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050B1 -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한 연결부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한 연결부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050B1
KR100914050B1 KR1020090034358A KR20090034358A KR100914050B1 KR 100914050 B1 KR100914050 B1 KR 100914050B1 KR 1020090034358 A KR1020090034358 A KR 1020090034358A KR 20090034358 A KR20090034358 A KR 20090034358A KR 100914050 B1 KR100914050 B1 KR 100914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reinforcing bar
braided
length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환
Original Assignee
최정환
주식회사 코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환, 주식회사 코스톤 filed Critical 최정환
Priority to KR1020090034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3/0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 B21H3/02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external screw-threads ; Making dies for thread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7/00Hammers; Forging machines with hammers or die jaws acting by impact
    • B21J7/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3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with indentations, projections, ribs, or the like, for augmenting the adherence to the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해서 연결부를 형성하는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철근 연결부의 리브, 마디 제거 및 소성변경을 위해서 철근의 테이퍼형상 연결부의 1.5 ~ 2.5배로 2편조의 다이(die) 압입면 길이가 형성되고; 철근 연결부 말단이 위치하는 다이 단부로부터 철근 연결부 길이 만큼의 위치에 형성되는 2편조 다이 압입면의 반원형태 호 지름이 철근의 몸체 지름과 같으며; 2편조 다이 압입면은 철근의 중심에서 형성된 반원 형태 호의 수평면보다 높이가 3~6mm 만큼 짧은 호를 갖으며; 압입면의 구배각도가 2~10°로 성형된 2편조 다이를 이용하여 단조 가공하는 타격공정, 나사부 성형을 위한 전조공정 및 선택 공정으로써 완벽한 테이퍼형상의 연결부 성형을 위하여 전조공정 이전에 상기 2편조의 다이를 이용하여 타격방식으로 단조 가공된 연결부를 상기 2편조 다이 압입면과 같은 구배각도를 갖는 롤러를 이용하여 정방향과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을 가하며 가공하는 가압가공을 추가 가능한 공정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연결부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철근, 테이퍼형상 연결부, 타격방식 공법, 다이(die), 롤러

Description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한 연결부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process of Reinforcing bar'connecting part and it's processing an apparatus}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한 연결부의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에 관한 분야로써, 기계적 이음방식으로써 커플러(coupler)를 이용하여 철근을 연결 때에 본 발명에서 고안된 2편조의 다이(die)을 이용하여 타격방식 단조로 가공하는 가압공정, 철근 연결부를 전조롤러를 이용하여 나사부를 성형하는 전조공정 및 선택 공정으로써 나사부 성형을 위한 전조공정 이전에 2편조의 다이를 이용하여 타격방식 단조로 가공된 연결부를 상기 2편조 다이의 압입면과 같은 구배각도를 갖는 롤러를 이용하여 롤러의 방향을 정방향과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 가압하여 가공하는 가압공정을 추가 가능한 가공방법이고, 절삭가공을 하지 않고 가압공정만으로 철근 연결부를 가공하는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건축 및 토목의 건설에 있어서 건설물이 대부분이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차지한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의 여러 가지 물리적인 강도를 보강 하고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철근을 사용한다. 또한 사용되는 철근은 각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서 규격화된 길이를 연장하여 사용해야한다. 일반적으로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한 방식으로 기계적 이음, 용접이음, 가스압접이음, 슬리브이음 등이 있으나 용접이음, 가스압접이음, 슬리브이음은 숙련된 용접공이 필요하고, 고탄소 철근에의 부적합성, 기상조건에 따른 작업성, 현장감리의 어려움, 고소부분 철근작업의 위험성 등의 이유로 기계적 이음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또한 기계적 이음방식으로 나사형 커플러(coupler)를 이용하려면 철근 단부의 리브(22) 및 마디(23)를 제거하고, 나사산과 나사골의 나사부를 가공하는 공정을 거쳐야한다. 이러한 가공방법에 대한 중요성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각 공정방식별 효율성 차이에 따른 문제, 연결부(26)의 가공부와 비가공부의 소성차이에 따른 연결마디(10)의 강도 문제, 절삭가공으로 인한 철근 연결부 소실에 따른 연결부 강도의 문제, 가공시간의 문제 등이 있다.
상기 나사형 커플러를 이용한 기계적 이음방식의 철근 연결부(26) 가공방법의 공지기술로써, 국내 등록특허 10-0248963은 1단계; 편조 또는 롤러를 이용한 해머(hammer)공법의 가압공정, 2단계; 연결부의 외주면에 전조작업으로 나사부를 성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철근 연결부 가공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공지기술은 공정의 단계는 간단하지만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평행 나사 연결부 가공방법의 연결부(11)는 연결부 형상이 평행하기 때문에 커플러에 의해서 연결된 두 철근의 단부간(12)의 밀착력, 커플러와 평행 나사 연결부 간(13)의 밀착력에 의하여 그 결속력이 좌우된다. 또한 철근의 단부간(12)의 밀착력은 전체 결속력에 가장 큰 영향 을 미치고 그 밀착상태가 강하지 못하여 외부의 흔들림 같은 물리적인 자극에도 쉽게 풀리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테이퍼형상의 나사 연결부 가공방법의 연결부(14)는 나사연결부가 보통 2 ~ 15의 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커플러에 의해서 연결된 두 철근 단부의 밀착도와는 관계없이 커플러와 나사 연결부(24)만으로도 강한 결속력을 갖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공지기술은 리브와 마디의 제거를 한 단계의 가압공정으로 구현하였지만, 단순한 형태의 다이를 이용한 단일 가공공정은 나사산의 성형을 위한 전조공정에 있어서 가압 가공된 연결부 표면이 불규칙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불규칙한 나사산이 성형되어서 연결부의 결속상태가 미흡하게 되고, 전조롤러를 손상시키게 된다.
국내 등록특허 10-0820184는 해머(hammer)공법을 이용한 상기의 공지기술과 차별성을 두어서, 1단계; 스웨이징 공법을 이용한 철근의 연결부 가압공정, 2단계; 가압공정 시에 생긴 불규칙한 표면을 균일하게 만들기 위한 절삭공정, 3단계; 나사부 성형을 위한 전조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웨이징 공법은 타격방식 공법에 비하여 철근의 연결부 가공 시에 가압소음을 줄일 수 있고, 직경이 큰 철근도 압입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가압공정의 시간이 타격방식 공법에 비하여 길고, 가압 다이로 균등한 압력으로 가압하기가 어려우며, 지속적인 압력으로 가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철근의 표면부에만 인장강도를 증가시키는 소성변경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스웨이징 공법은 지속적인 압력을 가하지만 철근 연결부 내부의 분자구조에 변형을 줄 수 있을 정도의 압력과 함께 열에너지를 가하지 않으면 철근 연결부 내부까지 그 영향이 전달되지 않아서 연결부 전체의 강도 증가 및 소성변경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또한 스웨이징 공법은 가압다이에 의하여 가압되지 않은 부분에 생긴 돌출부위에 의하여 리브 및 마디를 재차의 물리적인 절삭공정을 통하여 제거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절삭공정은 철근 연결부의 일부를 잘라내는 공정이므로 연결부 일부가 손실되기 때문에 강도저하의 문제가 생긴다.
또한 상기 공지기술들은 가압공정이 연결부에만 가해지기 때문에 철근 연결부만 분자구조의 변형이 생기게 되어서 가공부인 연결부와 비가공부인 연결부 외의 부분의 연결부 마디(10)가 약한 것이 문제된다. 즉 분자구조가 변형 가공된 연결부와 비가공된 연결부 이외의 부분인 연결부 마디(10)의 사이에서 소성이 단절되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커플러를 이용해서 연결된 철근이 외압에 쉽게 잘라지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때문에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한 연결부 가공방법에 있어서 산업상 이용 시에는 연결부와 연결부 이외의 부분의 연결부 마디(10)가 급격하게 소성 단절되지 않고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인장강도 저하현상을 막을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써, 철근 연결을 위한 연결부 가공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고안된 다이를 이용하여 철근 연결부의 리브 및 마디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철근의 연결부 및 연결부 이상의 부분의 연결마디(10)까지 유기적으로 소성변경의 영향을 줄 수 있고 가공시간을 단축하는 가공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안된 롤러를 이용하여 철근 연결부에 재차의 가압공정을 선택적으로 추가하여 타격공정으로 가공된 연결부를 강화함으로써 연결부의 인장강도의 향상시키는 가공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해서 연결부를 형성하는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철근의 연결부(26)를 철근의 테이퍼형상 연결부(26)의 1.5 ~ 2.5배로 2편조의 다이 압입면 길이(15)가 형성되고; 철근 연결부 말단이 위치하는 다이 단부로부터 철근 연결부 길이(16) 만큼의 위치에 형성되는 2편조 다이 압입면의 반원형태 호 지름(31)이 철근의 몸체 지름(18)과 같으며; 2편조 다이 압입면은 철근의 중심에서 형성된 반원 형태 호의 수평면(29)보다 높이가 3~6mm 만큼 짧은 호를 갖으며; 압입면의 구배각도(20)가 2~10°로 성형된 2편조 다이(17)를 철근 길이 연장을 위한 연결부 가공장치로써 이용하여 타격방식 단조로 가공하는 가압공정(100); 상기 가압공정으로 형성된 철근 연결부를 전조롤러를 이용하여 나사부를 성형하는 전조공정(200); 또는 선택적인 공정으로 나사부 성형을 위한 전조공정(200) 이전에 상기의 2편조 다이를 이용하여 타격방식 단조로 가공하는 가압공정(100)으로 형성된 철근 연결부를 롤러 압입면의 구배각도(21)가 상기 2편조 다이 압입면의 각도(20)와 같은 값을 갖는 롤러(25)를 이용하여 정방향과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 가압하여 가공하는 가압공정(300)을 추가 가능한 가공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연결부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철근의 연장을 위한 연결부(26)를 성형하는 가공방법에 있어서 철근의 테이퍼형상 연결부(26)의 1.5 ~ 2.5배로 2편조의 다이 압입면 길이(15)가 형성되고; 철근 연결부 말단이 위치하는 다이 단부로부터 철근 연결부 길이(16) 만큼의 위치에 형성되는 2편조 다이 압입면의 반원형태 호 지름(31)이 철근의 몸체 지름(18)과 같으며; 2편조 다이 압입면은 철근의 중심에서 형성된 반원 형태 호의 수평면(29)보다 높이가 3~6mm 만큼 짧은 호(19)를 갖으며; 압입면의 구배각도(20)가 2~10°로 성형된 2편조 다이(17)를 철근 길이 연장을 위한 연결부 가공장치로써 이용한다. 이러한 형태의 2편조 다이를 이용한 타격방식 공법으로 1회 가압 후 철근을 90°회전시켜서 2회 가압을 하면, 절삭공정 없이도 리브(22)와 마디(23)제거를 위한 가공공정 및 원형의 연결부 가공공정이 가능하다. 또한 공지의 해머 공법과 스웨이징 공법보다도 철근 연결부의 가공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가지고 연결부 및 연결부 이상의 부분의 연결마디(10)까지 소성변경의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연결부 전체의 인장강도의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해서 연결부를 형성하는 가공방법 및 이를 위한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철근의 테이퍼형상 나사연결부를 성형함에 있어서, 연결부(26)의 1.5 ~ 2.5배로 2편조의 다이 압입면 길이(15)가 형성되고; 철근 연결부 말단이 위치하는 다이 단부로부터 철근 연결부 길이(16) 만큼의 위치에 형성되는 2편조 다이 압입면의 반원형태 호 지름(31)이 철근의 몸체 지름(18)과 같으며; 2편조 다이 압입면은 철근의 중심에서 형성된 반원 형태 호의 수평면(29)보다 높이가 3~6mm 만큼 짧은 호(19)를 갖으며; 압입면의 구배각도(20)가 2~10°로 성형된 2편조 다이(17)를 이용하여 타격방식 단조로 가공하는 가압공정(100)과;
상기의 2편조 다이(17)를 이용하여 타격방식 단조로 가공하는 타격공정으로 형성된 철근 연결부를 전조롤러를 이용하여 나사부를 성형하는 전조공정(200); 또는 선택적인 공정으로 나사부 성형을 위한 전조공정(200) 이전에 상기 2편조의 다이를 이용하여 타격방식 단조로 가공하는 타격공정(100)으로 성형된 철근의 연결부(16)를 롤러 압입면의 구배각도(21)가 상기 2편조 다이 압입면의 각도(20)와 같은 값을 갖는 롤러(25)로 롤러의 방향을 정방향과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 가압하여 가공하는 가압공정(300)을 추가 가능한 공정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연결부 가공방법으로써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공정은 철근 연결부의 리브(22)와 마디(23)를 제거 및 연결부 소성변경을 하기위한 타격공정(100), 나사부 성형을 위한 전조 공정(200), 선택 공정으로써 상기의 전조공정(200) 이전에 롤러를 이용한 가압공정(300)으로 연결부의 소성변경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타격공정(100)에서 바람직한 공정의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이용한 변형된 2편조의 다이(17) 및 가압공정(300)에서 이용되는 롤러 압입면의 구배각도(21)가 상기 2편조 다이 압입면의 각도(20)와 같은 값을 갖는 롤러(25)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해서 연결부를 성형하는 가공방법의 첫 번째 공정으로써, 철근의 연결부를 철근의 테이퍼형상 연결부(26)의 1.5 ~ 2.5배로 2편조의 다이 압입면 길이(15)가 형성되고, 철근 연결부 말단이 위치하는 다이 단부로부터 철근 연결부 길이(16) 만큼의 위치에 형성되는 2편조 다이 압입면의 반원형태 호 지름(31)이 철근의 몸체 지름(18)과 같으며; 2편조 다이 압입면은 철근 연결부를 안착시켰을 때 철근의 중심에서 형성된 반원 형태 호의 수평면(29)보다 높이가 3~6mm 만큼 짧은 호(19)를 갖으며; 압입면의 구배각도(20)가 2~10°로 성형된 2편조 다이(17)를 이용하여 1회 가압 후 철근을 90°회전시켜서 2회 가압하는 타격방식 단조로 가공하는 타격공정(100)이다. 이 공정은 종래의 가압공정 시에 사용되는 다이의 형태가 철근 연결부의 길이(16)와 같고, 그 테이퍼형상의 각도만이 2 ~ 15°인 것으로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즉 종래 기술은 다이 압입면의 길이(15)가 철근의 연결부 길이(16)만큼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된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의 소성이 가압공정 이후에 급격하게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물리적, 화학적인 물성이 단절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연결부 마디(10)의 인장강도가 저하되므로 커플링에 의한 연결 후 연결부 마디(10)가 파손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철근의 연결부의 0.5 ~ 1.5배 길이의 소성연장부(27)가 형성된 테이퍼형상의 2편조 다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철근의 리브와 마디를 타격에 의해 소성변형시킴으로써 연결부 마디(10)의 인장강도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다이가 철근 연결부 말단이 위치하는 다이 단부로부터 철근 연결부 길이(16) 만큼의 위치에 형성되는 2편조 다이 압입면의 반원형태 호 지름(31)이 철근의 몸체 지름(18)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소성연장부(27)와 연결부(26)의 타격가공이 가능하며, 다이 압입면의 구배각도에 따라서 소성부의 길이가 정해지는 것으로 구배각도가 클수록 소성부의 길이는 짧아지고 구배각도가 작을수록 소성부의 길이는 길어진다. 이때에 다이 압입면의 구배각도가 너무 작아지면 연결부의 형태가 평행 나사 연결부의 형태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결합력이 약해지고, 구배각도가 너무 커지면 소성부의 길이가 짧아져 공지기술처럼 연결부 마디(10)의 인장강도가 떨어지는 일이 발생한다. 그리하여 다이 압입면의 구배각도(20)를 2~10°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9에서와 같이 2편조 다이 압입면은 철근 연결부를 안착시켰을 때 철근의 중심에서 형성된 반원 형태 호의 수평면(29)보다 높이가 3~6mm 만큼 짧은 호(19)를 갖도록 하여 다이의 압입 시에 철근의 리브와 마디가 압입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리브와 마디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호(18)의 높이를 짧게 함으로써 타격공정 이후에 철근이 다이 압입면 호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시간 단축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아울러, 2편조의 다이를 이용한 타격공정에 의하여 성형된 철근 연결부(26)에 전조롤러를 이용하여 나사부를 형성하는 전조공정(200)이다. 이는 공지의 기술과 같이 나사산 및 나사골의 나사부를 성형하는 단계로써 압력을 가하면서 나사부 를 성형하기 때문에 철근의 연결부를 다시 한 번 소성변경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10에서와 같이 선택 공정으로써 타격공정(100)에서 상기 2편조 다이를 이용하여 타격방식 단조로 가공하는 타격공정으로 형성된 철근 연결부(26)와 소성연장부(27)를 롤러 압입면의 구배각도(21)가 상기 2편조 다이 압입면의 각도(20)와 같은 값을 갖는 롤러를 이용하여 롤러의 방향을 정방향과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 가압하여 가공하는 가압공정이다. 대부분의 철근은 타격공정(100)에서 리브와 마디가 제거되면서 철근의 리브와 마디 주변에 소성변경이 많이 생기고 그 외 부분에는 그렇지 못하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철근에 연결부에 강도가 약화는 것으로 보완하기 위해 철근의 단면 전체에 소성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철근의 연결부의 리브, 마디 제거 및 소성변경을 위해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고안된 2편조의 다이(17)를 이용하여 타격방식 단조로 가공하는 타격공정(100), 나사부 성형을 위한 전조공정(200), 선택적인 공정으로써 나사부 성형을 위한 전조공정(200) 이전에 연결부의 소성변경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롤러를 이용하여 정방향과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을 가하며 가공하는 가압공정(300)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연결부 가공방법의 발명이다.
또한, 타격방식 단조 공정의 장치인 철근의 테이퍼형상 연결부(26)의 1.5 ~ 2.5배로 2편조의 다이 압입면 길이(15)가 형성되고; 철근 연결부 말단이 위치하는 다이 단부로부터 철근 연결부 길이(16) 만큼의 위치에 형성되는 2편조 다이 압입면의 반원형태 호 지름(31)이 철근의 몸체 지름(18)과 같으며; 2편조 다이 압입면은 철근의 중심에서 형성된 반원 형태 호의 수평면(29)보다 높이가 3~6mm 만큼 짧은 호(19)를 갖으며; 압입면의 구배각도(20)가 2~10°로 성형된 2편조 다이(17) 및 롤러 압입면의 구배각도가 상기 2편조 다이 압입면의 각도(20)와 같은 값을 갖는 롤러를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연결부 가공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써, 절삭공정 없이도 리브와 마디를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하고 완전한 원형의 연결부 가공이 가능하다.
도 1은 철근 길이 연장을 위한 연결부 가공공정 흐름도.
도 2는 커플러를 이용한 평행나사 연결부의 단면도.
도 3은 커플러를 이용한 테이퍼형상 연결부의 단면도.
도 4는 철근의 외형도.
도 5는 2편조의 다이의 사시도.
도 6은 2편조의 다이중의 1편조의 평면도.
도 7은 2편조의 다이를 이용한 철근의 타격방식 공정의 개략도.
도 8은 나사부 성형을 위한 전조공정 이후의 철근의 나사연결부 상세도.
도 9는 2편조 다이의 압입면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선택적인 공정인 롤러를 이용한 가압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결부 타격공정
200 : 전조 공정
300 : 선택적인 가압공정
10 : 연결마디
15 : 다이의 압입면의 길이
16 : 철근 연결부의 길이
18 : 철근 몸체의 길이
19 : 다이의 호
21 : 롤러 압입면의 구배각도
26 : 나사연결부
27 : 소성연장부
29 : 철근의 중심에서 형성된 반원 형태 호의 수평면

Claims (5)

  1.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해서 단부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가공방법에 있어서,
    철근의 테이퍼형상 연결부(26)의 1.5 ~ 2.5배로 2편조의 다이 압입면 길이(26)가 형성되고; 철근 연결부 말단이 위치하는 다이 단부로부터 철근 연결부 길이(16) 만큼의 위치에 형성되는 2편조 다이 압입면의 반원형태 호 지름(31)이 철근의 몸체 지름(18)과 같으며; 2편조 다이 압입면은 철근의 중심에서 형성된 반원 형태 호의 수평면(29)보다 높이가 3~6mm 만큼 짧은 호(19)를 갖으며; 압입면의 구배각도(20)가 2~10°로 성형된 2편조 다이를 철근 길이 연장을 위한 연결부 가공장치로 이용하여, 철근을 1회 가압 후 90°회전시켜서 2회째의 타격방식 단조로 가공하는 가압공정 및 상기 가압공정으로 형성된 철근 연결부를 전조롤러를 이용하여 나사부를 형성하는 전조공정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연결부 가공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편조 다이를 이용하여 타격방식 단조로 가공하는 가압공정으로 형성된 철근 연결부를 롤러를 이용하여 롤러의 방향을 정방향과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 가압하여 가공하는 가압공정을 추가한 것에 특징이 있는 철근의 연결부 가공방법.
  4.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해서 단부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철근의 테이퍼형상 나사연결부의 1.5 ~ 2.5배로 2편조의 다이 압입면 길이가 형성되고; 철근 연결부 말단이 위치하는 다이 단부로부터 철근 연결부 길이(16) 만큼의 위치에 형성되는 2편조 다이 압입면의 반원형태 호 지름(31)이 철근의 몸체 지름(18)과 같으며; 2편조 다이 압입면은 철근의 중심에서 형성된 반원 형태 호의 수평면(29)보다 높이가 3~6mm 만큼 짧은 호(19)를 갖으며; 압입면의 구배각도가 2~10°로 성형된 2편조 다이를 특징으로 하는 철근 길이 연장을 위한 연결부 가공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편조 다이를 이용하여 타격방식 단조로 가공하는 가압공정으로 형성된 철근 연결부를 롤러의 압입면의 구배각도가 상기 2편조 다이 압입면의 각도와 같은 값을 갖는 상기 롤러를 이용하여 롤러의 방향을 정방향과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 가압하여 가공하는 가압공정을 추가한 것에 특징이 있는 철근 길이 연장을 위한 연결부 가공장치.
KR1020090034358A 2009-04-20 2009-04-20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한 연결부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KR100914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358A KR100914050B1 (ko) 2009-04-20 2009-04-20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한 연결부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358A KR100914050B1 (ko) 2009-04-20 2009-04-20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한 연결부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050B1 true KR100914050B1 (ko) 2009-08-26

Family

ID=4121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358A KR100914050B1 (ko) 2009-04-20 2009-04-20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한 연결부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0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191A (ko) * 1999-06-02 2001-01-05 김영구 콘크리트 보강봉의 이음 구조
KR200209431Y1 (ko) 2000-07-04 2001-01-15 주식회사두하상사 철근 단부 가공장치
KR100316435B1 (ko) 1998-03-31 2001-12-12 정경옥 콘크리트보강용 이형봉강의 연결단부 가공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가공된 이형봉강 및 이형봉강의 연결구조.
KR100820184B1 (ko) 2007-02-23 2008-04-08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철근의 나사부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435B1 (ko) 1998-03-31 2001-12-12 정경옥 콘크리트보강용 이형봉강의 연결단부 가공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가공된 이형봉강 및 이형봉강의 연결구조.
KR20010001191A (ko) * 1999-06-02 2001-01-05 김영구 콘크리트 보강봉의 이음 구조
KR200209431Y1 (ko) 2000-07-04 2001-01-15 주식회사두하상사 철근 단부 가공장치
KR100820184B1 (ko) 2007-02-23 2008-04-08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철근의 나사부 가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9583C (en) Deformed reinforcing bar splice and method
CN102650311B (zh) 硬质被打入部件用连接销钉及其制造方法
WO2008023456A1 (en) Tool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JP2016176229A (ja) 鉄筋継手ならびに鉄筋およびスリーブ
KR100820184B1 (ko) 철근의 나사부 가공방법
CN106312440A (zh) 一种中空钢钻杆摩擦焊修复方法
KR100914050B1 (ko) 철근의 길이 연장을 위한 연결부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KR20100027242A (ko) 이형 보강봉강 상에서 나사산을 가공하는 방법
KR200209431Y1 (ko) 철근 단부 가공장치
US10451101B2 (en) Two-steel screw with an extrusion conne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screw
DK2504117T3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device for connecting reinforcements
KR101007545B1 (ko) 철근 이음부에 나사부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0105729A (ja) アンカー筋用鉄筋、アンカー筋およ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
KR101239031B1 (ko) 철근 및 커플러
KR100615514B1 (ko) 강재의 접합구조와 그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확장전단지압부재
JP7282641B2 (ja) 鉄筋用圧接治具
KR100550939B1 (ko) 직경이 다른 봉강재의 연결단부 이음방법
TWM566738U (zh) Renewable steel structure
KR20100036519A (ko) 철근에 나사를 형성하는 방법
JP5327779B2 (ja) 鉄筋の定着構造
JP2009184060A (ja) 金属製部品の加工方法及び金属製部品の加工装置
KR100449977B1 (ko) 철근콘크리트용 이형봉강 이음구조
JP4533426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使用する鉄筋の端部構造及び定着構造
CN101386162A (zh) 改进的弯管扳手结构
KR20100134928A (ko) 철근과 철근을 이음하는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