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064B1 - 오버레이 버니어 및 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오버레이 버니어 및 그 형성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064B1
KR100915064B1 KR1020070098467A KR20070098467A KR100915064B1 KR 100915064 B1 KR100915064 B1 KR 100915064B1 KR 1020070098467 A KR1020070098467 A KR 1020070098467A KR 20070098467 A KR20070098467 A KR 20070098467A KR 100915064 B1 KR100915064 B1 KR 100915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nier
pattern
forming
layer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2889A (ko
Inventor
조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70098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064B1/ko
Publication of KR20090032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9/00Registration or positioning of originals, masks, frames, photographic sheets or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automatically
    • G03F9/70Registration or positioning of originals, masks, frames, photographic sheets or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automatically for microlithography
    • G03F9/7073Alignment marks and their environment
    • G03F9/7076Mark details, e.g. phase grating mark, temporary mark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605Workpiece metrology
    • G03F7/70616Monitoring the printed patterns
    • G03F7/70633Overlay, i.e. relative alignment between patterns printed by separate exposures in different layers, or in the same layer in multiple exposures or st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e.g. registration marks, alignment structures, wafer m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26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for alignment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레이 버니어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SPT(Spacer Patterning Technology) 방법을 이용한 패턴 형성 시 각 마스크 간의 정렬을 위한 오버레이 버니어를 SPT 공정을 적용하여 형성함으로써, 패턴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소자의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소자의 고집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오버레이 버니어 및 그 형성 방법{OVERLAY VERNIER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버레이 버니어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SPT(Spacer Patterning Technology) 방법을 이용한 패턴 형성 시 각 마스크 간의 정렬을 위한 오버레이 버니어를 SPT 공정을 적용하여 형성함으로써, 패턴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소자의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소자의 고집적화를 가게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에 따라 마스크에서 패턴 간의 피치가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해상력의 한계로 인해 최소한으로 구현할 수 있는 피치의 한계가 있으며, 이와 같은 해상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DEET(Double Exposure Etch Technology) 또는 SPT(Spacer Patterning Technology)등의 다중 노광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오버레이 버니어용 노광 마스크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박스 인 박스(Box In Box) 형태의 오버레이 버니어 형성을 위한 노광 마스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모 버니어용 노광 마스크(100)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모 버니어용 노광 마스크(100)는 일정 두께의 선폭을 가지는 사각 형태의 제 1 차광 패턴(110)을 포함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b를 참조하면, 자 버니어용 노광 마스크(150)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자 버니어용 노광 마스크(150)는 모 버니어용 노광 마스크(100)에 구비된 제 1 차광 패턴(110) 내측에 박스 형태의 제 2 차광 패턴(160)을 포함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노광 마스크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버니어 형성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200) 상부에 피식각층(210) 및 제 1 마스크층(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도 1a'에 도시된 모 버니어용 노광 마스크(도 1a의 100)를 사용한 사진 식각 공정으로 상기 제 1 마스크층(미도시)을 패터닝하여 제 1 마스크층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제 1 마스크층 패턴(미도시)을 마스크로 피식각층(210)을 식각하여 모 버니어를 정의하는 트렌치(215)를 형성한다.
그 다음, 트렌치(215)를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200) 전체 상부에 중간층(220)을 형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중간층(220) 상부에 감광막(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도 1b'에 도시된 자 버니어용 노광 마스크(도 1b의 150)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 공정을 수행하여 자 버니어를 정의하는 제 2 마스크층 패턴(230)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 2 마스크층 패턴(230)은 감광막으로 형성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오버레이 버니어 및 그 형성 방법에서, SPT(Spacer Patterning Technology) 방법을 이용한 패턴 형성 시 상기한 박스 인 박스(Box In Box) 형태의 오버레이 버니어를 사용하는 경우, 각 노광 마스크 공정 간의 정밀한 정렬이 어려워 소자의 특성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SPT(Spacer Patterning Technology) 방법을 이용한 패턴 형성 시 각 마스크 간의 정렬을 위한 오버레이 버니어를 SPT 공정을 적용하여 형성함으로써, 패턴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소자의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소자의 고집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오버레이 버니어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레이 버니어는
SPT 공정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바 형 모 버니어와,
박스형 자 버니어를 포함하는 것과,
상기 자 버니어는 최외곽에 형성된 상기 모 버니어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모 버니어와 상기 자 버니어 사이에 중간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버레이 버니어 형성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부에 피식각층 및 제 1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마스크층을 식각하여 제 1 마스크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마스크층 패턴 측벽에 매립형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마스크층 패턴을 제거한 후 상기 매립형 스페이서를 마스크로 상기 피식각층을 식각하여 모 버니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모 버니어 패턴 상부에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간층 상부에 제 2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마스크층을 패터닝하여 자 버니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모 버니어 패턴은 SPT 공정이 적용되는 소자 형성 공정에서 형성되는 것과,
상기 피식각층은 비정질 탄소층, 실리콘 산화질화막 및 이들의 조합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과,
상기 제 1 마스크층 하드마스크인 것과,
상기 제 2 마스크층은 감광막인 것과,
상기 매립형 스페이서는 SPT(Spacer Patterning Technology)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과,
상기 제 1 마스크층 패턴 사이의 거리는 상기 매립형 스페이서 CD의 두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레이 버니어용 노광 마스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섬형 차광 패턴(310)이 복수개 구비된 모 버니어용 노광 마스크(300)이다.
여기서, 차광 패턴(310)은 인접한 차광 패턴(310)과 이격되어 구비되며, 후속 모 버니어 형성 시 상기 이격된 부분에 매립형 스페이서를 형성하여 이를 바 형 모 버니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를 참조하면, 모 버니어 예정 영역 내측에 박스 형태의 차광 패턴(360)이 구비된 자 버니어용 노광 마스크(350)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모 버니어 노광 마스크(300) 및 자 버니어 노광 마스크(350)는 BIM(Binary Intensity Mask), Attenuated PSM(Phase Shift Mask) 또는 Alternating PSM에 적용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레이 버니어 및 그 형성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400) 상부에 피식각층(410), 제 1 마스크층 (420)및 제 1 감광막(미도시)을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도 3a'에 도시된 모 버니어용 노광 마스크(도3a의 300)를 사용한 노광 및 현상 공정을 수행하여 제 1 감광막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노광 공정 시 노광 광원은 I-Line, KrF, ArF, ArFi 또는 EUV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광 조명계는 컨벤셔널(Conventional), 애뉼러(Annular), 쿼드로폴(Quadrupole), 다이폴(Dipole) 및 이들의 조합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진행할 수 도 있다.
그 다음,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미도시)을 마스크로 제 1 마스크층(420)을 식각하여 제 1 마스크층(420) 패턴을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제 1 감광막 패턴(미도시)을 제거한다.
이때, 제 1 마스크층(420) 패턴은 상기 '도 3a'에 도시된 노광 마스크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제 1 마스크층(420) 패턴과 인접한 제 1 마스크층(420) 패턴 사이의 거리(D)는 후속 공정으로 형성되는 매립형 스페이서 CD의 2배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 1 마스크층(420) 패턴 측벽에 매립형 스페이서(430)를 형성한다.
이때, 매립형 스페이서(430)는 제 1 마스크층(420) 패턴과 인접한 제 1 마스크층(420) 패턴 사이의 하부는 매립되고 상부는 스페이서 형성으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 마스크층(420) 패턴 형성 공정 시 제 1 마스크층(420) 패턴과 인접한 제 1 마스크층(420) 패턴 간의 간격이 매립형 스페이서(430) CD(Critical Dimension)의 2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도 4c (ⅰ)은 상기 도 4c (ⅱ)의 X - X'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제 1 마스크층(420) 패턴을 제거하여 매립형 스페이서(430)만 남겨지도록 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매립형 스페이서(430)를 마스크로 피식각층(410)을 식각하여 모 버니어를 정의하는 피식각층 패턴(410a)을 형성한다.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 도 4e (ⅰ)은 상기 도 4e (ⅱ)의 X - X'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피식각층 패턴(410a)을 포함하는 전체 상부에 평탄화된 중간층(440)을 형성하고, 중간층(440) 상부에 제 2 마스크층(미도시)을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도 3b'에 도시된 자 버니어용 노광 마스크(도 3b의 350)를 사용하여 제 2 마스크층 패턴(450)을 형성한다.
이때, 제 2 마스크층 패턴(450)은 감광막으로 형성한다.
또한, 제 2 마스크층 패턴(450)은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모 버니어를 정의하는 바형 피식각층 패턴(410a) 내측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 4e (ⅰ) 및 (ⅱ)'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버레이 버니어를 설명하면, SPT 공정으로 형성되며, 모 버니어를 정의하는 피식각층 패턴(410a)이 구비된다.
그리고, 피식각층 패턴(410a) 상부에 중간층(440)이 구비되고, 중간층(440) 상부에 박스 형태의 자 버니어를 정의하는 제 2 감광막 패턴(45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자 버니어를 정의하는 제 2 감광막 패턴(450)은 모 버니어를 정의하는 피식각층 패턴(410a) 최외곽에 있는 패턴 내측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한 SPT(Spacer Patterning Technology) 방법을 이용하여 오버레이 버니어 이외에도 DFT(Die Fit Target) 및 정렬 마크(Alignment Mark)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광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은 SPT(Spacer Patterning Technology) 방법을 이용하여 오버레이 버니어를 형성함으로써, 해상력 이하의 패턴을 구현하는 과정에서의 패턴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반도체 소자의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소자의 고집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오버레이 버니어용 노광 마스크를 도시한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노광 마스크를 도시한 오버레이 버니어 형성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레이 버니어용 노광 마스크를 도시한 평면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노광 마스크를 사용한 오버레이 버니어 형성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300 : 모 버니어용 노광 마스크 110 : 제 1 차광 패턴
150, 350 : 자 버니어용 노광 마스크 160 : 제 2 차광 패턴
200, 400 : 반도체 기판 210, 410 : 피식각층
215 : 트렌치 220 : 중간층
230 : 감광막 패턴 310, 360 : 차광 패턴
420 : 제 1 마스크층 430 : 매립형 스페이서
440 : 중간층 450 : 제 2 감광막 패턴

Claims (10)

  1. SPT 공정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바 형 모(母) 버니어; 및
    박스형 자(子) 버니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버니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子) 버니어는 최외곽에 형성된 상기 모(母) 버니어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버니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母) 버니어와 상기 자(子) 버니어 사이에 중간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버니어.
  4. 반도체 기판 상부에 피식각층 및 제 1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마스크층을 식각하여 제 1 마스크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마스크층 패턴 측벽에 매립형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마스크층 패턴을 제거한 후 상기 매립형 스페이서를 마스크로 상기 피식각층을 식각하여 모(母) 버니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모(母) 버니어 패턴 상부에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간층 상부에 제 2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마스크층을 패터닝하여 자(子) 버니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버니어 형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母) 버니어 패턴은 SPT 공정이 적용되는 소자 형성 공정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버니어 형성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식각층은 비정질 탄소층, 실리콘 산화질화막 및 이들의 조합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버니어 형성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스크층은 하드마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버니어 형성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스크층은 감광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버니어 형성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스페이서는 SPT(Spacer Patterning Technology)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버니어 형성 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스크층 패턴 사이의 거리는 상기 매립형 스페이서 CD의 두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레이 버니어 형성 방법.
KR1020070098467A 2007-09-28 2007-09-28 오버레이 버니어 및 그 형성 방법 KR100915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467A KR100915064B1 (ko) 2007-09-28 2007-09-28 오버레이 버니어 및 그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467A KR100915064B1 (ko) 2007-09-28 2007-09-28 오버레이 버니어 및 그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889A KR20090032889A (ko) 2009-04-01
KR100915064B1 true KR100915064B1 (ko) 2009-09-02

Family

ID=4075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467A KR100915064B1 (ko) 2007-09-28 2007-09-28 오버레이 버니어 및 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0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8957B (zh) * 2021-08-05 2023-10-10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图案化方法及半导体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171A (ko) * 1992-10-30 1994-05-24 김주용 오버래이 버니어 및 그 제조방법
KR100217898B1 (ko) * 1996-12-04 1999-09-01 김영환 포토마스크
KR20010003468A (ko) * 1999-06-23 2001-01-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패턴 형성방법
KR20070016540A (ko) * 2005-08-04 2007-02-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오버레이 측정 마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171A (ko) * 1992-10-30 1994-05-24 김주용 오버래이 버니어 및 그 제조방법
KR100217898B1 (ko) * 1996-12-04 1999-09-01 김영환 포토마스크
KR20010003468A (ko) * 1999-06-23 2001-01-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측정패턴 형성방법
KR20070016540A (ko) * 2005-08-04 2007-02-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오버레이 측정 마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889A (ko)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0379A (en) Method of fabrication of inverted phase-shifted reticle
US7838173B2 (en) Structure design and fabrication on photomask for contact hole manufacturing process window enhancement
CN104216233B (zh) 曝光方法
KR100944331B1 (ko) 노광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7354682B1 (en) Chromeless mask for contact holes
KR101051177B1 (ko) 이중 노광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방법
US10593551B2 (en) Method to increase the process window in double patterning process
KR100915064B1 (ko) 오버레이 버니어 및 그 형성 방법
KR20090097471A (ko) 노광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
US20120135341A1 (en) Method for double patterning lithography and photomask layout
CN106610563B (zh) 掩膜版及双重图形化法的方法
KR20080026832A (ko)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US9329471B1 (en) Achieving a critical dimension target based on resist characteristics
KR100755074B1 (ko) 포토마스크 및 제조 방법
KR20070046400A (ko) 정렬 마크 및 그의 형성 방법
KR100801738B1 (ko) 포토마스크 및 그 형성방법
KR20110101404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40046702A (ko) 이중 노광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방법
KR20090072672A (ko) 오버레이 버니어용 노광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오버레이버니어 형성 방법
KR100835469B1 (ko) 노광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943506B1 (ko) 위상 쉬프트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06941A (ko) 반도체 소자의 노광마스크 및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
KR100815942B1 (ko) 패턴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90044591A (ko) 얼라인먼트 키용 노광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얼라인먼트키 형성 방법
KR101057197B1 (ko) 위상반전마스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