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935B1 - 카메라 거치대 - Google Patents

카메라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935B1
KR101832935B1 KR1020170026904A KR20170026904A KR101832935B1 KR 101832935 B1 KR101832935 B1 KR 101832935B1 KR 1020170026904 A KR1020170026904 A KR 1020170026904A KR 20170026904 A KR20170026904 A KR 20170026904A KR 101832935 B1 KR101832935 B1 KR 101832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arm
camera
fitting bracket
upp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원선
Original Assignee
황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원선 filed Critical 황원선
Priority to KR1020170026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공구조물에 고정되고, 상부 힌지 및 하부 힌지가 마련되는 피팅 브래킷; 상기 피팅 브래킷의 상부 힌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 아암; 상기 피팅 브래킷의 하부 힌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부 아암; 상기 상부 아암 및 하부 아암의 타단부가 제각기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탑 힌지 및 바텀 힌지가 상부 및 하부에 수평상태로 마련되고, 카메라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달리는 카메라 행거; 및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틸팅의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틸팅 어저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틸팅 어저스터를 통해 상부 및 하부 아암의 틸팅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카메라 거치대 {FIXING DEVICE FOR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를 벽면이나 기둥과 같은 인공구조물에 설치하는 카메라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특히, 캔틸레버 형태로 구성되어 인공구조물의 측방에 카메라를 거치할 수 있는 카메라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설치하는 설치장치는 삼각대로 불리우는 트라이포드나, 카메라가 장착되는 붐이 마련된 크레인 또는 인공구조물(예: 벽체, 천장, 기둥 등)에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는 거치대가 있다.
여기서, 전술한 거치대의 경우 벽체에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붐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붐의 단부에 카메라를 장착하는 카메라 시트가 설치된다. 그리고, 붐은 통상 하나의 봉으로 구성되고, 양단에 힌지가 장착되어 필요시 양단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즉, 붐은 필요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경사를 이루거나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붐은 힌지에 체결된 나사를 풀었다 다시 조이는 방식을 통해 수동으로 회전이 제어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힌지가 구비된 부분에 모터가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이 제어된다. 따라서, 거치대는 힌지를 중심으로 붐이 회전됨에 따라 경사상태로 벽체에 설치되거나, 수평상태로 벽체에 설치되며, 이러한 붐의 힌지에 연결된 카메라 시트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카메라 시트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거치대는 전술한 수동 방식의 경우 붐이나 카메라 시트의 회전각, 즉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해 나사를 일일이 조작해야 하므로 붐이나 카메라 시트의 회전각(경사각)을 조절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그리고, 모터에 의한 자동 방식의 경우, 모터에 의해 자중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모터의 오작동이나 고장시 사용이 중단될 수 있으며, 특히 모터의 비용 및 조립공정에 의해 전체적인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봉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붐으로 구성되므로 외부의 진동이 인공구조물에 전달될 경우, 봉의 길이에 의해 진동이 증폭되어 카메라가 심하게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진동의 발생시 벽체에 부착된 붐의 일단에서부터 카메라가 장착된 붐의 타단으로 갈수록 진동폭이 점점 더 커짐에 따라 매우 극심하게 붐의 단부에 설치된 카메라가 흔들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도 흔들리는 상태로 촬영되는 문제가 있다.
KR 10-1034570 (자체 조명 수단을 구비한 접이식 카메라 거치대) KR 10-1150426 (3차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KR 10-820298 (영상촬영용 다축 운동제어 카메라 크레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외부의 진동이 분리되어 전달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카메라가 설치되는 부위에 수직으로 복수의 힌지점이 구비되며, 수동으로 붐의 회전각을 보정하여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탄성력을 조절하거나 붐을 구성하는 아암의 벽체측 고정 위치를 가변시키면서 붐의 회전각을 보정하여 붐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카메라의 상하측 진동 및 좌우측 진동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카메라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 카메라가 장착되는 부재의 경사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이러한 경사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한, 전술한 탄성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 탄성력을 배가시켜서 강화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카메라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공구조물에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상부 및 하부에 상부 힌지 및 하부 힌지가 수평으로 마련되는 피팅 브래킷; 상기 피팅 브래킷의 상부 힌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틸팅하는 상부 아암; 상기 피팅 브래킷의 하부 힌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상부 아암과 평행을 이루면서 함께 틸팅하는 하부 아암; 상기 상부 아암 및 하부 아암의 타단부가 제각기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탑 힌지 및 바텀 힌지가 일측의 상부 및 하부에 수평상태로 마련되고, 카메라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달리는 카메라 행거; 및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틸팅의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틸팅 어저스터;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아암은, 상기 피팅 브래킷의 상부 힌지 및 상기 카메라 행거의 탑 힌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하부 아암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 아암과 평행을 이루는 봉형태의 로드;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아암은, 상기 로드의 길이를 가변시켜서 상기 카메라 행거의 수평을 조절하는 레벨러;을 더 포함한다.
상기 레벨러는, 상기 로드가 분할되어 구성됨에 따라 상기 상부 아암의 일부분을 이루고, 단부가 상기 카메라 행거의 탑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헤드; 상기 로드의 분할에 의해 상기 상부 아암의 나머지 일부분을 이루고, 상기 카메라 행거의 바텀 힌지에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바디; 상기 헤드에 체결되어 상기 바디의 심부에 회전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헤드 및 바디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나사축; 및 상기 나사축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켜서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된 상기 바디를 상기 나사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다이얼;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아암은, 상기 피팅 브래킷의 상부 힌지 및 상기 카메라 행거의 탑 힌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하부 아암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 아암과 평행을 형성하고, 이격상태로 병렬을 이루는 한 쌍의 스틱; 및 상기 한 쌍의 스틱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틱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스틱들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크로스 핀;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아암은, 상기 피팅 브래킷의 하부 힌지 및 상기 카메라 행거의 바텀 힌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상부 아암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아암과 평행을 형성하고, 이격상태로 병렬을 이루는 한 쌍의 스틱; 및 상기 한 쌍의 스틱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틱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스틱들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크로스 핀;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행거는, 상기 탑 힌지 및 바텀 힌지가 일측의 측방에 마련되고, 상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를 지지하는 캡;으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 행거는, 상기 캡의 적어도 상단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캡에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카메라가 장착되는 평판형의 시트가 마련된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적어도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캡에 체결되면서 상기 커버를 상기 캡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행거는,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캡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시트를 설정된 각도로 보정하는 튜너;를 더 포함한다.
상기 튜너는, 상기 커버의 측방에 호형의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장공 레일;로 구성된다.
상기 튜너는,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경사도를 표시하는 앵글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앵글 인디케이터는 예컨대, 상기 커버에 설치되는 분도기 또는 수평자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분도기는,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중력에 의해 하방을 지시하는 지시추; 및 상기 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지시추의 경사를 눈금으로 표시하는 마커;를 포함한다.
상기 틸팅 어저스터는, 상기 피팅 브래킷 및 상기 카메라 행거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을 향해 신축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양측을 상기 피팅 브래킷이나 상기 카메라 행거에 제각기 고정하는 고정축; 및 상기 스프링을 상기 고정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텐셔너;를 포함한다.
상기 텐셔너는, 상기 스프링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너트; 및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을 포함한다.
상기 틸팅 어저스터는,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의 중앙 및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상기 틸팅 어저스터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의 중앙 또는 양측에 병렬로 설치된다.
상기 틸팅 어저스터는 한쌍이 한조를 이루고, 복수의 조로 구성된다.
상기 틸팅 어저스터는, 상기 피팅 브래킷의 상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행거의 일측 하부에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에 대해 경사를 이루면서 상기 스프링의 신축을 통해 틸팅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틸팅 어저스터는, 상기 피팅 브래킷 및 상기 카메라 행거의 사이에 교차상태로 설치되도록 복수로 구성되어 각각의 양단부가 상기 피팅 브래킷 및 상기 행거에 교차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신축을 통해 상기 상부 아암 및 상기 하부 아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각기 틸팅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틸팅 어저스터는 복수로 구성되어 X와 같은 형태로 교차된다.
상기 틸팅 어저스터는 3개로 구성되어 하나가 피팅 브래킷 및 행거의 중앙에 위치하며, 이를 위해 틸팅 어저스터는 상기 로드가 갈라져서 구성된다.
상기 틸팅 어저스터는, 상기 피팅 브래킷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이 연결되는 상기 상부 힌지나 하부 힌지가 구비되어 상기 피팅 브래킷에 상기 상부 힌지나 하부 힌지를 제공하며, 상기 피팅 브래킷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상부 힌지나 하부 힌지를 이동시켜서 상기 상부 힌지나 하부 힌지의 이동을 통해 틸팅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을 회전시키는 승강 스테이지;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인공구조물에 설치된 피팅 브래킷의 상부 및 하부에 붐을 형성하는 상부 아암 및 하부 아암이 각각 연결되므로 인공구조물에서 전이되는 진동이 상부 아암 및 하부 아암으로 분리되어 전달됨에 따라 전이되는 진동이 실질적으로 약화되며, 이에 따라 카메라 행거에 장착된 카메라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카메라 행거의 상부 및 하부에 탑 힌지 및 바텀 힌지가 각각 구비되므로 진동시 카메라 행거가 진동에 의해 탑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떨리려고 할 경우 바텀 힌지가 카메라 행거의 하부를 지지하고, 카메라 행거가 바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떨리려고 할 경우 탑 힌지가 카메라 행거의 상부를 지지함에 따라 카메라의 상하측 진동(수직방향 진동)을 최대한 억제 내지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의 증폭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전술한 피팅 브래킷의 힌지들 및 카메라 행거의 힌지들에 상부 아암 및 하부 아암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이러한 힌지들을 중심으로 상부 아암 및 하부 아암이 회전하여 경사를 형성할 경우, 힌지들에 의한 상부 아암 및 하부 아암의 경사로 인해 외부에서 전이되는 진동의 전달경로가 변경되므로 전달경로의 변경을 통해 전이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의 증폭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틸팅 어저스터의 조작에 의해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의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부 아암 및 하부 아암의 경사각을 소망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보정하여 조정할 수 있다.
또, 상부 아암이 봉형태의 로드로 구성될 경우 상부 아암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을 크로스핀으로 연결된 한쌍의 스틱으로 구성할 경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의 롤링, 즉 좌우측 진동을 억제 내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아암에 레벨러가 구비될 경우 상 부 아암(로드)의 길이를 가변시켜서 카메라 행거의 수평을 소망하는 각도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의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레벨러의 다이얼을 회전시켜서 상부 아암의 길이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레벨러를 조작할 수 있다.
게다가, 카메라 행거가 캡으로 구성되므로 카메라 행거를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의 상부에 카메라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커버 및 튜너가 설치될 경우 튜너를 통해 커버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의 설치각도를 더욱더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튜너가 체결부재의 체결을 위한 장공 레일로 구성되므로 튜너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행거에 커버의 경사도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가 구비될 경우, 카메라 행거의 각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행거의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인디케이터를 지시추가 구비된 분도기 또는 물 및 기포를 갖는 수평자로 구성할 경우 인디케이터를 용이하게 구성 및 제조할 수 있다.
덧붙여, 틸팅 어저스터가 스프링, 고정축 및 텐셔너로 구성되므로 텐셔너를 통해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조절된 탄성력으로 상부 및 하부 아암의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텐셔너가 너트 및 나사산으로 구성되므로 텐셔너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틸팅 어저스터가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의 중앙 및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틸팅 어저스터의 다양한 설치위치로 인해 틸팅 어저스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틸팅 어저스터가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에 대해 경사를 형성할 경우 실질적으로 스프링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스프링의 탄성력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틸팅 어저스터가 복수로 구성되어 병렬로 설치되거나 교차되도록 설치될 경우 스프링의 탄성력을 더욱더 배가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틸팅 어저스터가 승강 스테이지로 구성될 경우, 노브의 회전에 의해 승강판이 승강되면서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의 경사각을 가변시키므로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의 가변되는 경사각을 통해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승강판의 이동을 통해 틸팅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이 상부 힌지나 하부 힌지 및/또는 탑 힌지나 바텀 힌지에 연결됨에 따라 승강판의 수직방향 직선운동이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므로 승강 스테이지를 통해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의 틸팅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거치대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거치대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행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거치대의 측면도 및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거치대의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승강 스테이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카메라 거치대의 진동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카메라 거치대의 반복 진동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거치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거치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 브래킷(10), 상부 아암(20), 하부 아암(30), 카메라 행거(40) 및 후술되는 틸팅 어저스터(50)를 포함한다.
피팅 브래킷(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형으로 형성되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벽체나 기둥 등과 같은 인공구조물(W)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피팅 브래킷(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부 힌지(10a) 및 하부 힌지(10b)가 수평으로 마련된다. 피팅 브래킷(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핀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ㄷ' 형태의 요크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됨에 따라 상부 힌지(10a) 및 하부 힌지(10b)가 상부 및 하부에 제각기 설치된다.
상부 아암(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 브래킷(10)의 상부 힌지(10a)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부 아암(20)은 타단부가 후술되는 카메라 행거(40)의 탑 힌지(40a)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부 아암(20)은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틸팅된다. 즉, 상부 아암(20)은 피팅 브래킷(10)의 상부 힌지(10a) 또는 카메라 행거(40)의 탑 힌지(40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틸팅된다.
하부 아암(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아암(20)의 하부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하부 아암(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 브래킷(10)의 하부 힌지(10b)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하부 아암(30)은 타단부가 후술되는 카메라 행거(40)의 바텀 힌지(40b)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하부 아암(30)은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틸팅된다. 즉, 하부 아암(30)은 전술한 상부 아암(20)과 같이 피팅 브래킷(10)의 하부 힌지(10b) 또는 카메라 행거(40)의 바텀 힌지(4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틸팅된다. 이때, 하부 아암(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아암(20)과 평행을 이루면서 함께 틸팅한다.
카메라 행거(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의 타단부가 제각기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탑 힌지(40a) 및 바텀 힌지(40b)가 일측의 상부 및 하부에 수평상태로 마련된다. 카메라 행거(40)는 전술한 피팅 브래킷(10)과 같이 핀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요크가 일측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됨에 따라 상부 및 하부에 탑 힌지(40a) 및 바텀 힌지(40b)가 제각기 구비된다.
카메라 행거(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C)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단부에 카메라(C)가 달려있다. 카메라 행거(40)는 카메라(C)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하부에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틸팅 어저스터(50)는 틸팅의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상부 아암(20)이나 하부 아암(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하여 상부 아암(20)이나 하부 아암(30)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부 아암(20)이나 하부 아암(30)은 틸팅 어저스터(50)에 의해 회전되면서 도 2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각도(경사각)가 조절된다.
여기서, 전술한 상부 아암(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태의 로드(21)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로드(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 브래킷의 상부 힌지(10a) 및 카메라 행거의 탑 힌지(40a)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부 아암(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아암(30)의 상부에서 하부 아암(30)과 평행을 이룬다.
로드(21)는 레벨러가 구비될 수 있다. 레벨러는 로드(21)의 길이를 가변시켜서 카메라 행거(40)의 수평을 조절한다. 레벨러는 예컨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21a), 바디(21b), 나사축(21c) 및 다이얼(21d)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헤드(21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1)가 분할되어 구성됨에 따라 상부 아암(20)의 일부분을 이루고, 단부가 카메라 행거(40)의 탑 힌지(40a)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바디(21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1)의 분할에 의해 상부 아암(20)의 나머지 일부분을 이루고, 피팅 브라켓(10)의 상부 힌지(40a)에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헤드(21a) 및 바디(21b)는 로드(21)가 2개로 분할됨에 따라 로드(21)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구성요소이다.
나사축(21c)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21a)에 아이들 가능하게 체결되어 바디(21b)의 심부에 나사결합된다. 나사축(21c)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에 의해 헤드(21a) 및 바디(21b)를 일체적으로 연결한다. 나사축(21c)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1b)의 암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후술되는 다이얼(21d)에 의해 피벗 회전된다.
다이얼(21d)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나사축(21c)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다이얼(21d)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나사(21e)에 의해 나사축(21c)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이얼(21d)은 도 3의 (a)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1)의 축중심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서 나사축(21c)을 피벗 회전시킨다. 이때, 다이얼(21d)은 나사축(21c)을 회전시켜서 헤드(21a)가 바디(21b)로부터 카메라 행거(4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다이얼(21d)의 회전에 의해 바디(21b)와 체결된 나사축(21c)이 나사결합방향 또는 나사해제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헤드(21a)가 바디(21b)로부터 멀어지거나 바디(21b)에 근접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로드(21)의 전체적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디(21b)에는 헤드(21a)의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을 따라 눈금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눈금에 중첩된 다이얼(21d)의 위치를 통해 헤드(21a)의 이동거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하부 아암(30)은 예컨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32) 및 크로스 핀(22a)으로 구성할 수 있다. 스틱(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이격상태로 병렬을 이룬다. 스틱(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 브래킷(10)의 하부 힌지(10b) 및 카메라 행거(40)의 바텀 힌지(40b)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스틱(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아암(20)의 하부에서 상부 아암(20)과 평행을 형성한다.
크로스 핀(22a)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틱(3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틱(32)들 사이에 수평 설치되어 스틱(32)들을 일체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스틱(32)들은 상하로 진동될 경우 크로스 핀(22a)에 의해 동일한 진폭으로 진동한다. 그리고, 스틱(32)들은 크로스 핀(22a)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좌우로 쉽게 진동하지 않는다, 즉, 스틱(32)들은 크로스 핀(22a)이 없을 경우 좌우로 롤링될 수 있으나, 크로스 핀(22a)이 구비될 경우 크로스 핀(22a)에 측방이 구속됨에 따라 좌우로 쉽게 롤링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 전술한 카메라 행거(40)는 판재나 막대로 구성할 수 있으나,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41)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캡(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탑 힌지(40a) 및 바텀 힌지(40b)가 일측의 측방에 마련되고, 상부를 통해 카메라(C)를 지지한다. 이러한 캡(41)은 카메라(C)를 지지하는 상부면 및 탑 힌지(40a)가 구비되는 후면으로 이루어진 절곡된 판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보다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3면이 절곡되어 상부면, 후면 및 양측면이 구비된 찬넬식 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41)은 카메라(C)의 장착용 볼트가 고정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장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행거(4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3) 및 체결부재(45)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캡(41)의 적어도 상단부를 감싸는 상태로 캡(41)에 결합되고, 상부에 카메라(C)가 장착되는 평판형의 시트가 마련된다. 즉, 커버(43)는 캡(41)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캡(41)의 상부에 씌워진다. 체결부재(4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로 구성된다. 체결부재(4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3)의 적어도 일측을 관통하여 캡(41)에 체결되면서 커버(43)를 캡(4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체결부재(45)는 커버(43)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커버(43)의 양측에 각각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행거(40)는 튜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튜너는 전술한 체결부재를 통해 캡(41)에 결합되는 커버(43)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커버의 시트를 설정된 각도로 보정한다. 즉, 튜너는 커버(43)의 상부면에 대한 각도를 보정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튜너는 예컨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3)의 측방에 형성되고, 체결부재(45)가 체결되는 장공 레일(43a)로 구성할 수 있다. 장공 레일(43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3)의 측방에 대략 수직을 이루는 호형의 장공으로 형성된다.
커버(43)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 레일(43a)에 체결된 체결부재(45)가 살짝 풀릴 경우, 타측(커버의 전방측)의 체결부재(45)를 중심으로 장공 레일(43a)의 호형태를 따라 편축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43)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 레일(43a)이 반대편으로 위치되도록 캡(41)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렇게 설치된 상태에서 전술한 방식으로 장공 레일(43a)의 호형태를 따라 편축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43)는 편축회전되면서 상부의 시트에 대한 각도, 즉 설치각도를 수평상태로 보정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커버(43)는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41)이 수평을 형성하지 못하여도 편축회전을 통해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에 장착된 카메라(C)를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튜너는 커버(43)의 경사도를 확인하여 전술한 장공 레일(43a)을 통해 커버(43)의 수평을 조절하도록, 커버(43)의 경사도를 표시하는 앵글 인디케이터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앵글 인디케이터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3)에 설치되는 분도기(44) 및/또는 수평자(45a)로 구성할 수 있다.
분도기(44)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3)에 설치되어 중력에 의해 하방을 수직으로 항상 지시하는 지시추(44a) 및 커버(43)에 마련되어 지시추(44a)의 경사를 눈금으로 표시하는 마커(44b)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분도기(44)는 마커(44b)의 눈금을 지시추(44a)가 표시하므로 커버(43)의 경사도를 정밀하게 표시할 수 있다.
수평자(45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를 갖는 물이 투시가능하게 내장된 부재이다. 수평자(45a)는 통상 물수평으로 불리우는 부재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3)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커버(43)의 측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수평자(45a)는 기포를 통해 커버(43)의 경사도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틸팅 어저스터(50)는 예컨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51a), 고정축(51c) 및 후술되는 텐셔너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스프링(51a)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고정축(51c)을 통해 피팅 브래킷(10)의 상부 힌지(10a) 및 카메라 행거(40)의 바텀 힌지(40b)에 양단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스프링(51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를 형성하면서 피팅 브래킷(10) 및 카메라 행거(40)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부 아암(20)이나 하부 아암(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을 향해 길게 배열된다. 이러한 스프링(51a)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텐셔너에 의해 신축되면서 발생되는 탄성력을 통해 상부 아암(20)이나 하부 아암(30)의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스프링(51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상태로 설치되므로 상부 아암(20)의 후단부에서 하부 아암(30)의 선단부를 향해 회전력을 제공한다. 즉, 스프링(51a)은 경사를 이루는 고정구조에 의해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에 양단이 모두 연결됨에 따라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에게 모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축(51c)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51a)의 양측에 결합되어 스프링(51a)의 양측을 피팅 브래킷(10)이나 카메라 행거(40)에 제각기 고정한다. 고정축(51c)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스프링(51a)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피팅 브래킷(10)이나 카메라 행거(40)에 고정된다. 고정축(51c)은 도 3의 (b)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를 갖는 볼트로 구성되어 일단이 카메라 행거(40)의 탑 힌지(40a)나 바텀 힌지(40b)에 관통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고정축(51c)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 부위가 후술되는 스프링(51a)의 너트(51b)에 체결되고, 헤드가 탑 힌지(40a)나 바텀 힌지(40b)의 관통공에 걸림에 따라 이탈이 방지된다. 이러한 고정축(51c)은 전술한 방식으로 타단이 피팅 브래킷(10)의 상부 힌지(10a)나 하부 힌지(10b)에 고정된다. 고정축(51c)은 전술한 방식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카메라 행거(40)의 바텀 힌지(40b)에 고정되고, 타단이 피팅 브래킷(10)의 상부 힌지(10a)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텐셔너는 예컨대,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고정축(51c)의 나사산 및 스프링(51a)의 단부에 결합된 너트(51b)로 구성할 수 있다. 너트(51b)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 및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너트(51b)는 외주면의 나사산에 의해 스프링(51a)의 내주면에 나사결합식으로 고정되고, 내주면의 나사산에 의해 고정축(51c)이 나사결합된다. 너트(51b)는 고정축(51c)이 피벗 회전할 경우 고정축(51c)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프링(51a)을 이완시키거나 긴장시킨다. 즉, 너트(51b)는 이동시 스프링(51a)을 신축시킨다. 따라서, 스프링(51a)은 너트(51b)에 의해 신축됨에 따라 회전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틸팅 어저스터(50)는, 전술한 스프링(51a)의 탄성력이 배가되도록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의 중앙 및 양측에 제각기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틸팅 어저스터(50)는 단수 또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의 중앙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의 양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틸팅 어저스터(50)는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의 양측에 설치될 경우, 스프링(51a)의 탄성력이 배가되어 강화되도록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이 한조를 이루는 상태로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아암(2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봉형태의 로드(21)로 구성될 경우, 전술한 틸팅 어저스터(50)가 중앙에 설치되도록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형의 설치공(2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부가 양갈래로 갈라져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틸팅 어저스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20a)에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피팅 브래킷(10)의 상부 힌지(10a)나 하부 힌지(10b)에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거치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벽체 또는 기둥과 같은 인공구조물(W)에 설치되기 전에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으로 구성된 붐의 경사각이 조절된다. 이때, 틸팅 어저스터(50)의 고정축(51c)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 회전하면서 나사결합된 스프링(51a)의 너트(51b)를 이동시킨다. 너트(51b)는 고정축(51c)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프링(51a)을 긴장시키거나 이완시켜서 스프링(51a)을 신축시킨다.
스프링(51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 브래킷(10)의 상부 힌지(10a) 및 카메라 행거(40)의 바텀 힌지(40b)에 양단이 고정된 고정축(51c)을 통해, 상부 아암(20)의 후단부 및 하부 아암(30)의 선단부에 경사상태로 연결된다. 스프링(51a)은 너트(51b)에 의해 긴장될 경우 하부 아암(30)의 선단을 피팅 브래킷(10)을 향해 당긴다. 따라서, 하부 아암(30)은 선단이 카메라 행거(40)의 바텀 힌지(40b)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후단이 피팅 브래킷(10)의 상부 힌지(10a)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에서 경사를 형성한다.
여기서, 전술한 스프링(51a)은 긴장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아암(30)의 선단을 당기는 동시에 상부 아암(20)의 후단부를 카메라 행거(40)를 향해 당긴다. 따라서, 상부 아암(20)은 피팅 브래킷(10)의 상부 아암(20) 및 카메라 행거(40)의 탑 힌지(40a)를 중심으로 하부 아암(30)과 함께 회전되면서 경사를 형성한다.
스프링(51a)은 틸팅 어저스터(50)가 복수로 구성되어 2개 이상으로 구성될 경우 탄성력이 배가됨에 따라 회전력을 강화시킨다. 이러한 스프링(51a)은 카메라 행거(40)에 설치되는 카메라(C)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력도 제공한다. 따라서, 스프링(51a)은 카메라(C)의 하중에 따라 실질적으로 수량이 결정된다.
특히, 스프링(51a)은 틸팅 어저스터(50)가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의 중앙 및 양측에 모두 구비될 경우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의 중앙 및 양측에 골고루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은 더욱 원활하게 틸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틸팅된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부 아암(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레벨러를 갖는 봉형태의 로드(21)로 구성될 경우, 다이얼(21d)이 회전되면서 로드(21)의 나사축(21c)을 피벗 회전시켜서 로드(21)의 헤드(21a)를 나사축(21c)의 길이방향을 따라 카메라 행거(40)가 배치된 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키거나 바디(21b)가 배치된 방향으로 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드(21a)는 헤드(21b)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에 의해 전체적인 길이가 가변되고, 이에 따라, 탑 힌지(40a)를 매개로 헤드(21a)와 연결된 카메라 행거(40)의 경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로드(21)가 헤드(21a)의 이동에 의해 전체적인 길이가 짧아질 경우, 즉, 헤드(21a)가 바디(21b)가 배치된 방향으로 후진 이동될 경우, 카메라 행거(40)의 탑 힌지(40a)를 당겨서 카메라 행거(40)의 캡(41)의 선단을 상부로 들어올린다.
반대로, 로드(21)가 헤드(21a)의 이동에 의해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질 경우, 즉, 헤드(21a)가 카메라 행거(40)가 배치된 방향으로 전진 이동될 경우, 카메라 행거(40)의 탑 힌지(40a)를 밀어서 카메라 행거(40)의 캡(41)의 선단을 하부로 숙이게 한다.
따라서, 카메라 행거(40)는,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에 의해 높이가 1차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2차적으로는 헤드(21a)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에 의해 경사도 또는 수평도가 정밀하게 설정될 수 있다.
캡(41)은 전술한 다이얼(21d)의 조정을 통해 경사각을 조절하기 힘들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3)에 마련된 장공 레일(43a) 및 체결부재(45)의 조작을 통해 커버(43)의 경사각을 조절하거나, 커버(43)를 반대로 장착하여 커버(43)를 수평상태로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C)는 수평상태로 카메라 행거(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43)의 분도기(44)나 수평자(45a)는 커버(43)의 수평을 표시한다.
다른 한편, 전술한 하부 아암(3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크로스 핀(22a)으로 연결된 한 쌍의 스틱(32)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스틱(32)이 카메라 행거(40)의 바텀 힌지(40b) 양측에 각각 고정되므로 수평방향의 롤링이 방지된다. 하지만, 상부 아암(20)은 전술한 봉형태의 로드(21)로 구성될 경우 로드(21)의 일단이 카메라 행거(40)의 탑 힌지(40a) 중앙에만 고정되므로 수평방향으로 롤링될 수 있다. 즉, 상부 아암(20)은 양쪽이 힌지에 고정되어 일단부에 2개의 고정부를 갖는 하부 아암(30)과 달리 일단부의 한곳만 힌지로 고정되므로 진동시 롤링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아암(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하부 아암(3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부 아암(2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아암(30)과 동일한 한 쌍의 스틱(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부 아암(20)은 전술한 하부 아암(30)과 같이 일단부의 2곳에 고정부가 구비되므로 롤링이 방지된다. 즉, 상부 아암(20)은 스틱들의 일단부 및 타단부 양측이 탑 힌지(40a) 및 상부 힌지(10a)에 고정되므로 롤링이 방지된다.
또 한편, 전술한 틸팅 어저스터(50)는 스프링(51a)의 탄성력이 강화되어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및 양측의 스프링(51a)들이 서로 'X'형태로 교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중앙의 틸팅 어저스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이 피팅 브래킷(10)의 상부 힌지(10a)에 고정되고, 선단이 카메라 행거(40)의 바텀 힌지(40b)에 고정된다. 그리고, 양측의 틸팅 어저스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이 피팅 브래킷(10)의 하부 힌지(10b)에 고정되고, 선단이 카메라 행거(40)의 탑 힌지(40a)에 고정된다. 따라서, 중앙 및 양측의 틸팅 어저스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되어 탄성력을 교차상태로 제공한다. 이로 인하여,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은 양단에 스프링(51a)의 탄성력에 의한 회전력이 전이되므로 원활하게 틸팅한다.
다른 한편, 틸팅 어저스터(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승강 스테이지(60)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통상의 크로스 볼 스테이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 스테이지(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 브래킷(10)에 장착되고, 상부 아암(20)이나 하부 아암(30)이 연결되는 상부 힌지(10a)나 하부 힌지(10b)가 구비되어 피팅 브래킷(10)에 상부 힌지(10a)나 하부 힌지(10b)를 제공한다. 승강 스테이지(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 브래킷(10)에 고정된 상태로 상부 힌지(10a)나 하부 힌지(10b)를 이동시켜서 상부 힌지(10a)나 하부 힌지(10b)의 이동을 통해 틸팅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부 아암(20)이나 하부 아암(30)을 회전시킨다.
승강 스테이지(60)는 도 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 브래킷(10)에 고정되는 고정판(61)과, 이러한 고정판(6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중첩되고, 전술한 요크가 장착되어 전술한 상부 힌지(10a)나 하부 힌지(10b)가 구비된 이동판(62) 및 이러한 이동판(62)을 이동시키는 로드가 구비된 노브(63)로 구성된다. 승강 스테이지(60)는 노브(63)의 조작(회전)에 의해 로드가 출몰한다. 승강 스테이지(60)는 출몰하는 로드에 이동판(62)이 연결됨에 따라 이동판(62)이 이동한다. 이에 따라, 승강 스테이지(60)는 이동판(62)의 이동에 의해 상부 힌지(10a)나 하부 힌지(10b)를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킨다. 따라서, 승강 스테이지(60)는 상부 힌지(10a)나 하부 힌지(10b)의 이동을 통해 상부 아암(20)이나 하부 아암(30)을 이동시킨다. 이때, 상부 아암(20)이나 하부 아암(30)은 이동판(62)의 이동에 의해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를 형성하면서 선단부가 원래의 회전곡률(R)을 따라 승강한다. 이로 인하여, 상부 아암(20)이나 하부 아암(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가 실질적으로 이동하여 이동거리(L)가 발생됨에 따라 틸팅한다.
결론적으로, 승강 스테이지(60)는 상부 아암(20)이나 하부 아암(30)의 일단부를 승강시켜서 이동거리(L)를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상부 아암(20)이나 하부 아암(30)에 회전시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부 아암(20)이나 하부 아암(30)을 틸팅시킨다. 이러한 승강 스테이지(60)는 다양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기이므로 당 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이다. 특히, 승강 스테이지(60)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373044호의 승강 스테이지 장치와 대동소이하게 구성된 통상의 장치이다. 따라서, 승강 스테이지(60)에 대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앞서 설명된 피팅 브래킷(10)이나 승강 스테이지(60)는 외부의 차량이동 등에 의해 인공구조물(W)에 진동이 전달될 경우, 전술한 상부 힌지(10a) 및 하부 힌지(10b)를 통해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으로 진동이 전이된다. 그리고, 카메라 행거(40)의 탑 힌지(40a) 및 바텀 힌지(40b)를 통해 카메라 행거(40)로 진동이 전이된다. 이때, 진동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이 경사를 형성할 경우,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이 피팅 브래킷(10)의 상부 힌지(10a) 및 하부 힌지(10b)를 기점으로 절곡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절곡된 진동 전달경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진동은 절곡된 진동경로로 인하여 굴절되면서 강도(진폭)가 감쇠된다. 또한, 진동은 붐이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으로 분할됨에 따라 추가적으로 강도가 감쇠된 후 카메라 행거(40)에 전달된다. 더욱이, 진동은 틸팅 어저스터(50)의 스프링(51a)으로 전달될 경우, 스프링(51a)이 신축함에 따라 좀더 추가적으로 강도가 감쇠된다. 따라서, 카메라 행거(40)는 최종적으로 진동이 대폭 감쇠되므로 종래와 같이 극심하게 떨리지 않는다.
카메라 행거(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상 수직으로 배열된 2개의 힌지점, 즉 탑 힌지(40a) 및 바텀 힌지(40b)를 통해 캡(41)의 일측 상부 및 하부가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에 구속되므로 진동시 상하로 떨림이 방지된다. 즉, 카메라 행거(40)는 도시된 바와 달리 1개의 힌지점으로 구성될 경우 진동시 힌지가 1개이므로 힌지를 중심으로 극심하게 상하로 떨릴 수 있다. 하지만, 카메라 행거(40)는 위와 같이 수직으로 배열된 2개의 힌지점으로 구성될 경우 극심한 떨림이 방지된다. 왜냐하면, 카메라 행거(40)는 진동이 전이될 경우, 탑 힌지(40a)나 바텀 힌지(40b)를 중심으로 캡(41)이 회전되면서 상부로 들리거나 하부로 숙여지려고 한다. 하지만, 캡(41)은 탑 힌지(40a)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자유단이 상부로 들리려고 할 경우, 바텀 힌지(40b)에 연결된 하부 아암(30)의 구속으로 인하여 들리지 않는다. 그리고, 캡(41)은 바텀 힌지(40b)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자유단이 하부로 숙여지려고 할 경우, 탑 힌지(40a)에 연결된 상부 아암(20)의 구속으로 인하여 숙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카메라 행거(40)는 진동시 심하게 떨리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카메라 행거(40)는 진동의 발생시 전술한 바와 같은 2개의 힌지점으로 인하여 거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카메라 행거(40)의 캡(41)이나 커버(43)는 진동시 탑 힌지(40a) 및 바텀 힌지(40b)로 인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카메라 행거(40)는 도 8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에 의해 상부 아암(20)이 회전곡률(R)을 따라 상승하여 상향경사를 형성할 경우,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3) 및 캡(41)이 상부 아암(20)과 동일한 경사각(상향경사 상태)을 유지하려고 한다. 이때, 하부 아암(30)은 선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곡률(R)을 따라 회전하지 못한다. 즉, 하부 아암(30)은 진동시 도 8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30a) 및 회전곡률(R)이 만나는 상부 이동점(C1)으로 이동되어야 하지만 타단부(후단부)가 피팅 브래킷(10)의 하부 힌지(10b)에 고정됨에 따라 상부 이동점(C1)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 행거(40)는 탑 힌지(40a) 및 상부 이동점(C1)과 이격거리(L3)가 발생하여 이격거리(L3)만큼 바텀 힌지(40b)가 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카메라 행거(40)는 하부 아암(30)의 선단에 바텀 힌지(40b)가 연결됨에 따라 일측의 하부가 하부 아암(30)에 구속되어 상부 아암(20)의 상향경사시 자유단측이 숙여지면서 수평을 유지한다. 즉, 카메라 행거(40)는 상부 아암(20)의 진동에 의한 상승시 상부 이동점(C1)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하부 아암(30)에 의해 실질적으로 바텀 힌지(40b)가 하부 아암(30)으로 당겨짐에 따라 상향경사를 이루는 상부 아암(20)의 경사각에 비례하여 경사각이 보상되면서 수평을 유지한다.
이와 반대로, 카메라 행거(40)는 도 8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에 의해 하부 아암(30)이 회전곡률(R)을 따라 하강하여 하향경사를 형성할 경우,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3) 및 캡(41)이 하부 아암(30)과 동일한 경사각(하향경사 상태)을 유지하려고 한다. 이때, 상부 아암(20)은 선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곡률(R)을 따라 회전하지 못한다. 즉, 상부 아암(20)은 진동시 도 8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20b) 및 회전곡률(R)이 만나는 하부 이동점(C2)으로 이동되어야 하지만 타단부(후단부)가 피팅 브래킷(10)의 상부 힌지(10a)에 고정됨에 따라 하부 이동점(C2)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 행거(40)는 탑 힌지(40a) 및 하부 이동점(C2)과 이격거리(L4)가 발생하여 이격거리(L4)만큼 탑 힌지(40a)가 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카메라 행거(40)는 상부 아암(20)의 선단에 탑 힌지(40a)가 연결됨에 따라 일측의 상부가 상부 아암(20)에 구속되어 하부 아암(30)의 하향경사시 자유단측이 들어올려지면서 수평을 유지한다. 즉, 카메라 행거(40)는 하부 아암(30)의 진동에 의한 하강시 하부 이동점(C2)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상부 아암(20)에 의해 실질적으로 탑 힌지(40a)가 상부 아암(20)으로 당겨짐에 따라 하향경사를 이루는 하부 아암(30)의 경사각에 비례하여 경사각이 보상되면서 수평을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카메라 행거(40)는 진동에 의한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의 상향 또는 하향경사시 전술한 바와 같은 선단측 이격거리(L3, L4)로 인하여 경사도가 보정되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행거(40)는 도 8의 중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의 수평에 의해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의 선단이 회전곡률(R)의 궤적에 위치할 경우 전술한 이격거리(L3, L4)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수평을 유지한다. 따라서, 카메라 행거(40)는 진동시에도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카메라 행거(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의 경사시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이 회전곡률(R)을 따라 이동하므로 수평상태일 경우 보다 자유단이 내측으로 이동(L1, L2)로 이동하여 수평을 유지한다.
한편, 상부 아암(20)은 차량이 빈번하게 통행하는 지역 등과 같이 반복적인 진동이 발생되는 지역에 설치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의 가변을 통해 캡(41)의 경사각을 반복적인 진동에 적합한 각도로 사전에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아암(20)은 길이가변이 가능하도록 전술한 바와 같은 도시된 로드(21)로 구성되어야 하고, 로드(21)에 장착된 전술한 다이얼(21d)의 조작을 통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아암(20)은 다이얼(21d)의 조작에 의해 길이가 가변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힌지(40a)를 바텀 힌지(40b)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캡(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이 들어올려지거나 숙여지는 상태로 경사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적인 진동의 발생에 의해 캡(41)이 약간 하강할 경우, 상부 아암(20)은 캡(41)의 하강길이(DL)에 대응하도록 길이가 짧게 가변되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41)을 들어올려준다. 이때, 탑 힌지(4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힌지(40b)의 약간 후방(도면상 우측 방향)에 위치된다. 그리고, 캡(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C)가 설치되는 커버(43)가 상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C)는 커버(43)가 수평을 유지하므로 평상시 수평상태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카메라(C)는 수평을 이루면서 피사체(S)의 높이(SH)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피사체(S)를 촬영한다.
반면, 진동이 발생할 경우, 캡(41)은 상부 아암(20) 및/또는 하부 아암(30)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함에 따라 탑 힌지(40a)를 중심으로 일측이 회전한다. 이때, 캡(41)은 탑 힌지(40a) 및 바텀 힌지(40b)의 위치가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의 하강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의 기준점(V) 보다 앞쪽(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탑 힌지(40a)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러한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각(A)으로 인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측이 들어올려진다. 이에 따라, 캡(41)은 하강길이(DL)에 대응하는 높이로 선단측이 들어올려진다. 즉, 캡(41)은 탑 힌지(4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선단의 위치가 하강길이(DL)에 대응하도록 보상된다. 그리고, 카메라(C)는 이러한 캡(4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위가 들어올려지므로 촛점을 피사체(S)의 높이(SH)에 지속적으로 일치시켜서 피사체(S)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카메라(C)는 진동의 발생시 캡(4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의 경사가 형성되지만 촛점을 피사체(S)의 높이(SH)와 지속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C)는 진동이 발생되어도 피사체(S)를 계속해서 촬영할 수 있으며, 촛점이 계속해서 피사체(S)의 높이(SH)에 대응하므로 거의 흔들림 없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참고: 영상 관람자는 진동 전후의 피사체 높이가 영상에서 거의 일정하므로 진동에 의해 카메라가 흔들린 것을 사실상 모를 정도임)
여기서, 전술한 캡(41)은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이 하강 후 다시 상승할 경우,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어 수평을 유지한다. 이때, 캡(41)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에 의해 탑 힌지(40a)를 중심으로 다시 회전되면서 원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카메라(C)는 계속해서 피사체(S)의 높이(SH)에 대응하는 높이로 촛점이 유지된다.
한편, 캡(4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달리 선단측이 들어올려지지 않고, 선단측이 숙여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부 아암(20)은 전술한 반대로 길이가 길어져서 탑 힌지(40a)를 바텀 힌지(40b)의 약간 전방(도면상 좌측 방향)에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캡(41)은 탑 힌지(40a)를 중심으로 경사를 형성하면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측이 하부로 숙여진다. 이러한 캡(41)은 상부에 커버(43)가 수평상태로 설치되며, 진동에 의해 상부 아암(20) 및/또는 하부 아암(30)이 상승할 경우 탑 힌지(40a)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숙여진 상태에서 선단측이 들어올려진다. 따라서, 캡(41)은 이러한 동작을 통하여 커버(43)에 설치된 카메라(C)의 촛점을 피사체(S)의 높이(SH)에 지속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앞서 설명된 내용과 대동상이하므로 더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한편, 캡(4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로드(21)의 길이를 통해 탑 힌지(40a)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반복적인 진동에 대응하도록 들어올려지거나 숙여질 수 있으나, 전술한 도 6 내지 도 8의 승강 스테이지(60)를 통해 탑 힌지(40a)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들어올려지거나 숙여질 수도 있다. 즉, 캡(4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 스테이지(60)의 노브(63)가 조작되어 상부 아암(20)이나 하부 아암(30)의 선단이 이동될 경우, 상부 아암(20)이나 하부 아암(30)의 선단측 이동에 의해 탑 힌지(40a)나 바텀 힌지(40b)의 위치가 가변되므로 이를 통해 들어올려지거나 숙여질 수 있다. 이러한 승강 스테이지(60)에 의한 상부 아암(20) 및 하부 아암(30)의 선단측 이동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되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론적으로, 캡(41)은 전술한 로드(21) 또는 승강 스테이지(60)에 의해 들어올려지거나 숙여질 수 있으며, 즉 경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복적인 진동에 대하여 사전에 대비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피팅 브래킷 10a: 상부 힌지
10b: 하부 힌지 20: 상부 아암
21: 로드 21a: 헤드
21b: 바디 21c: 나사축
21d: 다이얼 32: 스틱
22a: 크로스 핀 30: 하부 아암
40: 카메라 행거 40a: 탑 힌지
40b: 바텀 힌지 41: 캡
43: 커버 43a: 장공 레일
44: 분도기 45: 체결부재
45a: 수평자 50: 틸팅 어저스터
51a: 스프링 51b: 너트
51c: 고정축 60: 승강 스테이지
61: 고정판 62: 이동판
63: 노브

Claims (11)

  1. 인공구조물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상부 및 하부에 상부 힌지 및 하부 힌지가 수평으로 마련되는 피팅 브래킷;
    상기 피팅 브래킷의 상부 힌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틸팅하는 상부 아암;
    상기 피팅 브래킷의 하부 힌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상부 아암과 평행을 이루면서 함께 틸팅하는 하부 아암;
    상기 상부 아암 및 하부 아암의 타단부가 제각기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탑 힌지 및 바텀 힌지가 일측의 상부 및 하부에 수평상태로 마련되고, 카메라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달리는 카메라 행거; 및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틸팅의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틸팅 어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아암은,
    상기 피팅 브래킷의 상부 힌지 및 상기 카메라 행거의 탑 힌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하부 아암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 아암과 평행을 이루는 봉형태의 로드;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아암은, 상기 로드의 길이를 가변시켜서 상기 카메라 행거의 각도를 조절하는 레벨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벨러는,
    상기 로드가 분할되어 구성됨에 따라 상기 상부 아암의 일부분을 이루고, 단부가 상기 카메라 행거의 탑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헤드;
    상기 로드의 분할에 의해 상기 상부 아암의 나머지 일부분을 이루고, 상기 피팅 브라켓의 상부 힌지에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바디;
    상기 헤드에 체결되어 상기 바디의 심부에 회전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헤드 및 바디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나사축; 및
    상기 나사축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켜서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된 상기 헤드를 상기 카메라 행거가 배치된 방향 또는 상기 바디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거치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아암은,
    상기 피팅 브래킷의 상부 힌지 및 상기 카메라 행거의 탑 힌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하부 아암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 아암과 평행을 형성하고, 이격상태로 병렬을 이루는 한 쌍의 스틱; 및
    상기 한 쌍의 스틱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틱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스틱들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크로스 핀;을 포함하는 카메라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아암은,
    상기 피팅 브래킷의 하부 힌지 및 상기 카메라 행거의 바텀 힌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상부 아암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아암과 평행을 형성하고, 이격상태로 병렬을 이루는 한 쌍의 스틱; 및
    상기 한 쌍의 스틱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틱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스틱들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크로스 핀;을 포함하는 카메라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행거는,
    상기 탑 힌지 및 바텀 힌지가 일측의 측방에 마련되고, 상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를 지지하는 캡;으로 구성된 카메라 거치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어저스터는,
    상기 피팅 브래킷 및 상기 카메라 행거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을 향해 신축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양측을 상기 피팅 브래킷이나 상기 카메라 행거에 제각기 고정하는 고정축; 및
    상기 스프링을 상기 고정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텐셔너;를 포함하는 카메라 거치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는,
    상기 스프링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너트; 및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카메라 거치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어저스터는,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의 중앙 및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카메라 거치대.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어저스터는,
    상기 피팅 브래킷의 상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 행거의 일측 하부에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에 대해 경사를 이루면서 상기 스프링의 신축을 통해 틸팅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카메라 거치대.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어저스터는,
    상기 피팅 브래킷 및 상기 행거의 사이에 교차상태로 설치되도록 복수로 구성되어 각각의 양단부가 상기 피팅 브래킷 및 상기 행거에 교차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신축을 통해 상기 상부 아암 및 상기 하부 아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각기 틸팅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카메라 거치대.
  11. 인공구조물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상부 및 하부에 상부 힌지 및 하부 힌지가 수평으로 마련되는 피팅 브래킷;
    상기 피팅 브래킷의 상부 힌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틸팅하는 상부 아암;
    상기 피팅 브래킷의 하부 힌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상부 아암과 평행을 이루면서 함께 틸팅하는 하부 아암;
    상기 상부 아암 및 하부 아암의 타단부가 제각기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탑 힌지 및 바텀 힌지가 일측의 상부 및 하부에 수평상태로 마련되고, 카메라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달리는 카메라 행거; 및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틸팅의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틸팅 어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 어저스터는,
    상기 피팅 브래킷 및 상기 카메라 행거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을 향해 신축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양측을 상기 피팅 브래킷이나 상기 카메라 행거에 제각기 고정하는 고정축; 및
    상기 스프링을 상기 고정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텐셔너;를 포함하며,
    상기 틸팅 어저스터는,
    상기 피팅 브래킷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이 연결되는 상기 상부 힌지나 하부 힌지가 구비되어 상기 피팅 브래킷에 상기 상부 힌지나 하부 힌지를 제공하며, 상기 피팅 브래킷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상부 힌지나 하부 힌지를 이동시켜서 상기 상부 힌지나 하부 힌지의 이동을 통해 틸팅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상부 아암이나 하부 아암을 회전시키는 승강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스테이지는,
    상기 피팅 브래킷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중첩되고 상기 상부 힌지나 하부 힌지가 구비된 이동판; 및
    상기 이동판을 이동시키는 로드가 구비된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거치대.
KR1020170026904A 2017-03-02 2017-03-02 카메라 거치대 KR101832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904A KR101832935B1 (ko) 2017-03-02 2017-03-02 카메라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904A KR101832935B1 (ko) 2017-03-02 2017-03-02 카메라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935B1 true KR101832935B1 (ko) 2018-02-28

Family

ID=6140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904A KR101832935B1 (ko) 2017-03-02 2017-03-02 카메라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9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638B1 (ko) 2018-06-05 2019-05-31 황원선 카메라 거치대
KR102122074B1 (ko) * 2019-02-15 2020-06-11 (주)알디텍 선박용 스크린 골프 장치
KR20210132506A (ko) 2020-04-27 2021-11-04 황순범 카메라 거치대
US11892122B2 (en) 2021-09-27 2024-02-06 Sunbeom HWANG Vibration-proof hanger
KR102644516B1 (ko) * 2023-06-19 2024-03-07 대한도로페인트(주) 도로 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8407A (ja) * 2002-05-24 2003-12-05 Victor Co Of Japan Ltd 可搬型ビデオカメラの支持装置
JP2006301621A (ja) * 2005-04-15 2006-11-02 Sachtler Gmbh & Co Kg スプリングアームおよびボディサポート
JP2011526742A (ja) * 2008-01-07 2011-10-13 グォグ、ス−マン ディスプレイ装置用アームスタン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8407A (ja) * 2002-05-24 2003-12-05 Victor Co Of Japan Ltd 可搬型ビデオカメラの支持装置
JP2006301621A (ja) * 2005-04-15 2006-11-02 Sachtler Gmbh & Co Kg スプリングアームおよびボディサポート
JP2011526742A (ja) * 2008-01-07 2011-10-13 グォグ、ス−マン ディスプレイ装置用アームスタンド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638B1 (ko) 2018-06-05 2019-05-31 황원선 카메라 거치대
WO2019235764A1 (ko) * 2018-06-05 2019-12-12 Hwang Won Sun 카메라 거치대
KR102122074B1 (ko) * 2019-02-15 2020-06-11 (주)알디텍 선박용 스크린 골프 장치
KR20210132506A (ko) 2020-04-27 2021-11-04 황순범 카메라 거치대
KR102394228B1 (ko) * 2020-04-27 2022-05-04 황순범 카메라 거치대
US11892122B2 (en) 2021-09-27 2024-02-06 Sunbeom HWANG Vibration-proof hanger
KR102644516B1 (ko) * 2023-06-19 2024-03-07 대한도로페인트(주) 도로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935B1 (ko) 카메라 거치대
KR101984638B1 (ko) 카메라 거치대
US9574706B2 (en) Folding image stabilizer
CN111076044A (zh) 竖向增稳机构、云台装置及拍摄设备
US9052573B2 (en) Video camera motion stabilizing device
EP1612599A1 (en) Panorama photograping support device
WO2019178881A1 (zh) 竖向增稳机构、云台装置以及拍摄系统
US20070019949A1 (en) Stand apparatus for photographic uses
CN101273229A (zh) 尤其用于摄像的单脚架支承件流体阻尼
KR101567926B1 (ko)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의 세부 정보를 보정 처리하는 수치지도 편집 시스템
US11204296B2 (en) Horizontal instrument, a supporting device and a method for adjusting the bearing surface of the supporting device to be horizontal
JP2017102138A (ja) 水平位置調節装置付き三脚
KR20060133854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높이 조절 구조
US20150184791A1 (en) Adjustable support
US10095092B2 (en) Articulated stabilizer frame for monopod
KR20100079807A (ko) 액체로켓엔진 노즐 확장부 조립장치
CN110823188A (zh) 一种全自动地形图测绘装置及测绘方法
JP5215564B2 (ja) クレーン用カメラ取付装置
CN110785600B (zh) 增稳装置及云台装置
EP1351093A1 (en) Support for an anti-blurring adapter and an objective lens
KR200428025Y1 (ko) 카메라용 크레인
KR101910433B1 (ko) 정밀 수준측량용 장비와 삼각 받침대 고정장치
CN207399368U (zh) 手持云台
KR20080006657A (ko) 카메라용 크레인
US5203871A (en) Tripod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sensing means for a camco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