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472B1 - 잔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해 병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병마개 - Google Patents

잔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해 병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472B1
KR100920472B1 KR1020090002962A KR20090002962A KR100920472B1 KR 100920472 B1 KR100920472 B1 KR 100920472B1 KR 1020090002962 A KR1020090002962 A KR 1020090002962A KR 20090002962 A KR20090002962 A KR 20090002962A KR 100920472 B1 KR100920472 B1 KR 100920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opening
cap
bottle cap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김상훈
(주)이노핸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훈, (주)이노핸즈 filed Critical 김상훈
Priority to KR1020090002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472B1/ko
Priority to PCT/KR2010/000185 priority patent/WO2010082751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65D41/105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65D41/30Deformable caps combined with resilient stoppers to permit re-use as temporary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58Caps or cap-like covers combined with stoppers
    • B65D41/60Deformable caps combined with resilient stoppers to permit re-use as temporary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2Grip means
    • B65D2251/023Ribs or re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병마개는 기밀부와 둘레부를 구비한다. 기밀부는 병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개구부를 밀봉하고, 둘레부는 기밀부의 상측 연부로부터 하향 연장형성되어 개구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병마개는 판매유통시 사용된 포장용 병마개를 개봉한 후 내용물이 남아 있는 병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며, 병 개구부의 외주부를 차단하여 병의 개구부를 밀폐한 상태로 장기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저가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병, 마개, 병마개, 이중구조

Description

잔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해 병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병마개{Bottle cap installed on an opening of a bottle for keeping the remaining liquid}
본 발명은 와인 등 주류나 기타 액체류 등의 내용물을 병에 수용하여 판매유통시 병의 개구부에 사용된 포장용 병마개를 개봉한 후 잔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해 병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주류나 음료수 등을 수용하는 병에는 내용물의 투입 후 유통 중에 수용된 내용물의 변질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병마개가 개폐수단으로서 채택되고 있다. 병마개를 한 번 개봉한 후에는 병의 개구부를 통하여 알콜이나 탄산가스 등과 같은 휘산 성분들이 외부로 쉽게 배출되므로, 개봉된 병은 장기간 음용 가능한 상태로 보관이 어려웠다. 또한, 와인의 경우 와인액과 공기가 접촉함에 따라 산화가 촉진되어 와인 본연의 맛이 쉽게 변질되기도 한다.
예컨데 와인병의 경우 통상적으로 코르크 마개로 밀봉되어 유통되는데, 음용후 남은 와인을 보관하기 위하여 코르크 마개를 재사용하면 코르크 마개의 부서진 조각이 와인병 내로 유입되어 와인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각종 포장용 병의 개봉 후 액상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휘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보관용 병마개가 사용된다.
이러한 코르크 마개 재사용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소위 와인스토퍼(wine stopper)라고 하는, 잔류 와인 보관을 위한 보조적인 병마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와인스토퍼의 일 예로는 원통형 또는 원뿔형 패킹재 형태로 제작되어 병의 개구부에 삽입하는 단순삽입형 병마개가 있다. 이러한 병마개는 어린이나 노약자인 경우에 이들에 의한 병마개의 삽입력이 미약하여, 병의 개구부에 대한 밀폐력이 저하되며, 병 개구부의 외주면에 이물질 또는 벌레 등이 들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병마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병 개구부에 결합되는 병마개 본체의 상부에 레버를 설치하고 병마개 본체의 내부에 레버에 의해 변형되도록 패킹을 설치하여, 레버의 조작시 패킹이 측방으로 확장되어 병 개구부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한 병마개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병마개는 병 개구부의 내주면에 대한 밀폐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나, 병 개구부의 상단부 또는 외주면에 대한 오염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더욱이 병마개의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고가이므로 일회용으로 부적합하다는 문제도 있다. 특히 이러한 병마개를 재사용할 경우에는 깨끗이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판매유통시 사용된 포장용 병마개를 개봉한 후 내용물이 남아 있는 병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며, 병 개구부의 외주부에 벌레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병을 장기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저가의 병마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병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병마개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기밀부; 및 상기 기밀부의 상측 연부로부터 하향 연장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둘레부;를 포함한다. 둘레부에 의해 병 개구부의 외주부를 차단함으로써 병의 개구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병 개구부의 외주부가 장기간 청결하게 유지된다.
상기 둘레부는 상기 개구부의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병의 외주부 보다 큰 둘레부를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병마개는 병 개구부의 외주부 직경에 상관없이 다양한 병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둘레부의 내주면 상에 내향 돌출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상기 외주면에 탄성접촉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병마개의 개폐시 이런 지지부에 의해 둘레부가 일정한 지지력을 받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둘레부의 상기 내주면 둘레를 따라 치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둘레부의 상기 내주면 상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돌출부나 블레이드는 형 상이 단순하여 병마개의 제조시 금형작업 및 사출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는 그의 하단부가 내향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절취된 형상을 갖는다. 병마개의 장착시 절취형상에 의해 병 개구부의 상단이 상기 블레이드와 스무드하게 접촉하여 병마개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는 그의 내향측 단부의 두께가 타 부위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병 개구부의 외주부 직경이 다른 경우에도 일정수준 이상의 탄지력이 유지된다.
상기 블레이드는 그의 판면이 상기 둘레부의 일 둘레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거나 경사지도록 만곡되어 있다. 블레이드의 경사에 의해 블레이드의 변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일 둘레방향으로 변형되어 둘레부에 일정한 탄지력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둘레부는 그의 평단면이 주름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그 내측면이 상기 개구부의 상기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둘레부가 주름형상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촉됨으로써 둘레부 전체가 일정한 지지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 둘레부는 그의 하단부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형상의 하단부에 의해 병마개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둘레부는 상기 주름형상이 하단부위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둘레부는 하단부위 보다 상단부위의 변형이 용이하여 병 개구부의 외주부 상단에 돌출부위가 있는 경우에도 병마개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둘레부의 하단에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병의 외주면과 밀착 하도록 내향절곡 형성된 밀폐부를 더 포함한다. 병마개의 장착시 밀폐부의 하단이 내향 상방으로 만곡되어 병 외주부를 밀폐함으로써 병 개구부의 외주부에 대한 이물질이나 벌레의 유입이 차단된다.
상기 밀폐부는 그의 두께가 상기 둘레부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밀폐부는 그의 하단부위의 두께가 타 부위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밀폐부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병마개의 장착시 밀폐부의 변형이 용이하며, 그의 하단부위가 병의 외주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방으로 만곡변형되어 일정수준 이상의 밀폐력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기밀부는 그 상부에 하방으로 함몰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밀부의 상기 홈부에 보조마개가 삽입결합된다. 보조마개에 의해 병 개구부의 내주면과 기밀부 간의 밀착력이 증가되어 병마개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보조마개는 그의 상면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밀부의 외주면에는 밀폐용 환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병마개의 밀폐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둘레부는 그의 외곽을 따라서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둘레부의 요철에 의해 병마개의 탈부착시 둘레부의 파지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병마개는 판매유통시 사용된 포장용 병마개를 개봉한 후 내용물이 남아 있는 병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며, 병 개구부의 외주부를 차단하여 병의 개구부를 밀폐한 상태로 장기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구조가 간 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병마개의 제조비용이 저렴하므로 일회용 병마개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둘레부의 내주에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병 개구부의 외주부에 탄성접촉하여 지지력을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지지부의 하단부가 내향상방으로 절취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병마개의 장착이 용이하게 되고, 지지부의 내향부위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만곡형성되어 일정수준 이상의 탄지력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둘레부의 하부에 밀폐부를 형성함으로써, 병 개구부의 외주에 벌레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마개가 결합된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병 개구부의 내주부와 병마개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밀부에 밀폐용 돌기를 형성하여 병마개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병마개의 상측 둘레부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병마개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둘레부를 주름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병의 외주부 직경이 다른 경우에 적용할 수 있고, 병의 외주부 상단에 돌출형상이 있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 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절단선 C-C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병마개(10)는 기밀부(12)와 둘레부(11)로 형성된 병마개로서, 병(100)의 개구부에 장착된다.
기밀부(12)는 병의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병의 개구부와 동일한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병마개(10)의 중앙 하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하방으로 돌출된다.
둘레부(11)는 기밀부(12)의 상측 연부로부터 하향 연장형성되며 병의 개구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둘레부(11)는 병의 개구부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병의 개구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병의 외주부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즉, 병 개구부의 외주부 직경이 다르게 형성된 각종 병에 적용하는 경우나, 와인병과 같이 그 외주부를 따라 환형돌기가 돌출된 경우에도 둘레부(11)가 이를 감쌀 수 있도록 둘레부(11)의 직경이 충분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둘레부(11)는 병의 개구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둘레부(11)의 내주면 상에는 지지부(16)가 내향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16)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부(11)의 내주면 상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블레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는 그의 하단부(16a)가 내향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절취된 형 상으로 형성된다. 블레이드는 쉽게 변형되도록 내향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되어 그의 내향측 단부의 두께가 타 부위 보다 얇게 형성된다. 블레이드는 그의 판면이 동일한 둘레방향으로 변형되도록 둘레부(11)의 일 둘레방향 도 2 및 도 4에서 시계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블레이드의 판면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판면이 만곡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일 둘레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둘레부(11)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내향절곡된 밀폐부(14)가 스커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밀폐부(14)는 그의 두께가 상기 둘레부(11) 보다 얇게 형성되고, 또한 그의 하단부위가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얇게 형성되어 그의 하단부위의 두께가 타 부위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둘레부(11)의 상부에는 병마개의 탈부착시 둘레부(11)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그 외곽을 따라서 복수의 요철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병마개를 병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장착개시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장착완료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100)의 개구부에 본 실시예의 병마개(10)를 장착하기 위해 병(100)의 개구부 상단에 병마개(10)의 둘레부(11)를 접촉시켜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둘레부(11)의 하단에 형성된 밀폐부(14)의 하단부위가 병(100)의 외주부에 밀착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향 상방으로 말려 올라가게 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100)의 외주부 둘레 공간을 밀폐함으로써 병(100)의 외주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게 된다.
또한, 둘레부(11)의 내주면 상에 돌출형성된 지지부(16)에 병(100)의 개구부 상단이 맞닺게 되며, 이때 지지부(16)의 하단부(16a)가 내향 상방으로 절취된 형상을 가져 상방으로 기울지게 됨으로써 병(100)의 개구부 상단이 지지부(16)와 부드럽게 접촉되어 병마개의 장착이 스무드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단부(16a)는 직선 형태로 절취된 형상이지만, 병(100)의 개구부 상단과의 접촉을 더욱 부드럽게 하게 위해 내향 또는 외향으로 만곡되어 곡선 형태로 절취된 형상도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병마개를 더욱 가압하게 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100) 개구부의 내주부에는 기밀부(12)가 삽입되어 병(100)의 개구부를 밀봉하게 되고, 병(100) 개구부의 외주부에는 둘레부(11)가 감싸도록 결합되어 병마개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때 지지부(16)는 상하방향의 블레이드로 형성되어 그의 내향단부가 일 둘레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병(100)의 외주부와 밀착되어 둘레부(11)에 일정한 지지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장작되는 본 실시예의 병마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기밀부(12)는 병(100) 개구부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병(100)의 개구부를 밀봉하게 된다. 둘레부(11)는 이와 같이 병(100)의 개구부를 밀봉한 상태에서 병(100) 개구부의 외주부를 둘러싸므로, 본 실시예의 병마개가 병(100)의 개구부에 장착되면 병(100)의 외주부를 청결하게 유지한 상태로 병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둘레부(11)는 병 개구부의 외주부 직경 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되어 그 외주부와 소정거리 이격될 정도이므로, 본 실시예의 병마개는 병(100) 개구부의 외주부 직경의 사이즈에 상관없이 다양한 외주부 직경을 가진 각종 병의 병마개로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 지지부(16)는 병의 외주부와 탄성접촉함으로써, 지지부(16)에 의해 둘레부(11)에 대한 지지력이 형성된다. 따라서 병 개구부의 외주부 직경이 다른 병에 본 실시예의 병마개가 장착되면 병마개의 파지시 둘레부(11)가 변형되어 파지력이 약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부(16)가 둘레부(11)의 내주면 상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므로, 병마개의 제조시 금형작업과 성형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블레이드의 하단부(16a)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마개의 장착시 병 개구부의 상단이 블레이드와 스무드하게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병마개의 장착에 소요되는 가압력이 감소되어 병마개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블레이드의 내향측 단부의 두께가 타 부위 보다 얇게 형성됨으로써, 병의 외주부 직경이 다양한 각종 병에 본 실시예의 병마개가 장착되더라도,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블레이드의 내향 단부는 변형이 용이하게 되고, 두께가 두꺼운 타 부위는 변형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블레이드는 일정수준 이상의 탄지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레이드의 판면이 둘레부(11)의 일 둘레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병마개의 장착시 블레이드가 일 둘레방향으로 동일하게 변형되므로 블레이 드가 경사지지 않은 경우 병마개의 장착시 블레이드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중첩되거나 서로 충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블레이드의 판면은 일 둘레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만곡되거나 일부 또는 전체가 절곡되는 것도 가능하다.
밀폐부(14)는 둘레부(11)의 하단부위와 병의 외주부 사이를 밀폐하여 개미, 진드기 등의 벌레나 먼지 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밀폐부(14)는 병마개의 장착시 밀폐부(14)의 하단부위가 병의 외주부에 밀착한 상태에서 내향 상방으로 말려 올라감으로써 병의 외주부 둘레에 대한 밀폐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판매유통시 사용된 포장용 병마개를 개봉한 후 내용물이 남아 있는 병을 보관하기 위해 병의 개구부에 본 실시예의 병마개를 장착하면, 병마개(10)가 병 개구부의 외주부를 외부와 차단하여 병의 개구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병의 외주부를 장기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요철부(13)는 둘레부(11)의 외곽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어 병마개의 파지시 미끄럼을 방지하여 파지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병마개의 탈거 및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요철부(13)는 병마개의 탈거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둘레부(11)의 외곽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지지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지지부(16b)는 둘레부(11)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치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치형상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지지부(16b)는 병(100)의 외주부 둘레에 치형상의 선단이 밀착되므로 블레이드 형상의 경우 보다 지지부(16b)의 구조적인 강성을 향상시키고 둘레부(11)에 대한 지지력도 더 향상시키게 된다.
특히 이러한 지지부(16b)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병마개의 금형공정 및 사출공정이 수월하여 병마개의 제작이 용이하며, 병마개의 탈거시 지지부(16b)와 병(100)의 외주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병마개의 탈거를 용이하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병마개는 기밀부(12)의 상부에 하방으로 함몰된 홈부(15)에 보조마개(20)가 삽입결합된 이중마개의 구성이며,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병마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병마개는 기밀부(12)에 홈부(15)가 형성되고, 이 홈부(15)에 보조마개(20)가 삽입결합되어 병의 개구부를 폐쇄하게 된다.
홈부(15)는 병의 개구부의 내주면에 기밀적으로 접촉되는 측벽을 형성하도록 기밀부(12)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홈부(15)의 내측벽 상단에는 단차지게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다. 홈부(15)의 내측벽의 일 부위에는 돌기 형상의 제 1 걸림부(15a)가 형성된다. 홈부(15)의 외주면에는 밀폐용 환형 돌기(1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부(15)의 하단부 영역과 홈부(15)의 저면을 연결하는 부위가 만 곡되어 있는 만곡부(15c)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15)의 하부면에는 상방으로 볼록한 볼록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부(15)를 형성하는 측벽의 하부 부근의 내측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마개(20)는 기밀부(12)의 홈부(15)에 끼워맞춤되며, 끼움부(23)와 연장부(21)로 이루어진다.
끼움부(23)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끼움부(23)의 외주 일부위에는 돌기 형상의 제 2 걸림부(24)가 형성된다. 끼움부(23)의 내주부에는 끼움부(23)의 내부의 수평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지대(23a)가 형성된다.
연장부(21)는 원형 테두리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부(23)의 상부에 측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연장부(21)의 외주 일부위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탈거용 돌기 또는 홈(22)이 형성된다. 또한, 연장부(21)는 원형 테두리 형상 외에도 타원형상, 별형상, 육각형상, 팔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병마개는 병의 개구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제 1 실시예의 병마개(10)가 끼워맞춤된 도 6의 상태에서 기밀부(12)의 홈부(15)에 보조마개(20)의 끼움부(23)가 끼워맞춤되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병의 개구부의 내주부에 기밀부(12)를 결합한 후 보조마개(20)를 홈부(15)에 결합하나, 홈부(15)에 보조마개(20)를 결합한 후 기밀부(12)를 병의 개구부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걸림부(15a)와 제 2 걸림부(24)의 걸어맞춤에 의해 끼움부(23)가 홈부(15) 내에 고정된다. 따라서 기밀부(12)에 보조마개(20)가 결합된 상태로 병의 개구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끼움부(23)가 홈부(15) 내에 결합됨으로써, 홈부(15)의 내벽이 외측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끼움부(23)가 홈부(15)에 측방으로 확장되는 방향의 가압력을 부여하므로 병의 개구부의 내주면과 기밀부(12) 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보조마개(20)는 기밀부(12) 보다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기밀부(12)가 보조마개(20)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경질소재의 끼움부(23)가 변형이 용이한 연질소재의 홈부(15)에 끼워맞춤되므로 기밀부(12)의 변형이 용이하게 되고, 이에 의해 병의 개구부의 내주면과 기밀부(12) 사이의 밀폐성이 더욱 향상된다.
밀폐용 환형 돌기(15b)는 병의 개구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병의 개구부의 내주면과 기밀부(12) 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또한 밀폐용 환형돌기(15b)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반드시 밀폐용 환형 돌기(15b)가 형성될 필요는 없다.
또한, 홈부(15)에서 끼움부(23)를 탈거가 필요한 경우, 연장부(21)의 일측에 형성된 홈(22)을 사용하여 탈거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 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에 작은 외경의 병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에 큰 외경의 병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병마개는 둘레부(11)의 평단면이 주름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이며,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병마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병마개(10)는 기밀부(12)와 둘레부(11)로 형성된다.
기밀부(12)는 병의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병의 개구부와 동일한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병마개(10)의 중앙 하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하방으로 돌출된다.
둘레부(11)는 기밀부(12)의 상측 연부로부터 병의 개구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향 연장형성되며, 그 내측면이 상기 개구부의 상기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그의 평단면이 주름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둘레부(11)는 그의 하단부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둘레부(11)는 그의 주름형상이 하단부위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둘레부(11)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내향절곡된 밀폐부(14)가 스커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는 도 11의 절단선 D-D에 의한 평단면도에서 외주부의 직경이 작은 병의 개구부에 병마개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2에에 나타낸 바 와 같이, 개구부에 소정의 내경(D1)을 가진 병(100)의 외주부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둘레부(11)의 주름의 접혀진 상태로 병(100)의 외주부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또한, 도 13은 도 11의 절단선 D-D에 의한 평단면도에서 외주부의 직경이 큰 병의 개구부에 병마개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에 소정의 내경(D1)을 가진 병(110)의 외주부 직경이 큰 경우에는 둘레부(11)의 주름이 펴진 상태로 병(110)의 외주부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름형상의 둘레부(11)는 병 개구부의 외주부 직경에 따라 주름이 펴지거나 접혀지므로, 본 실시예의 병마개는 병(100) 개구부의 외주부 직경의 사이즈에 상관없이 다양한 외주부 직경을 가진 각종 병의 병마개로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병의 외주부 직경이 작거나 큰 경우에 본 실시예의 병마개는 둘레부(11)의 주름형상에 의해 병의 외주부 둘레와 탄력적으로 접촉됨으로써 병의 외주부 직경에 상관없이 둘레부(11) 전체가 일정한 지지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둘레부(11)는 병마개의 파지시 둘레부(11)가 함몰되거나 변형되어 파지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병(100)의 외주부 둘레에 둘레부(11)의 주름형상의 내향 단부가 접촉되므로 병마개의 탈거시 둘레부(11)와 병(100)의 외주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병마개의 탈거를 용이하게 한다. 특히 이러한 둘레부(11)는 주름형상의 산형상부위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병마개의 제작시 금형공정 및 사출공정이 수월하여 병마 개의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병마개(10)의 재료로는 실리콘 고무(silicon rubber),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P.E.; Poly Ethylene) 등과 같이 병마개의 장착시 가압력에 의해 주름형상의 변형이 용이한 연질 수지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의 재료로 감자나 옥수수 등의 전분을 이용한 다양한 유기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본 실시예의 병마개를 일회용으로 사용후 폐기시 자연적으로 부식되어 환경오염을 줄이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병마개는 기밀부(12)의 상부에 하방으로 함몰된 홈부(15)에 보조마개(20)가 삽입결합된 이중마개의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의 보조마개(20)는 제 2 실시예의 보조마개와 동일하며,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 3 실시예의 병마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병마개는 기밀부(12)에 홈부(15)가 형성되고, 이 홈부(15)에 보조마개(20)가 삽입결합되어 병의 개구부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보조마개(20)의 변형예로서 보조마개(20)의 연장부(21) 상면 중앙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병마개(10)에 보조마개(20)를 탈착시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보조마개(20)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손잡이의 형상을 에니메이션의 각종 캐릭터 형상이나 각종 인형 형상으로 성형하여 미적인 분위기를 주어 남녀노소 구분없이 모든 사용자에게 거부감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의 외면에 회사로고 또는 광고문구 등을 삽입하거나 손잡이의 외형을 판촉사의 상징물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병마개(10)와 보조마개(20)를 한벌로 구성하여 판매하는 경우, 캐릭터 형상의 손잡이가 형성된 보조마개(20)와 이와 결합되는 다수의 병마개(10)를 한벌로 구성하여 판매하므로 구매자에게 미적인 부분을 강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병마개는 포장용 병마개를 개봉한 후 내용물이 남아 있는 병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며, 병 개구부의 외주부를 차단하여 병의 개구부를 밀폐한 상태로 장기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더욱이 병마개의 제조비용이 저렴하므로 일회용 병마개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의 병마개는 병 개구부의 외주부에 대한 탄지력을 유지하며, 병 개구부의 외주부에 벌레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며, 병 개구부의 내주부와 병마개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병의 외주부 직경이 다른 경우에 적용할 수 있고, 병의 외주부 상단에 돌출형상이 있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절단선 C-C에 의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장착개시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장착완료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의 지지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
도 10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에 작은 외경의 병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에 큰 외경의 병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병마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병마개 11: 둘레부
12: 기밀부 13: 요철부
14: 밀폐부 15: 홈부
16: 지지부 20: 보조마개

Claims (19)

  1. 병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병마개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기밀부;
    상기 기밀부의 상측 연부로부터 하향 연장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둘레부; 및
    상기 둘레부의 내주면 상에 내향 돌출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상기 외주면에 탄성접촉되며 상기 둘레부의 상기 내주면 상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그의 판면이 상기 둘레부의 일 둘레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둘레부의 일 둘레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그의 하단부가 내향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절취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그의 내향측 단부의 두께가 타 부위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8. 삭제
  9. 삭제
  10. 병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병마개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기밀부; 및
    상기 기밀부의 상측 연부로부터 하향 연장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둘레부는 그의 평단면이 주름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그 내측면이 상기 개구부의 상기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는 그의 하단부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는 상기 주름형상이 하단부위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3. 제 1 항, 제 6 항, 제 7 항 및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의 하단에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병의 외주면과 밀착하도록 내향절곡 형성된 밀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그의 두께가 상기 둘레부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그의 하단부위의 두께가 타 부위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6. 제 1 항, 제 6 항, 제 7 항 및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는 그 상부에 하방으로 함몰되어 병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와 상기 병의 개구부를 밀착시키도록 상기 홈부에 보조마개가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마개는 그의 상면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8. 제 1 항, 제 6 항, 제 7 항 및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의 외주면에는 밀폐용 환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19. 제 1 항, 제 6 항, 제 7 항 및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는 그의 외곽을 따라서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KR1020090002962A 2009-01-14 2009-01-14 잔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해 병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병마개 KR100920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962A KR100920472B1 (ko) 2009-01-14 2009-01-14 잔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해 병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병마개
PCT/KR2010/000185 WO2010082751A2 (ko) 2009-01-14 2010-01-12 잔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해 병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962A KR100920472B1 (ko) 2009-01-14 2009-01-14 잔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해 병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0472B1 true KR100920472B1 (ko) 2009-10-08

Family

ID=4157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962A KR100920472B1 (ko) 2009-01-14 2009-01-14 잔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해 병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병마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20472B1 (ko)
WO (1) WO2010082751A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118Y1 (ko) * 2001-11-07 2002-02-06 신성기업 주식회사 유리병 뚜껑
US6783014B2 (en) * 2001-06-07 2004-08-31 Rexam Medical Packaging Inc. Double shell closure with support ribs
KR20080040532A (ko) * 2006-11-02 2008-05-08 이성재 이종물질 수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3014B2 (en) * 2001-06-07 2004-08-31 Rexam Medical Packaging Inc. Double shell closure with support ribs
KR200262118Y1 (ko) * 2001-11-07 2002-02-06 신성기업 주식회사 유리병 뚜껑
KR20080040532A (ko) * 2006-11-02 2008-05-08 이성재 이종물질 수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2751A2 (ko) 2010-07-22
WO2010082751A3 (ko) 201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6670B2 (en) Snap cap in multi-component injection molding technology
JP5356216B2 (ja) 貯蔵及び飲用の容器
US9586729B1 (en) Reusable sealing bottle cap assembly
US7891514B1 (en) Easy open air-tight sealed food container
US9254929B2 (en) Reusable food container with re-sealable cap
RU2729349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емкост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насадки для колпачка
JP3152177U (ja) 化粧品容器
KR100938437B1 (ko) 제1마개와 그에 결합되는 제2마개를 구비한 병마개
EP2125535B1 (fr) Flacon destine a recevoir une dose determinee d&#39;un liquide
KR100920472B1 (ko) 잔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해 병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병마개
US20060249471A1 (en) Container with cap retainer
US3429475A (en) Can
JP2005280750A (ja) ボトルキャップ
US5221020A (en) Reusable beverage can cap
US844400A (en) Bottle-stopper.
JP7416442B2 (ja) 二重容器
US10196189B2 (en) Carbonated beverage closure
JP2013129430A (ja) 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KR20100125050A (ko) 보관용기
JP7060346B2 (ja) 複合キャップ
US3233771A (en) Crown caps
US20100084366A1 (en) Self-righting cap for a beverage bottle
JP2020070063A (ja) ヒンジキャップ
US11008139B2 (en) Ergonomic cap remover
CN218056515U (zh) 锁鲜包装盖及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