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334B1 -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334B1
KR100911334B1 KR1020070119548A KR20070119548A KR100911334B1 KR 100911334 B1 KR100911334 B1 KR 100911334B1 KR 1020070119548 A KR1020070119548 A KR 1020070119548A KR 20070119548 A KR20070119548 A KR 20070119548A KR 100911334 B1 KR100911334 B1 KR 100911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cover member
front cover
pr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2967A (ko
Inventor
손경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9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334B1/ko
Publication of KR2009005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 B60Q1/30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combined with a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1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comprising means for locking the seat or parts thereof in a driving prevention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경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LED를 사용하여 조명하게 될 때, 포토센서에 의한 조명 음영의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 빛의 반사에 의해 발생하는 비침 현상과 빛의 산란에 의한 퍼짐 현상 문제를 해소하여 시인성을 좋게 하여 경계 상황임을 확실히 나타낼 수 있는 구조의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빛을 투영하는 전면 카바부재와;
상기 전면 카바부재의 내측 후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LED와; 상기 LED의 일측으로 마련되는 포토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용 콤비 센서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LED의 외주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LED의 전방 위치가 개방된 개구부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빛 반사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콤비센서, LED, 원통형의 빛 반사벽, LED 프리즘, 렌즈캡

Description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 장치{Combi-sensor light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경계 조명에 사용되는 콤비 센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콘 작동 차량에서 차량이 경계 상태에 있을 때 도어나 엔진 후드 및 트렁크 등이 열리게 되면 이를 차량 소유자에게 경보하기 위해 경음을 울리거나 빤짝 빤짝하는 빛을 발산시켜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콤비센서 조명 장치를 차량에 장착시키고 있다.
여기서 콤비 센서라 함은 오토라이트 센서와 포토센서 및 차량의 경계 상태를 나타내는 안전지시기(Security Indicator)의 일체형 센서를 말하는 것으로,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 장치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차량 내부의 운전석 근방(클러스터)에 주로 설치되어 진다.
도시한 장치에 있어서 안전 지시기(20)는 눈에 잘 뜨이고 경계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조명원으로서 적색 LED(21)와, 그 적색 LED(21)를 지지하는 홀더(22)로 구성되는데, 적색 LED(21)를 지지하는 홀더(22)로 구성되는데, 적색 LED(21)의 경 우 색상(colour)의 특성상 인식성은 뛰어나나 파장이 길어 빛의 산란성이 심하므로써 빛의 퍼짐 현상(도 4 참조)이나 빛의 반사에 의한 비침 현상(도 5 참조)과 누광 문제(빛의 누설)등 여러가지 문제들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문제들 중 누광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조명의 개구 면적을 줄일 경우 차량의 경계 상태를 나타내는 "인식성"이 떨어지고, 콤비 센서 조명장치(23)내의 포토센서(24)가 적색 LED(21)와 이웃하여 설치되고 있어, 적색 LED(21)로 부터 발산되는 조명 적용 가능 면적(S)의 하단 부위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포토센서(24)가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여 그림자(음영)가 형성되는 문제(도 6의 불빛아래의 둥근그림자를 보여주는 원호 참조) 발생하였다.
즉. 기존의 차량 경계용 콤비센서 조명장치(23)에 의하면 적색 LED(21)로부터 빛이 카바(25)를 통해 조사될 때 빛의 산란에 의해 빛이 넓게 확산되므로 조명 면적이 확대되는 반면 어둡고 흐릿해져 적색 LED(21)부위에의 외부에서의 인식성이 저하되며, 조명면적(S)의 확산으로 포토센서(24)의 둥근 형상의 그림자가 카바(25)에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조명은 빨간 빛이 강렬하게 집중되도록 시인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차량의 경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LED를 사용하여 조명하게 될 때, 포토센 서에 의한 조명 음영의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 빛의 반사에 의해 발생하는 비침 현상과 빛의 산란에 의한 퍼짐 현상 문제를 해소하여 시인성을 좋게 하여 경계 상황임을 확실히 나타낼 수 있는 구조의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빛을 투영하는 전면 카바부재와;
상기 전면 카바부재의 내측 후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LED와; 상기 LED의 일측으로 마련되는 포토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용 콤비 센서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LED의 외주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LED의 전방 위치가 개방된 개구부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빛 반사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원통형의 빛 반사벽의 내벽면에는 빛의 전반사를 유도하는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요철은 톱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와 원통형의 빛 반사벽의 전방에는 상기 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모아 원하는 방향으로 조사시켜 주도록 유도하는 LED 프리즘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LED 프리즘이 전면 카바부재의 지지부재 속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LED 프리즘이 전면 카바부재의 지지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면 카바부재에는 불투명 재질의 렌즈 캡이 덧씌워지며, 상기 LED 프리즘의 전면이 상기 전면 카바부재 및 렌즈 캡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원통형의 빛 차단벽이 LED의 외주를 감싸고 있어, 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사방으로 확산되지 않고 원통형의 빛 차단벽에 전반사되어 전방으로 집중되어 조사되며, 더우기 LED의 전방에 LED 프리즘을 설치하고 있어 조사되는 빛의 집중성이 커지고, 인접한 포토센서에 의한 음영 발생이 사라지며, LED 프리즘의 선단이 전면 카바부재와 불투명 재질의 렌즈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이어서, 다른 부재들이 빛을 반사시키는 현상이 사라져 LED 빛의 시인성 및 집중성이 크게 개선되어 차량 경계 상황의 표시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장치(1)는 운전석 전방에 잘 보일 수 있는 위치의 패널, 예를 들면 클러스터에 설치하게 된다.
빛을 투과하는 전면 카바부재(2)의 후방 내측에는 눈에 잘 뜨이며 경계감을 나타내는 적색의 빛을 조사하는 LED(3)가 설치되며, 이 LED(3)와 이웃해서 포토센서(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LED(3)는 돔형 형상이어서 빛을 사방으로 발산하게 되는데, 이 빛이 사방으로 퍼져나가지 않고 전방으로만 조사되도록 LED(3)의 외주를 원통형의 빛 반사벽(5)이 둘러싸고 있다.
이 원통형의 빛 반사벽(5)은 LED(3) 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전방으로 나아가도록 선단이 개방된 개구부(5a)로 형성되며, 그 개구부(5a)에 접한 전방에는 후방에서 유입되는 빛을 모아 원하는 특정 전방 위치로 조사하도록 안내하는 LED프리즘(6)이 설치되는데, 이 LED 프리즘(6)은 전면 카바부재(2)의 지지부재(7)내에 갇힌 형태로서 전후면(8,9)이 노출되는 형태로 인서트 사출 장착되거나 또는 후방으로 부터 지지부재(7)에 끼워 장착 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한 전면 카바부재(2)의 표면은 불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되는 렌즈캡(10)이 덮여지도록 장착되며, 상기 LED 프리즘(6)의 전면(8)이 상기 전면 카바부재(2)와 렌즈캡(10)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의 빛 반사벽(5)의 내벽면에는 빛의 전반사를 유도하도록 요철(11), 예를 들면 톱니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LED(3)가 점등 또는 점멸 작동되면 LED(3)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그를 둘러싼 원통형의 빛 반사벽(5)의 요철(11)에 부딪쳐 전반사되면서(화살표 참조) 전방인 개구부(5a)를 통해 조사된다.
그런데 그 개구부(5a)의 전방에는 다시 LED 프리즘(6)이 마련되어 있어,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은 LED 프리즘(6) 몸체내를 통과하게 된다.
이 LED 프리즘(6)은 특정 방향으로 빛을 모아 보낼 수 있도록 설치가 가능하므로 선단면(8)을 통해 설계된 방향의 전방을 향해 빛이 투과되며, 이때에도 LED프 리즘(6)이 지지부재(7)내에 인서트 사출되어 있어 LED 프리즘(6)내로 도입되는 빛은 외부로의 누설 없이 전부가 선단면(8)의 단면적을 통해 전방으로 조사되며, 이 때문에 선단면(8) 단면적 만큼만 투영되는 형태로 보여질 뿐 다른 부재에 빛이 반사되거나 산란되는 일이 없어 LED(3)로부터 발산되는 빨간 빛이 큰 점상 또는 작은 원상으로 선명하게 시인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빛이 원통형 빛 반사부(5)와 LED 프리즘(6) 및 렌즈캡(10)을 전반사 작용으로 통과하게 되므로 빛의 손실이 최소화되어 선명하게 LED 불빛이 시인되므로써 경계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3은 종래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A-A 단면도
도 4는 종래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 장치의 LED 작동시 포토센서에 의해 음영이 발생한 상태를 보여주는 실물 사진
도 5는 종래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 장치의 LED 작동시 빛의 반사에 의해 빛이 다른 부위에서 비치는 것을 보여주는 실물 사진.
도 6은 종래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 장치의 LED 작동시 빛의 산란에 의해 넓게 퍼져 비치는 모습을 나타낸 실물 사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콤비센서조명장치 2 : 전면 카바부재
3 : LED 4 : 포토센서
5 : 원통형 빛 반사부 5a : 개구부
6 : LED 프리즘 7 : 지지부재
8 : 전면 9 : 후면
10 : 렌즈캡 11 : 요철

Claims (7)

  1. 빛을 투영하는 전면 카바부재와;
    상기 전면 카바부재의 내측 후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LED와; 상기 LED의 일측으로 마련되는 포토센서와; 상기 LED의 외주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LED의 전방 위치가 개방된 개구부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빛 반사벽;을 구비하여서 되는 자동차용 콤비 센서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LED와 원통형의 빛 반사벽의 전방에는 상기 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모아 원하는 방향으로 조사시켜 주도록 유도하는 LED 프리즘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프리즘은 전면 카바부재의 지지부재 속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프리즘은 전면 카바부재의 지지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카바부재에는 불투명 재질의 렌즈 캡이 덧씌워지며, 상기 LED 프리즘의 전면이 상기 전면 카바부재 및 렌즈 캡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장치
KR1020070119548A 2007-11-22 2007-11-22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 장치 KR100911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548A KR100911334B1 (ko) 2007-11-22 2007-11-22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548A KR100911334B1 (ko) 2007-11-22 2007-11-22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967A KR20090052967A (ko) 2009-05-27
KR100911334B1 true KR100911334B1 (ko) 2009-08-07

Family

ID=4086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548A KR100911334B1 (ko) 2007-11-22 2007-11-22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3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0317Y2 (ja) * 1991-05-08 1996-09-1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Led車両用灯具のレンズ
JPH1021499A (ja) 1996-07-03 1998-01-23 Toyoda Gosei Co Ltd 異常接近警告表示装置
KR200313553Y1 (ko) 2003-02-25 2003-05-16 신인호 자동차용 발광다이오드 확산램프
KR100708348B1 (ko) * 2006-04-11 2007-04-1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발광 기능이 포함된 오토라이트 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0317Y2 (ja) * 1991-05-08 1996-09-1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Led車両用灯具のレンズ
JPH1021499A (ja) 1996-07-03 1998-01-23 Toyoda Gosei Co Ltd 異常接近警告表示装置
KR200313553Y1 (ko) 2003-02-25 2003-05-16 신인호 자동차용 발광다이오드 확산램프
KR100708348B1 (ko) * 2006-04-11 2007-04-1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발광 기능이 포함된 오토라이트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967A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08415A (ja) プロジェクタ原理に基づく車両の前照灯ならびに少なくとも1つのこのような前照灯を備えた照明装置
US5383102A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reflection control techniques
RU2546037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обиля
JP4735852B2 (ja) 車両用前照灯
CN109642441B (zh) 把手装置
KR20140083807A (ko) 차량용 라이트 가이드 유닛
JP4733064B2 (ja) 車両用ランプ
EP3572717A1 (en) Vehicular headlight
KR100911334B1 (ko) 차량 경계용 콤비 센서 조명 장치
JP2019083127A (ja) 車両用灯具
JP4214882B2 (ja) 車両周辺暗視用灯具および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CN110023674B (zh) 车辆用照明装置
JP2010105426A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ランプ
JP2010100080A (ja) 車両用の燈体
JP7385448B2 (ja) 車両用スロープ
KR100879128B1 (ko) 입체 식별기능을 갖는 계기판
JP2018106941A (ja)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灯具
JP2022112391A (ja) 車輌用灯具
US20220055533A1 (en) Illuminating device for vehicle ceiling lamp
JP2008166193A (ja) 車両用灯具
KR101486336B1 (ko) 적외선 조명장치
KR200482997Y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2576399B1 (ko)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
JP6045071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6119144A (ja) 車両用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