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447B1 - 도광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광판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447B1
KR100919447B1 KR1020080131161A KR20080131161A KR100919447B1 KR 100919447 B1 KR100919447 B1 KR 100919447B1 KR 1020080131161 A KR1020080131161 A KR 1020080131161A KR 20080131161 A KR20080131161 A KR 20080131161A KR 100919447 B1 KR100919447 B1 KR 100919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sin
sealing member
pattern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두진
윤석일
엄익수
곽문조
하관수
김가을
Original Assignee
(주)티에스티아이테크
주식회사 에이앤피 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스티아이테크, 주식회사 에이앤피 테크 filed Critical (주)티에스티아이테크
Priority to KR1020080131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5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 B23K26/359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by providing a line or line pattern, e.g. a dotted break initiation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를 준비하는 제1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실링부재를 형성하는 제2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상기 실링부재에 제2플레이트를 배치하는 제3공정; 상기 실링부재를 통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레진을 주입하여 충진하는 제4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상기 레진을 경화시키는 제5공정; 및 상기 경화된 레진으로부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실링부재를 분리하는 제6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마스크의 교체로 인한 제조비용 상승이 없고,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와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은 제2플레이트 각각을 배치하고,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 레진을 충진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미세한 다양한 패턴을 가지는 도광판을 제작할 수 있으며, 레진의 경화에 의해 도광판을 제작하므로 기계적 가공공정에 비하여 패턴 형성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이 증가 된다.

Description

도광판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Guiding Plate}
본 발명은 도광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광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치의 백 라이트(Back Light)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표시장치의 측면에 부착된 램프로부터 방출된 광을 표시장치의 전면으로 고르게 입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도광판의 표면에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광을 산란 및 반사시키며, 그와 같은 작용에 의해 광이 표시장치의 전면으로 고르게 입사하게 된다.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을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인쇄 방법, V-커팅 방법, 및 레이저 스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인쇄 방법은 소정 패턴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특수 잉크를 도광판에 도포하여 소정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인데, 마스크의 수명에 따라 마스크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되고 미세한 패턴 형성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 V-커팅 방법은 도광판의 표면에 V자 홈의 스크래치를 형성하여 소정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인데, 공정상 선 형태의 패턴만을 형성할 수 있는 한계가 있고, 스크래치 형성으로 인해 부스러기가 많이 생기며, 패턴 형성 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레이저 스캔 방법은 도광판의 표면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인데, 패턴이 복잡한 경우 패턴 형성 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미세한 다양한 패턴 형성이 가능하고 패턴의 형성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도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를 준비하는 제1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실링부재를 형성하는 제2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상기 실링부재에 제2플레이트를 배치하는 제3공정; 상기 실링부재를 통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레진을 주입하여 충진하는 제4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상기 레진을 경화시키는 제5공정; 및 상기 경화된 레진으로부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실링부재를 분리하는 제6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를 준비하는 제1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실링부재를 형성하는 제2공정;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상기 제1플레이트 상에 마련된 공간에 레진을 적하하는 제3공정; 상기 레진이 적하된 제1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상기 실링부재에 제2플레이트를 배치하는 제4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적하된 상기 레진을 경화시키는 제5공정; 및 상기 경화된 레진으로부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실링부재를 분리하는 제6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소정의 제 1 패턴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와 소정의 제 2 패턴이 형성된 제2플레이트를 준비하는 제1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실링부재를 형성하는 제2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상기 실링부재에 상기 제2플레이트를 배치하는 제3공정; 상기 실링부재를 통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레진을 주입하여 충진하는 제4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상기 레진을 경화시키는 제5공정; 및 상기 경화된 레진으로부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실링부재를 분리하는 제6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소정의 제 1 패턴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와 소정의 제 2 패턴이 형성된 제2플레이트를 준비하는 제1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실링부재를 형성하는 제2공정;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상기 제1플레이트 상에 마련된 공간에 레진을 적하하는 제3공정; 상기 레진이 적하된 제1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상기 실링부재에 상기 제2플레이트를 배치하는 제4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상기 레진을 경화시키는 제5공정; 및 상기 경화된 레진으로부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실링부재를 분리하는 제6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과 다른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공정은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수직 상태로 유지하는 공정; 및 상기 실링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 1 포트를 통해 상기 레진을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주입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의 상측면에 형성된 제 2 포트를 통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진은 첨가된 응고제에 의해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6공정 이전에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를 탈포하는 탈포 공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탈포 공정은 액체가 수용된 용기를 준비하는 공정; 및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상기 레진이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상기 용기에 침지시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체는 일정한 온도를 가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마스크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마스크의 교체로 인한 제조비용 상승이 없고,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와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은 제2플레이트 각각을 배치하고,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 레진을 충진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미세한 다양한 패턴을 가지는 도광판을 제작할 수 있으며, 레진의 경화에 의해 도광판을 제작하므로 기계적 가공공정에 비하여 패턴 형성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이 증가 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의 주입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진의 주입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레진의 경화 공정과 동시에 수행되는 탈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110: 제 1 플레이트 12, 112, 132: 양각 패턴
20, 120: 실링부재 22, 24, 26: 포트
30, 130: 제 2 플레이트 40, 140: 레진
50, 150: 도광판 52, 152, 154: 음각 패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1a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양각 패턴(12)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10)를 준비한다.
상기 소정의 양각 패턴(12)은 삼각 단면을 가지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스트라이프 형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피라미드 형태, "+"자 형태, "X"자 형태, "T"자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플레이트(10)에는 소정의 양각 패턴(12) 대신에 음각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0)는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방법 또는 CO2 레이저방법을 이용하여 소정의 마스터(Master)를 제조하고, 상기 마스터(Master)에 전기도금(Electroplating)방법을 수행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토리소그라피 방법 및 전기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제1플레이트(10)를 준비하게 되면 미세한 양각 패턴(12) 또는 음각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10)는 기계적 가공을 통해 소정의 양각 패턴(12) 또는 음각 패턴을 형성하여 준비할 수도 있다.
다음, 도 1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에 실링부재(20)를 배치한다.
상기 실링부재(20)는 상기 양각 패턴(12)이 형성된 상기 제1플레이트(10)의 일면 위에 배치되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1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플레이트(10)와 마주보도록 실링부재(20) 상에 제2플레이트(30)를 배치한다. 이때, 실링부재(20)는 제2플레이트(30)를 지지함과 아울러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 사이의 공간을 마련한다.
다음, 도 1d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실링부재(20)을 통해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 사이의 공간에 레진(Resin)(40) 주입하여 충진한다.
상기 레진(40)은 광경화성 재질이거나 열경화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진(40)은 발열 응고제를 함유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1e에서 알 수 있듯이,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레진(40)을 경화시킨 후, 제1 및 제2플레이트(10, 30)와 실링부재(20) 각각을 분리함으로써 소정의 양각 패턴(12)에 대응되는 소정의 음각 패턴(52)이 형성된 도광판(50)을 완성한다. 여기서, 제1플레이트(10)에 소정의 음각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 도광판(50)에는 소정의 양각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 사이의 공간에 주입된 레진(40)은 재질에 따라 UV에 의해 광경화되거나, 열에 의해 열경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진(40)은 첨가된 발열 응고제의 발열에 의해 별도의 경화 공정 없이도 자연적으로 경화될 수 있다.
한편, 경화된 레진(40)에서 실링부재(20)를 분리할 경우에는, 별도의 절단 공정을 통해 경화된 레진의 가장자리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경화된 레진(40)에서 실링부재(20)를 분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여, 상기 레진(40)의 주입 공정[전술한 도 1d에 따른 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의 주입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실링부재(20)에는 상기 레진(40)의 주입을 위하여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포트(22); 및 상기 일측면을 제외한 다른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2포트(24)가 형성된다. 상기 레진(40)의 주입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실링부재(20)에 의해 합착된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를 수평 상태로 유지하고, 실링부재(20)에 형성된 제1 및 제2포트(22, 24) 중 어느 하나의 포트(22)를 통해 레진(40)을 주입함으로써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 사이의 공간에 레진(40)을 충진한다. 이때,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공기는 제1 및 제2포트(22, 24) 중 나머지 포트(24)를 통해 배출되어 공기 발생이 방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진의 주입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실링부재(20)에는 상기 레진(40)의 주입을 위하여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포트(22); 및 상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2포트(26)가 형성된다. 상기 레진(40)의 주입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실링부재(20)에 의해 합착된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를 수직 상태로 유지하고, 실링부재(2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포트(22)를 통해 레진(40)을 주입함으로써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 사이의 공간에 레진(40)을 충진한다. 이때,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공기는 제2포트(26)를 통해 배출되어 공기 발생이 방지된다. 특히, 도 3의 경우는,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를 수직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 배출통로인 제2포트(26)가 실링부재(20)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입되는 레진(40)이 제2포트(26)로 유출될 염려가 없어 공정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레진(40)의 경화 공정과 동시에 탈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탈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a에서 알 수 있듯이, 실링부재(20)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레진(40)이 충진된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의 일부를 액체(50)가 수용된 용기(60)에 침지시킴으로써 액체(50)의 압력에 의해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 사이에 충진된 레진(40)에 형성되는 공기를 제거한다. 이때, 공기는 실링부재(20)에 형성된 포트(22, 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액체(50)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를 가열된 상태일 경우, 전술한 탈포 공정과 동시에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 사이에 충진된 레진(40)을 경화시켜 레진(40)의 경화 시간을 단축시킬 수도 있다.
상기의 탈포 공정 후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20)에 형성된 포트(22, 24)를 밀봉한 후, 실링부재(20)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레진(40)이 충진된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를 용기(60) 속에 완전히 침지시킴으로써 레진(40)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경화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은 실링부재(20)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양각 패턴(12)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 각각을 배치하고,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 사이에 레진(40)을 충진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미세한 다양한 패턴을 가지는 도광판(50)을 제작할 수 있으며, 패턴의 형성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은 레진(40)의 경화 공정과 동시에 탈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공기를 제거하고 레진(40)의 경화 시간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레진(40)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경화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전술한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주입 방식을 레진(40)의 주입공정을 수행하였으나,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주입 방식이 아닌 적하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5a 및 도 5b 각각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제1양각 패턴(12)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10)를 준비하고, 제1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실링부재(20)를 배치한다.
다음, 도 5c에서 알 수 있듯이, 실링부재(20)에 의해 제1플레이트(10) 상에 마련된 공간에 레진(40)을 적하한다. 이때, 상기 레진(4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디스펜싱 장치의 노즐을 통해 적하될 수 있다.
다음, 도 5d에서 알 수 있듯이, 레진(40)이 적하된 상기 제1플레이트(10)와 마주보도록 실링부재(20) 상에 제2플레이트(30)를 배치한다.
다음, 도 5e에서 알 수 있듯이,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30) 사이의 공간에 적하된 레진(40)을 경화시킨 후, 제1 및 제2플레이트(10, 30)와 실링부재(20) 각각을 분리함으로써 소정의 양각 패턴(12)에 대응되는 소정의 음각 패턴(52)이 형성된 도광판(50)을 완성한다. 여기서, 제1플레이트(10)에 소정의 음각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 도광판(50)에는 소정의 양각 패턴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에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전술한 탈포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은 실링부재(20)에 의해 소정의 양각 패턴(12)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10) 상에 마련된 공간에 레진(40)을 적하하고, 레진(40)이 적하된 제1플레이트(10) 상에 제2플레이트(30)를 배치하여 적하된 레진(40)을 경화시킴으로써 미세한 다양한 패턴을 가지는 도광판(50)을 제작할 수 있으며, 레진(40)의 적하 방식을 통해 패턴의 형성 시간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은 레진(40)의 경화 공정과 동시에 탈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공기를 제거하고 레진(40)의 경화 시간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레진(40)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경화시킬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6a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제1양각 패턴(112)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110)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제1플레이트(110)에는 소정의 제1양각 패턴(112) 대신에 음각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소정의 제 1 양각 패턴(112)은 삼각 단면을 가지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스트라이프 형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피라미드 형태, "+"자 형태, "X"자 형태, "T"자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10)는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방법 또는 CO2 레이저방법을 이용하여 소정의 마스터(Master)를 제조하고, 상기 마스터(Master)에 전기도금(Electroplating)방법을 수행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토리소그라피 방법 및 전기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제1플레이트(110)를 준비하게 되면 미세한 제1양각 패턴(112) 또는 제1음각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110)는 기계적 가공을 통해 소정의 제1양각 패턴(112) 또는 제1음각 패턴을 형성하여 준비할 수도 있다.
다음, 도 6b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제2양각 패턴(132)이 형성된 제2플레이트(130)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제2플레이트(130)에는 소정의 제1양각 패턴(132) 대신에 음각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소정의 제2양각 패턴(132)은 제1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소정의 제1양각 패턴(112)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거나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소정의 제1양각 패턴(112)보다 미세한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소정의 제 2 양각 패턴(132)은 삼각 단면을 가지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스트라이프 형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피라미드 형태, "+"자 형태, "X"자 형태, "T"자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양각 패턴(112, 132) 각각이 삼각 단면의 스트라이프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제1 및 제2양각 패턴(112, 132)을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130)는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방법 또는 CO2 레이저방법을 이용하여 소정의 마스터(Master)를 제조하고, 상기 마스터(Master)에 전기도금(Electroplating)방법을 수행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토리소그라피 방법 및 전기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제2플레이트(130)를 준비하게 되면 미세한 제2양각 패턴(132) 또는 제2음각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플레이트(130)는 기계적 가공을 통해 소정의 제2양각 패턴(132) 또는 제2음각 패턴을 형성하여 준비할 수도 있다.
다음, 도 6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에 실링부재(120)를 배치한다.
상기 실링부재(120)는 상기 제1 양각 패턴(112)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110)의 일면 위에 배치되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6d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플레이트(110)와 마주보도록 실링부재(120) 상에 제2플레이트(130)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제1양각 패턴(112) 및 제2양각 패턴(132)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2플레이트(130)를 배치한다.
다음, 도 6e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실링부재(120)을 통해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30) 사이의 공간에 레진(140)을 주입하여 충진한다.
상기 레진(140)은 광경화성 재질이거나 열경화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진(140)은 발열 응고제를 함유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진(140)의 주입공정은 전술한 도 2 및 도 3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도 6f에서 알 수 있듯이,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30) 사이의 공간에 주입된 레진(140)을 경화시킨 후, 제1 및 제2플레이트(110, 130)와 실링부재(120) 각각을 분리함으로써 소정의 제1 및 제2음각 패턴(152, 154)이 형성된 도광판(150)을 완성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플레이트(110, 130) 각각에 소정의 음각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 도광판(150)에는 소정의 양각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30) 사이의 공간에 주입된 레진(140)은 재질에 따라 UV에 의해 광경화되거나, 열에 의해 열경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진(140)은 첨가된 발열 응고제의 발열에 의해 별도의 경화 공정 없이도 자연적으로 경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부재(120)는 레진(140)의 경화시 레진(140)에 결합되기 때문에 별도의 절단 공정을 통해 경화된 레진의 가장자리 부분의 절단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에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전술한 탈포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은 실링부재(120)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제1양각 패턴(112)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110)와 소정의 제 2양각 패턴(132)이 형성된 제2플레이트(130) 각각을 배치하고,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30) 사이에 레진(140)을 충진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미세한 다양한 패턴(152, 154)을 가지는 도광판(150)을 제작할 수 있으며, 패턴의 형성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은 레진(140)의 경화 공정과 동시에 탈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공기를 제거하고 레진(140)의 경화 시간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레진(140)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경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도광판(150)은 일면에는 제1음각 패턴(152)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제2음각 패턴(154)이 형성되기 때문에, 백라이트 모듈 제작시 상기 제2음각 패턴(154)이 확산필름 또는 광제어 필름(프리즘 필름,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필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그 만큼 광학필름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제4실시예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전술한 본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주입 방식을 레진(140)의 주입공정을 수행하였으나,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주입 방식이 아닌 적하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3실시예에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7a 및 도 7b 각각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제1양각 패턴(112)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110)를 준비하고, 소정의 제2양각 패턴(132)이 형성된 제2플레이트(130)를 준비한다.
다음, 도 7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에 실링부재(120)를 배치한다.
다음, 도 7d에서 알 수 있듯이, 실링부재(120)에 의해 제1플레이트(110) 상에 마련된 공간에 레진(140)을 적하한다. 이때, 상기 레진(14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디스펜싱 장치에 의해 적하될 수 있다.
다음, 도 7e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레진(140)이 적하된 상기 제1플레이트(110)와 마주보도록 실링부재(120) 상에 제2플레이트(130)를 배치한다. 이때, 제1양각 패턴(112) 및 제2양각 패턴(132)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2플레이트(130)를 배치한다.
다음, 도 7f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30) 사이의 공간에 적하된 레진(140)을 경화시킨 후, 제1 및 제2플레이트(110, 130)와 실링부재(120) 각각을 분리함으로써 소정의 제1 및 제2음각 패턴(152, 154)이 형성된 도광판(150)을 완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에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전술한 탈포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은 실링부재(120)에 의해 소정의 양각 패턴(112)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110) 상에 마련된 공간에 레진(140)을 적하하고, 레진(140)이 적하된 제1플레이트(110) 상에 제2플레이트(130)를 배치하여 적하된 레진(140)을 경화시킴으로써 미세한 다양한 패턴을 가지는 도광판(150)을 제작할 수 있으며, 레진(140)의 적하 방식을 통해 패턴의 형성 시간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공정은 레진(140)의 경화 공정과 동시에 탈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공기를 제거하고 레진(140)의 경화 시간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레진(140)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경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도광판(150)은 일면에는 제1음각 패턴(152)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제2음각 패턴(154)이 형성되기 때문에, 백라이트 모듈 제작시 상기 제2음각 패턴(154)이 확산필름 또는 광제어 필름(프리즘 필름,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필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그 만큼 광학필름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를 준비하는 제1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실링부재를 형성하는 제2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상기 실링부재에 제2플레이트를 배치하는 제3공정;
    상기 실링부재를 통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레진을 주입하여 충진하는 제4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상기 레진을 경화시키는 제5공정; 및
    상기 경화된 레진으로부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실링부재를 분리하는 제6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2.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를 준비하는 제1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실링부재를 형성하는 제2공정;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상기 제1플레이트 상에 마련된 공간에 레진을 적하하는 제3공정;
    상기 레진이 적하된 제1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상기 실링부재에 제2플레이트를 배치하는 제4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적하된 상기 레진을 경화시키는 제5공정; 및
    상기 경화된 레진으로부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실링부재를 분리하는 제6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3. 소정의 제 1 패턴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와 소정의 제 2 패턴이 형성된 제2플레이트를 준비하는 제1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실링부재를 형성하는 제2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상기 실링부재에 상기 제2플레이트를 배치하는 제3공정;
    상기 실링부재를 통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레진을 주입하여 충진하는 제4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상기 레진을 경화시키는 제5공정; 및
    상기 경화된 레진으로부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실링부재를 분리하는 제6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4. 소정의 제 1 패턴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와 소정의 제 2 패턴이 형성된 제2플레이트를 준비하는 제1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실링부재를 형성하는 제2공정;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상기 제1플레이트 상에 마련된 공간에 레진을 적하하는 제3공정;
    상기 레진이 적하된 제1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상기 실링부재에 상기 제2플레이트를 배치하는 제4공정;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상기 레진을 경화시키는 제5공정; 및
    상기 경화된 레진으로부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실링부재를 분리하는 제6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과 다른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은,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수직 상태로 유지하는 공정;
    상기 실링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 1 포트를 통해 상기 레진을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주입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상측면에 형성된 제 2 포트를 통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은 첨가된 응고제에 의해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6공정 이전에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를 탈포하는 탈포 공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포 공정은,
    액체가 수용된 용기를 준비하는 공정;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상기 레진이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상기 용기에 침지시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11. 삭제
KR1020080131161A 2008-12-22 2008-12-22 도광판의 제조방법 KR100919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161A KR100919447B1 (ko) 2008-12-22 2008-12-22 도광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161A KR100919447B1 (ko) 2008-12-22 2008-12-22 도광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447B1 true KR100919447B1 (ko) 2009-09-29

Family

ID=4135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161A KR100919447B1 (ko) 2008-12-22 2008-12-22 도광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4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426A (ko) * 2002-11-14 2004-05-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20070045528A (ko) * 2005-10-27 2007-05-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패턴 형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KR20070082571A (ko) * 2006-02-16 2007-08-21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패턴 형성 방법 및 위상 시프트 마스크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426A (ko) * 2002-11-14 2004-05-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20070045528A (ko) * 2005-10-27 2007-05-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패턴 형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KR20070082571A (ko) * 2006-02-16 2007-08-21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패턴 형성 방법 및 위상 시프트 마스크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826B1 (ko) 하이 새그 렌즈의 제작 방법
KR101344263B1 (ko)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성형 도구
JP2003094445A (ja) 微細構造体の製造方法、該微細構造体を備えた装置の製造方法、該製造方法による微細構造体、該微細構造体製造用装置並びに該微細構造体を備えた装置製造用装置
KR101241963B1 (ko) 패턴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1556345A (zh) 微透镜的制作方法
TWI335474B (en) Mass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guide plate
JP2015510656A (ja) 導光板のドット、導光板の製造方法、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EP2555047A1 (en) Liquid-crystal display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JPWO2007108444A1 (ja) エネルギ線硬化樹脂射出成形装置および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0210939A (ja) 位相差膜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素子
KR100919447B1 (ko) 도광판의 제조방법
CN105082541A (zh) 一种3d打印机及3d打印系统
TWI430879B (zh) 導光板及其製作方法
TWI805750B (zh) 光控濾光片
KR100939491B1 (ko) 광학부재의 제조방법
US9678316B2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lens, method of fabricating lens, and lens
CN100395614C (zh) 导光板制造方法
JP2010224424A (ja) 液晶光学素子とその製造方法
CN103018816B (zh) 一种导光板制作方法及其制作装置
US20070115690A1 (en) Method for producing a light guide plate and method for making a core insert for a light guide plate
KR100936923B1 (ko) 유브이 전사를 이용한 도광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6119423A (ja) 複合型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85518B1 (ko) 소정 패턴의 코팅층이 구비된 도광판을 제조하는 방법
US1017541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006839B1 (ko) 백라이트유니트용 라이트 가이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