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110B1 -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 - Google Patents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110B1
KR100916110B1 KR1020020044645A KR20020044645A KR100916110B1 KR 100916110 B1 KR100916110 B1 KR 100916110B1 KR 1020020044645 A KR1020020044645 A KR 1020020044645A KR 20020044645 A KR20020044645 A KR 20020044645A KR 100916110 B1 KR100916110 B1 KR 100916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ver
annealing
pit
coil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188A (ko
Inventor
황순종
박순복
임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4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110B1/ko
Publication of KR20040011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663Bell-type furnaces
    • C21D9/673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bell-type furn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Manufacturing Of Steel Electrode Plates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전기강판 코일을 대차상에 안착시키어 고온의 소둔로내에서 2차 소둔시 간접 가열형태로 코일을 소둔하기 위하여 상기 대차 코일상에 덮여져 소둔로내에 진입되는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는, 방향성 전기강판코일의 고온소둔시 사용되는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에 있어서, 피트내에 형성된 안착구내에 배치된 원형의 전자석틀을 갖춘 피트부;와, 상기 피트 안착구상에 수직하게 배치된 실린더의 로드 하부에 힌지 연결된 한쌍의 연결바아와, 상기 연결바아의 하부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서로 밀착되는 2단으로 이루어 지며, 다수의 성형볼이 제공된 성형틀을 갖춘 인너커버 성형부; 및, 상기 실린더 로드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 고정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하부에 수직 연결된 지지바아의 양측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수평바아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성형틀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이동토록 끼워지는 이동롤 및, 상기 지지바아의 하단부에 상기 성형틀의 전개를 용이토록 설치된 전개구을 갖춘 성형틀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는 센서텃치바아가 설치되고, 상기 피트 안착구의 양측에 수직 설치된 고정대의 일측에는 텃치바아로서 작동되고 상기 전자석틀과 전기적으로 연동하는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의 소둔후 발생되는 인너커버의 변형부를 간단하게 성형시키어 인너커버의 형태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소둔로, 소둔로 인너커버, 소둔 코일, 인너커버 형태유지장치, 인너커버 변형부

Description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AN APPARATUS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INNER COVER FOR STRIP ANNEALING}
도 1은 일반적인 소둔로내에서 사용되는 인너커버 및 그 변형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강판소둔용 인너커버 형태유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 10.... 피트부
12.... 피트 14.... 안착구
16.... 원형 전자석틀 30.... 인너커버 성형부
32.... 실린더 34.... 연결바아
36a,36b.... 성형틀 38.... 힌지부
40.... 고정대 42.... 수평대
46.... 가이드축 50.... 성형틀 이동부
52.... 이동체 54.... 지지바아
56.... 수평바아 58.... 가이드홈
60.... 이동롤 62.... 전개구
70.... 센서텃치바아 70.... 리미트스위치
본 발명은 전기강판 코일을 대차상에 안착시키어 고온의 소둔로내에서 2차 소둔시 간접 가열형태로 코일을 소둔하기 위하여 상기 대차 코일상에 덮여져 소둔로내에 진입되는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코일의 소둔후 발생되는 인너커버의 변형부를 간단하게 성형시키어 인너커버의 형태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성 전기강판은 열연, 냉연 및 탈탄질화소둔의 1차 소둔을 거친후, 강판의 표면에 MgO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둔분리제를 도포한 후, 마무리의 2차 고온소둔을 행하는데, 이와 같은 방향성 전기강판의 2차 소둔작업은 열이 직접 건기강판에 가해지지 않는 간접 소둔방식으로 소둔작업을 행하고, 이와 같은 고온 소둔은 방향성 전기강판의 2차 재결정 조직을 발달시키기 위한 것인데, 도 1에서는 방향성 전기강판의 고온소둔작업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둔로(100)의 도어(110)가 개방되면 그 입구(120)를 통하여 레일(130)을 따라 대차(140)가 진입하고, 상기 대차(140)상에는 방향성 전기강판의 코일(150)이 안착되며, 그 위에는 코일의 간접 소둔을 위하여 인너커버(inner cover)(160)가 덮여지고, 결국 대차상의 코일(150)은 인너커버 (160)가 덮여진 상태에서 소둔로(100)를 통과하여 2차의 고온소둔이 진행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방향성 전기강판 코일의 2차 소둔시 사용되는 인너커버(160)는, 코일의 소둔을 위하여 대략 2-5t의 두께를 갖고 있기 때문에,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상기 인너커버(160)에는 부분적으로 열변형에 의한 변형부가 발생되게 된다.
특히, 소둔로를 거치면서 인너커버(160)는 가열된 상태에서, 다시 소둔로 (100)에서 대기중으로 인출되면 냉각되는 단계가 반복적으로 발생되면서, 상기 두께를 갖는 인너커버(160)는 열응력으로 변형부(160a)가 손쉽게 발생되는 것이다.
결국, 변형부(160a)가 심하게 발생된 인너커버(160)를 통하여 전기강판 코일의 고온소둔을 행하는 경우에는, 코일의 소둔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초래하고, 이를 피하기 위하여는 고가의 인너커버를 자주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코일 소둔시 원단위가 상승되는 것이다.
더욱이, 변형부가 심하게 발생된 인너커버(160)를 사용하는 경우 소둔로 (100)내를 통과하면서 대차상의 코일에서 부터 낙하하기 쉽고, 이와 같은 인너커버 (160)의 대차 안착 및 취외시 추락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방향성 전기강판 코일의 고운소둔시 사용되는 인너커버의 변형이 적은 초기변형시 인너커버의 진원도를 조정하여 인너커버의 형태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서, 인너커버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키어 비용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형태가 유지된 인너커버를 사용하여 전기강판 코일의 소둔을 행함으로서, 소둔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한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방향성 전기강판코일의 고온소둔시 사용되는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에 있어서, 피트내에 형성된 안착구내에 배치된 원형의 전자석틀을 갖춘 피트부;
상기 피트 안착구상에 수직하게 배치된 실린더의 로드 하부에 힌지 연결된 한쌍의 연결바아와, 상기 연결바아의 하부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서로 밀착되는 2단으로 이루어 지며, 다수의 성형볼이 제공된 성형틀을 갖춘 인너커버 성형부; 및,
상기 실린더 로드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 고정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하부에 수직 연결된 지지바아의 양측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수평바아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성형틀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이동토록 끼워지는 이동롤 및, 상기 지지바아의 하단부에 상기 성형틀의 전개를 용이토록 설치된 전개구을 갖춘 성형틀 이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는 센서텃치바아가 설치되고, 상기 피트 안착구의 양측에 수직 설치된 고정대의 일측에는 텃치바아로서 작동되고 상기 전자석틀과 전기적으로 연동하는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된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인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1)는 크게 피트부(10)와, 인너커버 성형부(30) 및, 성형틀 이동부(50)로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이들 구성부(10) (30)(5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트부(10)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피트(12)내에 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구(14)를 마련하고, 상기 안착구(14)의 내주면에는 원형의 전자석틀(16)을 설치하는데, 이와 같은 전자석틀 (16)은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외부에 러버가 감싸여져 있다.
다음,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인너터버 성형부(3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인너커버 성형부(30)는, 상기 피트부(10)의 피트 안착구(14)상에 수직하게 배치된 실린더(32)와 상기 실린더(32)의 로드(32a) 하부에 힌지(38)로서 연결된 한쌍의 연결바아(34) 및 상기 연결바아(34)의 하부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서로 밀착되는 2단으로 이루어 지며, 다수의 성형볼(35)이 제공된 성형틀(36a)(36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32)의 내부에는 스프링(33)이 개재되어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실린더(32)의 하강시에는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반대로 성형틀(36a)(36b)을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스프링(33)의 반발력으로 보다 상승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연결바아(34)는 상기 실린더 로드(32a)와 힌지(38)형태도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성형틀(36a)(36b)도 상기 연결바아(34)의 하단부에 힌지 (31)형태로 연결된다.
이때,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32)는 상기 피트 안착구(14)의 양측에 수직 설치된 고정대(40)사이의 수평대(42) 중앙 하부에 일체로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32)의 중앙부분에 수평하게 연결된 수평판 (44)은 상기 수평대(42)에 양측으로 수직 설치된 가이드축(46)에 지지되어 있다.
한편,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40)의 상부에는 상기 수평대(42)의 단부에 설치된 가이드롤(42a)이 이동토록 지지되는 레일(40a)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수평대(42)와 일체로 본 발명의 인너커버 성형부(30) 및 성형틀 이동부(50)를 고정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는 도면에서는 도시하 지 않았지만, 피트(12)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여러개의 피트 안착구(14)를 마련하여 전자석틀(16)을 배치하면, 하나의 장치(1)로서 여러개의 인너커버(2)를 순차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성형틀 이동부(5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성형틀 이동부(50)는 상기 실린더 로드(32a)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 고정된 이동체(52)와, 상기 이동체(52)의 하부에 수직 연결된 지지바아(54)의 양측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수평바아(56)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성형틀(36a)(36b)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58)에 이동토록 끼워지는 이동롤(60) 및, 상기 지지바아(54)의 하단부에 성형틀(36a)(36b)의 전개를 용이토록 설치된 전개구 (62)을 갖춘다.
이때,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58)은 단면이 T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내부에 끼워지는 이동롤(60)이 이탈방지되고, 이는 상기 실린더 로드(32a)의 상승 및 하강시 이동롤(60)들이 성형틀(62a)(62b)을 전개시키거나 반대로 좁이게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이동체(52)는 실린더 로드(32a)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로드의 승,하강을 안정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 로드(32a)에는 로드와 일체로 수직 이동하는 센서텃치바아(70)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40)의 일측에는 상기 텃치바아(70)로서 작동되고 상기 전자석틀(16)과 전기적으로 연동하는 리미트스위치(72)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32)의 하강시 상기 리미트스위치 (72)의 작동편을 상기 센서텃치바아(70)가 텃치하면 리미트스위치(72)가 작동되어 전자석틀(16)이 온되면서 인너커버(2)의 형태유지작업을 원활하게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형성 전기강판의 2차 재결정을 위한 고온소둔시 소둔로를 통과하는 대차상의 강판코일에 덮여져 강판의 간접소둔을 수행하는 때에 사용되는 강판 소둔용 인너커버(2)의 변형부(2a)를 강제로 평탄하게 성형시키어 그 형태를 유지시키는 본 발명의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 (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등으로 이루어진 피트 (12)내에 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구(14)내의 러버가 감싸여진 전자석틀(16)의 내측에 작업자는 변형부(2a)가 발생된 강판소둔용 인너커버(2)를 투입하여 안착시킨다.
다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본 발명의 장치(1)를 받치고 있는 고정대(40)의 상부의 레일(40a)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롤(42a)이 설치된 수평대(42)를 이동시키어 다음에 설명하는 성형틀(36a)(36b)의 하강시 피트내의 인너커버(2)에 정확하게 삽입 안착되도록 그 위치를 조정하는데, 이와 같은 수평대(42)의 이동은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피트(12)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여러개의 피트 안착구(14)를 마련하여 전자석틀(16)을 배치하면, 하나의 장치(1)로서 여러개의 인너커버(2)를 순차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작업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할 것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인너터버 성형부(30)의 실린더(32) 즉, 상기 수평대(42)의 하부에 수직 설치되고, 수평대(42)의 가이드축(46)에 양측으로 연결된 수평판(44)이 지지되는 실린더(32)를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은 조작판넬을 통하여 하강시킨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32)의 하강시 실린더 로드(32a)의 상부에 수평 설치된 센서텃치바아(70)는 고정대(40)의 일측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72)의 작동편을 텃치하고, 결국 상기 리미트스위치(72)가 실린더(32)의 로드(32a) 하강시 전기적으로 연결된 피트 안착구(14)내의 전자석틀(16)을 온시킴으로서, 다음에 설명하는 성형틀(36a)(36b)의 하강과 동시에 전개되는 때에 인너커버(2)를 안정적으로 잡아주게 된다.
다음,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 로드(32a)의 하강시 그 하단부의 이동체(52)와 지지바아(54)로서 연결된 전개구(62)가 2단의 성형틀 (36a)(36b)을 전개시키는 동시에, 상기 성형틀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 (58)에 이동토록 삽입된 이동롤(60)이 설치된 수평바아(56)가 상기 지지바아(54)의 양측에 연결되어 일체로 하강한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로드(32a)의 하단부에 힌지(38) 연결된 연결바아(34)의 하단부에 마찬가지로 힌지(31) 연결된 2단의 성형틀 (36a)(36b)을 전개되어 피트 안착구(14)내의 전자석틀(16)로 고정된 상태의 인너커버(2)를 전개되는 힘으로 푸싱하여 인너커버(2)의 변형부(2a)를 평탄하게 하고, 이때 성형틀(36a)(36b)에 설치된 다수개의 성형볼(35)들이 인너커버(2)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너커버(2)(160)의 변형부 (2a)(160a)는 통상 개구부분인 하단부에 주로 발생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성형틀 (36a)(36b)이 전개되어도 그 상부부분은 거의 인너커버(2)의 개구측 변형부 (2a)를 커버할 수 있어 인너커버(2)의 형태유지는 안정적으로 이루어 진다.
다음, 인너커버(2)의 형태유지작업이 완료되어 실린더(32)의 상승작동이 시작되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성형틀(36a)(36b)의 가이드홈(58)에 이탈이 방지토록 끼워진 상태의 이동롤(60)이 위로 이동하면서 길이가 고정된 수평바아(56)의 상승으로 성형틀(36a)(36b)들은 위로 상승하면서 서로 좁혀지게 되고, 이때 실린더 (32a)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33)은 이와 같은 상승작동시 반발력으로 그 상승작동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실린더 로드(32a)에 설치된 센서텃치바아(70)도 일체로 상승하여 다시 리미트스위치(72)의 작동편을 텃치하면 전자석틀(16)의 전원이 오프되어 작업자는 전자석틀(16)내의 형태가 유지된 인너커버(2)를 들어내고 변형된 다른 인너커버(2)를 투입하여 앞에서 설명한 형태유지작업을 반복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에 의하면, 방향성 전기강판 코일의 고운소둔시 사용되는 인너커버의 변형이 적은 초기변형시 인너커버의 진원도를 조정하여 인너커버의 형태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잇점을 제공 한다.
동시에,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키어 원단위를 감소시킴으로서, 비용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형태가 유지된 인너커버를 사용하여 전기강판 코일의 소둔을 행함으로서, 인너커버 외부 분위기 가스와 코일간의 차단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전기강판 코일의 소둔품질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2)

  1. 방향성 전기강판코일의 고온소둔시 사용되는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에 있어서, 피트(12)내에 형성된 안착구(14)내에 배치된 원형의 전자석틀(16)을 갖춘 피트부(10);
    상기 피트 안착구(14)상에 수직하게 배치된 실린더(32)의 로드(32a) 하부에 힌지 연결된 한쌍의 연결바아(34)와, 상기 연결바아(34)의 하부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서로 밀착되는 2단으로 이루어 지며, 다수의 성형볼(35)이 제공된 성형틀(36a)(36b)을 갖춘 인너커버 성형부(30); 및,
    상기 실린더 로드(32a)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 고정된 이동체(52)와, 상기 이동체(52)의 하부에 수직 연결된 지지바아(54)의 양측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수평바아(56)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성형틀(36a)(36b)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58)에 이동토록 끼워지는 이동롤(60) 및, 상기 지지바아(54)의 하단부에 상기 성형틀의 전개를 용이토록 설치된 전개구(62)을 갖춘 성형틀 이동부(50);
    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32)의 로드(32a)에는 센서텃치바아(70)가 설치되고, 상기 피트 안착구(14)의 양측에 수직 설치된 고정대(40)의 일측에는 텃치바아로서 작동되고 상기 전자석틀(16)과 전기적으로 연동하는 리미트스위치(7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32)는 상기 고정대(40)사이의 수평대(42) 중앙 하부에 수직하게 고정되어 그 양측으로 수평하게 연결된 수평판(44)이 상기 수평대(42)에 설치된 가이드축(46)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 유지장치.
KR1020020044645A 2002-07-29 2002-07-29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 KR100916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645A KR100916110B1 (ko) 2002-07-29 2002-07-29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645A KR100916110B1 (ko) 2002-07-29 2002-07-29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188A KR20040011188A (ko) 2004-02-05
KR100916110B1 true KR100916110B1 (ko) 2009-09-08

Family

ID=3731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645A KR100916110B1 (ko) 2002-07-29 2002-07-29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1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008B1 (ko) * 2006-12-04 2007-07-13 서훈산업유한회사 강판 소둔용 인너커버 고주파 히팅 교정기
KR101301966B1 (ko) * 2011-12-22 2013-08-30 주식회사 포스코 배치 소둔로의 내부로 형상 교정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8256A (en) * 1974-08-05 1976-02-13 Kobe Steel Ltd Suishinkino kakosochi
JPS55127766U (ko) * 1979-03-03 1980-09-09
JPS6363529A (ja) * 1986-09-01 1988-03-19 Japan Nuclear Fuel Co Ltd<Jnf> 容器の変形修正装置
JPH0446631A (ja) * 1990-06-12 1992-02-17 Nippon Light Metal Co Ltd 形材整直方法とその装置
JPH05212443A (ja) * 1992-02-07 1993-08-24 Toho Titanium Co Ltd 金属製造用反応容器などの円筒状部材の変形修正復元方法および変形修正復元装置
JPH0655217A (ja) * 1992-08-10 1994-03-0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金属リングの矯正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8256A (en) * 1974-08-05 1976-02-13 Kobe Steel Ltd Suishinkino kakosochi
JPS55127766U (ko) * 1979-03-03 1980-09-09
JPS6363529A (ja) * 1986-09-01 1988-03-19 Japan Nuclear Fuel Co Ltd<Jnf> 容器の変形修正装置
JPH0446631A (ja) * 1990-06-12 1992-02-17 Nippon Light Metal Co Ltd 形材整直方法とその装置
JPH05212443A (ja) * 1992-02-07 1993-08-24 Toho Titanium Co Ltd 金属製造用反応容器などの円筒状部材の変形修正復元方法および変形修正復元装置
JPH0655217A (ja) * 1992-08-10 1994-03-0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金属リングの矯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188A (ko)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51224A1 (en) Method to move an upper mold in relation to a lower mold in a permanent mold casting machine and the permanent mold casting machine used for the method
KR100916110B1 (ko) 강판소둔용 인너커버의 형태유지장치
JP2015116598A (ja) プレス装置
JP5148269B2 (ja) ガラス板を曲げるための装置と方法
KR100811059B1 (ko) 글라스 시트 성형 시스템 및 방법
KR101477104B1 (ko) 압연 코일용 권취 장치
JP2021104531A (ja) 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成形方法
US3745805A (en) Creep annealing and a multiple pin fixture for use therein
JP6691898B2 (ja) プレス装置
KR101494137B1 (ko) 전자기력을 이용한 가변 코일 성형장치
KR100823588B1 (ko) 소둔로의 내부 허스롤 교체장치
CN114164321A (zh) 一种高频淬火系统及工艺
JP2020073292A (ja) プレス装置
KR102146316B1 (ko) 수직 소둔로 벽체 유지보수장치
KR101255158B1 (ko) 피어싱 금형장치
JPH11114700A (ja) ダイクッション上昇方法及び装置
JP2000028269A (ja) 竪型マッフル炉の炉内マッフル支持構造
JPH0748629A (ja) 金属帯コイルの熱処理炉
CN220999710U (zh) 一种冷轧不锈钢加工线退火装置
CN220438473U (zh) 一种配电变压器直阻试验台
JP2548646B2 (ja) 竪型マッフル炉の炉体構造
CN218656218U (zh) 一种用于高强度钢制品的弯折机
CN116837193B (zh) 一种自动调节热处理箱式多用炉
KR101299306B1 (ko) 마그네틱 포밍 성형장치
CN217197063U (zh) 一种注塑产品的定型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