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872B1 -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872B1
KR100922872B1 KR1020080075045A KR20080075045A KR100922872B1 KR 100922872 B1 KR100922872 B1 KR 100922872B1 KR 1020080075045 A KR1020080075045 A KR 1020080075045A KR 20080075045 A KR20080075045 A KR 20080075045A KR 100922872 B1 KR100922872 B1 KR 100922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xed
horizontal bracket
shaf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759A (ko
Inventor
곽수만
Original Assignee
곽수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수만 filed Critical 곽수만
Priority to PCT/KR2008/00471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88139A1/en
Priority to JP2010541384A priority patent/JP5049393B2/ja
Priority to CN2008801242265A priority patent/CN101953156B/zh
Publication of KR20090076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872B1/ko
Priority to US12/803,846 priority patent/US832815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1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4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6Arms
    • F16M2200/063Parallelogram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어느 높이에서나 자유롭게 정지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는,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 디스플레이장치가 고정되는 수평브래킷 및 상기 고정브래킷과 수평브래킷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링크부재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하나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로 일정거리 떨어져 제1상부고정축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브래킷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고정되는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하나의 중심회전축과 상기 중심회전축의 상부로 일정거리 떨어져 제2 상부고정축과 상기 중심회전축의 하부로 일정거리 떨어져 하부고정축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링크부재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회전축과 수평브래킷의 중심회전축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주회동링크와 상기 고정브래킷의 제1상부고정축과 수평브래킷의 제2상부고정축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보조회동링크 및 상기 고정브래킷의 제1상부고정축과 수평브래킷의 하부고정축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암 스탠드, 지지장치, 디스플레이, 인장스프링, 링크, free stop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ARM STAND FOR DISPLAY UNIT}
본 발명은 LCD나 PDP와 같은 판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와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어느 높이에서나 자유롭게 정지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unit)는 TV나 컴퓨터용 모니터와 같이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기기로, 최근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PDP(Plasma Display Panel)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패널을 사용하여 대형화가 용이하고 얇아서 벽이나 테이블에 설치하여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암 스탠드(Arm Stand)는 LCD나 PDP와 같은 판형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이나 테이블에 고정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평행 링크와 하나 이상의 스프링 그리고 브래킷으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는 평행 링크가 회전할수록 스프링의 탄성력도 함께 증가하므로 평행 링크를 일정 각도 이상, 예를 들어, 40~45°이상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원래 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협소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 조절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회전링크부재를 회전궤적(0~90°) 내의 어느 지점 위치시켜도 원래 위치로 복귀하지 않고 정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는,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 디스플레이장치가 고정되는 수평브래킷 및 상기 고정브래킷과 수평브래킷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링크부재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하나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로 일정거리 떨어져 제1상부고정축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브래킷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고정되는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하나의 중심회전축과 상기 중심회전축의 상부로 일정거리 떨어져 제2 상부고정축과 상기 중심회전축의 하부로 일정거리 떨어져 하부고정축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링크부재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회전축과 수평브래킷의 중심회전축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주회동링크와 상기 고정브래킷의 제1상부고정축과 수평브래킷의 제2상부고정축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보조회동링크 및 상기 고정브래킷의 제1상부고정축과 수평브래킷의 하부고정축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의 제1상부고정축은 고정브래킷에 형성된 회전축의 우측 상부로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수평브래킷의 제2상부고정축은 상기 수평브래킷에 형성된 중심회전축의 우측 상부로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며, 상기 수평브래킷의 하부고정축은 상기 수평브래킷에 형성된 중심회전축의 우측 하부로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된다.
상기 수평브래킷의 하부고정축은 상기 수평브래킷의 중심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4사분면 중 제4 분면 내의 어느 지점에 형성된다.
상기 수평브래킷의 제2상부고정축과 하부고정축은 상기 수평브래킷의 중심회전축을 꼭지 점으로 하는 삼각 형상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장스프링은 상기 회동링크부재가 고정브래킷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주회동링크에 작용하는 힘(F1)과 상기 보조회동링크에 작용하는 힘(F2)이 같아지도록(F1 = F2) 상기 주회동링크 또는 보조회동링크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해줌으로써 회동링크부재가 어느 회전각도에서도 정지(free stop)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회동링크는 상기 인장스프링과 보조회동링크를 길이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고, 양단에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회전축과 수평브래킷의 중심회전축을 형성하는 원형의 핀홀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회동링크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금속 막대로서,양단에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제1상부고정축과 수평브래킷의 제2상부고정축을 형성하는 원형의 핀홀이 형성된다.
상기 인장스프링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양단에는 코일스프링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연결봉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봉의 선단에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제1상부고정축과 수평브래킷의 하부고정축을 형성하는 고정 핀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래킷은 베이스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로서, 상기 수평브래킷을 향하는 쪽에는 상기 인장스프링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을 벗어난 플레이트의 중심에는 상기 주회동링크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고정핀을 고정하는 회전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에 의해 형성되는 양측 수직벽의 외측면에는 상기 보조회동링크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안착하는 제1안착부가 일정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양측 수직벽에는 상기 인장스프링과 보조회동링크를 동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고정핀이 고정되는 제1상부고정핀홀이 상기 회전핀홀의 우측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수평브래킷은 디스플레이장치가 고정되는 플레이트로서, 상기 고정브래킷을 향하는 쪽에는 상기 인장스프링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홈에 의해 형성된 양측 수직벽의 외측면에는 상기 보조회동링크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안착하는 제2안착부가 일 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홈에 의해 형성된 양측 수직벽의 중심에는 상기 주회동링크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고정핀을 고정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고정핀홀의 우측 상부에는 상기 보조회동링크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핀이 고정되는 제2상부고정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고정핀홀의 우측 하부에는 상기 인장스프링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핀이 고정되는 하부 고정 핀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브래킷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좌우로 회전시키거나 상하로 회동시켜서 시야각을 바꾸기 위한 회전 및 틸팅 장치가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브래킷과 수평브래킷 사이에 설치된 인장스프링이 수평브래킷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회동링크부재가 회전할 때, 주회동링크에 작용하는 힘(F1)과 보조회동링크에 작용하는 힘(F2)이 같아지도록 상기 회동링크부재의 회전에 따라 변하는 탄성력을 보조회동링크에 가해줌으로써 상기 회동링크부재를 모든 회전 각도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회동링크부재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브래킷이 그 중심회전축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를 항상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장스프링이 주회동링크에 작용하는 힘(F1)과 보조회동링크에 작용하는 힘(F2)이 같아지도록 보조회동링크에 탄성력을 가해주기 때문에 회동 링크부재를 90°이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와 거리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프리스톱(free stop)과 회전각도의 확장을 캠(cam)과 같은 복잡한 부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구성이 단순하고 생산 가격을 낮출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다.
첨부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100)(이하 '암 스탠드'라 한다)는, 소정의 베이스(101)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110)과, 소정의 디스플레이장치(102)가 고정되는 수평브래킷(150)과, 상기 고정브래킷(110)과 수평브래킷(15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링크부재(1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래킷(110)은 베이스(101)에 고정되는 소정 두께의 플레이트로서, 이 플레이트에는 회전축(a)과 이 회전축(a)의 상부로 일정거리 떨어져서 제1상부고정축(c)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브래킷(150)은 소정의 디스플레이장치(102)가 고정되는 소정 두께의 플레이트로서, 이 플레이트에는 중심회전축(b)과 이 중심회전축(b)의 상부로 일정거리 떨어져서 제2상부고정축(d)이 형성되고, 중심회전축(b)의 하부로 일정거 리 떨어져서 하부고정축(e)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링크부재(120)는 주회동링크(130), 보조회동링크(190) 및 인장스프링(170)으로 구성된다. 주회동링크(130)는 고정브래킷(110)의 회전축(a)과 수평브래킷(150)의 중심회전축(b)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보조회동링크(190)은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제1상부고정축(c)과 수평브래킷(150)의 제2상부고정축(d)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인장스프링(170)은 고정브래킷(110)의 제1상부고정축(c)과 수평브래킷(150)의 하부고정축(e) 사이에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110)의 회전축(a)과 수평브래킷(150)의 중심회전축(b)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고정브래킷(110)의 제1상부고정축(c)은 고정브래킷(110)의 회전축(a)의 우측 상부에 일정거리 떨어져서 형성되며, 수평브래킷(150)의 제2상부고정축(d)은 수평브래킷(150)의 중심회전축(b)의 우측 상부에 일정거리 떨어져서 형성되어 상기한 고정브래킷(110)의 제1상부고정축(c)과 수평브래킷(150)의 제2상부고정축(d)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고정브래킷(110)의 회전축(a)과 수평브래킷(150)의 중심회전축(b) 사이에 설치되는 주회동링크(130)와, 고정브래킷(110)의 제1상부고정축(b)과 수평브래킷(150)의 제2상부고정축(d)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회동링크(190)는 상하로 일정 거리 떨어져서 평행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브래킷(110)의 제1상부고정축(c)은 고정브래킷(110)의 회전축(a)의 우측 상부에 일정거리 떨어져서 형성되고, 수평브래킷(150)의 하부고정축(e)은 수평브래킷(150)의 중심회전축(b)의 우측 하부에 일정거리 떨어져서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브래킷(110)의 제1상부고정축(c)과 수평브래킷(150)의 하부고정축(e) 사이에 설치되는 인장스프링(170)은 주회동링크(130) 및 보조회동링크(190)를 가로질러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수평브래킷(150)의 제2상부고정축(d)과 수평브래킷(150)의 하부고정축(e)은 수평브래킷(150)의 중심회전축(b)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수평브래킷의 중심회전축(b), 제2상부고정축(d) 및 하부고정축(e)은 상기 중심회전축(b)을 꼭지 점으로 하는 삼각형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암 스탠드의 수평브래킷(150)에 외력이나 하중이 가해지면, 주회동링크(130)는 고정브래킷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상하로 일정 각도(θ2:도6 및 도7 참조) 회전하게 된다. 이어 주회동링크(130)가 상하로 회전하면, 주회동링크(130)와 연결되어 있는 보조회동링크(190)와 인장스프링(170)도 주회동링크(130)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보조회동링크(190)와 인장스프링(170)은 고정브래킷의 제1상부고정축(c)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한편, 주회동링크(130)가 회전하면, 수평브래킷(150)은 수평브래킷(150)에 형성되어 있는 중심회전축(b)를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수평브래킷(150)은 상하로 평행하게 설치된 주회동링크(130)와 보조회동링크(190)로 구성된 평행 링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주회동링크(130)와 보조회동링크(19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항상 수평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수평브래킷(15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102)는 주회동링크(130)의 회전에 관계없 이 항상 수직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링크부재의 회전궤적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동링크부재(120)는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까지 약 90°의 범위로 회전한다. 회동링크부재(120)가 회전하면, 고정브래킷(110)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주회동링크(130)는 F의 회전궤적으로 회전하고, 고정브래킷(110)의 제1상부고정축(c)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보조회동링크(190)는 G의 회전궤적으로 회전하며, 고정브래킷(110)의 제1상부고정축(c)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인장스프링(170)은 H의 회전궤적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회동링크부재(120), 구체적으로는 주회동링크(130)와 보조회동링크(190)는 일정한 회전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반면에 인장스프링(170)은 회동링크부재(120)의 회전각도에 따라 그 길이가 변하기 때문에 일정한 회전 반경을 갖지 않는 불규칙한 회전궤적(H)을 갖는 것이다. 이때, 인장스프링(170)의 길이가 회전각도에 따라 변하는 것은 그 탄성력이 회전각도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회동링크부재(120)가 회전하면 인장스프링(170)과 보조회동링크(190) 사이의 연직거리(L3:도 6 참조)가 회전각도에 따라 변하게 된다. 이는 인장스프링(170)의 회전각도에 따라 보조회동링크(190)에 가해지는 힘(모멘트)가 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보조회동링크(190)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인장스프링(170)이 수평브래킷(150)의 중심회전축(b)에 고정되어 있는 주회동링크(130)과 수평브래킷(150)의 제2상부고정축(d)에 고정되어 있는 보조회동링크(190)을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 이다.
예를 들면, 주회동링크(130)를 아래로 회전시키면, 보조회동링크(190)와 인장스프링(170)도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주회동링크(130)와 평행하게 설치된 보조회동링크(190)는 수평브래킷(150)을 고정브래킷(110) 쪽으로 잡아당겨서 상기한 수평브래킷(150)이 중심회전축(b)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리고, 수평브래킷(150)이 위쪽으로 회전하면, 수평브래킷(150)의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2상부고정축(d)과 하부고정축(e)도 함께 상부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하부고정축(e)에 고정되어 있는 인장스프링(170)은 고정브래킷(110)의 제1상부고정축(c)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회동하여 보조회동링크(190)와의 간격이 좁혀짐과 아울러 인장스프링(17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인장스프링(170)은 회동링크부재(120)가 수평일 때보다 큰 탄성력을 갖게 되지만, 보조회동링크(190)와의 간격이 좁혀짐에 따라 보조회동링크(190)에 가해지는 모멘트는 감소하게 된다.
이어, 인장스프링(170)과 주회동링크(130)가 일치하게 되면, 보조회동링크(190)에 가해지는 인장스프링(170)의 탄성력이 없어지는 사점(P)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회동링크부재(120)가 사점(P) 아래로 계속 회동하면, 보조회동링크(190)에 가해지던 인장스프링(170)의 탄성력과 모멘트가 주회동링크(130)에 가해지는 역전현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상기 회동링크부재(120)가 계속하여 회전하면, 인장스프링(170)과 주회동링크(13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주회동링크(130)에 가해지는 인장스프링(170)의 모멘트가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동링크부재(120)의 회전궤적(F)은 역전현상이 나타나는 사점(P)를 중심으로 S-A 구간과 S-B 구간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인장스프링(170)의 복원력(탄성력*모멘트)이 사점(P)점을 기준으로 역전되기 때문에 회동링크부재(120)를 상하로 90°범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어느 회전 각도에서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암 스탠드에서는 스프링의 복원력이 역전되지 않기 때문에 회동링크부재를 사점(40~45°) 아래로 계속 회동시키면 복원력이 증대되어 더 이상 회동시킬 수 없고 그 위치에 정지시킬 수 없다. 결국, 종래의 암 스탠드는 40~45°의 좁은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와 거리를 조절할 수밖에 없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암 스탠드의 작용과 원리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암 스탠드의 기구학적 해석을 위한 개략도이다. 도 5에는 고정브래킷(110)과 수평브래킷(150) 사이에 주회동링크(130)와 보조회동링크(190)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고정브래킷(110)과 수평브래킷(150) 사이에 주회동링크(130), 보조회동링크(190) 및 인장스프링(170)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회동링크부재의 회전궤적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브래킷(150)에 일정한 하중(W)이 작용하면, 상하로 일정 거리 떨어져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주회동링크(130)와 보조회 동링크(190)가 하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주회동링크(130)에는 수평브래킷 방향으로의 힘(F1)이 작용하게 되고, 보조회동링크(190)에는 고정브래킷 방향으로의 힘(F2)이 작용하게 된다.
즉, 수평브래킷(150)에 하중(W)이 가해지면, 평행 링크를 이루는 주회동링크(130)는 단순히 고정브래킷(110)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수평브래킷을 향하는 힘(F1)이 생기게 된다. 반면에 상기 보조회동링크(190)는 고정브래킷(110)의 제1상부고정축(c)을 중심으로 아래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수평브래킷(150)을 수평브래킷의 중심회전축(b)을 중심으로 반대로 회전시키려는 힘(F2)이 생긴다. 따라서 F1과 F2가 일치하면, 주회동링크(130)와 보조회동링크(190)는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러나 만약 F1이 F2보다 크면, 회동링크부재(120)는 그 위치에서 정지하지 않고 아래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수평브래킷(150)은 주회동링크(130)가 작용하는 힘(F1)에 의해서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보조회동링크(190)가 작용하는 힘(F2)에 의해서 중심회전축(b)을 중심으로 윗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항상 수평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브래킷(150)은 F1과 F2가 같게 될 때까지 아래로 내려간다. 일반적으로 주회동링크(130)와 보조회동링크(190)의 F1과 F2가 일치하는 위치는 40~45°부근에 위치한다. 따라서 수평브래킷(150)은 회동링크부재(120)의 회전각도가 40~45°인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러나 F1과 F2가 일치하는 위치가 특정 각도(40~45°)로 한정된다면 사용자는 그 이상의 높이로 수평브래킷(150)을 정지시킬 수 없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암 스탠드는 주회동링크(130)에는 작용하는 힘 F1과 보조회동링크(190)에 작용하는 힘 F2의 합력이 항상 '0'이 되도록 함으로써 회동링크부재(120)가 회전하는 전 구간(S-A 및 S-B) 또는 수평브래킷(150)이 상하로 이동하는 전 구역 내에서 어느 위치에서든지 정지, 즉 프리스톱(free stop)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주회동링크(130)에 작용하는 힘 F1은 수평브래킷(150)에 작용하는 하중(W)과 고정브래킷(110)의 회전축(a)와 수평브래킷(150)의 중심회전축(b) 사이의 거리 L1의 곱에 상당하는 모멘트(M1:도 8참조)이다. 그리고 보조회동링크(190)에 작용하는 힘 F2는 수평브래킷(150)에 작용하는 하중(W)과 수평브래킷(150)의 중심회전축(b)과 수평브래킷(150)에 가해지는 하중(W)의 무게 중심(G) 사이의 거리 L2의 곱에 상당하는 모멘트(M2: 도 8참조)이다.
따라서 F1 = F2 가 되려면, M1 = M2가 성립하여야 한다.
M1 = W × L1 (1.1)
M2 = W × L2 (1.2)
위 식 (1.1) (1.2)에서 W는 수평브래킷(150)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동일하고, L2는 회동링크부재(120)의 회전에 따라 변하는 변수이다.
따라서 M1 = M2를 성립시키기 위해서는 L2를 L1과 같게 설계하여야 하나, 실질적으로 L1과 L2를 동일하기 위해서는 수평브래킷(150)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달성하기 어렵다.
결국, M1 > M2인 등식 관계를 M1 = M2인 등식 관계로 만들기 위해서는, M1 - M2 = α 만큼의 외력을 M2에 작용시켜야 한다. 또한,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M1 = M2 + α (1.3)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암 스탠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110)의 제1상부고정축(b)과 수평브래킷(150)의 하부고정축(e) 사이에 인장스프링(170)을 설치한다. 이때, 수평브래킷(150)의 하부고정축(e)은 수평브래킷(150)의 중심회전축(b) 우측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인장스프링(170)은 수평브래킷(150)의 중심회전축(b)을 넘어서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수평브래킷(150)의 구성은 후술될 것이다.
도 6의 확대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평브래킷(150)의 중심회전축(b)과 인장스프링(170) 사이의 연직거리는 L3이고, 수평브래킷(150)의 중심회전축(b)과 하부고정축(e)을 잇는 선과 인장스프링(170) 사이의 사이 각은 θ이다. 그리고 상기 중심회전축(b)와 하부고정축(e) 사이의 간격은 L4이다. 여기서, L3와 θ는 인장스프링(170)이나 수평브래킷(150)의 회전에 따라 변하는 변수이고, L4는 일정한 값을 갖는다. 따라서 L3를 θ의 관계식으로 풀면,
L3 = L4 × cosθ × tanθ (1.4)
그리고 상기 인장스프링(170)의 모멘트(α)는,
α = L3 × SF (1.5)
이다. 여기서 SF(Spring Force)는 인장스프링(170)의 길이에 따라 가변하는 탄성력이다.
그러므로 식 (1.5)를 식 (1.3)에 대입하면,
M1 = M2 + (SF × L3) (1.6)
이 성립한다.
결국, M1 > M2인 상태에서, M1 = M2인 관계로 만들기 위해서는, M2에 α 만큼의 탄성 모멘트를 작용시켜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암 스탠드는 인장스프링(170)을 설치하여 L3 × SF의 힘을 보조회동링크에 가해주게 된다. 반대로 M1 < M2인 구간에서는 M1 = M2인 관계로 만들기 위해서 M2에 α 만큼의 탄성 모멘트를 빼주거나 주회동링크부재에 L3 × SF의 힘을 가해주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회동링크부재(120)의 회전에 따라서 L3 × SF의 힘을 보조회동링크나 주회동링크에 가해 줄 수 있도록 인장스프링(17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수평브래킷(150)의 모든 이동구간에서 프리스톱(free stop)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것으로, 상기 회동링크부재(120)의 회전에 따른 모멘트(M1, M2)의 변화추이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링크부재(120)의 회전궤적은 S-A 구간과 S-B 구간으로 구분된다. 회동링크부재(120)가 수평 위치에서 하 방향으로 회전하여 S-A 구간에서 S-B 구간으로 접어들 때, M1과 M2가 역전되는 점(P)이 나타난다.
이 역전되는 점(P)을 사점(dead point)이라 한다. 기구학적 용어로, 사점(死點)이란 외력이 축의 직각으로만 받으므로 어떠한 회전력도 작용하지 않는 점을 의미한다. 즉, M1 = M2 가 성립되는 지점이고 인장스프링(170)의 모멘트(α)가 작용하지 않는 지점이다. 따라서 이 사점을 기준으로 α를 가해주거나 빼주어야 회동링 크부재(120)의 전 회전궤적에서 M1 = M2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어, 도 8은 종래의 암 스탠드에서 볼 수 있는 모멘트(M1, M2)의 변화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동링크부재(120)의 회전에 따라 보조 회전링크(190)에 작용하는 모멘트 M2를 일정하게 표시하였다. 따라서 주 회전링크(130)에 작용하는 모멘트 M1은 회동링크부재(120)가 수평 방향에서 사점(P)까지의 S-A 구간에서는 M2 보다 크다. 그러나 사점 P점에서 역전되어 P에서 수직 방향까지의 S-B 구간에서는 M1 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회동링크부재(120)가 회전하는 전 구간(S-A ~ S-B)에서 M1 = M2의 관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사점(P)을 중심으로 그 차이(M1 - M2 = │α│)를 보정해 주어야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인장스프링(170)의 탄성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인장스프링(170)의 고정위치(e)를 정하기 위하여 수평브래킷(150)의 중심회전축(b)을 기준으로 분할한 4사분면을 보여준다. 즉, 인장스프링(170)의 한쪽은 고정브래킷(110)의 상부고정축(c)에 고정되고 인장스프링(170)의 다른 쪽은 수평브래킷(150)의 4사분면 중의 어느 한 지점에 고정하여 그 탄성력을 측정한 것이다. 이때 수평브래킷(150)은 중심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당연하다.
도 9를 참조하면, 회동링크부재(120)를 수평 상태에서 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의 인장스프링의 탄성력(SF)에 변곡점이 생기는 위치는 4사분면(4/4) 뿐이다. 한편, 회동링크부재(120)가 회전하는 전 구간에서 M1 = M2의 관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상기 인장스프링은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장스프링의 고정위치(e)는 수평브래킷(150)의 4사분면(4/4)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 도 11은 회동링크부재(120)의 회전에 따른 L3 값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과 수평브래킷의 중심회전축 사이의 연직거리 L3는 회동링크부재(120)의 회전(θ2)에 따라 점점 좁아졌다가 점점 넓어지는 현상을 보인다.
따라서 식 (1.5)에 나타나 있는 모멘트, α= L3 × SF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도 9의 4사분면(4/4)에서의 인장스프링의 탄성력(Spring Force)과 도 11에 표시되어 있는 L3를 곱(×)하면 된다.
도 12는 회동링크부재(120)의 회전(θ2)에 따른 인장스프링의 모멘트(α)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스프링의 모멘트(α)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주회동링크의 모멘트(M1)과 동일하다.
따라서 식 (1.6) M1 = M2 + (SF × L3)에 따라 도 8의 그래프에 도시되어 있는 M2에 도 12에서 얻어진 α값(SF × L3)을 합하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M2 = M1인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암 스탠드는 F1 = F2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인장스프링(170)을 수평브래킷(150)의 4사분면에 위치하는 하부고정축(e)에 설치하여, 상기 회동링크부재(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인장스프링(170)의 모멘트(α)가 보조 링크부재의 모멘트(M2)에 합하여져 회동링크부재(120)의 전 회전구간에서 프리스톱(free stop)이 일어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암 스탠드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인장스프링(170)이 수평브래킷(150)의 중심회전축(e)과 제2상부고정축(d)을 넘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암 스탠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이고, 도 15는 상기 암 스탠드의 보조회동링크와 인장스프링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암 스탠드(100)는 고정브래킷(110), 회동링크부재(120), 수평브래킷(15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회동링크부재(120)은 인장스프링(170)과 2개의 보조회동링크(190)(190-1)로 구성된다.
고정브래킷(110)는 소정 길이와 폭을 갖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에는 베이스(101)가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101)는 수직벽이나 경사 벽 등과 같은 벽면에 체결될 수 있다.
고정브래킷(110)의 타단 중심에는 주회동링크(13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핀(131)이 고정되는 회전핀홀(111)이 형성된다. 고정핀(131)과 회전핀홀(111)은 서로 결합하여 회전축(a)을 형성하게 된다.
또, 고정브래킷(110)의 타단에는 인장스프링(17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제1삽입홈(113)은 인장스프링(170)이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상하로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제1삽입홈(113)에 의해서 형성된 양측 수직벽의 외면에는 보조회동링크(190)(190-1)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안착하는 소정 깊이의 제1안착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안착부(114)에는 인장스프링(170)과 보조회동링크(190)(190-1)를 동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핀(191)이 고정되는 제1 상부 고정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상부 고정홀(112)은 회전핀홀(111)의 우측 상부에 위치한다. 고정핀(191)과 제1 상부 고정홀(112)은 결합하여 제1상부고정축(c)을 형성한다.
이어서, 주회동링크(130)는 그 내부에 인장스프링(170)과 두 개의 보조회동링크(190)(190-1)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도록 ∩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주회동링크(130)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주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회동링크(130)는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두 개의 수직 판(13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두 개의 수직판(133)의 양단에는 고정핀(131)(134)이 관통하는 관통홀(135)(13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관통홀(135)에는 회전 방지용 클립 판(139)을 설치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두 개의 수직 판(133)의 상단에 형성된 수평 판(137)의 양단에는 주회동링크(130)와 수평브래킷(150)의 회동을 일정 구간 방해하지 않도록 개방부(138)가 각각 형성된다.
이어, 인장스프링(170)은 소정 길이의 코일 스프링(171)이다. 코일 스프링(171)의 양단에는 소정 길이의 연결봉(175)(175-1)이 각각 결합한다. 연결봉(175)(175-1)에는 코일 스프링(171)과 나사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봉(175-1)의 외 측에는 고정핀(191)을 관통하여 고정하기 위한 관통홀(172)이 형성되고, 반대쪽 연결봉(175)에는 하부 고정핀(174)을 관통시켜 고정하기 위한 관통홀(17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부핀(174)과 관통홀(173) 그리고 하부핀홀(155)은 서로 결합하여 하부 회전축(e)을 형성한다.
한편, 인장스프링(170)은 양단에 연결봉(175)(175-1)을 연결하는 대신에 원 형, 반원형 또는 U자의 고리(후크)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봉(175)에는 인장스프링(17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스페이스바(177)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 스페이스바(177)를 회전시키면 인장스프링(170)의 길이를 조절하여 그 탄성력을 바꿀 수 있다. 즉, 수평브래킷(15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102)의 무게에 따라 스페이스바(177)를 이용하여 인장스프링(170)의 탄성력을 조절한다.
그리고 보조회동링크(190)(190-1)는 양단에 관통홀(192,192-1)(193,193-1)이 형성된 두 개의 금속 막대이다. 보조회동링크(190)(190-1)는 인장스프링(170)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보조회동링크(190)(190-1)의 일단은 관통홀(192,192-1)을 관통하는 고정핀(191)을 통해서 고정브래킷(110)의 고정홀(112)에 고정된다. 그리고 보조회동링크(190)(190-1)의 타단은 관통홀(193,193-1)을 관통하는 상부핀(194, 194-1)을 통해서 수평브래킷(150)의 상부홀(151)(151-1)에 고정된다.
즉, 고정핀(191)과 고정홀(112)은 제1상부고정축(c)을 형성하고, 상부핀(194)(194-1)와 관통홀(193)(193-1) 그리고 상부홀(152)(152-1)은 서로 결합하여 제2상부고정축(d)을 형성한다.
이어, 수평브래킷(150)는 타단이 상부로 구부러진 금속 또는 플라스틱 플레이프로 이루어지고, 일단에는 인장스프링(17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153)이 형성되어 있다. 제2삽입홈(153)은 인장스프링(170)이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상하로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삽입홈(153)에 의해 형성된 양측 수직벽의 외측면에는 보조회동링크(190)(190-1)의 타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안착하는 제2안착 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삽입홈(153)의 양측 수직벽에는 주회동링크(130)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중심고정핀홀(151)(151-1)과, 인장스프링(170)을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하부홀(155)(155-1)과, 보조회동링크(190)(190-1)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상부홀(152)(15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심고정핀홀(151)(151-1)에는 주회동링크(130)의 관통홀(136)을 관통하는 고정핀(134)(134-1)이 고정되어 수평브래킷(150)이 회전하는 중심회전축(b)을 형성한다. 또, 하부홀(155)(155-1)에는 인장스프링(170)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홀(173)을 관통하는 하부핀(174)이 고정된다. 이때, 하부핀(174)은 제2삽입홈(153)을 가로질러서 설치되어 인장스프링(130)이 회전하는 하부고정축(e)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수평브래킷(150)의 타단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2)를 좌우로 회전시키거나 시야각을 상하로 변환하기 위한 회전및틸팅부재(160)가 더 구비된다. 이를 위해 수평브래킷(150)의 타단의 절곡부 중앙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2)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평회전부재(161)가 삽입되는 원뿔형의 결합홈(158)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회전부재(161)의 상단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2)를 상하로 회동시키기 위한 틸팅부재(160)가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예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2)는 화상을 형성하는 LCD나 PDP과 같은 판형 디스플레이패널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2)는 이러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음극선관(CRT)이나 기타 다른 종류의 화상 형성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면에 베이스(101)는 수직면에 고정된 금속판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경사면이나 수평면에 고정되는 다른 종류의 판도 포함된다.
이어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암 스탠드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17은 도 16의 C-C선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암 스탠드(100)는, 고정브래킷(110)이 소정 높이를 갖는 좌우회전부재(230)에 설치될 수 있다. 좌우회전부재(230)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암 스탠드와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소정의 수평베이스(203)에 고정되는 제2 고정브래킷(210), 제2 고정브래킷(210)의 상단에서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동링크부재(270) 및 제2 회동링크부재(270)의 상단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수평브래킷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수평브래킷은 고정브래킷(110)에 해당하는 것이다. 즉, 고정브래킷(110)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면서, 제1 회동링크부재(1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해 준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는, 인장스프링이 수평브래킷의 하부고정축에 고정된 상태에서 소정의 탄성력을 회전링크부재에 가하기 때문에 수평브래킷이 이동하는 전 구간에서 프리스톱(free stop)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인장스프링은 주 회전링크가 고정되어 있는 중심회전축을 넘어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회전링크부재를 90°이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주회동링크와 보조회동링크로 구성된 암 스탠드의 기구학적 해석을 위한 개략도,
도 6은 주회동링크와 보조회동링크 그리고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 암 스탠드의 기구학적 해석을 위한 개략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암 스탠드의 회전궤적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주회동링크와 보조회동링크로 구성된 암 스탠드의 모멘트(M1, M2)의 변화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의 변화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0은 인장스프링의 고정위치(e)를 정하기 위한 4사분면을 보여주는 그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링크부재의 회전에 따른 L3의 변화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링크부재의 회전에 따른 인장스프링의 모멘트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주회동링크의 모멘트(M1)와 보조회동링크의 모멘트(M2)가 일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암 스탠드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암 스탠드의 보조회동링크와 인장스프링의 결합 구주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암 스탠드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C-C선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암 스탠드 101 : 베이스
102 : 디스플레이장치 110 : 고정브래킷
111 : 회전핀홀 113 : 제1삽입홈
114 : 제1안착부 120 : 회동링크부재
130 : 주회동링크 150 : 수평브래킷
153 : 제2삽입홈 154 : 제2안착부
170 : 인장스프링 175 : 연결봉
177 : 스페이스바 190 : 보조회동링크
a : 회전축 b : 중심회전축
c : 제1상부고정축 d : 제2상부고정축
e : 하부고정축 P : 사점(dead point)

Claims (12)

  1. 삭제
  2.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 디스플레이장치가 고정되는 수평브래킷과 및 상기 고정브래킷과 수평브래킷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링크부재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회동링크부재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회전축과 수평브래킷의 중심회전축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회동링크와; 상기 고정브래킷의 회전축의 상부에 형성된 제1상부고정축과 상기 수평브래킷의 중심회전축의 상부에 형성된 제2상부고정축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회동링크; 및 상기 고정브래킷의 회전축의 상부에 형성된 제1상부고정축과 상기 수평브래킷의 중심회전축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고정축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장스프링은 상기 주회동링크와 보조회동링크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의 제1상부고정축은 상기 고정브래킷에 형성된 회전축의 우측 상부로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수평브래킷의 제2상부고정축은 상기 수평브래킷에 형성된 중심회전축의 우측 상부로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며;
    상기 수평브래킷의 하부고정축은 상기 수평브래킷에 형성된 중심회전축의 우측 하부로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브래킷의 하부고정축은 상기 수평브래킷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4사분면 중 4사분면(4/4) 내의 어느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암 스탠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브래킷의 제1상부고정축과 하부고정축은 상기 수평브래킷의 중심회전축을 꼭지 점으로 하는 삼각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회동링크는 상기 인장스프링과 보조회동링크를 길이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고, 양단에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회전축과 수평브래킷의 중심회전축을 형성하는 원형의 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
  7. 제 2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회동링크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막대로서, 양단에 상기 고정브래킷의 제1상부고정축과 수평브래킷의 제2상부고정축을 형성하는 원형의 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스프링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양단에는 코일스프링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연결봉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봉의 선단에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제1상부고정축과 상기 수평브래킷의 하부고정축을 형성하는 고정 핀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수평브래킷을 향하는 쪽에 상기 인장스프링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을 벗어난 플레이트의 중심에는 상기 주회동링크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고정핀을 고정하는 회전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에 의해 형성되는 양측 수직벽의 외측면에는 상기 보조회동링크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안착하는 제1안착부가 일정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양측 수직벽에는 상기 인장스프링과 보조회동링크를 동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고정핀이 고정되는 제1상부고정핀홀이 상기 회전핀홀의 우측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
  10. 제 2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브래킷은 상기 고정브래킷을 향하는 쪽에 상기 인장스프링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홈에 의해 형성된 양측 수직벽의 외측면에는 상기 보조회동링크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안착하는 제2안착부가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홈에 의해 형성된 양측 수직벽의 중심에는 상기 주회동링크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고정핀을 고정하는 중심고정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고정핀홀의 우측 상부에는 상기 보조회동링크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핀이 고정되는 제2상부고정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고정핀홀의 우측 하부에는 상기 인장스프링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핀이 고정되는 하부 고정 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브래킷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좌우로 회전시키거나 상하로 회동시켜 시야각을 바꾸기 위한 회전및틸팅부재가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에는 상기 베이스 대신에 좌우회전부재가 더 설치되되, 상기 좌우회전부재는 수평베이스에 고정되는 제2 고정브래킷, 상기 제2 고정브래킷의 상단에서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동링크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회동링크부재는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기 제2 고정브래킷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회동링크와 보조회동링크 그리고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
KR1020080075045A 2008-01-07 2008-07-31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 KR100922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4717 WO2009088139A1 (en) 2008-01-07 2008-08-13 Arm stand for display unit
JP2010541384A JP5049393B2 (ja) 2008-01-07 2008-08-13 ディスプレイ装置用アームスタンド
CN2008801242265A CN101953156B (zh) 2008-01-07 2008-08-13 显示装置用支架
US12/803,846 US8328151B2 (en) 2008-01-07 2010-07-07 Arm stand for display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1930 2008-01-07
KR1020080001930 2008-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759A KR20090076759A (ko) 2009-07-13
KR100922872B1 true KR100922872B1 (ko) 2009-10-20

Family

ID=4133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045A KR100922872B1 (ko) 2008-01-07 2008-07-31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28151B2 (ko)
JP (1) JP5049393B2 (ko)
KR (1) KR100922872B1 (ko)
CN (1) CN101953156B (ko)
WO (1) WO20090881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2084B (zh) * 2009-07-21 2013-05-15 黄劲涛 一种带有显示屏的护理床
JP5918232B2 (ja) * 2010-07-08 2016-05-18 サウスコ,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JP5376065B2 (ja) * 2010-09-13 2013-1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ポートアーム
US9228696B2 (en) * 2011-03-18 2016-01-05 GCX Corporation Variable height arm structures, systems, and methods
WO2013042162A1 (ja) * 2011-09-20 2013-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モニタ保持機構
TWI448158B (zh) * 2011-10-03 2014-08-01 Quanta Comp Inc 顯示器模組
TWM426959U (en) * 2011-12-22 2012-04-11 Ming-Hua Huang Improved structure of supporting arm
TWI486060B (zh) * 2012-07-25 2015-05-21 Jarllytec Co Ltd Support structure (b)
US20140203156A1 (en) * 2013-01-22 2014-07-24 Wild West Investments, LL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stand for supporting an electronic device
US9243743B2 (en) * 2013-03-01 2016-01-26 Icwusa.Com, Inc. Support arm
KR101525167B1 (ko) * 2015-01-26 2015-06-02 주식회사 제이아이테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WO2017155987A1 (en) 2016-03-07 2017-09-14 Southco, Inc. A display support arm assembly for mounting a display
US10996710B2 (en) * 2016-04-14 2021-05-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US10999944B2 (en) 2016-04-26 2021-05-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ructural device cover
CN107152597A (zh) * 2016-08-11 2017-09-12 李宇 一种新型伸缩弹簧支撑架
WO2018080858A1 (en) 2016-10-26 2018-05-03 Southco, Inc. Compression latch with key holding
KR101832935B1 (ko) * 2017-03-02 2018-02-28 황원선 카메라 거치대
US11118729B2 (en) 2017-06-09 2021-09-14 Teknion Limited Adjustable counterbalancing display support
US10627854B2 (en) 2018-04-13 2020-04-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 multipositional display
US11538442B2 (en) 2018-04-13 2022-12-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of displaying virtual elements on a multipositional display
US10890288B2 (en) * 2018-04-13 2021-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 multipositional display
CN111886558A (zh) 2018-04-30 2020-11-03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成角度弹簧的装置
KR101984638B1 (ko) * 2018-06-05 2019-05-31 황원선 카메라 거치대
CA3128340A1 (en) * 2019-01-31 2020-08-06 American Sterilizer Company Modular adapters for medical device support system
TWM589419U (zh) * 2019-03-12 2020-01-11 信錦企業股份有限公司 承載座
US11415201B2 (en) 2019-05-31 2022-08-16 Apple Inc. Display lift arm
US11493953B2 (en) 2019-07-01 2022-11-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osition display with an unfixed center of rotation
KR102268477B1 (ko) * 2019-09-27 2021-06-23 주식회사 아임유 모니터용 듀얼 힌지 어셈블리
CN117337367A (zh) 2021-05-12 2024-01-02 科尔布鲁克博松及桑德斯(产品)有限公司 用于高负载显示器支撑系统的倾斜头部
KR20230099208A (ko) * 2021-12-27 202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4636079A (zh) * 2022-03-18 2022-06-17 东莞市擎易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可平顺调节的显示屏支架
US20240091911A1 (en) * 2022-09-15 2024-03-21 Oxti Pte Ltd Hidden tool for electronic device holder
US11910939B1 (en) * 2022-12-20 2024-02-27 Judd Rummage Wall mounted storage rack to store and display static and remote control scale vehic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641A (ko) * 2005-08-04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KR20070082792A (ko) * 2006-02-17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20070097737A (ko) * 2006-03-29 2007-10-05 주식회사 메디슨 초음파 진단 장치의 모니터 지지 조립체
KR20080076143A (ko) * 2007-02-15 2008-08-20 주식회사 에이앤비 모니터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9606B2 (en) * 1999-06-07 2003-09-16 Innovative Office Products, Inc. Arm apparatus for mounting electronic devices with cable management system
EP1237444B1 (en) * 1999-11-18 2007-01-03 Claiteal Pty. Ltd. Support arm for visual display unit
TW537479U (en) * 2002-08-01 2003-06-11 Bo-Sen Chiou Rod connecting type ascending and descending device
US7252277B2 (en) * 2003-01-17 2007-08-07 Ergotron, Inc. Support arm
KR100753607B1 (ko) * 2003-10-27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TWM256459U (en) * 2004-04-19 2005-02-01 Chin-Ruei Hung Support arm for suspension type display
KR100662367B1 (ko) * 2004-05-06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용 스탠드 어셈블리
CN101684882B (zh) * 2008-09-25 2012-07-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升降机构
US20120132771A1 (en) * 2010-11-26 2012-05-31 Wang Charlie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641A (ko) * 2005-08-04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KR20070082792A (ko) * 2006-02-17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20070097737A (ko) * 2006-03-29 2007-10-05 주식회사 메디슨 초음파 진단 장치의 모니터 지지 조립체
KR20080076143A (ko) * 2007-02-15 2008-08-20 주식회사 에이앤비 모니터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28151B2 (en) 2012-12-11
CN101953156B (zh) 2013-04-24
JP5049393B2 (ja) 2012-10-17
JP2011526742A (ja) 2011-10-13
CN101953156A (zh) 2011-01-19
US20110006175A1 (en) 2011-01-13
WO2009088139A1 (en) 2009-07-16
KR20090076759A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872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
CN101713487B (zh) 升降机构
CA2674471C (en) Device mount with selectively positionable tilt axis
US7857270B2 (en) Tilting mechanism
US6554238B1 (en) Support arm for visual display unit
EP1795949A1 (en) Grade control apparatus for display set used in tapestry
KR20210124490A (ko)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의 조절기구 및 스플라이싱 디스플레이 장치
US8950725B2 (en) Frame stand for a display panel
KR20110080923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CN101093732A (zh) 显示器转动装置及将该显示器转动装置连接至显示器的方法
GB2443267A (en) An adjustable visual display unit mount
JP2023531111A (ja) 高さ調節が自在なモニタスタンド
CN2768156Y (zh) 壁挂式显示装置的角度调节装置一
KR102158818B1 (ko) 슬림형 월 마운트
KR100396595B1 (ko) 평판표시패널용 천장형 고정장치
KR20220063665A (ko) 무타공 벽체 고정장치
US20120033362A1 (en) Flat-panel display monitor
CN108006378A (zh) 一种通用显示器支撑装置
KR100672329B1 (ko) 영상 표시 장치의 벽걸이 어셈블리
KR200447597Y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
JP4907704B2 (ja) スタンド
CN210860555U (zh) 一种可调整的壁挂固定架装置
KR1008385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회전용 스탠드
JP2024022053A (ja) 板状部材用スタンド
KR101353559B1 (ko) 평판표시장치의 거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