여 화염의 유무를 판정하는 검출장치 본체를 구비한 것으로, 특히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와 상기 케이블 사이에 역접속 방지용 다이오드를 직렬로 끼워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검출장치 본체에 상기 화염의 유무를 판정하는 제1의 임계값에 더하여,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의 역접속 및 단락을 각각 판정하는 제2 및 제3의 임계값을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로서, 예를 들면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포토다이오드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기를 일체로 구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검출장치 본체는, 예를 들면 직렬접속되어 구동전원에 접속된 제1 및 제2의 저항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의 저항기의 양단 사이에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를 병렬접속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의 저항기에 의해 전원전압을 저항분할하여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의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의 저항기와 상기 제2의 저항기의 접속점에 발생하는 전압을 판정하여 화염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염검출장치에 의하면,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와 상기 케이블 사이에 역접속 방지용 다이오드를 직렬로 끼워 삽입하고 있으므로, 검출장치 본체(구동전원)에 반도체 수광소자를 역접속해도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고, 또 반도체 수광소자의 불안정한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검출장치 본체에 상기 화염의 유무를 판정하는 제1의 임계값에 더하여,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의 역접속 및 단락을 각각 판정하는 제2 및 제3의 임계값을 설정하고, 이들의 제2 및 제3의 임계값과 검출 전압의 비교에 의해 반도체 수광소자의 역접속 상태나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의 단락 고장 상태를 각각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반도체 수광소자로부터의 화염검출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이것을 「화염 없음」이라고 오판정하는 경우가 없어지는 등의 효과가 나타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검출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화염검출장치의 주요부 개략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10은 화염이 발하는 가시광을 검출하는 수광 셀로서의 반도체 수광소자(예를 들면 Si포토다이오드)(11)를 조립하여 구성되는 센서 헤드이며, 20은 케이블(30)을 통해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11)에 그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블(30)을 통해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11)에 의한 화염검지 신호를 검출하여 화염의 유무를 판정하는 검출장치 본체이다.
검출장치 본체(20)는, 예를 들면 직렬접속되어 구동전원에 접속되는 제1 및 제2의 고정 저항(21, 22)을 구비하고, 예를 들면 접지측의 제2의 고정 저항 22의 양단 사이에 케이블(30)을 통해 반도체 수광소자(11)를 병렬접속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의 고정 저항(21, 22)은 전원전압 Vc를 분압하여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11)의 구동전압 Vd를 생성하고, 이 구동전압 Vd를 상기 케이블(30)을 통해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11)의 출력(화염검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의 고정 저항 21과 제2의 고정 저항 22의 접속점에 있어서의 전압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환언하면 반도체 수광소자(11)는, 케이블(30)을 통해 상기 제2의 고정 저항 22에 병렬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반도체 수광소자(11)는, 화염이 발하는 가시광을 수광하여 화염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르는 임피던스의 변화에 의해 상기 고정 저항(21, 22)의 접속점에 있어서의 전압을 변화시키게 된다.
또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11)의 출력(화염검지 신호)을 검출하는 검출장치 본체(20)에 있어서의 화염 검출부(23)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저항(21, 22)의 접속점에 발생하는 전압의 변화로부터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11)에 의한 화염검지 신호의 유무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 화염 검출부(23)는, 상기 고정 저항(21, 22)의 접속점에 발생하는 전압을 미리 설정한 판정 임계값 전압 Vth와 비교하는 것으로 화염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화염검출의 제어 대상이 오일 버너일 경우, 상기 검출장치 본체(20)에는 오일 버너에 있어서의 송풍기(31), 점화 트랜스(점화 전극)(32) 및 연료밸브(연 료분사노즐)(33)의 각 동작을 화염의 유무에 의해 제어하는 연소 제어장치(24)가 설치된다. 이 연소 제어장치(24)는, 전술한 화염 검출부(23)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로서 실현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기본적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화염이 발하는 가시광을 검출하는 수광소자로서 반도체 수광소자, 예를 들면 Si포토다이오드(11)를 사용한 화염검출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도 1에 그 실시예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Si포토다이오드(11)의 직근인 센서 헤드(10)에, 암전류 가산회로(12) 및 필터 회로(13)를 각각 조립하는 동시에, 상기 Si포토다이오드(11)와 직렬로 역접속 방지용 다이오드(14)를 끼워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i포토다이오드(11)로서, 여기에서는 포토다이오드(11)에 그 부하 저항(11a)과, 그 출력 전류를 증폭하는 증폭기(11b)를 일체로 설치한, 소위 복합형의 포토 IC를 사용한 예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부하 저항(11a) 및 증폭기(11b)를 각각 단체부품으로서 포토다이오드(11)에 부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 상기 암전류 가산회로(12)는, 예를 들면 상기 Si포토다이오드(11)이 대하여 병렬접속한 고정 저항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필터 회로(13)는, 저항(13a)과 콘덴서(13b, 13c)를 조합하여 구축되는 패시브형의 저역통과 필터로 이루어진다. 이 필터 회로(13)는, 포토다이오드(11)에 의한 화염검지 신호를 지연하여 상기 케이블(30)에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블(30)에 중첩하는 노이즈에 의한 상기 포토다이오드(11)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기능, 즉 노이즈 제거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에서 우선, 전술한 암전류 가산회로(12)에 관하여 설명한다. 수광 셀로서 사용하는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는, 종래 일반적인 CdS셀에 비교하여 그 응답 속도가 몇 m초로 빠르고, 또한 그 수광강도(조도)에 대하여 도 2에 특성 A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리니어한 출력 전류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수광강도가 낮을 경우, 특히 암흑(화염 없음)인 경우에 있어서의 출력 전류는 몇 nA정도로 대단히 적고, 화염이 발하는 가시광을 받아 그 수광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출력 전류가 증대한다. 이러한 출력 전류특성은, 일반적인 측량 용도에 있어서는 계측 오차를 저감하는 동시에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술한 출력 전류특성은, 환언하면 암흑(화염 없음)인 경우에 있어서의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임피던스가 매우 높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케이블(30)을 통해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를 검출기 본체(20)에 접속하는 구성의 화염검출장치에 있어서는,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임피던스가 높을 때, 케이블(30)의 인회(배선)에 의해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워, 오검출의 요인이 되게 된다. 즉,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임피던스가 높은 상태(암흑상태)에 있어서는, 케이블(30)에 중첩하는 약간의 노이즈 만으로, 상기 케이블(30)을 통해 검출하는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출력이 크게 변동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자체가, 송풍기(31)나 점화 트랜스(점화 전극)(32)등의 노이즈 발생원의 근방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 화염검출장치에 있어서는,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직근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에 대하여 병렬로 고정 저항을 접속하고, 검출장치 본체(20)측으로부터 케이블(30)을 통해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를 보았을 때의 암흑시에 있어서의 임피던스를 의도적으로 낮게 하여, 이것에 의해 외래 노이즈의 영향을 잘 받지 않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직근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에 대하여 암전류 가산회로(12)로서의 고정 저항을 병렬접속 하고, 또한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를 케이블(30)을 통해 검출장치 본체(20)에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에 병렬접속한 고정 저항에 의하면, 상기 고정 저항의 저항값에 비교하여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임피던스가 높을 경우에는, 케이블(30)을 통해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에 구동전압 Vd를 가했을 때, 단지, 상기 고정 저항을 통해 전류가 흐른다. 그리고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임피던스가 낮아짐에 따라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출력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면 암흑시에 있어서도 도 2에 출력 전류특성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30)을 통해 어느 정도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케이블(30)을 통해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를 보았을 때의 암전류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에 병렬접속한 고정 저항은, 외관상,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암전류를 가산하고, 암흑시에 있어서의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임피던스를 저감하는 작용을 나타내게 된다.
이 결과, 암흑시에 있어서도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임피던스를 어느 정도 낮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가령 케이블(30)이 노이즈 발생원의 근방에 배치되는 경우라도, 노이즈의 혼입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30)을 통해 검출하는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출력의, 노이즈의 혼입에 의한 오검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고정 저항 대신에 전술한 증폭기(11b)의 이득을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출력에 따라 가변하고, 암흑시에 있어서의 증폭기(11b)의 출력을 증대시키도록 암전류 가산회로(12)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출력에 따라 증폭기(11b)의 바이어스를 가변하고, 이것에 의해 그 전류출력 특성(이득)을 변화시키도록 하면 되거나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A/D변환기를 사용하여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출력을 디지탈 변환한 후, 그 신호를 케이블(30)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출력에 따라 그 A/D변환 특성 자체를 가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출력에 암전류성분을 가산하는 것으로 그 오검출의 방지 대책을 실시해도, 케이블(30)에 외래 노이즈가 중첩하게 된다. 또한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는 외래 노이즈에 약하여, 노이즈에 의해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자체가 래치업 등의 오동작을 일으키기 쉽다
그래서 이 화염검출장치에 있어서는,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직근에 필터 회로(13)를 설치하고, 케이블(30)을 통해 가해지는 외래 노이즈로부터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에 있어서의 래치업 등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동시에 상기 필터 회로(13)에 의해,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로부터 케이블(30)을 통해 출력되는 화염검지 신호를 지연하고, 이것에 의해 화염의 흔들림 등에 기인하는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본의 아닌 응답 성분을 제거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전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응답특성은 종전의 CdS셀에 비교하여 매우 빠르고, 화염의 흔들림에 의해 그 가시광의 강도가 약간 변동하는 것만으로, 그 수광강도의 변화에 민감하게 응답한다. 이로써, 약간의 화염 흔들림에 의해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출력(화염검지 신호)이 저하하는 것만으로도, 이것을 소염으로서 오검출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이 화염검출장치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직근에 필터 회로(13)를 설치하는 것으로, 고속으로 응답하는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출력(화염검지 신호)을 지연하고, 이것에 의해 화염검출 신호의 응답 파형을 완만하게 한 후, 케이블(30)에 출력하게 된다. 환언하면 필터 회로(13)에 의해,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외관상의 응답특성을 늦게 하고 있다. 또 상기 필터 회로(13)에 의해, 전술한 점화 트랜스 등의 라이즈 발생원으로부터 상기 케이블(30)에 중첩하는 스파이크 노이즈 등의 외래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 오드)(11)의 동작 안정화를 도모하게 된다.
이 결과, 검출장치 본체(20)측에 있어서는, 동작이 안정화된 상황하에 있어서의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로부터의 출력(화염검지 신호)의 변화를, 화염의 흔들림 영향을 받지 않는 완만한 응답 신호로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화염검출을 안정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필터 회로(13)를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직근에 설치하는 것으로, 노이즈에 의한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오동작 방지기능과,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응답성의 개선을 동시의 실현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센서 헤드(10), 즉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와 검출장치 본체(20)는, 단순히 2코어의 케이블(30)을 통해 접속될 뿐이다. 이런 이유로, 검출장치 본체(20)에 대하여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를 역접속하게 되는 가능성이 있다. 즉 종래의 CdS셀은 무극성이므로, 검출장치 본체(20)에 대한 접속 극성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를 역접속하면,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동시에, 그 출력 신호 자체가 부정이 된다.
그래서 이 화염검출장치에 있어서는,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직근에 역접속 방지용의 다이오드(14)를 직렬로 끼워 삽입하는 동시에, 검출장치 본체(20)에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역접속 검출 기능 및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단락고장 검출기능을 설치하고 있다. 이 역접속 검출기능 및 단락고장 검출기능은, 전술한 제1 및 제2의 고정 저항(21, 22)의 접속점에 생기는 전압을, 미리 설정한 임계값과 비교하는 기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임계값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염의 유무를 판정하는 임계값과는 별도로 설정된다.
즉, 이 화염검출장치에 있어서는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와 케이블(30) 사이에 역접속 방지용의 다이오드(14)를 직렬로 끼워 삽입하는 것으로, 역접속시에는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에 검출장치 본체(20)측으로부터의 구동전압 Vd가 가해지지 않도록 하고, 이것에 의해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동작 자체를 금지하여, 본의 아닌 출력(화염검출 신호)을 얻을 수 없도록 하고 있다. 환언하면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를 역접속했을 경우에는,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로부터의 출력을 [0]으로 하고, 이것에 의해 항상 「화염 없음」의 검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화염검출장치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역접속 방지용의 다이오드(14)를 설치한 것과 더불어, 상기 검출장치 본체(20)에 화염의 유무를 판정하는 기능에 더하여,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역접속 검출 기능 및 단락고장 검출기능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역접속 검출 기능 및 단락고장 검출기능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의 고정 저항(21, 22)의 접속점에 생기는 전압 Vin으로부터 화염의 유무를 판정하는 임계값이 Vth1로서 주어질 때, 상기 임계값 Vth1보다도 높은 전압으로서 설정된 역접속 검출용 임계값 Vth2, 상기 임계값 Vth1보다도 낮은 전압으로서 설정된 단락 검출용 임계값 Vth3으로서 주어진다.
검출장치 본체(20)에 케이블(30)을 통해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를 접속하지 않을 때, 상기한 제1 및 제2의 고정 저항(21,22)의 접속점에 생기는 전압 Vd를 5V로 하면, 상기 검출장치 본체(20)에 케이블(30)을 통해 정상적으로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를 접속한 경우에는, 암흑(화염 없음)인 상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암전류 가산회로(12)에 의해 가산된 암전류분만 상기 케이블(30)로부터 센서 헤드(10)를 통해 전류가 흐르므로, 상기 제1 및 제2의 고정 저항(21, 22)의 접속점에 생기는 전압 Vin은, 상기 전압 Vd보다도 약간 낮아진다. 즉, 제2의 고정 저항 22에 대하여 상기 암전류의 가산 분만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가 병렬로 작용하므로, 그 검출 전압 Vin은 구동전압 Vd보다도 약간 낮아진다.
그리고 화염에 의한 가시광을 검출하여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가 화염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그 임피던스가 저하하면, 이것에 따라 제1 및 제2의 고정 저항(21, 22)의 접속점에 생기는 전압 Vin이 더욱 저하한다. 전술한 화염의 유무를 판정하는 임계값 Vth1은, 이러한 수광의 유무에 의한 검출 전압 Vin의 변화를 식별할 수 있는 전압값으로서 설정된다.
이에 대하여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를 역접속했을 경우에는, 전술한 역접속 방지용의 다이오드(14)에 의해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 나아가서는 센서 헤드(10)로의 전류공급 자체가 차단되므로, 전술한 암전류 가산회로(12)가 기능하지 않고, 따라서 암흑(화염 없음)인 상태에 있어서도 제1 및 제2의 고정 저항(21, 22)의 접속점에 생기는 검출 전압 Vin이 전술한 구동전압 Vd로부터 저하하지 않는다. 전술한 역접속 검출용 임계값 Vth2는, 이러한 역접속의 유무에 의해 변화되는 검출 전압 Vin의 차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압값으로서 설정된다. 그리고 역접속한 상태에 있어서는, 화염이 존재해도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자체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그 출력을 얻을 수 없고, 따라서 구동전압 Vd에 붙어 있던 검출 전압 Vin이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를 상기 역접속 검출용 임계값 Vth2 하에서 판정함으로써, 센서 헤드(10), 즉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역접속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검출장치 본체(20)에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를 정상으로 접속하고 있는 경우,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는 한 전술한 암전류 가산회로(12)를 포함하는 내부 임피던스가 존재하므로,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가 최대의 화염검출 신호(전류)를 출력했다고 해도, 상기 제1 및 제2의 고정 저항(21, 22)의 접속점에 생기는 검출 전압 Vin이 OV까지 저하하지 않는다. 그러나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가 단락 고장되면, 암전류 가산회로(12)의 존재에 관계없이 역접속 방지용의 다이오드(14)를 통해 제2의 고정 저항 22의 양단 사이가 단락되므로, 제1 및 제2의 고정 저항(21, 22)의 접속점에 생기는 검출 전압 Vin이 0V까지 한꺼번에 저하한다. 전술한 단락고장 검출용 임계값 Vth3은, 이러한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단락 고장의 유무에 의해 변화되는 검출 전압 Vin의 차이를 식별할 수 있는 전압값으로서 설정된다.
이렇게 하여 검출장치 본체(20)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의 고정 저 항(21, 22)의 접속점에 생기는 전압 Vin으로부터, 화염의 유무를 판정하는 동시에,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역접속 및 단락 고장을 각각 판정하는 기능을 설치함으로써, 화염검출장치의 동작 신뢰성을 확인하면서 화염검출을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오일 버너 등의 연소 제어를 신뢰성 있게 안정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제1∼제3의 임계값 전압 Vth1, Vth2, Vth3에 대해서는,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11)의 출력 특성이나 그 구동조건 등에 따라 각각 정하면 되는 것이다. 또 역접속 방지용의 다이오드(14)의 삽입 위치를 양극전원 라인으로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수광 셀로서 Si이외의 다른 반도체 수광소자를 사용한 것을 적절히 채용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검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의 수광강도에 대한 출력 전류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화염검출 전압 Vin에 대한 화염판정 임계값 Vth1, 역접속 판정 임계값 Vth2, 단락 검출 임계값 Vth3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가스 버너의 개략적인 구성과 화염검출장치의 센서 헤드의 장착 부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가스 버너에 있어서의 점화 제어 시퀀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 : 센서 헤드 11 : 반도체 수광소자(포토다이오드)
11a : 부하 저항 11b : 증폭기
12 : 암전류 가산회로 13 : 필터 회로
14 : 역접속 방지용 다이오드 20 : 검출장치 본체
21,22 : 고정 저항 23 : 화염 검출부
24 : 연소 제어장치 30 : 케이블

Claims (3)

  1. 화염이 발하는 가시광을 검지하는 반도체 수광소자와,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에 그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에 의한 화염검지신호를 검출하여 화염의 유무를 판정하는 검출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와 상기 케이블 사이에 역접속 방지용 다이오드를 직렬로 끼워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검출장치 본체에 상기 화염의 유무를 판정하는 제1의 임계값에 더하여,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의 역접속 및 단락을 각각 판정하는 제2 및 제3의 임계값을 설정하는 화염 검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는,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포토다이오드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검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장치 본체는, 서로 직렬접속되어 구동전원에 접속된 제1 및 제2의 저항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의 저항기의 양단 사이에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를 병렬접속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의 저항기에 의해 전원전압을 저항분할하여 상기 반도체 수광소자의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의 저항기와 상기 제2의 저항기의 접속점에 생기는 전압을 판정하여 화염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검출장치.
KR1020080000067A 2007-01-12 2008-01-02 화염검출장치 KR100923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04523A JP4803672B2 (ja) 2007-01-12 2007-01-12 火炎検出装置
JPJP-P-2007-00004523 2007-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554A KR20080066554A (ko) 2008-07-16
KR100923127B1 true KR100923127B1 (ko) 2009-10-23

Family

ID=3963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067A KR100923127B1 (ko) 2007-01-12 2008-01-02 화염검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03672B2 (ko)
KR (1) KR100923127B1 (ko)
CN (1) CN101221070B (ko)
TW (1) TWI3529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8989B2 (ja) * 2007-01-12 2012-08-15 アズビル株式会社 火炎検出装置
JP5042637B2 (ja) * 2007-01-12 2012-10-03 アズビル株式会社 火炎検出装置
JP2009168384A (ja) * 2008-01-18 2009-07-30 Corona Corp 火炎検知装置
CN105091024A (zh) * 2015-03-17 2015-11-25 霍尼韦尔环境自控产品(天津)有限公司 火焰检测系统
CN104678269B (zh) * 2015-03-18 2017-06-23 国家电网公司 变电站电缆沟电缆放电聚光报警检测装置
CN107808485B (zh) * 2017-10-24 2020-06-05 上海第二工业大学 一种利用可见光通信检测火源的方法
TWI783726B (zh) * 2021-10-14 2022-11-11 台灣櫻花股份有限公司 瓦斯爐點火檢測系統及其瓦斯爐點火檢測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600A (ko) * 2001-09-04 2003-03-10 조재승 화염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검출장치
JP2005016839A (ja) 2003-06-26 2005-01-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火炎検出装置
KR20050025254A (ko) * 2004-07-31 2005-03-14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가스터빈용 화염 검출장치
JP2006329474A (ja) 2005-05-24 2006-12-07 Noritz Corp 燃焼機における火炎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5364U (ko) * 1979-04-07 1980-10-18
US5726505A (en) * 1995-01-13 1998-03-10 Omron Corporation Device to prevent reverse current flow, rectifier device and solar generator system
JP2002031335A (ja) * 2000-07-18 2002-01-31 Chofu Seisakusho Co Ltd 燃焼検知装置及びその検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600A (ko) * 2001-09-04 2003-03-10 조재승 화염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검출장치
JP2005016839A (ja) 2003-06-26 2005-01-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火炎検出装置
KR20050025254A (ko) * 2004-07-31 2005-03-14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가스터빈용 화염 검출장치
JP2006329474A (ja) 2005-05-24 2006-12-07 Noritz Corp 燃焼機における火炎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554A (ko) 2008-07-16
TWI352942B (en) 2011-11-21
CN101221070B (zh) 2011-03-30
JP4803672B2 (ja) 2011-10-26
CN101221070A (zh) 2008-07-16
JP2008172068A (ja) 2008-07-24
TW200839154A (en)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125B1 (ko) 화염검출장치
KR100923127B1 (ko) 화염검출장치
JP5580770B2 (ja) 火炎検出装置
KR100923126B1 (ko) 화염검출장치
US8629779B2 (en) Adapting a scanning point of a sample and hold circuit of an optical smoke detector
US7267115B2 (en) Ignition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000826B2 (ja) 光電センサ
EP3488433B1 (en) Smoke detector operational integrity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050061954A1 (en) Receiving circuit for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
US7924077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latch circuit
KR102622324B1 (ko) 센서입력 오진단 방지타입 이그나이터 제어기 및 방법
JP2008258936A (ja) 赤外線タッチスイッチ
JPH1092279A (ja) 光電スイッチ
JP3893926B2 (ja) 光センサ
US5955734A (en) High temperature two-wire photocurrent detector circuit
US6990967B2 (en) Potentiometer device for determination of valve positions
KR102094149B1 (ko) 정전류 점화장치
KR100188721B1 (ko) 점화신호 검출이 용이한 점화회로
JP2004029895A (ja) 防犯センサ
JPH04191625A (ja) 受光ic
JPS6412416B2 (ko)
JP2005268896A (ja) ボルテージディテクタ
JPH05145394A (ja) 光検出器
KR19990064441A (ko)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실린더 피스톤 감지스위치
JPH02164226A (ja) 受光素子保護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