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917B1 - 탄성의 내열 및 내습기성 이성분 및 혼합이성분 섬유 - Google Patents

탄성의 내열 및 내습기성 이성분 및 혼합이성분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917B1
KR100919917B1 KR1020047000701A KR20047000701A KR100919917B1 KR 100919917 B1 KR100919917 B1 KR 100919917B1 KR 1020047000701 A KR1020047000701 A KR 1020047000701A KR 20047000701 A KR20047000701 A KR 20047000701A KR 100919917 B1 KR100919917 B1 KR 100919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ibers
bicomponent
delete delete
sh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927A (ko
Inventor
애시쉬 센
존 클리어
라젠 엠. 파텔
홍기우 첸
토이 에이치. 호
Original Assignee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40028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64Artificial fiber or fila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64Artificial fiber or filament
    • Y10T428/2967Synthetic resin or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64Artificial fiber or filament
    • Y10T428/2967Synthetic resin or polymer
    • Y10T428/2969Polyamide, polyimide or polyes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Woven Fabric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중합체는 열고정성이고 다른 한 중합체는 내열성인 적어도 2종의 탄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내열성 중합체가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승온에서 개선된 내습기성을 갖는 섬유에 관한 것이다. 섬유는 전형적으로 이성분 및(또는) 혼합이성분 코어/시쓰 형태를 갖는다. 전형적으로, 코어는 탄성 열가소성 우레탄을 포함하고, 시쓰는 균질하게 분지된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균질하게 분지된, 실질적으로 성형 에틸렌인 중합체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47000701
탄성 중합체, 내습기성, 이성분 섬유, 혼합이성분 섬유.

Description

탄성의 내열 및 내습기성 이성분 및 혼합이성분 섬유 {Elastic, Heat and Moisture Resistant Bicomponent and Biconstituent Fibers}
본 출원은 2001년 7월 17일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0/306,018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본 발명은 탄성 섬유에 관한 것이다. 일면에서, 본 발명은 탄성의 내열 및 내습기성 섬유에 관한 것이며,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탄성의 내열 및 내습기성 이성분(bicomponent) 또는 혼합이성분(biconstituent) 섬유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이러한 코어/시쓰 구조를 갖는 이성분 및 혼합이성분 섬유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시쓰를 형성하는 중합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되고 코어를 형성하는 중합체가 열고정성 (heat-settable)인, 탄성의 내열 및 내습기성 이성분 또는 혼합이성분 섬유에 관한 것이다.
신장성 및 탄성이 뛰어난 재료는 다양한 내구성 물품, 예를 들면, 스포츠 의류 및 가구 장식품의 제조에 필요하다. 신장성 및 탄성은 착용자의 신체나 품목의 프레임에 친밀하게 순응하는 맞음새를 실현하는 성능 특성이다. 신체 온도에서의 반복된 사용, 연신 및 수축시 순응하는 맞음새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어떤 재료가 편향력의 적용후에 높은 탄성 회복율(%) (즉, 낮은 영구 고정(%))을 가질 경우에 탄성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적으로는, 탄성 재료는 세 가지의 중요한 특성, 즉, 낮은 영구 고정(%), 낮은 변형 응력 또는 하중, 및 낮은 응력 또는 하중 이완(%)의 조합을 특징으로 한다. 즉, 탄성 재료는 (1) 재료를 신장시키는데 필요한 응력 또는 하중이 낮고, (2) 일단 재료가 신장된 후에는 응력의 이완 또는 하중제거 (unloading)가 없거나 낮고, (3) 신장, 편향 또는 변형이 중단된 후에는 원래 치수로 완전히 또는 거의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판덱스는 거의 이상적인 탄성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공지된 분절 폴리우레탄 탄성 재료이다. 그러나, 스판덱스는 많은 적용에 있어 비용이 너무 높을 뿐만 아니라, 승온에서 불량한 내습기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로 인해 통상의 수성 염색 공정에 의한 스판덱스 직물의 염색 능력을 떨어뜨린다. 예를 들면, 써모졸(thermosol) 염색 공정은 200℃ 초과의 온도를 이용하는 수성 공정이다. 스판덱스로 제조된 직물은 그의 탄성 특성의 열화 없이 이 공정의 조건을 견디어내지 못하며, 그렇게 때문에, 스판덱스로 제조된 직물은 보다 낮은 온도에서 가공하여야 한다. 이것은 공정 비용을 높이고, 직물의 염착율을 떨어뜨린다.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등을 포함하는 탄성 재료가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는 특히 USP 4,425,393, 4,957,790, 5,272,236, 5,278,272, 5,324,576, 5,380,810, 5,472,775, 5,525,257, 5,858,885, 6,140,442 및 6,225,243이 포함되며, 이들 모두는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그러나, 이들 개시물에도 불구하고, 승온에서 내습기성이 우수한 비용 효율적인 탄성 물품에 대한 요구가 현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는 외부 표면을 가지며, 한 중합체는 열고정성이고 다른 한 중합체는 내열성인 적어도 2종의 탄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내열성 중합체가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외부 표면을 가지며, 한 중합체는 열고정성이고 다른 한 중합체는 내열성인 적어도 2개의 탄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내열성 중합체가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이성분 또는 혼합이성분 섬유이다. 바람직하게는, 섬유는 코어가 열고정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시쓰가 내열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코어/시쓰 구조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코어가 열가소성 우레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도 공지됨)을 포함하고 시쓰가 균질하게 분지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코어/시쓰 구조의 이성분 또는 혼합이성분 섬유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균질하게 분지된 폴리올레핀은 균질하게 분지된 폴리에틸렌, 보다 바람직하게는 균질하게 분지된 실질적으로 선형 폴리에틸렌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시쓰의 중합체가 약 30% 초과의 겔 함량을 갖는 코어/시쓰 구조의 이성분 또는 혼합이성분 섬유이다. 중합체의 겔 함량은 중합체가 가교된 정도의 척도이며, 가교된 중합체 시쓰는 시쓰 중합체의 용융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섬유의 구조적 통합성을 유지하는데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외부 표면을 가지며, (a) 한 중합체는 열고정성 탄성 중합체, 예를 들면, 열가소성 우레탄이고 다른 한 중합체는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내열성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인 적어도 2개 의 탄성 중합체, 및 (b)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섬유이다. 바람직하게는, 상용화제는 관능화된 에틸렌 중합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1개 이상의 무수물기 또는 산기를 함유하는 에틸렌 중합체,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무수물기 또는 산기의 적어도 일부가 아민과 반응된 에틸렌 중합체이다. 상용화제의 사용은 이성분 섬유의 코어 및 시쓰 중합체 사이의 점착, 및 혼합이성분 섬유의 성분간의 점착을 촉진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상기 이성분 및(또는) 혼합이성분 섬유로 제조한 가공품이다.
도면은 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다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보다 더 높은 연화 온도를 가짐을 보여주는 열기계적 분석기 (TMA) 프로브 침투 데이터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탄성 이성분 및 혼합이성분 섬유
본원에 사용된 "섬유" 또는 "섬유상"은 길이 대 직경 비가 약 10보다 큰 입상 재료를 의미한다. 반대로, "비섬유" 또는 "비섬유상"은 길이 대 직경 비가 약 10 이하인 입상 재료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탄성" 또는 "탄성체성"은 첫 번째 100% 변형 (길이의 2배) 후 및 4번째 100% 변형 후 둘다에서 그 신장된 길이의 약 50% 이상 회복되는 섬유 또는 다른 구조물, 예를 들면, 필름을 기술한다. 탄성은 또한 섬유의 "영구 고정"으로 기술될 수도 있다. 영구 고정은 섬유를 특정 지점까지 신장시킨 후에 원래 위치로 이완시키고, 이어서, 그 섬유를 다시 신장시켜 측정한다. 섬유가 하중을 잡아당기기 시작하는 연신율(%)을 영구 고정(%)으로 명명한다.
본원에 사용된 "열고정성 중합체"는 섬유로 형성하여 장력하에 100% 연신시키고, (b) 열고정 온도에 노출시키고, (c) 실온으로 냉각시켰을 때에 110℃까지 치수 안정성을 나타내는, 즉, 내수축성인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치수 안정성"은 섬유가 승온에 노출시에 실질적으로 수축되지 않는 것, 예를 들면, 섬유가 110℃의 온도에 1분 동안 노출되었을 때에 그 길이의 30% 미만으로 수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열고정 온도"는 탄성 섬유를 장력하에 연신시켰을 때 섬유가 영구적인 섬유 길이 증가 및 영구적인 섬유 두께 감소를 경험하는 온도를 의미한다. 데니어의 영구적인 증가 또는 감소는 섬유가 시간이 지나도 원래의 길이 및 두께로 되돌아가지 않음 (길이나 두께 중 하나 또는 둘다가 부분적으로 회복될 수는 있음)을 의미한다. 열고정 온도는 연속적인 공정 또는 사용시에 겪게 될 수 있는 임의의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이다.
본원에 사용된 "이성분 섬유"는 2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즉, 2개 이상의 분리된 중합체 형(regime)을 갖는 섬유를 의미한다. 간단하게, 이성분 섬유의 구조는 전형적으로 코어/시쓰로 언급된다. 그러나, 섬유의 구조는 예를 들어 대칭형 코어-시쓰, 비대칭형 코어-시쓰, 평행형 (side-by-side), 파이조각형 (pie section), 초생달형 등의 여러 가지 다성분 형태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이들 각 형태의 본질적인 특징은 섬유 표면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절반 이상은 섬유의 시쓰 부분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USP 6,225,243의 도 1A 내지 1F는 다양한 코어/시쓰 구조를 예시한다.
본원에 사용된 "혼합이성분 섬유"는 2종 이상의 중합체 성분의 친밀한 블렌드를 포함하는 섬유를 의미한다. 혼합이성분 섬유의 구조는 종종 "해도(islands-in-the-sea)"로서 언급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이성분 섬유는 탄성이고, 이성분 섬유의 각 성분은 탄성이다. 탄성 이성분 및 혼합이성분 섬유는 예를 들어 USP 6,140,442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코어 (성분 A)는 디블록, 트리블록 또는 멀티블록 탄성체성 공중합체, 예를 들면, 쉘 케미칼 캄파니 (Shell Chemical Company)에서 시판하는 Kraton (등록상표) 탄성체성 수지와 같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The Dow Chemical Company)에서 시판하는 PELLATHANE(등록상표) 폴리우레탄 또는 이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에서 시판하는 Lycra(등록상표)와 같은 폴리우레탄; 엘프 아토켐 캄파니 (Elf AtoChem Company)에서 시판하는 Pebax(등록상표)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와 같은 폴리아미드; 및 이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에서 시판하는 Hytrel(등록상표)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를 예로 들 수 있는 열가소성 탄성체성 중합체이다. 열가소성 우레탄 (즉, 폴리우레탄)은 바람직한 코어 중합체이고, 특히 Pellethane 폴리우레탄이 바람직하다.
시쓰 (성분 B)도 역시 탄성체성이고, 균질하게 분지된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균질하게 분지된 에틸렌 중합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균질하게 분지된, 실질적 으로 선형 에틸렌인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 재료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USP 6,140,442는 바람직한 균질하게 분지된, 실질적으로 선형 에틸렌인 중합체를 훌륭하게 기술하고 있으며, 균질하게 분지된 폴리올레핀을 기술하는 다른 특허 및 비특허 문헌에 대한 많은 인용을 포함하고 있다.
균질하게 분지된 폴리올레핀은 약 0.895 g/cm3 이하의 밀도 (ASTM D 792로 측정)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의 밀도는 약 0.85 내지 약 0.88 g/cm3이다. 폴리올레핀의 용융 지수 (ASTM D 1238에 따라 190℃에서 측정된 MI)는 전형적으로 약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10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되는 균질하게 분지된 에틸렌 중합체의 결정화도는 전형적으로 밀도가 0.895 g/cm3인 중합체의 경우 약 32%, 밀도가 0.880 g/cm3인 중합체의 경우 약 21%, 밀도가 0.855 g/cm3인 중합체의 경우 약 0%이다.
이성분 또는 혼합이성분 섬유의 시쓰 성분은 내열성을 제공하기 위해 가교시킨다 . 이 성분은 임의의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면, UV (자외선), 가시광선, e-빔과 같은 전자기선 조사, 실란 습기 경화 및 이들 경화 기술 1종 이상의 조합을 사용하여 가교시킬 수 있고, 전형적으로 30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초과의 겔 함량으로 가교시킨다. 겔 함량은 폴리올레핀의 가교 정도의 척도이다. 너무 과도한, 예를 들어 약 80%를 초과하는 가교는 섬유의 기계적 특성을 열화시킬 수 있으나, 시쓰 중합체는 다습 고온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열고정 및 건조 작업시) 섬유에 구조적 통합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하게 가교시킨다.
본 발명의 섬유는 제직 또는 편성 적용, 예를 들면, 필라멘트 및(또는) 섬유의 선형 집합체의 인터레이싱(interlacing) 및 인터루핑(interlooping)으로 제조된 직물에 매우 적합하나, 이들 섬유는 또한 부직 구조, 예를 들면,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의 웹 같은 배열의 결합에 의해 제조된 직물의 제조에도 유용하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탄성 섬유로 제조한 제직 또는 편성포는 직물의 약 1 내지 약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20 중량%를 포함한다. 직물의 나머지 섬유는 1종 이상의 다른 임의의 섬유,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등),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면, 양모, 실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탄성 섬유를 포함하는 제직 및 편성포는 전형적인 제조 및 사용, 예를 들어, 수성 염색, 세탁 및 건조, 다림질 등의 가공 및 관리 조건에 노출되었을 때에 감소된 수축율을 나타낸다.
부직포는 에어레잉, 스펀 본딩, 스테이플 섬유 카딩, 열 결합 및 멜트 블로운 및 스펀 레이싱을 포함한 당업계의 공지 기술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섬유의 제조에 유용한 중합체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나일론, 폴리올레핀, 실리카, 폴리우레탄,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Lycra, 탄소 섬유, 및 셀룰로오스 및 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실크 및 양모)와 같은 천연 중합체가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직물"은 두께에 비해 상당한 면적을 가지며, 집합체 고유의 응집력을 부여하기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섬유 및(또는) 실의 인조 집합체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스테이플 섬유"는 천연 섬유 또는 예를 들어 인조 필라멘트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것을 의미한다. 이들 섬유의 한 주요 용도는 액체의 일시적인 저장소 및 액체 분배의 도관으로서 기능하는 흡수성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이다. 스테이플 섬유에는 천연 및 합성 재료가 포함된다. 천연 재료에는 셀룰로오스 섬유와 면 및 레이온과 같은 텍스타일 섬유가 포함된다. 합성 재료에는 비흡수성 합성 중합체성 섬유,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 및 폴리스티렌이 포함된다. 비흡수성 합성 스테이플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권축 섬유, 즉, 그 길이를 따라 물결, 곡선 또는 지그재그 형태를 갖는 섬유이다.
혼합이성분 섬유의 형성은 상용화제의 사용에 의해 향상된다. 본원에 사용된 "상용화제"는 섬유 구성 중합체의 친밀한 블렌딩 및(또는) 점착을 촉진하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한 바람직한 상용화제는 균질하게 분지된 에틸렌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균질하게 분지되고 디아민과 반응된 카르보닐 함유 화합물, 예를 들면,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팅된 실질적으로 에틸렌인 중합체이다. 말레산 무수물 및 다른 카르보닐 함유 화합물로 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은 USP 5,185,199에 교시되어 있다. 이들 상용화제는 코어 성분을 시쓰 성분 내로 압출하는 것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상용화제는 WO 01/36535에 기재되어 있다.
하기 실시예는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한 특정 실시양태를 예시한 것이다. 모든 부 및 백분율은 다르게 언급하지 않은 한 중량 기준이다.
특정 실시양태
실시예 1:
코어/시쓰 구조의 이성분 섬유를 (i) Affinity EG8200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에서 제조한 밀도 0.87 g/cc 및 MI 5의, 균질하게 분지된 실질적으로 선형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임)의 시쓰, 및 (ii) Pellethane 2103-70A 또는 Pellethane 2103-80A (모두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에서 제조한, MDI, PTMEG 및 부탄디올을 기재로 한 열가소성 우레탄임)의 코어로부터 제조하였다. 도면은 열기계적 분석기 (TMA) 프로브 침투 데이터에서 TPU-2103-80A가 TPU-2103-70A보다 더 높은 연화 온도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프로브 직경은 1 mm이었고, 1 뉴톤의 힘을 적용하였다; 샘플을 실온으로부터 5℃/분으로 가열하였다). 섬유는 통상의 공압출 공정을 사용하여 섬유 시쓰가 섬유의 30 중량%이고 섬유 코어가 섬유의 70 중량%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질소하에서 19.2 메가래드 (Megarad)의 e-빔을 사용하여 섬유를 가교시켰다.
가교 후, 섬유를 열고정시켰다. 섬유를 먼저 상온 조건에서 잡아당기고(즉, 연신하고), 하중하에 테플론 기판에 테이프로 붙였다. 이어서, 섬유를 예정된 온도의 오븐에 예정된 시간 동안 (여전히 하중 하에서) 넣었다가, 꺼내어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하중을 이완시킨 후 측정하였다. 연신된 상태로부터 수축된 양이 열고정 효율의 척도이다. 하중의 이완 후 수축되지 않은 섬유는 100% 열고정 효율이다. 하중의 이완 후에 그의 하중 연신 전의 길이로 되돌아가는 섬유는 0% 열고정 효율이다.
섬유를 열고정한 후, 이어서, 섬유를 예정된 온도로 유지된 오일조에 30초 동안 넣었다가 꺼내어 다시 측정하였다. 오일조에서 처리하기 전의 섬유 길이에 대한, 오일조에서 처리한 후의 섬유의 길이가 열고정 섬유의 수축율의 척도이다.
Figure 112004001849819-pct00001
표 1의 데이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어진 온도에서의 열고정 효율 및 수축율은 열고정 온도에 의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수축 온도는 수축율(%)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어, 수축 온도가 높을수록 수축율이 높다.
Figure 112004001849819-pct00002
표 2의 데이터는 주어진 온도에서의 열고정 효율 및 수축율이 열고정 시간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음을 보여준다.
Figure 112004001849819-pct00003
표 3의 데이터는 Affinity 시쓰 및 TPU 코어를 갖는 섬유가 Affnity 섬유보다 덜 수축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Figure 112004001849819-pct00004
표 4의 데이터는 Affinity 시쓰 및 다른 TPU 코어를 갖는 섬유 역시 Affinity 섬유보다 덜 수축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Figure 112004001849819-pct00005
표 5의 데이터는 TPU-80A가 TPU-70A보다 더 낮은 수축율을 가지며, TPU-70A가 TPU-80A보다 더 낮은 연화점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형적으로, 연화점이 더 높은 코어는 수축을 덜 경험하고 이러한 특성은 이들로부터 제조된 직물에 부여되므로 바람직하다.
Figure 112004001849819-pct00006
표 6의 데이터는 코어 중 TPU의 중량%가 높을수록 수축율이 더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2:
혼합이성분 섬유를 (i) Affinity EG8200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에서 제조한 균질하게 분지된 실질적으로 선형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의 시쓰, 및 (ii) Pellethane 2103-70A 또는 Pellethane 2103-80A의 코어, 및 (iii) 디아민과 반응된 MAH-g-Affinity 에틸렌 공중합체의 블렌드로부터 제조하였다. 먼저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블렌드를 제조한 후, 통상의 방사 공정을 사용하여 섬유를 방사하였다. 질소하에서 19.2 메가래드의 e-빔을 사용하여 섬유를 가교시켰다.
Figure 112004001849819-pct00007
Figure 112004001849819-pct00008
표 8의 데이터는 TPU 코어의 연화 온도가 높을수록 섬유의 수축율이 작아진 다는 것을 보여준다.
Figure 112004001849819-pct00009
표 9의 데이터는 혼합이성분 및 이성분 섬유가 Affinity 섬유와 유사한 탄성 회복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기재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를 목적으로 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하기 청구의 범위의 취지 및 범위에서 벗어남 없이 상기 실시예에 대한 많은 변법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9)

  1. 열고정성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코어 및 가교된 탄성의 균질하게 분지된 폴리올레핀 시쓰를 포함하며,
    2종 이상의 탄성 중합체는 첫 번째 100% 인장 변형 후 및 4번째 100% 인장 변형 후 둘다에서 그 신장된 길이의 50% 이상을 회복하고, 열고정성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는 섬유로 형성하여 (a) 장력하에 100% 연신시키고, (b) 열고정 온도에 노출시키고, (c) 실온으로 냉각시켰을 때에 110℃까지 내수축성을 가지며, 나머지 중합체는 가교되어 내열성을 제공하고 30 중량% 이상의 겔 함량을 갖는, 코어/시쓰 구조를 갖는 섬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가교된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인 섬유.
  10. 제1항에 있어서, 가교된 폴리올레핀이 균질하게 분지된 폴리에틸렌, 에틸렌-스티렌 혼성중합체, 프로필렌/C4-C20 올레핀 혼성중합체, 수소화 블록 공중합체, 폴리비닐시클로헥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섬유.
  11. 제9항에 있어서, 상용화제를 또한 포함하는 섬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용화제가 관능화된 에틸렌 중합체인 섬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용화제가 1종 이상의 무수물기 또는 산기를 함유하는 에틸렌 중합체인 섬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용화제가 아민과 반응된 섬유.
  15. 제9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이 균질하게 분지된 실질적으로 선형 에틸렌 중합체인 섬유.
  16. 제1항의 섬유를 포함하는 제직포 또는 편성포.
  17. 제1항의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18. 제16항에 있어서, 제1항의 섬유를 직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제직포 또는 편성포.
  19. 삭제
KR1020047000701A 2001-07-17 2002-07-15 탄성의 내열 및 내습기성 이성분 및 혼합이성분 섬유 KR100919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601801P 2001-07-17 2001-07-17
US60/306,018 2001-07-17
PCT/US2002/022221 WO2003008681A1 (en) 2001-07-17 2002-07-15 Elastic, heat and moisture resistant bicomponent and biconstituent fib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927A KR20040028927A (ko) 2004-04-03
KR100919917B1 true KR100919917B1 (ko) 2009-10-07

Family

ID=2318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701A KR100919917B1 (ko) 2001-07-17 2002-07-15 탄성의 내열 및 내습기성 이성분 및 혼합이성분 섬유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7135228B2 (ko)
EP (1) EP1412567B1 (ko)
JP (1) JP4288158B2 (ko)
KR (1) KR100919917B1 (ko)
CN (1) CN1555432B (ko)
AU (1) AU2002320481B2 (ko)
BR (1) BR0211377B1 (ko)
CA (1) CA2454176A1 (ko)
DE (1) DE60217500T2 (ko)
ES (1) ES2275891T3 (ko)
MX (1) MXPA04000503A (ko)
TW (1) TW591139B (ko)
WO (1) WO2003008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08681A1 (en) * 2001-07-17 2003-01-30 Dow Global Technologies Inc. Elastic, heat and moisture resistant bicomponent and biconstituent fibers
AU2003227036A1 (en) * 2002-03-11 2003-09-22 Fibertex A/S Non-woven material with elastic properties
US7892993B2 (en) 2003-06-19 2011-02-22 Eastman Chemical Company Water-dispersible and multicomponent fibers from sulfopolyesters
US20040260034A1 (en) 2003-06-19 2004-12-23 Haile William Alston Water-dispersible fibers and fibrous articles
US8513147B2 (en) 2003-06-19 2013-08-20 Eastman Chemical Company Nonwovens produced from multicomponent fibers
US20110139386A1 (en) * 2003-06-19 2011-06-16 Eastman Chemical Company Wet lap composition and related processes
CN100569849C (zh) 2004-03-03 2009-12-16 克拉通聚合物研究有限公司 包含具有高流动性的嵌段共聚物的弹性体双组分纤维
US20070055015A1 (en) * 2005-09-02 2007-03-08 Kraton Polymers U.S. Llc Elastomeric fibers comprising controlled distribution block copolymers
JP5246997B2 (ja) * 2005-09-16 2013-07-24 グンゼ株式会社 エラストマー系芯鞘コンジュゲート繊維
US7635745B2 (en) * 2006-01-31 2009-12-22 Eastman Chemical Company Sulfopolyester recovery
AU2007325015A1 (en) * 2006-11-30 2008-06-05 Dow Global Technologies Inc. Fabric comprising elastic fibres of cross-linked ethylene polymer
CN101657476B (zh) 2006-12-21 2013-02-20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官能化烯烃聚合物,组合物和由其制备的制品,及其制备方法
EP2094739B1 (en) 2006-12-21 2021-05-1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olefin compositions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N101652506B (zh) * 2007-04-04 2013-03-06 Kb世联株式会社 抗静电性、吸水性和接触冷感性优良的复合纤维
US8653191B2 (en) 2007-07-27 2014-02-1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olefin compositions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11603605B2 (en) 2008-10-17 2023-03-14 The Lycra Company Llc Fusible bicomponent spandex
JP5676456B2 (ja) * 2009-03-11 2015-02-25 インヴィスタ テクノロジーズ エスアエルエル 融合性2成分スパンデックス
US8512519B2 (en) 2009-04-24 2013-08-20 Eastman Chemical Company Sulfopolyesters for paper strength and process
US9273417B2 (en) 2010-10-21 2016-03-01 Eastman Chemical Company Wet-Laid process to produce a bound nonwoven article
CN103180378B (zh) * 2010-10-29 2016-03-30 Lg化学株式会社 烯烃组合物
US8840757B2 (en) 2012-01-31 2014-09-23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es to produce short cut microfibers
US10058808B2 (en) 2012-10-22 2018-08-28 Cummins Filtration Ip, Inc. Composite filter media utilizing bicomponent fibers
US9617685B2 (en) 2013-04-19 2017-04-11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making paper and nonwoven articles comprising synthetic microfiber binders
US9605126B2 (en) 2013-12-17 2017-03-28 Eastman Chemical Company Ultrafiltratio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concentrated sulfopolyester dispersion
US9598802B2 (en) 2013-12-17 2017-03-21 Eastman Chemical Company Ultrafilt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 sulfopolyester concentrate
CN104088032B (zh) * 2014-06-30 2016-04-06 苏州凯丰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保健弹力丝
US11291601B2 (en) 2017-11-20 2022-04-05 Suzhou Alton Electrical & Mechanical Industry Co., Ltd. Wearable working head for nursing machine
CN108085780B (zh) * 2017-12-15 2020-04-24 浙江华峰氨纶股份有限公司 一种高均一性易粘合氨纶纤维及其制备方法
US20190226161A1 (en) * 2018-01-19 2019-07-25 Tarkett Inc. Functionalized filament and artificial turf prepared therefrom,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N108396424A (zh) * 2018-01-30 2018-08-14 宁波三邦超细纤维有限公司 高弹涤锦复合仿冰丝纤维及其制备方法
USD887405S1 (en) 2018-04-25 2020-06-16 Fitbit, Inc. Body of smart watch with health monitor sen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5611A (ja) 1983-08-18 1985-03-12 Kuraray Co Ltd 多成分系繊維およびその製造法
JPS61194221A (ja) * 1985-02-18 1986-08-28 Chisso Corp 弾性複合繊維およびこれを用いた布
US4663221A (en) * 1985-02-18 1987-05-05 Kuraray Co., Ltd. Fabric comprising composite sheath-core fibers, fabric comprising bicomponent fiber bundles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EP0859073B1 (en) * 1993-04-27 2003-11-19 The Dow Chemical Company Bicomponent fibres with at least one elastic component, fabrics and articles fabricated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5393A (en) 1979-04-26 1984-01-10 Brunswick Corporation Low modulus, small diameter fiber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US4950541A (en) * 1984-08-15 1990-08-21 The Dow Chemical Company Maleic anhydride grafts of olefin polymers
US5133917A (en) * 1986-09-19 1992-07-28 The Dow Chemical Company Biconstituent polypropylene/polyethylene fibers
US4957790A (en) 1987-12-21 1990-09-18 W. R. Grace & Co.-Conn. Oriented polymeric films
US5185199A (en) 1988-11-02 1993-02-09 The Dow Chemical Company Maleic anhydride-grafted polyolefin fibers
US5082899A (en) * 1988-11-02 1992-01-21 The Dow Chemical Company Maleic anhydride-grafted polyolefin fibers
US5108827A (en) * 1989-04-28 1992-04-28 Fiberweb North America, Inc. Strong nonwoven fabrics from engineered multiconstituent fibers
US5272236A (en) 1991-10-15 1993-12-21 The Dow Chemical Company Elastic substantially linear olefin polymers
JPH04316609A (ja) 1991-04-12 1992-11-09 Kanebo Ltd ポリオレフィン系複合弾性糸
CN1045689C (zh) * 1991-07-09 1999-10-13 施赛马特有限公司 聚合的薄膜
US6194532B1 (en) * 1991-10-15 2001-02-27 The Dow Chemical Company Elastic fibers
US6448355B1 (en) * 1991-10-15 2002-09-10 The Dow Chemical Company Elastic fibers, fabrics and articles fabricated therefrom
US5278272A (en) 1991-10-15 1994-01-11 The Dow Chemical Company Elastic substantialy linear olefin polymers
CN1070931A (zh) * 1992-11-04 1993-04-14 王南 核壳乳液型皮革涂饰材料
US5472775A (en) 1993-08-17 1995-12-05 The Dow Chemical Company Elastic materials and articles therefrom
US5324576A (en) 1993-08-25 1994-06-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olefin meltblown elastic webs
CA2111172A1 (en) * 1993-09-23 1995-03-24 Dennis S. Everhart Nonwoven fabric formed from alloy fibers
DE4424476A1 (de) * 1994-07-12 1996-01-18 Bayer Ag Mittel zur Wasserbehandlung
US5645924A (en) 1994-11-10 1997-07-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astic woven fabric
AR018359A1 (es) * 1998-05-18 2001-11-1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Articulo resistente al calor , configurado, irradiado y reticulado, libre de un agente de reticulacion de silano
US6225243B1 (en) * 1998-08-03 2001-05-01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Elastic nonwoven fabric prepared from bi-component filaments
TW479087B (en) 1998-11-13 2002-03-11 Kimberly Clark Co Pulp-modified bicomponent continuous filament nonwoven webs and articles
KR100669002B1 (ko) * 1999-11-18 2007-01-18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상용화된 수지 블렌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01057B1 (ko) * 2001-07-17 2009-06-04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탄성의 이성분 및 혼합이성분 섬유, 및 이로부터셀룰로오스 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
WO2003008681A1 (en) * 2001-07-17 2003-01-30 Dow Global Technologies Inc. Elastic, heat and moisture resistant bicomponent and biconstituent fib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5611A (ja) 1983-08-18 1985-03-12 Kuraray Co Ltd 多成分系繊維およびその製造法
JPS61194221A (ja) * 1985-02-18 1986-08-28 Chisso Corp 弾性複合繊維およびこれを用いた布
US4663221A (en) * 1985-02-18 1987-05-05 Kuraray Co., Ltd. Fabric comprising composite sheath-core fibers, fabric comprising bicomponent fiber bundles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EP0859073B1 (en) * 1993-04-27 2003-11-19 The Dow Chemical Company Bicomponent fibres with at least one elastic component, fabrics and articles fabricated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927A (ko) 2004-04-03
JP4288158B2 (ja) 2009-07-01
AU2002320481B2 (en) 2007-02-15
CA2454176A1 (en) 2003-01-30
CN1555432A (zh) 2004-12-15
US7727627B2 (en) 2010-06-01
EP1412567B1 (en) 2007-01-10
BR0211377A (pt) 2004-08-17
US7135228B2 (en) 2006-11-14
ES2275891T3 (es) 2007-06-16
TW591139B (en) 2004-06-11
DE60217500T2 (de) 2007-05-16
EP1412567A1 (en) 2004-04-28
BR0211377B1 (pt) 2012-12-11
US20070020453A1 (en) 2007-01-25
DE60217500D1 (de) 2007-02-22
US20030055162A1 (en) 2003-03-20
MXPA04000503A (es) 2004-07-23
WO2003008681A1 (en) 2003-01-30
JP2004536237A (ja) 2004-12-02
CN1555432B (zh)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917B1 (ko) 탄성의 내열 및 내습기성 이성분 및 혼합이성분 섬유
AU2002320481A1 (en) Elastic, heat and moisture resistant bicomponent and biconstituent fibers
JP4400915B2 (ja) 可逆性ヒートセットされた弾性繊維、および、その製造法、ならびに、それらより製造された製品。
WO1997049848A1 (en) Self-crimping conjugate filament and seamless band formed therefrom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520859B2 (ja) 高い伸び回復不織布および製造方法
KR20110065532A (ko) 스타킹용 복합섬유
WO2001061084A1 (en) Polypropylene fibres
JP2015059274A (ja) 複合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128368A (ko) 열융착 고탄성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2132560B1 (ko) 권축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모노필라멘트사 및 그 제조방법
CA1298695C (en) Elasticized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741123B2 (ja) 伸縮性長繊維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209789A (ja) 潜在捲縮性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および繊維構造体
JP5463180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繊維
KR101850628B1 (ko)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고신축성의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618072B1 (ko) 촉감 및 볼륨감이 우수한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72013A (ko)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성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섬유
JP3133610B2 (ja) Pu/pa同心円型複合弾性繊維の製造方法
JP2022143330A (ja) 潜在捲縮性能を有する複合繊維およびそれからなる不織布
KR19990016704A (ko) 계면접착성과 권축특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자발권축섬유
JP2015161042A (ja) 潜在捲縮性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および不織布
JP2012107373A (ja) 捲縮性複合繊維及びこれを用いた不織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