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964B1 -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964B1
KR100917964B1 KR1020070088661A KR20070088661A KR100917964B1 KR 100917964 B1 KR100917964 B1 KR 100917964B1 KR 1020070088661 A KR1020070088661 A KR 1020070088661A KR 20070088661 A KR20070088661 A KR 20070088661A KR 100917964 B1 KR100917964 B1 KR 100917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ysteresis
hub
clutch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2943A (ko
Inventor
장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to KR1020070088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964B1/ko
Publication of KR20090022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13/644Hub construction
    • F16D13/646Mounting of the discs on the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arrangement of the dampe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3Wound springs
    • F16F15/12313Wound springs characterised by the dimension or shape of spring-containing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22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찰 접촉에 의해 토크를 전달받는 클러치 접촉부; 복수개의 슬릿 구멍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중앙에 축 방향 관통 구멍이 형성된 허브 플레이트; 허브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설치되어 각각 허브 플레이트의 슬릿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슬릿 구멍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각각 중앙에 축 방향 관통 구멍이 형성된 서브 플레이트 및 클러치 접촉부와 일측이 고정 결합되는 디스크 플레이트; 허브 플레이트와 디스크 플레이트 및 서브 플레이트의 축 방향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디스크 플레이트 및 서브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허브; 및 허브 플레이트의 관통구멍 주위를 감싸며, 슬릿 구멍을 통해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히스테리시스 마찰면을 형성하는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허브 플레이트의 슬릿 구멍은 허브 플레이트가 회전 운동시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와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가 부측 방향으로 미세 히스테리시스를 일으키기 위한 각도 간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허브, 허브 플레이트, 디스크 플레이트, 서브 플레이트,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 히스테리시스

Description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CLUTCH DISK ASSEMBLY}
본 발명은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부측 방향의 메인 댐퍼 영역에서, 미세한 작동 각도에 대한 마찰을 억제할 수 있는 미세한 히스테리시스를 제공할 수 있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데 있어 수동 트랜스미션에서는 원판 마찰 클러치가 사용되며, 자동 트랜스미션에서는 유체 클러치의 일종인 토크컨버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가 포함된 원판 마찰 클러치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원판 마찰 클러치를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미국 특허 제6,062,364호에 개시된 것으로 크게 플라이휠(2)과,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3)와,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4)로 이루어진다. 클러치는 엔진(E)의 크랭크축(5)으로부터 트랜스미션 기구의 메인 구동축(6)에 단속적으로 토크를 전달한다. 크랭크축(5)의 끝단에는 플레이트(7)가 볼트(12)에 의하여 고정된다. 플라이휠(2)은 볼트(11) 에 의하여 플레이트(7)의 외주 근방에 체결된다.
여기서,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3)는 클러치 커버(21), 압력판(22) 및 다이어프램 스프링(23)으로 이루어진다. 클러치 커버(21)는 그 중앙에 구멍부를 가지는데, 그 구멍부를 통하여 메인 구동축(6)이 뻗어있다. 클러치 커버(21)는 플라이휠(2)에 고정된다. 릴리이즈 기구(8)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메인 구동축(6)의 외측에 설치된다. 스트랩 플레이트(24)의 일단은 볼트(28)에 의하여 압력판(22)의 외주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클러치 커버(21)에 고정된다. 스터드 핀(26)은 두 개의 와이어 링(27)을 지지한다. 릴리이즈 기구(8)가 플라이휠(2)쪽으로 이동될 때, 릴리이즈 기구(8)는 다이아프램 스프링(23)의 내측단을 엔진(E)측으로 밀게되고, 이에 의하여 다이어프램 스프링(23)의 외측단은 와이어 링(27)과의 접촉점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 때,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4)가 플라이휠(2)과 이격되게 되어, 엔진(E)으로부터의 트랜스미션 기구로의 동력 전달이 차단된다.
또한,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는 클러치 접촉부(31), 디스크 플레이트(32), 서브 플레이트(33), 플랜지(35), 허브(34), 코일 스프링(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디스크 플레이트(32)와 서브 플레이트(33)는 핀(38)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디스크 플레이트(32) 및 서브 플레이트(33)와 플랜지(35)의 사이에는 마찰발생기구부(37)가 설치되는데, 이는 다수의 와셔로 이루어진다. 클러치 접촉부(31)는 플레이트(41) 및 그에 고정되는 다수의 마찰 패드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41)는 리벳(39)에 의하여 디스크 플레이트(32)에 체결된다. 메인 구동축(6)은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3)의 허브(34)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스플라인 기어 이빨을 가진다.
동력전달경로를 살펴보면, 크랭크축(5)으로부터 전달된 토크는 플라이휠(2), 클러치 커버(21), 압력판(22) 및 클러치 접촉부(31)를 일체로 회전시키고, 클러치 접촉부(31)에 전달된 토크는 플레이트(32) 및 플레이트(33), 코일 스프링(36), 플랜지(35), 허브(34), 메인 구동축(6)을 거쳐 트랜스미션 기구로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판 마찰 클러치에 포함된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는 부측 방향으로 미세한 히스테리시스를 제공할 수 없다. 즉, 세밀한 댐핑 성능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는 부측 방향의 댐퍼 영역에서 미세한 진동 및 소음을 해결하는 것에도 구조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측 방향의 댐퍼 영역에서, 미세한 작동 각도에 대한 마찰을 억제할 수 있는 미세한 히스테리시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찰 접촉에 의해 토크를 전달받는 클러치 접촉부; 복수개의 슬릿 구멍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중앙에 축 방향 관통 구멍이 형성된 허브 플레이트; 허브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설치되어 각각 허브 플레이트의 슬릿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슬릿 구멍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각각 중앙에 축 방향 관통 구멍이 형성된 서브 플레이트 및 클러치 접촉부와 일측이 고정 결합되는 디스크 플레이트; 허브 플레이트와 디스크 플레이트 및 서브 플레이트의 축 방향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디스크 플레이트 및 서브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허브; 및 허브 플레이트의 관통구멍 주위를 감싸며, 슬릿 구멍을 통해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히스테리시스 마찰면을 형성하는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허브 플레이트의 슬릿 구멍은 허브 플레이트가 회전 운동시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와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가 부측 방향으로 미세 히스테리시스를 일으키기 위한 각도 간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는 절곡부가 형성된 다리를 가지며, 허브 플레이트의 슬릿 구멍은 절곡부가 안착하여 각도 간격을 이루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허브 플레이트의 반경방향 끝단에 마찰력 발생을 억제하는 수직 간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각도 간격은 5° 이내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는 함몰부를 구비하며,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돌출부가 함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는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에서 히스테리시스 마찰면을 형성하여, 허브 플레이트와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로 구비된 미세한 각도 간격 구간에서 마찰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는 부측 방향으로 미세한 히스테리시스를 제공함으로 미세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평명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일실 시예는 클러치 접촉부(75), 디스크 플레이트(30), 서브 플레이트(40), 허브(10), 허브 플레이트(20), 급속한 토크 전달시 댐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토션 스프링(Torsion spiring : 90, 100) 및 토션 러버 스프링(Torsion rubber spring : 1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클러치 접촉부(75)는 플라이 휠(미도시)과의 마찰 접촉에 의해 토크가 전달되는 훼이싱(50)과, 훼이싱(50)이 고정되는 쿠션 플레이트(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데, 쿠션 플레이트(60)는 쿠션 리벳(220)에 의해 디스크 플레이트(30)에 고정된다.
다음, 디스크 플레이트(30)는 서브 플레이트(40)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스토퍼 핀(210)에 의해 서브 플레이트(40)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디스크 플레이트(30)와 서브 플레이트(40)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슬릿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허브(10)는 중앙에 메인 구동축이 관통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되되, 동력을 변속기구로 전달하는 메인 구동축(미도시)이 허브(10)의 관통구멍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디스크 플레이트(30)와 서브 플레이트(4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설된다.
다음, 허브 플레이트(20)는 허브(10)의 외주에 연장되도록 형성된 원판 형상의 플레이트로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30)와 서브 플레이트(40)의 사이에 설치되되, 디스크 플레이트(30)와 서브 플레이트(40)에 서로 결합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때, 허브 플레이트(20)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슬릿 구멍이 형성된다.
다음, 토션 스프링(90, 100) 및 토션 러버 스프링(110)은 상기 허브 플레이트(20)와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30) 및 서브 플레이트(40)의 슬릿 구멍에 한 쌍씩 서로 대칭되어 삽설된다. 여기서 토션 스프링(90, 100)은 직경이 큰 토션 스프링(90) 내부에 직경이 작은 토션 스프링(100)이 포함되어 있는 구조이며, 토션 러버 스프링(110)은 직경이 작은 토션 스프링(100) 내부에 고무주입하여 내장되도록 한 후, 직경이 큰 토션 스프링 내부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토션 스프링(90, 100) 및 토션 러버 스프링(110)은 급속한 토크 전달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일실시예의 부측에서 각도 간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일실시예의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와 허브 플레이트 사이의 수직 간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가 허브 플레이트(20)의 중심 부분을 덮고 있으며, 허브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슬릿 구멍에는 직경이 큰 토션 스프링(90)이 직경이 작은 토션 스프링(100)을 내부에 구비한 채로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슬릿 구멍의 우하단 함몰부(42)는 부측 방향의 각도 간격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의 깊이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의 우측 다리의 절곡부(73)와 허브 플레이트의 우하단 함몰부(42)는 미세한 각도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일예로서, 도 4에서는 상기 미세한 각도 간격으로 1.2°각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한 각도 간격으로 5°이내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종래와 같이 허브(10), 허브 플레이트(20), 및 프리 댐퍼(180) 볼 수 있으며, 슬릿 구멍에 포함되는 토션 스프링(90, 100)도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와 허브 플레이트(20) 사이의 수직 간격(77)을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수직 간격(77)은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와 허브 플레이트(20) 사이에서 마찰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허브 플레이트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허브 플레이트(20)는 원주 방향으로 상하좌우 네 방향에 슬릿 구멍을 형성한다. 이때 상하 두 방향의 슬릿 구멍은 각각 좌우하단 부분이 미세하게 다르다. 상하의 대칭되는 슬릿 구멍의 우하단 함몰부(42)는 좌하단 함몰부(43)보다미세하게 더 함몰진 형상을 한다.
도 7에서, 좌측에는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는 우측 절곡부(73), 좌측 절곡부(76)를 구비한 다리(72)를 포함하고,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함몰부(74)를 외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좌측의 A-A선을 따라서 측단면도가 우측에 도시되어있다.
도 8에서, 상단에는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는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와 결합할 수 있는 돌출부(84)를 외측면에 구비하고, 하단에서 연장부(82)는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와 결합 시에 잘 풀어지지 않도록 키(8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는 허브 플레이트(20)를 서로 둘러싸는 구조를 형성하며, 이때 허브 플레이트(20)는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 사이에 원주 회전 방향에서 미세한 수직 간격을 둘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미세한 히스테리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미세한 히스테리시스의 작동을 위한 허브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 허브 플레이트(20)는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를 통해 축 부위가 둘러싸여 있다.
이때 허브 플레이트(20)의 두께는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를 결합한 두께보다 작다. 그러므로, 1.2°의 각도 간격까지는 충분히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허브 플레이트(20)는 부측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며, 이때 1.2°의 각도 간격에서 미세한 히스테리시스를 제공하는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A) 단계는 허브 플레이트의 우하단 함몰부(42)와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의 우측 다리의 절곡부(73)는 1.2°간격을 구비하는 일예이다.
(B) 단계는 허브 플레이트(20)에 부측 방향으로 미세한 히스테리시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의 우측 다리의 절곡부(73)가 1.2°의 각 도 간격만큼 움직이는 것을 보여주는 일예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는 부측 방향으로 미세한 히스테리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제1 히스트레시스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미세한 히스테리시스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 (A), (B), (C) 단계는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에 의해 축 부위가 둘러싸인 허브 플레이트(20)가 정측 방향으로 순차적 회전 운동이 시작되고 다시 멈추는 것을 도시한다. 정측 방향의 운동은 가속 페달을 밟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A) 단계는 허브 플레이트(20)에 회전 운동이 가해지기 직전이다. 만일, 회전 운동이 가해질 경우는, 허브 플레이트(20)가 우측으로 움직이면서, 제1 히스테리시스의 좌측 다리의 절곡부(76)에 운동력을 가할 것이다. 즉, 허브 플레이트(20)에 의해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이 작동한다.
(B) 단계는 제1 히스테리시스의 좌측 다리의 절곡부(73)에 힘이 가해지면서 회전 운동이 이루어진 것이다. 즉, 허브 플레이트(20)에 의해 전달 받은 운동력은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을 작동하도록 한다. 이때 슬릿 구멍에 포함되는 토션 스프링(90, 100)에 운동력이 가해 지면서, 토션 스프링(90, 100)은 압축된다.
(C) 단계는 처음 회전 운동이 약해지면서 허브 플레이트(20)가 다시 원위치로 돌아온 것이다. 운동력의 저감에 따라 슬릿 구멍에 포함되는 토션 스프링(90, 100)의 압축도 풀어진 것이다.
도 10 도시된 두 그래프에서 X 축의 토크와 Y 축의 각도 변화에 따른 히스테리시스의 변화를 대략적으로 볼 수 있다. 첫 번째 그래프는 허브 플레이트(20)에 의해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가 작동하면서 토크와 각도 변화가 늘어난다. 두 번째 그래프는 토션 스프링(90, 100)에 의해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가 작동하면서 토크와 각도 변화가 줄어든다.
여기서, 히스테리시스 마찰면은 종래의 허브 플레이트(20) 면이 아니고,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의 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도 10과는 다르게, 허브 플레이트(20)가 부측 방향으로 순차적 회전 운동이 시작되고 다시 멈추는 것을 도시한다. 부측 방향의 운동은 밟은 가속 페달을 놓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즉, 가속 페달을 놓거나 브레이크 등을 밟아 차량의 속도가 감속되는 경우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미세한 히스테리시스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다.
(A) 내지 (F) 단계는, 히스테리시스의 작동에 따라 허브 플렐이트의 슬릿 구멍의 하단에 형성된 좌, 우 함몰부에서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의 좌, 우 다리의 절곡부(73, 76 : 도 7에 도시)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즉, (A) 단계에서는 부측 방향으로 힘을 받기 전이고, (B) 및 (C) 단계는 부측 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미세한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한다. 이것은 허브 플레이트의 슬릿 구멍 좌하단에서 1.2°간격만큼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를 움직이게 한다.
도 11에 도시된 두 그래프에서 X 축의 토크와 Y 축의 각도 변화에 따른 히스테리시스의 변화를 대략적으로 볼 수 있다. 먼저, 첫 번째의 그래프는 화살표 방향 을 따라 1.2°간격까지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로 인해 미세한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한다. 즉 마찰력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그래프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일반적인 히스테리시스를 도시한다. 즉 1.2°간격을 벗어나면, 허브 플레이트(20)에 의해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가 움직인다. 이러한 일반적인 히스테리시스는 직접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12에서, (D) 내지 (F) 단계는 압축되었던 토션 스프링(90, 100 : 도 4에 도시)이 다시 풀리는 것을 도시한다. 각 단계는 히스테리시스의 작동에 따라 허브 플렐이트의 슬릿 구멍의 하단에 형성된 좌, 우 함몰부에서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의 좌, 우 다리의 절곡부(73, 76)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즉, (D) 단계에서는 부측 방향으로 받던 힘이 풀어지기 전이고, (E) 및 (F) 단계는 부측 방향으로 받던 힘이 풀어지기 때문에, 미세한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한다. 이것은 허브 플레이트의 슬릿 구멍 좌하단에서 1.2°간격만큼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를 움직이게 한다.
도 12에 도시된 두 그래프에서 X 축의 토크와 Y 축의 각도 변화에 따른 히스테리시스의 변화를 대략적으로 볼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그래프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1.2°간격까지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로 인해 미세한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한다. 즉, 마찰력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그래프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일반적인 히스테리시스를 도시 한다. 즉 1.2°간격을 벗어나면, 허브 플레이트(20)에 의해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가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히스테리시스튼 직접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1 및 도 12에서 히스테리시스 마찰면은 종래의 허브 플레이트(20) 면이 아니고,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의 면이다.
따라서, 허브 플레이트(20)와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70)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80) 사이의 각도 간격 및 수직 간격에 의해,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부측 방향으로 미세한 히스트테리시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가 포함된 원판 마찰 클러치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평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일실시예의 부측에서 각도 간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일실시예의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와 허브 플레이트 사이의 수직 간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허브 플레이트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미세한 히스테리시스의 작동을 위한 허브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제1 히스트레시스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의 미세한 히스테리시스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5)

  1. 마찰 접촉에 의해 토크를 전달받는 클러치 접촉부;
    복수개의 슬릿 구멍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중앙에 축 방향 관통 구멍이 형성된 허브 플레이트;
    허브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설치되어 각각 허브 플레이트의 슬릿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슬릿 구멍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각각 중앙에 축 방향 관통 구멍이 형성된 서브 플레이트 및 클러치 접촉부와 일측이 고정 결합되는 디스크 플레이트;
    허브 플레이트와 디스크 플레이트 및 서브 플레이트의 축 방향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디스크 플레이트 및 서브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허브; 및
    허브 플레이트의 관통구멍 주위를 감싸며, 슬릿 구멍을 통해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히스테리시스 마찰면을 형성하는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허브 플레이트의 슬릿 구멍은 허브 플레이트가 회전 운동시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와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가 부측 방향으로 미세 히스테리시스를 일으키기 위한 각도 간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는 절곡부가 형성된 다리를 가지며, 허브 플레이트의 슬릿 구멍은 절곡부가 안착하여 각도 간격을 이루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 및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허브 플레이트의 반경방향 끝단에 마찰력 발생을 억제하는 수직 간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각도 간격은 5° 이내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는 함몰부를 구비하며, 제2 히스테리시스 플레이트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돌출부가 함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KR1020070088661A 2007-08-31 2007-08-31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KR100917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661A KR100917964B1 (ko) 2007-08-31 2007-08-31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661A KR100917964B1 (ko) 2007-08-31 2007-08-31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943A KR20090022943A (ko) 2009-03-04
KR100917964B1 true KR100917964B1 (ko) 2009-09-21

Family

ID=4069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661A KR100917964B1 (ko) 2007-08-31 2007-08-31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446B1 (ko) 2009-03-18 2012-07-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가상 차선을 이용하는 차선 이탈 경보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KR101054806B1 (ko) * 2009-03-31 2011-08-0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US11754124B2 (en) * 2018-02-20 2023-09-12 Unipres Corporation Torsional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216B1 (ko) * 2003-09-08 2005-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디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216B1 (ko) * 2003-09-08 2005-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디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943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661B1 (ko) 건식 더블 클러치
JP2018525588A (ja) 遠心振り子を備えるクラッチディスク
JP2717783B2 (ja) ねじり振動防止装置
KR100917964B1 (ko)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US5529161A (en) Friction clutch for a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and a torsional damper for a friction clutch
JP3944218B2 (ja) モータサイクル用クラッチ装置
KR101448113B1 (ko) 자동차의 클러치 디스크
KR101180577B1 (ko) 구배 마찰면을 형성하는 마찰 기구를 가지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JP4414912B2 (ja) フライホイール組立体
KR101054806B1 (ko)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CN115574011A (zh) 动力传递装置
JP4520961B2 (ja) モータサイクル用クラッチ装置
JPH0133861Y2 (ko)
KR100888141B1 (ko) 다중 비틀림 특성을 가진 이중 질량 플라이휠
KR101128649B1 (ko) 축 방향 댐핑이 가능한 댐퍼 플라이휠
JP3894454B2 (ja) モータサイクル用クラッチ装置
KR100981840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JP3841357B2 (ja) モータサイクル用クラッチ装置
KR100507216B1 (ko) 클러치 디스크
KR100872978B1 (ko) 프릭션 부싱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클러치 디스크어셈블리
KR100937330B1 (ko) 토션 러버를 사용하는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EP2182243A2 (en) Clutch driven plates
KR101090008B1 (ko)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KR101089999B1 (ko)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KR101849465B1 (ko) 차량용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