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855B1 - 집전자 - Google Patents

집전자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855B1
KR100919855B1 KR1020020074749A KR20020074749A KR100919855B1 KR 100919855 B1 KR100919855 B1 KR 100919855B1 KR 1020020074749 A KR1020020074749 A KR 1020020074749A KR 20020074749 A KR20020074749 A KR 20020074749A KR 100919855 B1 KR100919855 B1 KR 100919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ixed
contactor
movable
curren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4103A (ko
Inventor
기다쥰조
히로세마고토
안도도모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30074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38Plug-and-socket contacts
    • H01H1/385Contact arrangements for high voltage gas blast circuit breakers

Landscapes

  • Circuit Breakers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및 가동의 양 접촉자끼리가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이어도, 접촉부가 용손(溶損)되지 않고 통전성능은 물론이고, 내구성이 향상하는 집전자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절연성 소호매체가 봉입되어 있는 용기 내에 원통 형상의 접촉자와, 그 고정 접촉자와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그 고정 접촉자와 서로 끼워맞추어 접촉하여 통전하는 둥근 고리 형상의 접촉자가 수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둥근 고리 형상 접촉자의 접촉부에 도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둥근 고리 형상의 집전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전자{CURREN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전자 및 가스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회로의 온/오프를 행하는 차끝부를 구성하는 고정 및 가동접촉자가 접촉/이탈함으로써 통전이 온/오프되는 것에 적합한 집전자 및 가스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가스차단기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퍼퍼형 가스차단기가 있다. 이 퍼퍼형 가스차단기는 SF6 가스 등의 소호성가스를 충전한 금속용기 내에, 그 용기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하여 차끝부를 배치하고, 차끝부를 구성하는 접촉자(집전자) 사이의 접촉/이탈동작에 관련하여 소호성 가스를 압축장치로 압축하고, 이 압축한 가스를 아크에 내뿜어 소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퍼퍼형(Puffer Type) 가스차단기의 차끝부를 구성하는 종래의 접촉자(집전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 (b) 및 도 6에 종래의 집전자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도전성 부재로 형성된 바깥쪽의 고정 접촉자(14)와 안쪽의 가동접촉자(13)가 동심 원통구조〔고정 접촉자(14)는 중공 둥근 고리 형상의 원통구조, 가동접촉자(13)는 중공, 또는 속이 찬(solid) 원통구조〕이고, 또한 서로 끼워 맞추어 접촉하는 관계에 있다. 전류는, 예를 들면 고정 접촉자(14)로부터 접촉부(15a)를 거쳐 가동접촉자(13)에 흐른다. 가동접촉자(13)는 차단기의 개로 개폐조작에 따라 고정 접촉자(14)상을 이동하여, 통전 접촉부가 슬라이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고정 접촉자(14)에는 지름방향으로 방사상으로 관통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하는 n개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부분 고정 접촉자(141, 142, … 14n)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접촉자(13)와 고정 접촉자(14)가 끼워 맞춰지기 전은, 가동접촉자(13)의 외경(φD2)에 대하여, 고정 접촉자(14)는 내경(φD1), 외경(φD3)이다. 여기서, φD1 > φD2이므로, 가동접촉자(13)와 고정 접촉자(14)가 끼워맞춰지면, 고정 접촉자(14)의 외경이 φD3' > φD3이 되고, 고정 접촉자(14)를 바깥쪽으로 휘게 함으로써 접촉부(15a)의 접촉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집전자의 구조에서는, 도 7에 가동접촉자(13)와 고정 접촉자(14)의 접촉부(15a)의 상세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접촉자(13)와 고정 접촉자(14)의 내외경이 φD1 < φD2가 되는 관계임과 동시에, 가공상의 문제도 있어, 실제의 접촉부(15a)는 가동접촉자(13)와 고정 접촉자(14)의 둘레방향 끝부의 극히 일부가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접촉(통전)상태에서 가동접촉자(13)와 고정 접촉자(14)가 슬라이딩하면, 접촉부(15a)에 있어서의 전류밀도가 높아져 있기 때문에, 국부적으로 온도상승이 일어나 부재의 경도가 내려가서, 가동접촉자(13)와 고정 접촉자(14)가 슬라이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접촉부(15a)의 용손이 심해져, 집전자의 내구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가동 및 고정의 양 접촉자끼리가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이어도, 접촉부가 용손되지 않고 통전성능은 물론, 내구성이 향상하는 집전자 및 가스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절연성 소호매체가 봉입되어 있는 용기 내에 원통 형상의 고정 접촉자와, 그 고정 접촉자와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고, 그 고정 접촉자와 서로 끼워 맞추어 접촉하여 통전하는 둥근 고리 형상의 가동접촉자가 수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접촉자와 고정 접촉자의 한쪽의 접촉부에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둥근 고리 형상의 집전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집전자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절연성 가스가 봉입된 용기와, 그 용기 내에 배치된 고정 접촉자와, 그 고정 접촉자와 대향 배치되어, 그 고정 접촉자와 접촉/이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가동접촉자와, 절연로드를 거쳐 전달되는 조작기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를 가동함과 동시에 중공부를 가지는 중심축과, 그 중심축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접촉자와 가동접촉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내뿜는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장치와, 그 압축장치에서 압축된 가스를 상기 아크에 안내하는 절연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접촉자와 가동접촉자가 둥근 고리 형상의 집전부재를 거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류가 통전되어 있는 가스차단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집전자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집전자가 채용되는 데 퍼퍼형 가스차단기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 있어서, 금속용기(1) 내에 설치된 개폐기구부는, 절연지지체(2)를 거쳐 금속용기(1) 내의 한쪽측(도면을 향하여 오른쪽)에 설치된 고정 개폐기구부와, 절연지지체(35)를 거쳐 금속용기(1) 내의 다른쪽측(도면을 향하여 왼쪽)에 설치된 가동 개폐기구부가 금속용기(1)의 중심축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절연지지체(2)는 지지부(3)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절연지지체(2)의 지지부(3)측과는 반대측에는, 중심도체(7)와 접속된 통전부재(4)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통전부재(4)는 도전성을 가지는 통형상부재이고, 그 상부에는 원통 형상의 도체접속부(4a)가 윗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체접속부(4a)에는 중심도체(7)가 삽입되어 있음과 동시에, 절연지지체(2)의 지지부(3)측과는 반대측의 끝부가 고정되어 있다.
통전부재(4)의 절연지지체(2)측과는 반대측의 선단에는 고정 주접촉자(27)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주접촉자(27)는 원통 형상의 접촉전극이고, 가동 개폐기구부측의 선단이 지름방향 안쪽으로 돌출하게 되어 있다. 통전부재(4) 하부의 안 둘레면으로부터는 지름방향 안쪽에 지지부(4b)가 돌출되어 있고, 지지부(4b)에는 고정 아크접촉자(36)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고정 아크접촉자(36)는 금속용기(1)의 중심축상[또는 고정 주접촉자(27)의 중심축상]에 설치된 막대형상의 접촉전극이고, 지지부(4b)로부터 고정 주접촉자(27)의 선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절연지지부재(35)는 원통 형상의 것으로, 금속용기(1)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금속용기(1)의 다른쪽 끝에는 끝부 커버(18)가 설치되어 있다. 끝부 커버(18) 내에는 조작기(도시 생략)로부터 연장되는 조작로드(도시생략)에 연결됨과 동시에, 절연로드(16)가 연결된 회전 샤프트레버(17)가 배치되어 있다. 절연로드(16)는 금속용기(1)의 중심축상에 배치됨과 동시에, 절연지지부재(35)의 내경측을 지나 고정 개폐기구부측으로 연장된 것으로, 조작로드, 회전 샤프트레버(17)를 거쳐 전달된 조작기의 조작력에 의해 금속용기(1)의 중심축 방향(수평방향)으로 가동한다. 절연로드(16)의 고정 개폐기구부측 선단에는 가동축(19)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축(19)에는 금속용기(1)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속되는 중공부(19a)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축(19)의 고정 개폐기구부측 선단에는 가동축(19)과 함께 금속용기(1)의 중심축 방향으로 가동하는 가동 아크접촉자(20)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 아크접촉자(20)는 접촉전극이고, 금속용기(1)의 중심축 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고정 아크접촉자(36)에 대하여 접촉/이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가동축(19)이 고정 개폐기구부측으로 가동됨으로써 가동 아크접촉자(20)의 안 둘레측과 고정 아크접촉자 (36)의 바깥 둘레측이 슬라이딩 접촉하고, 가동축(19)이 고정 개폐기구부측과는 반대측으로 가동함으로써 가동 아크접촉자(20)의 안 둘레측과 고정 아크접촉자(36)의 바깥 둘레측이 개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동축(19)의 바깥 둘레측에는 가동축(19)과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동축(19)과 함께 금속용기(1)의 중심축 방향으로 가동하는 퍼퍼실린더(21)가 설치되어 있다. 퍼퍼실린더(21)는 도전성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된 통전부재이고, 바깥 둘레벽(외통이라고도 함)과 안 둘레벽(내통이라고도 함)으로 이루어지는 2중 통 형상의 것이다. 퍼퍼실린더(21)의 바깥 둘레벽의 고정 개폐기구부측 끝부의 바깥 둘레면상에는 가동 주접촉자(6)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 주접촉자(6)는 접촉전극이고, 금속용기(1)의 중심축 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고정 주접촉자(27)에 대하여 접촉/이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가동축(19)과 함께 퍼퍼실린더(21)가 고정 개폐기구부측으로 가동함으로써 가동 주접촉자(6)의 바깥 둘레측과 고정 주접촉자(27)의 안 둘레측이 슬라이딩 접촉하고, 가동축(19)과 함께 퍼퍼실린더(21)가 고정 개폐기구부측과는 반대측으로 가동함으로써 가동 주접촉자(6)의 바깥 둘레측과 고정 주접촉자(27)의 안 둘레측이 개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퍼퍼실린더(21)의 고정 개폐기구부측의 선단에는, 가동 아크접촉자(20)의 바깥 둘레측을 덮도록 절연노즐(22)이 설치되어 있다. 절연노즐(22)은 통형상의 부재 이고, 퍼퍼실린더(21) 내로부터 배출된 절연성가스를 가동 아크접촉자(20)의 선단측으로 유도하는 유로(22a)를 가동 아크접촉자(20)의 바깥 둘레측과 함께 형성하는 것이다.
절연지지부재(35)의 고정 개폐기구부측의 끝부에는, 중심도체(7)와 접속된 통전부재(23)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통전부재(23)는 통형상의 도전성부재이고, 그 상부에는 원통 형상의 도체접속부(23a)가 윗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이 도체접속부(23a)에 중심도체(7)가 삽입되어 있다. 통전부재(23)의 고정 개폐기구부측의 선단에는 고정 접촉자(12)가 설치되고, 이 고정 접촉자(12)는 가동 주접촉자(6)와 접하게 되어 있다.
통전부재(23)의 안 둘레면으로부터 지름방향 안쪽으로 돌출한 지지부(23c)에는 퍼퍼피스톤(25)의 절연지지부재(35)측 선단 상부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퍼퍼피스톤(25)은 통형상의 부재이고, 고정 개폐기구부측의 선단이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지름방향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퍼퍼실린더(21) 내에 배치되어 있다. 퍼퍼피스톤(25)의 절연지지부재(35)측은 다른 부분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퍼퍼실린더(21) 및 퍼퍼피스톤(25)에 의해 가동축(19)의 바깥 둘레측에는 퍼퍼실(26)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된 퍼퍼피스톤(25)에 대하여 퍼퍼실린더(21)가 동작함으로써 퍼퍼실(26)에서는 절연성 가스인 SF6 가스가 압축된다. 퍼퍼실(26) 내에서 압축된 절연성 가스는 퍼퍼실(26)의 절연노즐(22)측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유로(22a)와 퍼퍼실(26) 내를 연통하는 배기구멍(도시생략)을 거쳐 유로(22a)에 배출되고, 유로(22a)를 거쳐 고정 아크접촉자(36)와 가동 아크접촉자(20)와의 사이에 발생한 아크를 향하여 내뿜어진다.
퍼퍼실(26)의 뒤쪽, 즉 절연지지부재(35)측에는 통전부재(23) 및 고정 접촉자(12)에 의해 형성된 가스배기실(28)이 설치되어 있고, 가동측으로 분류한 핫가스는 가동축(19)의 중공부(19a)를 거쳐 가스배기실(28)에 배출된다. 가동축(19)의 절연로드(16)측에는 중공부(19a)를 흐르는 핫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구멍(19b)이 둘레방향 두 부분에 수평면에 대하여 상하로 대항하여 형성되고, 또한 고정측 기구부로부터 가동측 기구부 방향을 향하여 핫가스를 배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집전자는 도 1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깥쪽의 고정 접촉자(12)와 안쪽의 가동 주접촉자(6)와의 접촉부인 고정 접촉자(12)에 도전성재료(예를 들면, 스프링성이 있는 크롬구리, 황동, 경량인 알루미늄, 원통 형상의 구리, 통전성능이 좋은 구리, 크롬구리)로 이루어지는 둥근 고리 형상의 집전부재(30)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둥근 고리 형상의 고정 접촉자(12)에는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름방향으로 방사상으로 관통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n개)의 슬릿이 형성되어, 복수의 부분 고정 접촉자(121, 122, … 12n)로 이루어져 있다. 부분 고정 접촉자(121, 122, …12n)의 접촉면의 일부에는 둥근 고리 형상의 홈(오목부)이 설치되고, 이 홈(오목부) 내에 상기한 집전부재(30)가 끼워 넣어져 있다. 그리고 전류는, 예를 들면 고정 접촉자(12)로부터 집전부재(30)를 거쳐 가동 주접촉자(6)에 흐르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집전자는 동심 원통 형상인 바깥쪽의 고정 접촉자(12)와 안쪽의 가동 주접촉자(6)가 끼워맞춤구조로 되어 있고, 이들을 둥근 고리 형상의 집전부재(30)를 거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류를 통전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 주접촉자(6), 고정 접촉자(12) 및 집전부재(30)의 개략 치수관계를 도 2에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집전부재(30)는 고정 접촉자(12)의 안쪽에 설치한 홈(오목부) 내에 끼워 넣어져 있다. 외경이 φD2인 가동 주접촉자(6)를 집전부재(30)가 설치된 고정 접촉자(12) 내에 삽입하기 전은, 집전부재(30)의 내경은 φD1, 고정 접촉자(12)의 내경은 φD4, 외경은 φD3이다. 여기서 φD1 < φD2이므로, 가동 주접촉자(6)를 고정 접촉자(12) 내에 삽입하고, 가동 주접촉자(6)와 집전부재(30)가 끼워 맞춰지면 고정 접촉자(12)를 끼워 맞추기 전의 외경(φD3)과 끼워 맞춘 후의 외경(φD3')과의 관계는 φD3' > φD3이 되고, 집전부재(30)를 휘게 함으로써 접촉부(15)의 접촉력을 얻고 있다.
도 3의 (a), (b) 및 도 4의 (a), (b)의 각각에 집전부재(30)의 상세구조를 나타낸다. 집전부재(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둥근 고리 형상의 도전성재료로 구성되고, 게다가 둥근 고리의 일부에 도 3의 (a), (b)와 같은 노치(41), 도 4의 (a), (b)와 같은 노치(42)가 설치되고, 외경을 φD5, 내경을 φD1이라 하고 있다. 도 3의 (a), (b)의 예에서는, 집전부재(30)에 폭(S1)이 되는 노치(41)를 둥근 고리 중심축과 평행하게 설치하고, 도 2에 나타낸 치수관계로, 집전부재(30)가 설치된 고정 접촉자(12) 내에 가동 주접촉자(6)를 출입함으로써 φD1과 φD2의 직경차를 흡수하는 것이다. 도 4의 (a), (b)의 예에서는, 폭(S2)이 되는 경사방향의 노치(42)가 설치되어 있어, 도 3 (a), (b)와 마찬가지로 직경차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도시 생략하나, 집전부재(30)에 복수의 노치를 설치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도 1에 나타낸 집전자의 접촉부(15)의 상세를 도 8에 나타낸다. 종래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접촉자(13)와 고정 접촉자(14)의 내외경 차로부터 실제의 슬라이딩면에 있어서의 접촉은 접촉자의 원주상의 일부가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2)와 가동 주접촉자(6)로 집전부재(30)를 끼워 누르고 있기 때문에, 집전부재(30)의 안 둘레부가 가동 주접촉자(6)의 바깥 둘레를 따라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슬라이딩하지 않은 집전부재(30)와 고정 접촉자(12)와의 접촉부가 원주상의 일부가 되나, 슬라이딩하는 집전부재(30)와 가동 주접촉자(6)의 접촉부는 전체 둘레가 된다.
통전 접촉부에 있어서, 슬라이딩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경우에는, 통전성능이 현저히 저하하여 접촉부에 용손하는 일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통전부의 전류밀도를 내려 접촉부에 있어서의 국부적인 온도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과 도 8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하는 접촉부의 접촉면적이 대폭 넓어져 전류밀도를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집전자로 통전하면서 슬라이딩하여도 슬라이딩부에서의 용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집전자의 통전성능, 내구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져, 집전자의 수명이 연장되어 신뢰성이 높아지고, 통전용량을 더욱 올려 집전자의 대용량화가 가능해진다.
도 9,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내는 예는, 집전부재(30)의 고정 접촉자(12)와의 접합부분을 곡률(R)의 원 형상으로 단면을 형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집전부재(30)를 사용한 경우의 가동 주접촉자(6)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 접촉자(12)에 가동 주접촉자(6)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고정 접촉자(12)가 가동 주접촉자(6)에 눌려, 수평방향에 대하여 각도(θ)로 고정 접촉자(12)가 왜곡되어 버리는 일이 있고, 단면형상이 직육면체로 형성된 집전부재(30)에서는 가동 주접촉자(6)와 접하는 면적이 작아져 버리나, 집전부재(30)의 고정 접촉자(12)와의 접합부분을 곡률(R)의 원 형상으로 단면을 형성함으로써 이 원 형상에서 고정 접촉자(12)의 왜곡을 흡수하여, 집전부재(30)의 가동 주접촉자(6)와 접하는 면적을 넓히는 것을 실현하고, 또한 고정 접촉자(12)가 왜곡되어 있어도 고정 접촉자(12)와 집전부재(30)가 안정되게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예는, 가동 주접촉자(6a)의 안쪽에 고정 접촉자(12a)가 끼워 맞춰지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그 고정 접촉자(12a)의 바깥 둘레측에 집전부재(30a)를 설치하고, 이 집전부재(30a)가 있는 고정 접촉자(12a)의 바깥 둘레측과 가동 주접촉자(6a)의 안 둘레측이 슬라이딩 접촉하여, 양자가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그 효과는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고정 접촉자의 안 둘레측 또는 바깥 둘레측에 집전부재를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집전부재는 가동접촉자의 바깥 둘레측 또는 안 둘레측에 설치하여도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집전부재를 가동 또는 고정 접촉자에 설치하고 있으나, 가동접촉자에 있어서의 개폐동작을 동반하지 않는 슬라이딩만의 집전부에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설치하여도 얻어지는 효과는 같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 및 가동의 양 접촉자끼리가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이어도, 접촉부가 용손되지 않고 통전성능은 물론이고, 내구성이 향상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집전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단면도, (b)는 (a)의 횡단면도,
도 2는 도 1의 (a)에 있어서의 가동접촉자와 고정 접촉자의 삽입 전후의 치수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본 발명에 채용되는 집전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집전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도 5는 종래의 집전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단면도, (b)는 (a)의 횡단면도,
도 6은 도 5의 (a)에 있어서의 가동접촉자와 고정 접촉자의 삽입 전후의 치수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도 5에 나타낸 종래예에 있어서의 가동접촉자와 고정 접촉자의 접촉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접촉자와 고정 접촉자의 접촉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본 발명의 집전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접촉자와 고정 접촉자의 접촉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본 발명의 집전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의 (a)에 상당하는 도,
도 12는 본 발명의 가스차단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있어서의 부호의 설명
1 : 금속용기 3 : 지지부
4 : 통전부재 5 : 고정 주접촉자
6, 6a, 10 : 가동 주접촉자 7 : 중심도체
8 : 피스톤 9 : 실린더
9a : 중심축 11 : 절연노즐
12, 12a : 고정 접촉자 15 : 접촉부
30, 30a : 집전부재 41, 42 : 노치

Claims (9)

  1. 절연성 소호매체가 봉입되어 있는 용기 내에 원통 형상의 고정 접촉자와, 상기 고정 접촉자와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고정 접촉자와 서로 끼워 맞추어 접촉하여 통전하는 원통 형상의 가동접촉자가 수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접촉자와 가동접촉자 중 한쪽의 접촉부에, 지름방향으로 방사상으로 관통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slit)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슬릿의 안쪽에 둥근 고리 형상의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에 속이 찬(solid)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둥근 고리 형상의 집전부재가 끼워 넣어지며, 상기 집전부재에는, 둥근 고리의 일부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부재는 상기 고정 접촉자의 오목부와 접하는 부분에 원 형상의 접합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자.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부재는 구리 및 크롬구리, 황동 등의 구리계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계 합금 중 어느 하나를 주된 재질로 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자.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20074749A 2002-03-14 2002-11-28 집전자 KR100919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69447A JP4003492B2 (ja) 2002-03-14 2002-03-14 集電子
JPJP-P-2002-00069447 2002-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103A KR20030074103A (ko) 2003-09-19
KR100919855B1 true KR100919855B1 (ko) 2009-09-30

Family

ID=28035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749A KR100919855B1 (ko) 2002-03-14 2002-11-28 집전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64494B2 (ko)
JP (1) JP4003492B2 (ko)
KR (1) KR100919855B1 (ko)
CN (1) CN1231940C (ko)
HK (1) HK1058260A1 (ko)
TW (1) TW5658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4881B2 (en) * 2009-10-28 2013-11-19 Pac International, Inc. Food container
JP5906412B2 (ja) * 2011-11-22 2016-04-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路システム用の導体
CN104054151B (zh) * 2012-02-06 2017-04-19 三菱电机株式会社 气体断路器
KR101721948B1 (ko) * 2013-09-11 2017-03-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컴팩트화된 접점 조립구조를 가지는 차단기
JP6914801B2 (ja) * 2017-10-12 2021-08-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遮断器
CN113611550B (zh) * 2021-07-27 2023-06-30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承载大电流的快速机械开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8629A (ja) * 1986-10-24 1988-05-13 株式会社東芝 環状接触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40315C3 (de) * 1975-09-08 1978-12-1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Druckgasschalter
US4181837A (en) * 1976-09-15 1980-01-01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mpressed-gas circuit interrupter having insulated contacts
US4393291A (en) * 1979-10-12 1983-07-12 Brush Switchgear Limited Gas blast interrupters
ES499929A0 (es) * 1980-02-28 1982-05-16 Mitsubishi Electric Corp Interruptor automatico del tipo de extincion de arco por chorro de gas
EP0081253A1 (de) * 1981-12-03 1983-06-15 BBC Aktiengesellschaft Brown, Boveri & Cie. Druckgasschalter
JPH0719505B2 (ja) * 1988-06-02 1995-03-06 株式会社東芝 断路器
FR2737936B1 (fr) * 1995-08-18 1997-09-19 Gec Alsthom T & D Sa Disjoncteur muni d'une resistance de fermeture avec dispositif d'inser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8629A (ja) * 1986-10-24 1988-05-13 株式会社東芝 環状接触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73334A1 (en) 2003-09-18
JP2003272491A (ja) 2003-09-26
KR20030074103A (ko) 2003-09-19
CN1231940C (zh) 2005-12-14
HK1058260A1 (en) 2004-05-07
JP4003492B2 (ja) 2007-11-07
US6664494B2 (en) 2003-12-16
CN1445806A (zh) 2003-10-01
TW565868B (en)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3130A (en) Self-extinguishing expansion switch or circuit breaker
US3727018A (en) Disk vacuum power interrupter
US5387772A (en) Vacuum switch
US20130220977A1 (en) Electrical contact arrangement for vacuum interrupter arrangement
JP2005518635A (ja) 開閉用接触子付き真空バルブ
US4553008A (en) Load interrupter
KR100919855B1 (ko) 집전자
US4412115A (en) Circuit interrupter
CN101359549B (zh) 真空开关管
CN112614737B (zh) 一种真空灭弧室
CN102184812B (zh) 一种用于塑壳断路器的可动静触头结构
JPH0381920A (ja) 断路器
US3969598A (en) Vacuum-type circuit interrupter with a plurality of sets of contacts in parallel
JP3967387B2 (ja) アーク切換開閉器
US5726406A (en) Electrical vacuum switch
EA001575B1 (ru) Дугогасительная камера для высоковольтн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US4319104A (en) Movable contact unit for a direct-current, high-capacity circuit breaker
CN211319999U (zh) 一种真空灭弧室触头、真空灭弧室及真空断路器
FI68925C (fi) Hoegspaenningseffektbrytare
JP2570248B2 (ja) 封止接点装置
JP2015082368A (ja) ガス遮断器
US4296289A (en) Electric gas-blast switch
GB542728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c. electric circuit-breakers of the gas-blast type
CN111192777B (zh) 一种防电弧触头
US4354073A (en) Electric gas blast circuit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