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401B1 - 내충격력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내충격력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401B1
KR100921401B1 KR1020080027899A KR20080027899A KR100921401B1 KR 100921401 B1 KR100921401 B1 KR 100921401B1 KR 1020080027899 A KR1020080027899 A KR 1020080027899A KR 20080027899 A KR20080027899 A KR 20080027899A KR 100921401 B1 KR100921401 B1 KR 100921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object
weight
impact resistance
dr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219A (ko
Inventor
오정근
Original Assignee
제일타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타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타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7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401B1/ko
Publication of KR20080033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01N3/303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generated only by free-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1Impul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충격력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비의 내부에 구성되어 충격력을 직접 받게 되는 다양한 시험 대상물을 다단계의 높이에서 상이한 충격력을 미리 가하거나, 동일 충격력을 반복적으로 가하여 그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관리함으로써 객관적인 데이터 확보, 시험 대상물별 내충격력 수치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성을 높인 내충격력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관리자가 상시 대기할 필요가 없이 낙하높이와 낙하 횟수만을 최초에 설정하게 되면, 시험대상물이 파손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무게추를 시험대상물에 낙하시키게 되므로 매우 경제적이고, 시험대상물의 파손 여부도 역시 자동으로 화상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으므로 매우 정밀하게 객관적인 시험대상물의 내충격력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내충격력, 시험대상물, 충격응력, 시험장치.

Description

내충격력 시험장치{IMPACT RESISTANCE FORCE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내충격력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장비의 내부에 구성되어 충격력을 직접 받게 되는 다양한 시험 대상물을 다단계의 높이에서 상이한 충격력을 미리 가하거나, 동일 충격력을 반복적으로 가하여 그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관리함으로써 객관적인 데이터 확보, 시험 대상물별 내충격력 수치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성을 높인 내충격력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작동시 충격력이 직접 대상물이나 기계 장치에 가해지는 시험 대상물의 경우에는 그 지지응력, 또는 구조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응력이 확보되어야만 한다. 즉, 내충격력이 구조체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확보되어야만 충격력을 받는 구조체의 재질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별도의 충격 시험장치가 거의 전무하고, 그 충격 시험을 통한 데이터 확보, 관리, 출력을 위한 장치가 전무하므로 객관적으로 해당 시험 대상물들의 내충격력 데이터를 확보하여 관리할 수가 없었다.
단지, 시험 대상물을 직접 장치에 취부하여 사용도중 해당 시험 대상물이 파손되게 되면 교체하는 수준으로 별도의 시험을 통한 개선방향이 없고, 현장에서 직 접 사용한 후, 해당 시험 대상물이 손상되면 부품을 교체하는 정도의 사용이 이루어졌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장비의 내부에 구성되어 충격력을 직접 받게 되는 다양한 시험 대상물을 다단계의 높이에서 상이한 충격력을 미리 가하거나, 동일 충격력을 반복적으로 가하여 그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관리함으로써 객관적인 데이터 확보, 시험 대상물별 내충격력 수치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성을 높인 내충격력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험대상물(80)을 고정하기 위해 장치의 하부에 구비된 시험대상물 고정부(40)와;
상기 시험대상물 고정부(4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어, 무게추(20)의 낙하를 가이드하기 위한 낙하 가이드부(4)와;
상기 낙하 가이드부(4)에 의해 승강되게 가이드되며, 무게추(20)의 낙하 높이를 결정하도록 일정높이까지 상기 무게추(20)를 취부한 상태로 승강 구동되고, 기설정 낙하높이에서 상기 무게추(20)를 낙하시키기는 낙하높이 결정부(30)와;
미리 낙하높이와 낙하 횟수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낙하높이 결정부(30)를 구동 제어하여 일정높이까지 상기 무게추(20)를 취부하여 이동하도록 하며, 기설정 높이로 이동시 상기 낙하높이 결정부(30)를 제어하여 무게추(20)의 취부를 해제시켜 낙하되게 하는 제어를 기설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시험 대상물의 내 충격력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부(60)를 포함하는 내 충격력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험대상물 고정부(40)와, 낙하 가이드부(4)와, 낙하높이 결정부(30)를 밀폐시키기 위한 흡음 구조물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흡음 구조물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벽체(52)와; 상기 벽체(52)의 내부면에 고정되며, 흡음 소재로 이루어진 흡음 시트(54)와; 상기 벽체(52)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그 절개부에 결합된 투시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충격력 시험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충격력 시험장치는 시험대상물 고정부(40)와, 낙하 가이드부(4)와, 낙하높이 결정부(30)를 밀폐시키기 위한 흡음 구조물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흡음 구조물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벽체(52)와; 상기 벽체(52)의 내부면에 고정되며, 흡음 소재로 이루어진 흡음 시트(54)와; 상기 벽체(52)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그 절개부에 결합된 투시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력 시험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험대상물 고정부(40)는 그 하단을 구성하는 수평결합판(74)과; 상기 수평결합판(74)과 볼트(86)에 의해 수직되게 장착되며, 그 전면 소정부에 적층부(92)가 형성된 수직판(82)과; 상기 수직판(82)에 형성된 적층부(92)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수직판(82)에 볼트(76) 결합되며, 몸체가 이분되어 그 상단 중앙에 시험대상물(80)을 삽입한 상태에서 볼트(78)에 의해 고정되는 제 1, 2 결합판(73,72)과; 상기 수직판(82)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시험대상물(80)의 파손시 파편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판(4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력 시험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낙하 가이드부(4)는 상호 맞대어져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상호 맞대어진 내부에 무게추(20)가 낙하되는 낙하공간이 형성되고, 그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8)가 형성된 제 1, 2 결합판(5, 6)과; 상기 제 1, 2 결 합판(5, 6)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제 1, 2 결합판(5, 6)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고정된 가이드봉(10)과; 상기 가이드봉(10)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판(1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력 시험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낙하높이 결정부(30)는 상기 가이드봉(10)에 승강되게 결합되는 관통공(36)이 형성된 이동판(32)과; 상기 이동판(32)의 하면에 방사형으로 장착되어, 그 로드(35)의 인/출입으로 인해 상기 무게추(20)를 파지 및 파지 해제하기 위한 실린더(34)와; 상기 이동판(32)의 소정부에 결합되어 승강력을 전달하기 위한 실린더 로드(18)와; 상기 실린더 로드(18)를 인출입 구동시켜 상기 이동판(32)을 승강시키며, 상기 상부판(12)에 장착된 승강용 실린더(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력 시험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트롤부(60)는 그 내부에 시험장치에 전원을 투입하기 위한 메인 전원스위치(62)와; 상기 무게추(20)의 낙하높이에 상응해서 시험대상물에 가해지는 충격력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무게추(20)의 낙하높이 및 낙하 횟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66)와; 상기 무게추(20)의 기 낙하횟수를 표시하기 위한 LED(68)와; 상기 무게추(20)에 의한 시험대상물의 형상 변형이나 파손 데이터를 지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출력부(70)와; 상기 입력부(66)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용 실린더(14) 및 실린더(34)를 제어하여 무게추(20)의 낙하 높이 및 횟수를 제어하며, 그 시험대상물의 상태 데이터를 지면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력 시험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판(44)의 내측면 소정부에는 상기 시험대상물(80)의 상태를 캡쳐하기 위한 카메라(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력 시험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판(12)의 하면 소정부에는 상기 이동판(32)의 상승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1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력 시험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에는 시험대상물(80)의 최초 상태가 촬상되어 기준화상 데이터로 저장되어져 있으며, 상기 시험대상물(80)의 상태를 카메라(50)가 캡쳐하게 되면 상기 마이컴이 촬상 화상데이터와 기준 화상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시험대상물(80)의 파손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해당 시험대상물에 대한 충격력 시험을 지속할 것인지를 판단하도록 마이컴이 프로그램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력 시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는 관리자가 상시 대기할 필요가 없이 낙하높이와 낙하 횟수만을 최초에 설정하게 되면, 시험대상물이 파손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무게추를 시험대상물에 낙하시키게 되므로 매우 경제적이고, 시험대상물의 파손 여부도 역시 자동으로 화상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으므로 매우 정밀하게 객관적인 시험대상물의 내충격력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중 시험 대상물 고정부를 도시한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2)는 장비의 내부에 구성되어 충격력을 직접 받게 되는 다양한 시험 대상물을 다단계의 높이에서 상이한 충격력을 미리 가하거나, 동일 충격력을 반복적으로 가하여 그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관리함으로써 객관적인 데이터 확보, 시험 대상물별 내충격력 수치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성을 높인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2)는 시험대상물(80)을 고정하기 위해 장치의 하부에 구비된 시험대상물 고정부(40)가 구비되어져 있는 바, 그 시험대상물 고정부(40)는 그 하단을 구성하는 수평결합판(74)이 하부판(42)의 상면에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수평결합판(74)과 볼트(86)에 의해 수직되게 장착되며, 그 전면 소정부에 적층부(92)가 형성된 수직판(82)이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수직판(82)은 상기 수평 결합판(74)의 전단에 수직으로 볼트(86)로 고정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수직판(82)에 형성된 적층부(92)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수직판(82)에 볼트(76) 결합되며, 몸체가 이분되어 그 상단 중앙에 시험대상물(80)을 삽입한 상태에서 볼트(78)에 의해 고정되는 제 1, 2 결합판(73,72)이 구비되는 바, 그 제 1, 2 결합판(73,72)이 볼트(78)의 해제로 인해 분리된 상태에서, 제 1, 2 결합판(73,72)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홈(88)에 시험대상물(80)이 요입되고 상기 볼트(78)가 체결되어 시험대상물(80)을 고정시키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판(82)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시험대상물(80)의 파손시 파편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판(44)이 구성되며, 그 측판(44)은 상단에는 덮개판(46)이 장착되어져 상기 시험대상물(80)의 파손시 파편이 튀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하부판(42)의 하면 네모서리부에는 각각 고정다리(48)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2)에는 상기 시험대상물 고정부(4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어, 무게추(20)의 낙하를 가이드하기 위한 낙하 가이드부(4)가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낙하 가이드부(4)는 상호 맞대어져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상호 맞대어진 내부에 무게추(20)가 낙하되는 낙하공간이 형성되고, 그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8)가 형성된 제 1, 2 결합판(5, 6)과; 상기 제 1, 2 결합판(5, 6)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제 1, 2 결합판(5, 6)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고정된 가이드봉(10)과; 상기 가이드봉(10)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판(12)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 1, 2 결합판(5, 6)은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무게추(20)가 내부에 낙하 가능하게 수용 될 수 있는 낙하공간이 형성되어져 있고, 그 외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8)가 형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8)가 형성된 이유는 후술하는 실린더 로드(35)가 그 절개부(8)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무게추(20)의 하면을 지지하여 그 무게추(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승강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2)에는 상기 낙하 가이드부(4)에 의해 승강되게 가이드되며, 무게추(20)의 낙하 높이를 결정하도록 일정높이까지 상기 무게추(20)를 취부한 상태로 승강 구동되고, 기설정 낙하높이에서 상기 무게추(20)를 낙하시키기는 낙하높이 결정부(30)가 구성된다.
상기 낙하높이 결정부(30)는 상기 가이드봉(10)에 승강되게 결합되는 관통공(36)이 형성된 이동판(32)과; 상기 이동판(32)의 하면에 방사형으로 장착되어, 그 로드(35)의 인/출입으로 인해 상기 무게추(20)를 파지 및 파지 해제하기 위한 실린더(34)와; 상기 이동판(32)의 소정부에 결합되어 승강력을 전달하기 위한 실린더 로드(18)와; 상기 실린더 로드(18)를 인출입 구동시켜 상기 이동판(32)을 승강시키며, 상기 상부판(12)에 장착된 승강용 실린더(14)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판(32)은 원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1, 2 결합판(5,6)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그 제 1, 2 결합판(5,6)을 따라 승강되게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10)은 상기 하부판(42)의 상면에 입설되게 구성되되, 상기 제 1, 2 결합판(5,6)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입설되어져 있으며, 상기 이동판(32)에 형성된 관통공(36)이 상기 가이드봉(10)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판(32)은 상기 가이드봉(10)을 따라 승강하게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승강용 실린더(14)의 로드(18)는 그 끝단이 상기 이동판(32)의 소정부에 결합되어져 있는 바, 상기 승강용 실린더(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이동판(32)이 승강력을 제공받아 승강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상부판(12)의 상면에는 상기 승강용 실린더(14)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박스(22)가 구비되는 바, 그 제어박스(22)에는 공지의 유압 구동부(미도시) 및 구동 마이컴(미도시) 등이 포함되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2)에는 미리 낙하높이와 낙하 횟수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낙하높이 결정부(30)를 구동 제어하여 일정높이까지 상기 무게추(20)를 취부하여 이동하도록 하며, 기설정 높이로 이동시 상기 낙하높이 결정부(30)를 제어하여 무게추(20)의 취부를 해제시켜 낙하되게 하는 제어를 기설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시험 대상물의 내충격력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부(60)가 구성되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콘트롤부(60)는 그 내부에 시험장치에 전원을 투입하기 위한 메인 전원스위치(62)와; 상기 무게추(20)의 낙하높이에 상응해서 시험대상물에 가해지는 충격력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무게추(20)의 낙하높이 및 낙하 횟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66)와; 상기 무게추(20)의 기 낙하횟수를 표시하기 위한 LED(68)와; 상기 무게추(20)에 의한 시험대상물의 형상 변형이나 파손 데이터를 지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출력부(70)와; 상기 입력부(66) 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용 실린더(14) 및 실린더(34)를 제어하여 무게추(20)의 낙하 높이 및 횟수를 제어하며, 그 시험대상물의 상태 데이터를 지면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미도시)이 더 포함되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2)에는 시험대상물 고정부(40)와, 낙하 가이드부(4)와, 낙하높이 결정부(30)를 밀폐시키기 위한 흡음 구조물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흡음 구조물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벽체(52)와; 상기 벽체(52)의 내부면에 고정되며, 흡음 소재로 이루어진 흡음 시트(54)와; 상기 벽체(52)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그 절개부에 결합된 투시창(미도시)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2)에 구비된 상기 측판(44)의 내측면 소정부에는 상기 시험대상물(80)의 상태를 캡쳐하기 위한 카메라(50)가 더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카메라(50)는 실시간 캡쳐도 가능하지만, 상기 실린더(34)의 로드(35)가 인입되어 상기 무게추(20)가 낙하되는 시점에 캡쳐되게 제어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2)에 구비된 상기 상부판(12)의 하면 소정부에는 상기 이동판(32)의 상승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16)가 더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위치센서(16)는 공지의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로 구비됨으로써 이격된 물체와의 거리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이동판(32)의 높이를 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2)에 구비된 상기 메모리(미도시)에는 시험대상물(80)의 최초 상태가 촬상되어 기준화상 데이터로 저장되어져 있으며, 상기 시험대상물(80)의 상태를 카메라(50)가 캡쳐하게 되면 상기 마이컴(미도시)이 촬상 화상데이터와 기준 화상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시험대상물(80)의 파손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해당 시험대상물에 대한 충격력 시험을 지속할 것인지를 판단하도록 마이컴(미도시)이 프로그램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2)는 상기 시험대상물 고정부(40)에 시험대상물(80)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50)가 최초의 시험대상물(80)의 화상을 촬상하여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66)에 설정한 낙하 횟수와 낙하 높이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컨트롤부(60)에 구성된 마이컴(미도시)이 상기 입력부(66)를 통해 입력한 낙하횟수 및 낙하높이 데이터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고, 상기 승강용 실린더(14)를 구동시켜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무게추(20)의 위치까지 상기 이동판(32)을 이동시킨다.
그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34)를 구동시켜 실린더 로드(35)가 상기 무게추(20)의 하부로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실린더 로드(35)가 상기 무게추(20)의 하부로 인출된 이후에는 상기 승강용 실린더(14)를 구동시켜 기설정된 낙하높이까지 상기 이동판(32)을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위치센서(16)를 통해 상기 이동판(32)이 기설정된 낙하높이까지 이동 완료되었는 지를 감시하고, 기설정된 낙하높이까지 상기 이동판(32)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용 실린더(14)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32)에 구비된 실린더(34)를 구동시켜 로드(35)를 인입시키면 상기 무게추(20)가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시험대상물(80)에 충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50)는 시험대상물(80)의 상태를 촬상하여 상기 마이컴(미도시)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마이컴은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화상데이터와 전송된 시점의 시험대상물 화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시험대상물(80)의 화상이 변경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즉, 시험대상물(80)이 파손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시험대상물(80)이 파손되지 않은 경우라면, 상기 마이컴은 다시 상기 무게추(20)를 파지하여 기설정 낙하높이까지 이동시키고 낙하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2)는 관리자가 상시 대기할 필요가 없이 낙하높이와 낙하 횟수만을 설정하게 되면, 시험대상물(80)이 파손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무게추(20)를 시험대상물(80)에 낙하시키게 되므로 매우 경제적이고, 시험대상물(80)의 파손 여부도 역시 자동으로 화상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으므로 매우 정밀하게 객관적인 시험대상물(80)의 내충격력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충격력 시험장치중 시험 대상물 고정부를 도시한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낙하가이드부, 30:낙하높이결정부,
40:시험대상물 고정부, 60:컨트롤부.

Claims (9)

  1. 시험대상물(80)을 고정하기 위해 장치의 하부에 구비된 시험대상물 고정부(40)와;
    상기 시험대상물 고정부(4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어, 무게추(20)의 낙하를 가이드하기 위한 낙하 가이드부(4)와;
    상기 낙하 가이드부(4)에 의해 승강되게 가이드되며, 무게추(20)의 낙하 높이를 결정하도록 일정높이까지 상기 무게추(20)를 취부한 상태로 승강 구동되고, 기설정 낙하높이에서 상기 무게추(20)를 낙하시키기는 낙하높이 결정부(30)와;
    미리 낙하높이와 낙하 횟수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낙하높이 결정부(30)를 구동 제어하여 일정높이까지 상기 무게추(20)를 취부하여 이동하도록 하며, 기설정 높이로 이동시 상기 낙하높이 결정부(30)를 제어하여 무게추(20)의 취부를 해제시켜 낙하되게 하는 제어를 기설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시험 대상물의 내 충격력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부(60)를 포함하는 내 충격력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험대상물 고정부(40)와, 낙하 가이드부(4)와, 낙하높이 결정부(30)를 밀폐시키기 위한 흡음 구조물이 구비되고 상기 흡음 구조물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벽체(52)와; 상기 벽체(52)의 내부면에 고정되며 흡음 소재로 이루어진 흡음 시트(54)와; 상기 벽체(52)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그 절개부에 결합된 투시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충격력 시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대상물 고정부(40)는
    그 하단을 구성하는 수평결합판(74)과;
    상기 수평결합판(74)과 볼트(86)에 의해 수직되게 장착되며, 그 전면 소정부에 적층부(92)가 형성된 수직판(82)과;
    상기 수직판(82)에 형성된 적층부(92)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수직판(82)에 볼트(76) 결합되며, 몸체가 이분되어 그 상단 중앙에 시험대상물(80)을 삽입한 상태에서 볼트(78)에 의해 고정되는 제 1, 2 결합판(73,72)과;
    상기 수직판(82)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시험대상물(80)의 파손시 파편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판(4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력 시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가이드부(4)는 상호 맞대어져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상호 맞대어진 내부에 무게추(20)가 낙하되는 낙하공간이 형성되고, 그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8)가 형성된 제 1, 2 결합판(5, 6)과;
    상기 제 1, 2 결합판(5, 6)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제 1, 2 결합판(5, 6)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고정된 가이드봉(10)과;
    상기 가이드봉(10)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판(1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력 시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높이 결정부(30)는 가이드봉(10)에 승강되게 결합되는 관통공(36)이 형성된 이동판(32)과;
    상기 이동판(32)의 하면에 방사형으로 장착되어, 그 로드(35)의 인/출입으로 인해 상기 무게추(20)를 파지 및 파지 해제하기 위한 실린더(34)와;
    상기 이동판(32)의 소정부에 결합되어 승강력을 전달하기 위한 실린더 로드(18)와;
    상기 실린더 로드(18)를 인출입 구동시켜 상기 이동판(32)을 승강시키며, 상기 상부판(12)에 장착된 승강용 실린더(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력 시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부(60)는 그 내부에 시험장치에 전원을 투입하기 위한 메인 전원스위치(62)와;
    상기 무게추(20)의 낙하높이에 상응해서 시험대상물에 가해지는 충격력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무게추(20)의 낙하높이 및 낙하 횟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66)와;
    상기 무게추(20)의 기 낙하횟수를 표시하기 위한 LED(68)와;
    상기 무게추(20)에 의한 시험대상물의 형상 변형이나 파손 데이터를 지면으 로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출력부(70)와;
    상기 입력부(66)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용 실린더(14) 및 실린더(34)를 제어하여 무게추(20)의 낙하 높이 및 횟수를 제어하며, 그 시험대상물의 상태 데이터를 지면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력 시험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44)의 내측면 소정부에는 상기 시험대상물(80)의 상태를 캡쳐하기 위한 카메라(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력 시험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2)의 하면 소정부에는 상기 이동판(32)의 상승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1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력 시험장치.
  9. 제 6항 또는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시험대상물(80)의 최초 상태가 촬상되어 기준화상 데이터로 저장되어져 있으며, 상기 시험대상물(80)의 상태를 카메라(50)가 캡쳐하게 되면 상기 마이컴이 촬상 화상데이터와 기준 화상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시험대상물(80)의 파손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해당 시험대상물에 대한 충격력 시험을 지속할 것인지를 판단하도록 마이컴이 프로그램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력 시험장치.
KR1020080027899A 2008-03-26 2008-03-26 내충격력 시험장치 KR100921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899A KR100921401B1 (ko) 2008-03-26 2008-03-26 내충격력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899A KR100921401B1 (ko) 2008-03-26 2008-03-26 내충격력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219A KR20080033219A (ko) 2008-04-16
KR100921401B1 true KR100921401B1 (ko) 2009-10-14

Family

ID=3957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899A KR100921401B1 (ko) 2008-03-26 2008-03-26 내충격력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4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891B1 (ko) * 2009-02-16 2009-12-1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측정용 충격음 발생장치
CN104181058B (zh) * 2013-05-24 2017-02-08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液力冲击试验装置
CN113820088B (zh) * 2021-09-14 2024-04-12 淮安市产品质量监督综合检验中心 一种塑料垃圾桶台阶下落试验装置及方法
CN113984323B (zh) * 2021-11-23 2023-12-05 江苏华财管道有限公司 一种塑料管道生产用注塑成型设备的抗冲击试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8464A (ko) * 2002-12-27 2004-07-05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베어링의 충격 시험장치
JP2006200912A (ja) * 2005-01-18 2006-08-03 T Tekku:Kk 落下試験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8464A (ko) * 2002-12-27 2004-07-05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베어링의 충격 시험장치
JP2006200912A (ja) * 2005-01-18 2006-08-03 T Tekku:Kk 落下試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219A (ko)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401B1 (ko) 내충격력 시험장치
KR101193384B1 (ko) 임팩트 테스트 머신
JP6663071B1 (ja) 扉閉鎖装置及び扉閉鎖装置を備えた動物捕獲装置
CN105635517A (zh) 书籍档案扫描装置
CN210513970U (zh) 一种落锤冲击试验装置
CN110749515A (zh) 一种建筑基桩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09261543B (zh) 一种微型工件的分选设备
CN215472258U (zh) 厚片切割装置
TWM573478U (zh) Automatic storage device with management system
CN204165847U (zh) 一种落球试验装置
JP2010217122A (ja) 変速機の試験装置
CN210401053U (zh) 一种家具夹紧强度测试装置
CN208171553U (zh) 跌落测试装置
KR102331857B1 (ko) 스마트 시약대
CN110441178A (zh) 动态变形模量测试仪校准装置及其自动提锤与释放装置
JP2020070545A (ja) 可動床装置の破損防止装置
CN105015931A (zh) 一种提取布匹的储物架
CN215555115U (zh) 无人机收纳箱
KR20150097993A (ko) 골프 매트 시스템
CN212963933U (zh) 一种智能家电抗冲击性能检测装置
CN219065061U (zh) 一种锚杆冲击试验装置
CN114577428B (zh) 一种受力面积可变式汽车防撞梁抗冲击测试装置
CN219124291U (zh) 一种隧道施工用监控设备
CN214373244U (zh) 一种自动跌落测试设备
CN211262701U (zh) 一种大滚子孔洞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