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208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208A
KR20230099208A KR1020210188380A KR20210188380A KR20230099208A KR 20230099208 A KR20230099208 A KR 20230099208A KR 1020210188380 A KR1020210188380 A KR 1020210188380A KR 20210188380 A KR20210188380 A KR 20210188380A KR 20230099208 A KR20230099208 A KR 20230099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isplay module
display
link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헌
김동욱
김지수
조철용
최규상
서순석
성보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8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208A/ko
Priority to PCT/KR2022/017223 priority patent/WO2023128225A1/ko
Publication of KR20230099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락킹(Locking)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이 피봇(pivot) 회전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위치 및 제1 위치보다 낮은 높이의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암(arm), 및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락킹부로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모듈의 피봇 회전을 락킹하도록 마련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지지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 또는 저장된 영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으로 모니터나 텔레비전이 이에 포함되며, 가정이나 사업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과 같은 수광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내지 측면을 지지하는 탑 섀시(chassis),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지지하는 바텀 섀시 및 바텀 섀시의 후방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장치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이 시청자와 마주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 장치는 지지 암(arm)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 모듈이 지지 암에 대해 피봇(pivot)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면, 디스플레이 모듈이 바닥면으로부터 충분히 높은 위치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 피봇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모듈이 바닥면에 충돌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이 지지 장치에 대해 피봇(pivot) 회전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특정 높이 이상에서만 피봇 회전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락킹(Locking)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피봇(pivot)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위치 및 상기 제1 위치보다 낮은 높이의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암(arm),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락킹부로 삽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피봇 회전을 락킹하도록 마련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지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의 리어 커버 및 상기 리어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 장치에 대해 피봇 회전 가능한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부는 상기 리어 커버와 마주하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전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락킹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락킹부재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락킹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락킹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암은 상기 지지 암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락킹부의 반대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락킹부재를 가이드하고,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벗어나는 동안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락킹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락킹부재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락킹부재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의 하방에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락킹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락킹부재의 후방을 향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락킹부에 삽입 가능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로부터 상기 지지 암을 향하여 연장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지지 암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물에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 및 상기 지지 암의 상기 지지 브라켓의 반대 측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지지 링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지지 링크에 결합되는 결합면에 형성되고 상기 락킹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 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링크는 상기 지지 홈에 삽입되어 상기 락킹부재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암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링크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링크 프레임은 상기 지지 링크가 상기 지지 브라켓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링크와 상기 지지 브라켓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락킹되는 피봇 회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봇 회전이고,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지지 링크를 연결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틸트(tilt)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링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트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암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상기 지지 암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것을 보강하기 위한 피스톤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위치 및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높이의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피봇(pivot)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언락킹(un-locking)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피봇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락킹할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후방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락킹부재가 벗어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락킹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락킹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장치는 지지물에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암(arm) 및 상기 지지 암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측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암은 상기 지지 링크가 상기 지지 브라켓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링크와 상기 지지 브라켓을 연결하며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링크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락킹되는 피봇 회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봇 회전이고,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지지 링크를 연결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후 방향으로 틸트(tilt)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링크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트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위치 및 상기 제1 위치보다 낮은 높이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암(arm)을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에 마련되는 락킹(Locking)홈과 상기 지지 장치에 마련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락킹홈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지지 암에 대해 피봇(pivot)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지지 암에 대해 피봇 회전할 수 없도록 하는 락킹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 장치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피봇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락킹 모듈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이 특정 위치에 있을 때는 피봇 회전이 가능하지 않도록 하여 피봇 회전 시 디스플레이 모듈이 바닥면 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지지 장치 및 스탠드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지지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지지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복수의 링크 프레임이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리어 커버와 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플레이트 및 지지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리어 커버에서 고정 플레이트와 베어링을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지지 플레이트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지지 링크에서 락킹부재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락킹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락킹부재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후 방향으로 틸트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봇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넥터 박스를 스탠드에 결합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월마운트 브라켓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1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에서는 곡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일례로 설명하나,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이나, 곡면 상태와 평판 상태가 가변 가능한 가변형(bendable 또는 Flexible) 디스플레이 모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화면 크기에 상관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1)에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그 일례로, 스마트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이 테이블, 벽, 천정 등에 설치 될 수 있는 제품이나 태블릿(Tablet), 노트북, 스마트 폰, 이북(ebook) 등과 같은 포터블(portable) 제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전방', 전면'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화상을 표시하는 측인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을 기준으로 한다. 이를 기준으로 '상측', '하측'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위측과 아래측을 나타내며 '양측, '측방'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피봇(pivot) 회전'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지지 장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을 의미하며, 회전 방향을 제한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피봇 회전은 디스플레이 모둘(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R1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회전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지지 장치 및 스탠드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이를 지지하는 지지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을 포함하여 전면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거나,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종류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이 있지는 않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11)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각종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면 내지 측면을 지지하는 탑 섀시(110),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을 지지하는 바텀 섀시(120) 및 바텀 섀시(120)의 후방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을 지지하는 리어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이 LCD 패널과 같은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케이스(100) 내측에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 Back Light Unit, BLU)이 마련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을 향하여 빛을 방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단색광 또는 백색광을 방출하는 점 광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점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균일한 면광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광을 굴절, 반사 및 산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고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도광판(미도시), 도광판의 후면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미도시) 및 도광판의 전면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굴절 및 산란시키는 광학 시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백라이트 유닛이 마련되는 경우, 바텀 섀시(120)는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100)는 탑 섀시(110)와 바텀 섀시(120)의 사이에 배치되는 미들 몰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미들 몰드는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100)는 탑 섀시(110)와 별도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면을 지지하는 프론트 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탑 섀시(110)에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면을 커버하는 베젤(bezel) 부분이 없는 베젤리스(bezel-less)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론트 프레임(140)이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과 인쇄회로기판(미도시)를 연결하는 드라이버(미도시)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프론트 프레임(140)은 탑 섀시(110)의 일 구성으로 볼 수도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은 OLED 패널과 같이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에는 백라이트 유닛이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케이스(100)는 미들 몰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탑 섀시(110)와 바텀 섀시(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케이스(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베젤부(미도시)를 포함하는 탑 섀시(110)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케이스(100)는 프론트 프레임(14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가로 변의 길이와 세로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장변(長邊)과, 단변(短邊)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다양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장변과 단변의 비율은 16:9, 4:3과 같은 일반적인 경우와 달리, 임의의 비율로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에 결합된 지지 장치(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지지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피봇(pivot) 회전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케이스(100)의 후방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장치(200)는 리어 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커버(130)는 지지 장치(20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지지 결합구(131)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커버(130)의 지지 결합구(131)는 지지 장치(200)의 일단이 관통하며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지지 장치(200)에 대해 R1축을 중심으로 피봇 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에 따라, 리어 커버(130) 상의 지지 결합구(131)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지지 장치(200)의 지지 플레이트(250) 또한 지지 결합구(131)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결합구(131)와 지지 플레이트(250)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결합됨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250)의 후면은 사용자가 후방에서 보았을 때 리어 커버(130)의 후면과 함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을 이루는 듯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지지 플레이트(250)와 리어 커버(130)는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를 바라보는 사용자에게 지지 플레이트(250)의 후면과 리어 커버(130)의 후면이 일체화된 느낌을 제공하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 장치(200)는 지지물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물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지지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양한 물체를 지칭한다. 지지물은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지지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300) 내지 스탠드 플레이트(320)에 결합되어 바닥면에 놓이는 스탠드 바디(310)일 수도 있고,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wall)에 결합되는 스탠드 바디(310)일 수도 있다. 또는, 지지물은 벽 자체를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장치(200)는 스탠드(300)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탠드(300)는 스탠드 바디(310) 및 스탠드 플레이트(320)를 포함하며, 스탠드 플레이트(320)가 바닥면에 놓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바닥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스탠드 바디(310)는 스탠드 플레이트(320)의 후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 바디(310)의 전방에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 지지 장치(200) 및 스탠드 바디(310)의 무게중심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을 향하더라도, 스탠드 플레이트(32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가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스탠드 바디(310)는 스탠드 플레이트(3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 바디(310) 및 스탠드 플레이트(3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탠드 바디(310)의 하단에 스크류 체결홀(317, 도 23 참조)이 마련되고, 스탠드 플레이트(320)에 이에 대응하는 스크류 체결홀(미도시)이 마련되어 스탠드 바디(310) 및 스탠드 플레이트(320)는 스크류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스탠드 바디(310) 및 스탠드 플레이트(320)는 후크(미도시) 및 후크가 걸리는 홈(미도시)를 포함하여 상호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스탠드 바디(310) 및 스탠드 플레이트(320)는 마그넷(미도시)를 포함하여 마그넷의 자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스탠드 바디(310) 및 스탠드 플레이트(320)는 반드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달리, 지지 장치(200)는 벽(wall)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장치(200)는 스탠드 플레이트(320)로부터 분리된 스탠드 바디(310)에 결합되며, 스탠드 바디(310)는 벽에 고정된 월마운트 브라켓(4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지지 장치(200)는 스탠드 바디(310) 없이 벽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지지 장치(200)를 벽에 결합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탠드 바디(3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스탠드 바디(310)는, 전면 및 후면이 평평한 판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 바디(310)의 전면에는 지지 장치(20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스탠드 바디(31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벽에 결합되는 경우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스탠드 바디(31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원통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 바디(3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향하는 전방에 지지 장치(200)가 결합되는 스탠드 체결부(311)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장치(200)는 스탠드 바디(310) 등 지지물에 고정되는 측 일단에 마련되는 지지 브라켓(2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 브라켓(230)은 스탠드 체결부(311)에 체결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230)은 스탠드 체결부(311)에 스크류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장치(200)는 스탠드 바디(3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종국적으로 스탠드(300) 또는 벽과 같은 지지물에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 바디(310)는 지지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지지 수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수용부(312)는 스탠드 바디(310)의 전면으로부터 스탠드 바디(310)의 후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지지 수용부(312)는 일 측이 개방된 개구(312a)가 있는 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 체결부(311)는 지지 수용부(31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 장치(200)와 결합하는 전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브라켓(230)은 적어도 일부가 지지 수용부(312)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스탠드 체결부(31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스탠드 바디(310)는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 장치(20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스탠드 체결부(311)는 스탠드 바디(310)에서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230)은 지지 수용부(312)의 하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스탠드 체결부(311)는 지지 수용부(312)의 하단부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지지 암(arm)(200)은 스탠드 바디(310)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지지 수용부(312)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암(210)이 회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후술하는 제1 위치에 있을 때 지지 암이 지지 수용부(312)에 수용되는 비율이 최대가 될 수 있다.
지지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탠드 바디(310) 등 지지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암(2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지지 암(210)에 의해 제1 위치(도 5, 도 8 등 참조) 및 제1 위치보다 낮은 높이의 제2 위치(도 4, 도 6 등 참조)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예시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제1 위치 내지 제2 위치는 도 4,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최고 높이, 최저 높이에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정의한 제1 위치는 지지 암(210)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놓일 수 있는 임의의 위치로서, 제1 위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피봇 회전하여도 바닥면과 충돌하지 않을 수 있는 높이의 위치를 지칭한다. 또한 제2 위치는 지지 암(210)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놓일 수 있고 제1 위치보다 낮은 임의의 위치로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피봇 회전할 경우 바닥면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높이 이상, 제1 위치의 높이 미만의 높이를 갖는 임의의 위치를 지칭한다.
이와 달리, 제1 위치와 제2 위치는 반드시 제1 위치가 제2 위치에 비해 높은 위치를 가지는 경우로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실내의 바닥보다 천장에 가깝게 형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높은 위치에서 피봇 회전할 때 천장에 충돌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위치가 제2 위치보다 낮은 위치라고 정의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피봇 회전의 락킹(locking)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보다 높은 위치인 제2 위치에 있을 때 더 필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좌우로 나란한 위치일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정의에 따를 때, 제1 위치 내지 제2 위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크기, 스탠드(300) 내지 스탠드 체결부(311)의 높이, 지지 암(210)의 길이 내지 회전 각도 등에 따라 다양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제1 위치가 제2 위치에 비해 바닥면을 기준으로 높은 경우를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지지 암(210)은 일단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암(210)은 후술하는 지지 링크(220)에 결합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케이스(100)의 후방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 암(210)은 지지 링크(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 플레이트(250)에 결합되는 틸트(tilt) 링크(240)에 의해 디스플레이 케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암(210)은 지지 링크(220)를 관통하는 제1 지지 암 샤프트(211c, 도 6 참조)를 포함하여 지지 링크(2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암(21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지지 링크(2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지지물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지지 링크(220)가 지지 암(210)을 관통하는 샤프트(미도시)를 포함하여 지지 링크(220)가 지지 암(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지지 암(210) 및 지지 링크(220)의 구체적인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지지 암(210)의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반대되는 측의 타단은 스탠드 바디(310) 등 지지물에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암(210)은 지지 브라켓(230)을 관통하는 제2 지지 암 샤프트(211d, 도 6 참조)를 포함하여 지지 브라켓(2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지지 암(210)은 제2 지지 암 샤프트(211d)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지지 브라켓(230)이 지지 암(210)을 관통하는 샤프트(미도시)를 포함하여 지지 암(210)이 지지 브라켓(230)의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지지 암(210)은 지지 브라켓(230)에 의해 스탠드 바디(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종국적으로 스탠드(300) 또는 벽과 같은 지지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 암(210)은 제2 지지 암 샤프트(211d)를 회전축으로 지지 브라켓(230)에 대해 회전하는 회전 바디(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암 샤프트(211d)는 회전 바디(2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지지 암 샤프트(211)는 회전 바디(211)와 함께 지지 브라켓(2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지지 암 샤프트(211d)는 회전 바디(211)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브라켓(230)에 대해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회전 바디(211)의 제2 지지 암 샤프트(211d) 측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는 제1 지지 암 샤프트(211c)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링크(220)는 제1 지지 암 샤프트(211c)를 회전 축으로 회전 바디(21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1 지지 암 샤프트(211c)는 회전 바디(2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 바디(211)와 함께 지지 링크(2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지지 암 샤프트(211c)는 회전 바디(211)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 링크(220)에 대해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회전 바디(211)는 지지 링크(220)에 결합되는 링크 결합부(21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제1 지지 암 샤프트(211c)는 링크 결합부(211a)에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바디(211)는 지지 브라켓(230)에 결합되는 브라켓 결합부(21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제2 지지 암 샤프트(211d)는 브라켓 결합부(211b)에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바디(211)는 후술하는 링크 프레임(213, 214), 피스톤 실린더(216) 등 지지 암(210)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내측에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회전 바디(211)는 지지 암(210)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외측에서 커버하며, 지지 암(210)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 암(210)은 지지 암(210)의 적어도 일면을 커버하는 지지 암 커버(2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지지 암 커버(212)는 지지 암(210)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 암 커버(212)는 회전 바디(211)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암 커버(212)는 회전 바디(211)의 내측에 배치되어 지지 암(210)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고, 외관 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 암(210)을 비롯한 지지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커넥터 박스(5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박스(500)는 외부 전원(미도시)이나 각종 외부 장치들(미도시)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 받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커넥터 박스(500)는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송수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커넥터 박스(500)는 스탠드 바디(310), 지지 장치(20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으로 연장되는 커넥터(500a)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 박스(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로 전력을 공급 받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커넥터 박스(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300)가 놓인 바닥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 바디(310)에 부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지지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지지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에서는 지지 암 커버(212)를 지지 암(210)에서 분리한 모습을 도시하여 지지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지 장치(200)는 지지 암(210), 지지 링크(220), 지지 브라켓(230), 틸트 링크(240) 및 지지 플레이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브라켓(230)은 지지 장치(200)가 스탠드 바디(310) 등 지지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브라켓(230)은 스탠드 바디(310)의 스탠드 체결부(311)에 결합하여, 종국적으로 스탠드(300) 또는 벽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230)은 스탠드 체결부(311)에 대응하는 고정부(232)를 포함하여, 스탠드 바디(31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지지 브라켓(230)은 스탠드 바디(310)가 아니라 직접 벽이나 다른 지지 구조(미도시)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지지 브라켓(230)은 고정부(232)가 마련되어 벽이나 다른 지지 구조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브라켓(23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암(21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암(210)의 회전 바디(211)는 브라켓 결합부(211b)를 포함하여 지지 브라켓(2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지지 암 샤프트(211d, 도 6 참조)를 포함하여 지지 브라켓(23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바디(210)뿐만 아니라, 지지 암(210)의 링크 프레임(213, 214), 피스톤 실린더(216) 등 또한 지지 브라켓(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링크 프레임(213)은 지지 브라켓(230) 측 제1 링크 샤프트(213b, 도 6 참조)에 의해 지지 브라켓(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링크 프레임(214)은 지지 브라켓(230) 측 제2 링크 샤프트(214b, 도 6 참조)에 의해 지지 브라켓(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 암 샤프트(211d), 제1 링크 샤프트(213b) 및 제2 링크 샤프트(214b)는 지지 브라켓(230)에서 서로 구별되는 회전축을 제공함에 따라, 지지 링크(220)는 지지 브라켓(230)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지지 브라켓(230)은 피스톤 실린더(21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실린더 결합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린더 결합부(231)는 스탠드 바디(310)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가지며, 지지 브라켓(230) 측 실린더 샤프트(216b)에 의해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 실린터(216)는 제2 실린더 결합부(231)에 결합되며, 지지 브라켓(230) 측 실린터 샤프트(216b)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지지 브라켓(2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링크(220)는 지지 암(210)의 지지 브라켓(230) 측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링크(220)는 회전 바디(211)의 링크 결합부(211a)에 결합될 수 있으며, 링크 결합부(211a)에 마련된 제1 지지 암 샤프트(211c, 도 6 참조)에 의해 지지 암(2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지지 링크(220)는 복수의 링크 프레임(213, 214)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 프레임(213, 214)은 지지 링크(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링크 프레임(213)은 지지 링크(220) 측 제1 링크 샤프트(213a, 도 6 참조)에 의해 지지 링크(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링크 프레임(214)은 지지 링크(220) 측 제2 링크 샤프트(214a, 도 6 참조)에 의해 지지 링크(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 암 샤프트(211c), 제1 링크 샤프트(213a) 및 제2 링크 샤프트(214a)는 지지 링크(220)에서 서로 구별되는 회전축을 제공함에 따라, 지지 링크(220)는 지지 브라켓(230)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지지 링크(220)는 피스톤 실린더(21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제1 실린더 결합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린더 결합부(221)는 지지 링크(220) 측 실린더 샤프트(216a)에 의해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 실린터(216)는 제1 실린더 결합부(221)에 결합되며, 지지 링크(220) 측 실린터 샤프트(216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지지 링크(2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링크(220)는 틸트 샤프트(222)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틸트 링크(240)는 틸트 샤프트(222)를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 링크(22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링크(220)는 틸트 링크(240)의 후방에 배치되며, 틸트 링크(2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틸트 샤프트(222)는 지지 링크(2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지지 링크(220)를 관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틸트 링크(240)는 지지 링크(220)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 암(210)은 지지 브라켓(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스탠드 바디(310) 등 지지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암(2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제1 위치 및 제1 위치보다 낮은 높이의 제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 암(210)은 회전 바디(211), 복수의 링크 프레임(213, 214) 및 피스톤 실린더(216)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바디(211)는 복수의 링크 프레임(213, 214) 및 피스톤 실린더(216)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링크 프레임(213, 214) 및 피스톤 실린더(216)는 회전 바디(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바디(211), 복수의 링크 프레임(213, 214) 및 피스톤 실린더(216)는 서로 다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특히, 회전 바디(211), 복수의 링크 프레임(213, 214) 및 피스톤 실린더(216)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피스톤 실린더(216)는 지지 암(2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 암(210)의 양단에 배치되는 지지 링크(220) 및 지지 브라켓(23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피스톤 실린더(216)는 지지 링크(220) 및 지지 브라켓(230)을 연결시킬 수 있다.
피스톤 실린더(216)는 내부에 가스(gas)가 밀폐된 채 충전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있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내부를 왕복 운동할 수 있는 피스톤(216c)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216c)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린더 결합부(231)에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실린더 결합부(221) 또는 제2 실린더 결합부(231)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 실린더(216)는 제1 실린더 결합부(221)에 결합되어 지지 링크(220)에 결합될 수 있다. 피스톤 실린더(216)는 지지 링크(220) 측 실린더 샤프트(216a)를 회전축으로 하여 지지 링크(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링크(220) 측 실린더 샤프트(216a)는 제1 실린더 결합부(221)의 상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피스톤 실린더(216)의 지지 링크(220) 측 일단은 제1 실린더 결합부(221)의 상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피스톤 실린더(216)는 제2 실린더 결합부(231)에 결합되어 지지 브라켓(230)에 결합될 수 있다. 피스톤 실린더(216)는 지지 브라켓(230) 측 실린더 샤프트(216b)를 회전축으로 하여 지지 브라켓(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230) 측 실린더 샤프트(216b)는 제2 실린더 결합부(231)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피스톤 실린더(216)의 지지 브라켓(230) 측 일단은 제2 실린더 결합부(231)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피스톤 실린더(216)의 지지 링크(220) 측 일단과 지지 브라켓(230) 측 타단 간의 거리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1 위치(도 5)에 있는 경우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2 위치(도 4)에 있는 경우에 비해 더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216c)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에 따라 피스톤 실린더(216)의 실린더 내외로 출입하게 되며, 피스톤 실린더(216) 내부의 가스압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피스톤 실린더(216)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내부 가스압의 변화에 의해 지지 암(210)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하는 것을 보강할 수 있다.
최근에는 시청자에게 넓은 화면을 제공하고자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대형 디스플레이로 마련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량이 많이 나가는 경우가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지지 암(210)이 피스톤 실린더(216)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대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높이를 보다 안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장치(200)는 지지 브라켓(230)과 반대되는 측의 일단에 마련되는 지지 플레이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250)는 리어 커버(130)의 지지 결합구(131)를 관통하며 리어 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플레이트(250)는 지지 링크(22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251), 제1 지지 플레이트(251)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252, 도 10 참조) 및 제2 지지 플레이트(252)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3 지지 플레이트(253, 도 10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252)는 틸트 링크(240)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지지 플레이트(252)는 제3 지지 플레이트(253)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50)는 베어링(160)에 의해 제3 지지 플레이트(25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지지 플레이트(250)에 의해 지지 장치(200)에 R1축을 중심으로 피봇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50)의 구체적인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복수의 링크 프레임이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6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2 위치에 있는 모습을, 도 7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 있는 모습을, 도 8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1 위치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서 정의한 제1 위치는 도 8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 제2 위치는 도 6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지지 암(210)이 지지 브라켓(230)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제1 위치 및 제1 위치보다 낮은 높이의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지지 암(210)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링크 프레임(213, 214)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 프레임(213)은 제2 링크 프레임(214)의 상방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링크 프레임(213)은 지지 링크(220) 측 제1 링크 샤프트(213a)를 중심으로 지지 링크(2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지지 브라켓(230) 측 제1 링크 샤프트(213b)를 중심으로 지지 브라켓(23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링크 프레임(214)은 지지 링크(220) 측 제2 링크 샤프트(214a)를 중심으로 지지 링크(2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지지 브라켓(230) 측 제2 링크 샤프트(214b)를 중심으로 지지 브라켓(23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링크 샤프트(213a, 213b)는 회전 바디(211)의 회전축에 대해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 링크(220) 측 제1 링크 샤프트(213a)는 제1 지지 암 샤프트(211c)의 상방에 배치되고, 지지 브라켓(230) 측 제1 링크 샤프트(213b)는 제2 지지 암 샤프트(211d)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 샤프트(213a, 213b)는 회전 바디(211)의 회전축에 대해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 링크(220) 측 제1 링크 샤프트(213a)는 제1 지지 암 샤프트(211c)의 후방에 배치되고, 지지 브라켓(230) 측 제1 링크 샤프트(213b)는 제2 지지 암 샤프트(211d)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링크 샤프트(214a, 214b)는 회전 바디(211)의 회전축에 대해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 링크(220) 측 제1 링크 샤프트(214a)는 제1 지지 암 샤프트(211c)의 하방에 배치되고, 지지 브라켓(230) 측 제1 링크 샤프트(214b)는 제2 지지 암 샤프트(211d)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 샤프트(214a, 214b)는 회전 바디(211)의 회전축에 대해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 링크(220) 측 제1 링크 샤프트(214a)는 제1 지지 암 샤프트(211c)의 전방에 배치되고, 지지 브라켓(230) 측 제1 링크 샤프트(214b)는 제2 지지 암 샤프트(211d)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배치에 따라, 회전 바디(211), 제1 링크 프레임(213) 및 제2 링크 프레임(214)은 서로 다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링크 프레임(213) 및 제2 링크 프레임(214)의 각 회전축이 회전 바디(211)의 각 회전축과 이격된 거리는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고, 제1 링크 프레임(213) 및 제2 링크 프레임(214)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암(210)이 회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지지 링크(220)는 지지 브라켓(230)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링크 프레임(213, 214)에 의해 틸트 링크(240)가 회전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지지 암(210)의 회전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링크 프레임(213, 214)은 지지 링크(220)가 지지 브라켓(230)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 링크(220)와 지지 브라켓(230)을 연결할 수 있다.
다만 링크 프레임(213, 214) 및 그의 회전축에 대한 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지지 암(21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지지 링크(220)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리어 커버와 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플레이트 및 지지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리어 커버에서 고정 플레이트와 베어링을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지지 플레이트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리어 커버(130)의 전방에는 고정 플레이트(15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고정 플레이트(150)는 디스플레이 케이스(100)의 내측에서, 리어 커버(13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50)는 리어 커버(130)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리어 커버(130)의 전방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 커버(130)에는 고정 플레이트 체결홀(132)이 형성되고, 고정 플레이트(150)에는 고정 플레이트 체결홀(132)에 대응되는 스크류 홀(15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50)는 스크류 홀(153)과 고정 플레이트 체결홀(132)을 통해 리어 커버(130)에 스크류(S)로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고정 플레이트(150)는 디스플레이 케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는 한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플레이트(150)는 리어 커버(130)의 일면 상에 후크(hook)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또는, 고정 플레이트(150)는 리어 커버(130)가 아닌 디스플레이 케이스(100)의 다른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고정 플레이트(150)는 지지 장치(200)와 인접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에 인접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1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피봇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50)는 지지 플레이트(250)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플레이트 결합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50)는 지지 플레이트(25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필요가 있으므로, 플레이트 결합부(152)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플레이트 결합부(152)는 원형의 개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플레이트(150)는 지지 플레이트(250)의 적어도 일부가 플레이트 결합부(152)에 의해 전방으로 노출되고, 지지 플레이트(250)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고정 플레이트(150)의 다른 부분에 의해 전면이 커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결합부(152)에 의해 전방으로 노출되는 지지 플레이트(250)의 적어도 일부는 제3 지지 플레이트(253)일 수 있다. 이 경우, 스탠드 바디(310)를 관통하는 커넥터(500a)는 지지 암(210)을 지나 지지 플레이트(210) 및 개구 형상의 플레이트 결합부(152)를 순서대로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플레이트 결합부(152)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커넥터(500a) 또한 다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53)와 고정 플레이트(150) 사이에는 베어링(160)이 배치되어 고정 플레이트(150)가 지지 플레이트(25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어링(160)은 플레이트 결합부(152)에 배치되어, 지지 플레이트(253)와 고정 플레이트(150)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특히, 베어링(160)은 고정 플레이트(150)와 제3 지지 플레이트(25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지지 플레이트(253)와 고정 플레이트(150)는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160)은 제3 지지 플레이트(253)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베어링(160)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3 지지 플레이트(253)의 외주 부분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베어링(160)은 제3 지지 플레이트(253)의 외주 부분에 의해 전방이 커버되고, 제2 지지 플레이트(252)에 의해 후방이 커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어링(160)은 제2 지지 플레이트(252) 및 제3 지지 플레이트(253)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결합부(152)가 원형의 개구 형상을 갖는 경우, 베어링(160)은 플레이트 결합부(152)의 안쪽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플레이트 결합부(152)가 원형의 개구 형상을 갖는 경우 플레이트 결합부(152)는 베어링(160)의 외주면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베어링(160)이 제3 지지 플레이트(253)의 전방에서 결합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고정 플레이트(150)와 지지 플레이트(250)가 베어링(1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편의 상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베어링(160)의 배치는 상기 설명 및 도 9 내지 도 11에 개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케이스(100)는 후술하는 락킹(Locking)부재(2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락킹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부(151)는 디스플레이 케이스(10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락킹부재(260)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락킹부(151)는 고정 플레이트(150)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50)는 리어 커버(130)의 전방에 고정됨에 따라, 락킹부(151)는 리어 커버(130)와 마주하는 고정 플레이트(15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락킹부(151)는 락킹부재(260)가 삽입되도록 마련된다면 고정 플레이트(150)의 측면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도 무관하다. 이는 고정 플레이트(150)가 리어 커버(130)의 전방에 고정된다고 하여도 마찬가지이다.
고정 플레이트(150)가 리어 커버(130)에 고정됨에 따라, 락킹부재(260)가 락킹부(151)에 삽입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 전체의 피봇 회전이 락킹될 수 있다.
다만 락킹부(151)가 고정 플레이트(150) 상이 아닌 디스플레이 케이스(100) 상의 다른 위치에 마련되었다면, 고정 플레이트(150)가 없더라도 락킹부재(260)가 락킹부(151)에 삽입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피봇 회전이 락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킹부(151)는 리어 커버(130)에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결합부(152)가 원형의 개구 형상을 갖고 베어링이 플레이트 결합부(152)의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 락킹부(151)는 플레이트 결합부(152) 및 베어링(160)에 대해 플레이트 결합부(152)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락킹부(151)는 락킹부재(260)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락킹홈(151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락킹홈(151a)은 락킹부재(26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락킹부재(260)가 락킹홈(151a)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홈(151a)은 고정 플레이트(153)의 후면 상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락킹부(151)는 락킹부재(260)가 삽입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락킹부(151)는 고정 플레이트(150)를 관통하는 홀(hole)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재(26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락킹부(151) 또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피봇 회전하는 경우 락킹부(151)의 위치가 락킹부재(260)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므로, 락킹부(151)의 개수는 락킹부재(260)의 개수에 비해 많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R1축을 중심으로 피봇 회전할 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장변이 지면과 나란하도록 배치하거나(Landscape orientation),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장변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할 것이다(Portrait orientation). 따라서 락킹부(151)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위 두 가지 배치를 가질 때에만 R1축 중심의 피봇 회전이 락킹되도록 형성되면 충분할 것이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락킹부(151)의 개수는 상술한 바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락킹부(151)의 개수는 락킹부재(2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락킹부재(260)의 개수 이상이기만 하면 충분할 것이다.
락킹부(151)는 락킹부재(260)가 락킹부(151)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후 방향 틸트 회전이 용이하도록 락킹부재(260)에 비해 틸트 회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장변이 지면과 나란할 때 락킹부재(260)가 삽입되는 락킹부(151)는 단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장변이 지면과 수직이 될 때 락킹부재(260)가 삽입되는 락킹부(151)는 장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락킹부(151)는 락킹부재(260)가 삽입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킹부(151)는 락킹 부재(260)의 크기와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락킹부재(260)가 삽입되었을 때 락킹부(151) 내에서 유동이 방지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락킹부(151)가 어떠한 형상을 가지는지에 따라, 락킹부재(260)가 락킹부(151)에 삽입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은 R1축 중심의 피봇 회전은 물론, 전후 방향의 틸트 회전 등 복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피봇 회전이 락킹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모든 방향의 피봇 회전이 락킹될 수도 있다.
지지 플레이트(250)는 디스플레이 케이스(10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디스플레이 케이스(100)는 지지 플레이트(250)에 R1축을 중심으로 피봇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100) 내지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지지 플레이트(250)에 대해 R1축을 중심으로 피봇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은 전술하였다.
지지 플레이트(250)는 지지 암(210) 내지 지지 링크(22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251), 제1 지지 플레이트(25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252) 및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3 지지 플레이트(2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251)는 지지 링크(220) 및 틸트 링크(240)가 장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251)는 적어도 틸트 링크(240)의 플레이트 결합부(241)가 노출되어 제2 지지 플레이트(252)의 링크 결합부(252b)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틸트 링크(240)는 제2 지지 플레이트(252)가 아닌 지지 플레이트(250)의 다른 구성에 결합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제1 지지 플레이트(25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지지 장치(200)가 틸트 링크(24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지지 링크(220)가 지지 플레이트(25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도 제1 지지 플레이트(25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252)는 제1 지지 플레이트(251) 및 제3 지지 플레이트(253)의 사이에 배치되며, 전방으로는 제3 지지 플레이트(253)에 결합되고, 후방으로는 틸트 링크(24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252)는 링크 결합부(252b)를 포함하여, 틸트 링크(240)의 플레이트 결합부(241)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지지 플레이트(252)와 틸트 링크(24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틸트 링크(240)는 제1 지지 플레이트(251)의 후방에 장착된 채 제1 지지 플레이트(251)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252)에 결합되므로, 제1 지지 플레이트(25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252)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제1 지지 플레이트(251), 제2 지지 플레이트(252) 및 제3 지지 플레이트(253)는 상호 고정되어 지지 플레이트(250)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지지 플레이트(250)는 틸트 링크(240) 내지 지지 링크(220)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케이스(100)에 결합되되,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피봇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50)는 틸트 링크(240)에 고정되어, 틸트 링크(240)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지지 플레이트(250)는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틸트 링크(240)의 플레이트 결합부(241)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틸트 링크(240)는 지지 링크(220)를 관통하는 틸트 샤프트(222)에 의해 지지 링크(22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틸트 링크(240)는 틸트 샤프트(222)를 중심으로 지지 링크(2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틸트 샤프트(222)가 지지 링크(220)를 좌우 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틸트 링크(240)는 지지 링크(22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틸트 링크(240)가 지지 링크(22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지지 플레이트(250)도 함께 전후 방향으로 틸트 회전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50)는 베어링(160)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150)에 결합되는데, 베어링(160)은 고정 플레이트(150)가 지지 플레이트(250)에 대하여 R1축을 중심으로 피봇 회전할 수 있도록 허용할 뿐이고, 지지 플레이트(250)에 대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까지 허용하지는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250)가 전후 방향으로 틸트 회전할 때 고정 플레이트(150)도 함께 전후 방향으로 틸트 회전할 수 있고, 종국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 전체가 전후 방향으로 틸트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후 방향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50)는 후술하는 락킹부재(260)가 관통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251a, 252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홀(251a, 252a)은 지지 플레이트(25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락킹부재(260)가 관통하여 전술한 락킹부(15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관통홀(251a, 252a)은 락킹부재(260) 및 락킹부(15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51a, 252a)은 제1 지지 플레이트(251)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251a) 및 제2 지지 플레이트(252)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25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홀(251a) 및 제2 관통홀(252a)은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51a, 252a)은 락킹부재(260)가 관통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용이하게 전후 방향으로 틸트 회전할 수 있도록, 락킹부재(260)에 비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지지 플레이트(250)의 관통홀(251a, 252a)은 락킹부재(260)가 관통할 수 있는 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플레이트(150) 및 제3 지지 플레이트(253)의 형상에 따라 제3 지지 플레이트(253)에도 락킹부재(260)가 관통하는 관통홀(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2 위치에 있어 락킹부재(260)가 락킹부(15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전진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락킹부재(26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락킹부재(260)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락킹부재(26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서술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지지 링크에서 락킹부재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락킹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락킹부재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후 방향으로 틸트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봇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지지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피봇 회전을 락킹하도록 마련되는 락킹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피봇 회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바닥면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는 경우 바닥면에 충돌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대형 디스플레이 모듈(10)인 경우 이러한 문제는 가중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낮은 높이에 위치할 때 디스플레이 케이스(100)의 락킹부(151)로 삽입되도록 지지 장치(200)에 마련되는 락킹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락킹부재(26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피봇 회전할 수 없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피봇 회전을 락킹할 수 있다.
락킹부재(26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락킹부(151)에 삽입되거나 락킹부(151)로부터 벗어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락킹부재(26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전진하여 락킹부(151)에 삽입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피봇 회전을 락킹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락킹부재(26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락킹부(151)로부터 후진하며 벗어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피봇 회전을 언락킹(un-locking)할 수 있다.
락킹부재(26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기 위해, 락킹부재(260)는 지지 브라켓(23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 암(210)과는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대신, 락킹부재(260)는 지지 암(21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링크(22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 링크(220)는 지지 브라켓(230)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지지 암(21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락킹부재(260)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하게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락킹부재(260)는 지지 암(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락킹부재(260)는 락킹부(151)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돌기부(261)와, 돌기부(26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바디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바디부(262)는 돌기부(261)로부터 지지 암(26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바디부(262)는 돌기부(261)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돌기부(261)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후 방향 틸트 회전이 용이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262)의 전방 측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돌기부(261)는 락킹부(151)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262)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돌기부(261)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바디부(262)가 배치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는, 돌기부(26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돌기부(261)가 어떠한 형상을 가지는지에 따라, 돌기부(261)가 락킹부(151)에 삽입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은 R1축 중심의 피봇 회전은 물론, 전후 방향의 틸트 회전 등 복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피봇 회전이 락킹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모든 방향의 피봇 회전이 락킹될 수도 있다.
락킹부재(260)가 지지 링크(220)에 결합되는 경우 지지 링크(220)에 결합되는 결합면에는 지지 홈(264)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홈(264)은 지지 링크(220)로부터 돌출되는 지지 돌기(223)이 삽입되어 락킹부재(260)가 지지 링크(220)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 홈(264)은 락킹부재(26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락킹부재(260)는 지지 홈(264)에 삽입된 지지 돌기(223)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지지 홈(264)은 바디부(262)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디부(262)는 락킹부재(26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바디부(262)에 형성된 지지 홈(264) 또한 락킹부재(26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락킹부재(260)는 지지 암(210)의 회전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락킹부재(260)가 지지 암(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지지 암(210)에 락킹부재(260)의 지지 홈(264)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지지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락킹부재(260) 및 락킹부재(260)가 삽입될 수 있는 락킹부(151)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피봇 회전을 락킹하거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는 점에서 락킹 모듈(151, 260)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지지 암(210)은 지지 암(210)이 회전함에 따라 락킹부재(26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돌기(21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5)는 지지 암(210)에 고정되어, 지지 암(21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돌기(215)는 지지 암(210)의 지지 링크(220) 측 일단에 고정되어 락킹부재(26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락킹부재(260)는 가이드 돌기(215)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26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5)는 지지 암(210)이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홈(263)로 삽입되거나, 벗어나며 락킹부재(260)가 이동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5)는 지지 암(210)의 일단에 고정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가이드홈(26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돌기(215)는 지지 암(210)의 일단에 고정되는 부분으로부터, 지지 암(210)의 반대되는 타단에서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져 가이드홈(263)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가이드 돌기(215)는 지지 암(210)의 지지 브라켓(230) 측 일단으로부터 지지 암(210)의 지지 링크(220) 측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5)는 회전 바디(211)의 링크 결합부(211a)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5)는 링크 결합부(211a)로부터 브라켓 결합부(211b)로부터 링크 결합부(211a)를 향하는 방향 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해당 부분이 가이드홈(263)에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263)은 락킹부재(26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돌기(215)는 가이드홈(263)의 하방에서 삽입되어 락킹부재(26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홈(263)은 락킹부재(260)의 하부에서 락킹부재(260)의 후방을 향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도록 지지 암(210)이 회전할 때, 가이드 돌기(215)도 지지 암(210)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가이드홈(263)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5)가 가이드홈(263)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락킹부재(260)는 지지 장치(200)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지지 암(210)이 회전할 때, 가이드 돌기(215)도 지지 암(210)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가이드홈(263)의 밖으로 용이하게 벗어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5)가 가이드홈(263)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락킹부재(260)는 지지 장치(200)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홈(263)은 바디부(26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홈(263)은 바디부(262)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디부(262)는 가이드 돌기(215)보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가이드홈(263)은 바디부(262)의 하부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른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가이드 돌기(215)는 락킹부재(260)의 동작을 가이드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피봇 회전을 락킹하거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는 점에서 락킹 모듈(151, 215, 260)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락킹 모듈(151, 215, 260)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락킹 모듈(151, 215, 26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 평면을 가정하였을 때, 해당 중심 평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링크(220)는 락킹부재(260)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락킹커버(224)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부재(260)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락킹커버(224)도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락킹커버(224)가 락킹부재(260)를 커버함에 따라 락킹부재(260)가 지지 장치(2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관 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락킹커버(224)는 가이드 돌기(215)도 함께 커버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도록 지지 암(210)이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 돌기(215)가 회전하여 가이드홈(263)으로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5)가 가이드홈(263)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동안 락킹부재(260)를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락킹부재(260)는 후진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락킹부재(260)는 락킹부(151)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회전은 락킹이 해제(언락킹, un-locking)될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지지 암(210)이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 돌기(215)가 회전하여 가이드홈(263)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5)는 가이드홈(263)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동안 락킹부재(260)를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락킹부재(260)는 전진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락킹부재(260)는 락킹부(151) 삽입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회전은 락킹될 수 있다.
도 16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도 16에 도시된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락킹부재(260)가 락킹부(151)에 삽입된 상태인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이는 락킹부재(26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에 불과하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피봇 회전이 락킹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 지지 장치(200), 스탠드(300) 등의 규격에 따라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락킹부재(260)를 포함한 락킹모듈(151, 215, 260)의 형상은 위와 같은 기준에 따라 피봇 회전이 락킹되도록 지정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전후 방향으로 틸트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 장치(200)가 틸트 링크(240)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전후 방향으로 틸트 회전할 수 있음은 전술한 내용과 같다.
한편, 도 18의 경우처럼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락킹부재(260)가 락킹부(151)로부터 벗어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피봇 회전이 언락킹될 수 있으며, 전후 방향으로의 틸트 회전이 언락킹되는 것 또한 마찬가지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도, 락킹부재(260), 지지 플레이트(250)의 관통홀(251a, 252a) 및 락킹부(151)의 형상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틸트 회전은 락킹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락킹부재(260)가 락킹부(151)에 삽입되어 유동할 수 없도록 구속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전후 방향의 틸트 회전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지지 장치(200)에 대해 R1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피봇 회전을 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제1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제2 위치보다는 높고, 바닥면과 충돌할 가능성이 낮은 정도의 위치라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R1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피봇 회전을 언락킹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넥터 박스를 스탠드에 결합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커넥터 박스(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스탠드 바디(3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박스(500)는 스탠드 바디(310)의 외면 상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커넥터 박스(500)는 자성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는 스탠드 바디(310)에 장착되는 커넥터 박스(5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위 커넥터 박스(500)의 일면에 인접하도록 커넥터 박스(50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커넥터 박스(500)에 마련되는 자성체는 마그넷(미도시)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스탠드 바디(310)는 외면 중 적어도 커넥터 박스(500)가 부착되는 일부가 자성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탠드 바디(310)는 적어도 커넥터 박스(500)가 부착되는 외면이 철 등의 자성체 금속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스탠드 바디(310)는 마그넷(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커넥터 박스(500)는 스탠드 바디(3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박스(500)는 커넥터 박스(500)의 하면이 스탠드 바디(310)의 스탠드 후면 패널(313)에 접촉되도록 스탠드 바디(31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커넥터 박스(500)는 스탠드 바디(310)에 다양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월마운트 브라켓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1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월마운트 브라켓(400)에 결합되어 벽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지지물에 의해 결합되는 지지 장치(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지지물은 벽에 고정될 수 있는 스탠드 바디(310)를 지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벽걸이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1)가 되기 위해 월마운트 브라켓(400)을 포함할 수 있다. 월마운트 브라켓(400)은 벽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월마운트 브라켓(400)은 벽 체결부(430)를 포함하여 벽에 스크류(미도시)로 체결될 수 있다.
월마운트 브라켓(400)은 브라켓 바디(410)와 브라켓 바디(410)에 마련되어 스탠드 바디(310)에 결합되기 위한 스탠드 장착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벽 체결부(430)는 브라켓 바디(410)에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바디(410)는 벽에 결합시키기 용이하도록 평평한 판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 장착부(420)는 후크(hook)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 바디(310)는 스탠드 장착부(420)에 후크 결합하여 월마운트 브라켓(400)에 장착될 수 있다. 스탠드 장착부(420)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탠드 바디(310)는 스크류 체결홀(317)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스탠드 플레이트(320)에 체결될 수 있으며, 반대로 스탠드 바디(310)는 스탠드 플레이트(3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의 경우와 같이 스탠드 바디(310)를 월마운트 브라켓(400)에 결합시키기에 앞서, 스탠드(300)가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스탠드 플레이트(320)는 스탠드 바디(3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스탠드 바디(310)의 스탠드 후면 패널(313)은 스탠드 바디(3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스탠드 바디(310)는 월마운트 브라켓(400)이 안착되기 위한 브라켓 안착부(314)와 월마운트 브라켓(400)에 체결되기 위한 브라켓 체결홈(315)이 포함될 수 있다. 스탠드 바디(310)로부터 스탠드 후면 패널(313)을 분리하면 브라켓 안착부(314)와 브라켓 체결홈(315)이 스탠드 바디(310)의 후면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 바디(310)는 월마운트 브라켓(400)에 장착되기에 앞서, 스탠드 후면 패널(313)이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스탠드 후면 패널(313)에 브라켓 안착부(314)와 브라켓 체결홈(315)이 마련되는 경우 스탠드 후면 패널(313)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월마운트 브라켓(400)을 스탠드 바디(3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브라켓 안착부(314)에는 월마운트 브라켓(400)이 안착되며, 특히 월마운트 브라켓(400)의 브라켓 바디(410)가 안착될 수 있다. 브라켓 안착부(314)는 브라켓 바디(4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브라켓 바디(410)의 형상과 대응하여 평평한 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월마운트 브라켓(400)은 보다 안정적으로 스탠드 바디(310)를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 체결홈(315)은 월마운트 브라켓(400)에 후크 결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체결홈(315)은 스탠드 바디(310)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월마운트 브라켓(400)의 스탠드 장착부(420)는 브라켓 체결홈(315)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 바디(310)로부터 스탠드 후면 패널(313)을 분리하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 장착부(420)와 브라켓 체결홈(315)을 통해 스탠드 바디(310)를 벽에 체결된 월마운트 브라켓(40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에 장착되는 벽걸이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1)가 될 수 있다.
스탠드 바디(310)의 하단에는 커넥터(500a)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관통부(316)가 포함될 수 있다. 커넥터 관통부(316)는 스탠드 바디(310)의 하면과 후면이 연결되는 변을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커넥터 관통부(316)는 커넥터(500a)가 스탠드 바디(310)의 하면 및 후면 각각 관통하되, 커넥터(500a)가 관통하는 홀(hole)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500a)는 도 1의 경우처럼 스탠드 플레이트(320)가 스탠드 바디(310)에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커넥터 관통부(316)를 통해 후방으로 연장되고, 도 23의 경우처럼 스탠드 플레이트(320)가 스탠드 바디(310)로부터 분리된 때에는 커넥터 관통부(316)를 통해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스탠드 바디(310)와 같은 지지물에 결합되는 지지 장치(200)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피봇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케이스(100)의 락킹부(151)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락킹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피봇 회전이 언락킹되고, 제2 위치에 있을 때에는 락킹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탠드(300)에 의해 지지되거나, 벽에 체결된 월마운트 브라켓(4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모듈
11; 디스플레이 패널 100; 디스플레이 케이스
130; 리어 커버 150; 고정 플레이트
151; 락킹부 151a; 락킹홈
200; 지지 장치 210; 지지 암
211; 회전 바디 213, 214; 링크 프레임
215; 가이드 돌기 216; 피스톤 실린더
220; 지지 링크 223; 지지 돌기
230; 지지 브라켓 240; 틸트 링크
250; 지지 플레이트 251a, 252a; 관통홀
260; 락킹부재 261; 돌기부
262; 바디부 263; 가이드홈
264; 지지홈 300; 스탠드
310; 스탠드 바디 320; 스탠드 플레이트
400; 월마운트 브라켓 500; 커넥터 박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락킹(Locking)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피봇(pivot)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위치 및 상기 제1 위치보다 낮은 높이의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암(arm),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락킹부로 삽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피봇 회전을 락킹하도록 마련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의 리어 커버 및 상기 리어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 장치에 대해 피봇 회전 가능한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리어 커버와 마주하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후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전진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락킹부재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락킹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락킹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암은 상기 지지 암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락킹부의 반대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락킹부재를 가이드하고,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벗어나는 동안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락킹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락킹부재를 가이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락킹부재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의 하방에서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락킹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락킹부재의 후방을 향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락킹부에 삽입 가능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로부터 상기 지지 암을 향하여 연장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바디부 상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지지 암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물에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 및 상기 지지 암의 상기 지지 브라켓의 반대 측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지지 링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지지 링크에 결합되는 결합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락킹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 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링크는 상기 지지 홈에 삽입되어 상기 락킹부재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암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링크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링크 프레임은 상기 지지 링크가 상기 지지 브라켓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링크와 상기 지지 브라켓을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락킹되는 피봇 회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봇 회전이고,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지지 링크를 연결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틸트(tilt)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링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트 링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암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상기 지지 암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것을 보강하기 위한 피스톤 실린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위치 및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높이의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피봇(pivot)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언락킹(un-locking)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피봇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락킹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후방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락킹부재가 벗어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락킹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락킹홈이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는 지지물에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암(arm) 및 상기 지지 암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측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암은 상기 지지 링크가 상기 지지 브라켓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링크와 상기 지지 브라켓을 연결하며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링크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락킹되는 피봇 회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봇 회전이고,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지지 링크를 연결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후 방향으로 틸트(tilt)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링크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트 링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위치 및 상기 제1 위치보다 낮은 높이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암(arm)을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에 마련되는 락킹(Locking)홈과 상기 지지 장치에 마련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락킹모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락킹홈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지지 암에 대해 피봇(pivot)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지지 암에 대해 피봇 회전할 수 없도록 하는 락킹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188380A 2021-12-27 2021-12-27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99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380A KR20230099208A (ko) 2021-12-27 2021-12-27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2/017223 WO2023128225A1 (ko) 2021-12-27 2022-11-04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380A KR20230099208A (ko) 2021-12-27 2021-12-2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208A true KR20230099208A (ko) 2023-07-04

Family

ID=8699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380A KR20230099208A (ko) 2021-12-27 2021-12-2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99208A (ko)
WO (1) WO202312822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3210A (ko) * 2005-09-21 2007-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1164820B1 (ko) * 2005-09-22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1253569B1 (ko) * 2006-05-09 201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0922872B1 (ko) * 2008-01-07 2009-10-20 곽수만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
JP6452986B2 (ja) * 2014-08-12 2019-01-16 Re・Leaf株式会社 支持スタ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225A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5828B2 (en) Display apparatus
KR1023937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935440B2 (en) Display apparatus and hinge assembly of display module
US7195214B2 (en) Stand for display
US7798457B2 (en) Pivot support device and a display apparatus supported thereon
US7952863B1 (en) Display mount
US7287729B2 (en) Display apparatus
EP1840445A2 (en) Display apparatus
US6918562B2 (en) Device for combining electronic appliances and displaying apparatuses employing the same
US11174984B2 (en) Display apparatus
US20100309618A1 (en) Display device
US7707691B2 (en) Hinge assembly for electronic appliance and st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320454B2 (en) Display supporting apparatus
KR20230099208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243872A1 (en) Wall support for a thin tv set, screen and monitor
JP4536099B2 (ja) テレビボード
KR100860030B1 (ko)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
US20210160451A1 (en) Display device
EP2388506A2 (en) Stan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tand
KR101473006B1 (ko) 스탠드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기
CN215527126U (zh) 显示屏
CN217879965U (zh) 一种激光投影设备
CN216431160U (zh) 安装架及显示设备
KR1026299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18972B1 (ko)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모니터 거치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