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399B1 -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 - Google Patents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399B1
KR102576399B1 KR1020230052296A KR20230052296A KR102576399B1 KR 102576399 B1 KR102576399 B1 KR 102576399B1 KR 1020230052296 A KR1020230052296 A KR 1020230052296A KR 20230052296 A KR20230052296 A KR 20230052296A KR 102576399 B1 KR102576399 B1 KR 102576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viewing window
disposed
circuit board
cross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2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콘
Priority to KR1020230052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볼라드에 조명이 장착되어 횡단보도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의 외주면에 횡단보도 방향으로 투시창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전방이 상기 투시창에 배치되며, 상기 투시창을 통해 빛을 외부로 조사하는 하부조명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조명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1회로기판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장착된 제1LED와; 상기 제1LED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LED에서 발산된 빛을 상기 투시창 방향이 배치된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와; 상기 제1회로기판, 제1LED 및 반사부재를 덮으면서 상기 제1지지판에 결합되며, 전방이 상기 투시창에 배치되는 제1커버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LED에서 상방향으로 발산된 빛은 상기 반사부재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된 후 상기 제1커버렌즈를 투과하고 상기 투시창을 관통하여 외부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 { BOLLARD FOR CROSSWALK LIGHTING }
본 발명은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볼라드에 조명이 장착되어 횡단보도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라드(Bollard)는 차도와 보도의 경계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보도 진입을 차단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차량이 보도에 무단으로 주·정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횡단보도 인근에 설치되는 볼라드는 차량과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구조 및 보행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므로, 통상 볼라드의 내부는 강구조물로 구성하고 외부는 우레탄 소재로 구성하고 있으며,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 향상을 위하여 차량의 전조등 빛에 반사되는 반사지가 본체에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교통량이 많지 않은 도로에는 횡단보도는 설치되어 있으나 횡단보도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주변의 조명이 어두운 장소에서는 차량 운전자가 부주의로 횡단보도의 보행자를 미처 인식하지 못하고 차량을 그대로 운전할 경우에는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볼라드에 램프를 장착하여 횡단보도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명장치가 장착된 볼라드는, 횡단보도에 조사되는 빛이 길고 넓게 조사되지 않아 보행자의 안전을 충분히 도모할 수 없고,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LED의 광원이 직접적으로 비추어 눈부심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10-2013-0075160 등록특허 10-113185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횡단보도에 조사되는 빛을 보다 길고 넓게 조사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눈부심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의 외주면에 횡단보도 방향으로 투시창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전방이 상기 투시창에 배치되며, 상기 투시창을 통해 빛을 외부로 조사하는 하부조명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조명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1회로기판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장착된 제1LED와; 상기 제1LED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LED에서 발산된 빛을 상기 투시창 방향이 배치된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와; 상기 제1회로기판, 제1LED 및 반사부재를 덮으면서 상기 제1지지판에 결합되며, 전방이 상기 투시창에 배치되는 제1커버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LED에서 상방향으로 발산된 빛은 상기 반사부재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된 후 상기 제1커버렌즈를 투과하고 상기 투시창을 관통하여 외부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투시창이 배치된 전방이 개방된 반(半)돔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상기 제1지지판에 고정되고, 상기 제1LED는 반돔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반사부재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지지판에는 상기 제1회로기판의 상부로 상기 제1LED보다 높게 돌출된 차단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LED는 상기 차단돌기보다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차단돌기에 의해 상기 투시창을 통해 상기 제1LED가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 차단돌기는 상기 제1LED와 대면하는 중심부가 양측보다 상기 제1LED의 반대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빛은 상기 투시창의 중간보다 낮은 위치를 향해 조사된다.
상기 하부조명부재는, 상기 반사부재의 전방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1커버렌즈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이너렌즈;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이너렌즈는 상기 반사부재를 통해 반사되는 빛을 좌우방향으로 더 넓게 전방으로 조사한다.
상기 제1이너렌즈는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긴 엠보돌기가 좌우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되, 다수개의 상기 엠보돌기는 상기 반사부재를 통해 반사되는 빛을 좌우방향으로 더 넓게 전방으로 조사한다.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조명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조명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회로기판과;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2회로기판의 상면에서 방사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회로기판의 외주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는 제2LED와; 상기 회로기판 및 제2LED를 덮는 제2커버렌즈와; 상기 제2커버렌즈의 외면에서 상기 제2커버렌즈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는 다수개의 제2이너렌즈와; 상기 제2커버렌즈 및 제2이너렌즈를 덮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캡에는 상기 제2이너렌즈가 배치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캡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이너렌즈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LED에서 측방향으로 발산된 빛은 상기 제2커버렌즈 및 제2이너렌즈를 투과한 후 방사선 형상으로 외부로 조사된다.
상기 제2커버렌즈의 외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이너렌즈의 둘레에는 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2이너렌즈는 하부가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관통공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캡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이너렌즈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캡의 내측면에 걸려 상기 제2이너렌즈를 고정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조명부재에 의해 횡단보도가 배치된 전방으로 빛을 길고 넓게 조사하여 밝게 비출 수 있고, 상기 상부조명부재에 의해 볼라드의 둘레를 따라 측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볼라드의 위치를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의 하부조명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측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의 상부조명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1의 C-C선을 취하여 본 측단면도,
도 8은 도 1의 D-D선을 취하여 본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에서 제1이너렌즈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빛실험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에서 제1이너렌즈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빛실험결과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하부조명부재(20)와, 상부조명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의 외주면에 횡단보도 방향으로 투시창(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조명부재(2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전방이 상기 투시창(11)에 배치되며, 상기 투시창(11)을 통해 빛을 외부 즉 횡단보도로 조사한다.
상기 하부조명부재(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판(21)과, 제1회로기판(22)과, 제1LED(23)와, 반사부재(24)와, 제1커버렌즈(25)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판(21)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상기 제1회로기판(22)은 상기 제1지지판(21)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LED(23)는 상기 제1회로기판(22)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제1지지판(21)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LED(23) 및 제1회로기판(22)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반사부재(24)는 상기 제1LED(23)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LED(23)에서 발산된 빛을 상기 투시창(11) 방향이 배치된 전방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반사부재(24)는 상기 투시창(11)이 배치된 전방이 개방된 반(半)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상기 제1지지판(21)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1LED(23)는 반돔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반사부재(24)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LED(23)에서 상방향으로 발산된 빛은 반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반사부재(24)의 내면에 반사된 후, 상기 투시창(11)이 배치된 전방으로 조사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반사부재(24)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상기 반사부재(24)에서 반사된 빛은 상기 투시창(11)의 중간보다 낮은 위치를 향해 조사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하부조명부재(20)에서 상기 투시창(11)으로 통해 조사되는 빛이 상방향으로 조사됨이 없이 하방향으로만 조사되도록 하여,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렌즈(25)는 상기 제1회로기판(22), 제1LED(23) 및 반사부재(24)를 덮으면서 상기 제1지지판(21)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렌즈(25)는 전방이 상기 투시창(11)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LED(23)에서 상방향으로 발산된 빛은 상기 반사부재(24)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된 후 상기 제1커버렌즈(25)를 투과하고 상기 투시창(11)을 관통하여 외부로 조사되게 된다.
상기 제1지지판(21)에는 상기 제1회로기판(22)의 상부로 상기 제1LED(23)보다 높게 돌출된 차단돌기(21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LED(23)는 상기 차단돌기(21a)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위와 같이 상기 차단돌기(21a)가 상기 제1LED(23)보다 전방에 배치됨으로서, 전방에 배치된 상기 투시창(11)을 통해 상기 하부조명부재(20)를 볼 경우 상기 제1차단돌기(21a)에 의해 상기 제1LED(23)가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LED(23)의 발광시 외부에서 상기 제1LED(23)의 밝은 광원점을 직접적으로 볼 수 없게 되는바, 눈부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돌기(21a)는 상기 제1LED(23)와 대면하는 중심부가 양측보다 상기 제1LED(23)의 반대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차단돌기(21a)의 중심부가 오목하여 형성되어 상기 차단돌기(21a)가 상기 제1LED(23)로부터 멀리 이격되게 됨으로서, 상기 제1LED(23)의 발광시 열이 상기 차단돌기(21a)에 곧바로 전달되어 변형을 일으키거나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조명부재(20)는 상기 반사부재(24)의 전방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1커버렌즈(25)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이너렌즈(2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이너렌즈(26)는 상기 반사부재(24)를 통해 반사되는 빛을 좌우방향으로 더 넓게 하여 전방으로 조사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이너렌즈(26)에는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긴 엠보돌기(26a)가 좌우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하였다.
다수개의 상기 엠보돌기(26a)는 상기 반사부재(24)를 통해 반사되는 빛을 좌우방향으로 더 넓게 하여 전방으로 조사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에서 제1이너렌즈(26)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빛실험결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에서 제1이너렌즈(26)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빛실험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10(a)는 빛이 횡단보도로 조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b) 및 도 10(b)는 빛이 조사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9(c) 및 도 10(c)는 빛이 조사된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9(b)와 도 10(b)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1이너렌즈(26)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인 도 9(b)에 도시된 빛의 길이가 상기 제1이너렌즈(26)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인 도 10(b)에 도시된 빛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이너렌즈(26)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인 도 9(b)에 도시된 빛의 폭이 상기 제1이너렌즈(26)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인 도 10(b)에 도시된 빛의 폭보다 좁다.
특히, 도 9(c) 및 도 10(c)을 살펴보면, 상기 제1이너렌즈(26)가 장착된 도 10(c)의 도면에 빛의 폭이 상기 제1이너렌즈(26)가 제거된 도 9(c)에 도시된 빛의 폭보다 더 넓게 되어 있음을 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9(c) 및 도 10(c)을 살펴보면, 본원발명은 빛이 센터라인 즉 상기 투시창(11)의 중간보다 낮은 위치를 향해 조사됨을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이너렌즈(26)의 장착여부에 따라 빛의 길이 또는 폭을 가변할 수 있어, 볼라드가 설치되는 환경 등에 따라 빛을 길게 또는 좌우방향으로 넓게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상부조명부재(3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상부조명부재(30)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로기판(32)과, 제2LED(33)와, 제2커버렌즈(35)와, 제2이너렌즈(36)와, 캡(37)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회로기판(32)은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제2LED(33)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2회로기판(32)의 상면에서 방사선 형상으로 배치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2회로기판(32)의 외주방향으로 빛을 발산한다.
상기 제2커버렌즈(35)는 상기 제2회로기판(32) 및 제2LED(33)를 덮는다.
상기 제2커버렌즈(35)와 상기 제2회로기판(32) 사이에는 본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라셀(38) 등이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제2이너렌즈(36)는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커버렌즈(35)의 외면에서 상기 제2커버렌즈(35)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된다.
상기 캡(37)은 상기 제2커버렌즈(35) 및 제2이너렌즈(36)를 덮는다.
상기 캡(37)에는 상기 제2이너렌즈(36)가 배치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관통공(37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37)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이너렌즈(36)는 상기 관통공(37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2커버렌즈(35)의 외주면에는 걸림턱(3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이너렌즈(36)의 둘레에는 플랜지부(36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이너렌즈(36)는 하부가 상기 걸림턱(35a)에 안착된다.
상기 제2이너렌즈(36)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36a)는 상기 관통공(37a)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캡(37)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이너렌즈(36)는 상기 관통공(37a)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부(36a)는 상기 캡(37)의 내측면에 걸려 상기 제2이너렌즈(36)를 고정시키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제2LED(33)에서 측방향으로 발산된 빛은 상기 제2커버렌즈(35) 및 제2이너렌즈(36)를 투과한 후 방사선 형상으로 외부로 조사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하부조명부재(20)에 의해 횡단보도가 배치된 전방으로 빛을 길고 넓게 조사하여 밝게 비출 수 있고, 상기 상부조명부재(30)에 의해 볼라드의 둘레를 따라 측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볼라드의 위치를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본체, 11 : 투시창,
20 : 하부조명부재,
21 : 제1지지판, 21a : 차단돌기, 22 : 제1회로기판, 23 : 제1LED, 24 : 반사부재, 25 : 제1커버렌즈, 26 : 제1이너렌즈, 26a : 엠보돌기,
30 : 상부조명부재, 32 : 제2회로기판, 33 : 제2LED, 35 : 제2커버렌즈, 35a : 걸림턱, 36 : 제2이너렌즈, 36a : 플랜지부, 37 : 캡, 37a : 관통공, 38 : 솔라셀,

Claims (9)

  1.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의 외주면에 횡단보도 방향으로 투시창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전방이 상기 투시창에 배치되며, 상기 투시창을 통해 빛을 외부로 조사하는 하부조명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조명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1회로기판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장착된 제1LED와;
    상기 제1LED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LED에서 발산된 빛을 상기 투시창이 배치된 방향인 전방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투시창이 배치된 전방이 개방된 반(半)돔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상기 제1지지판에 고정되는 반사부재와;
    상기 제1회로기판, 제1LED 및 반사부재를 덮으면서 상기 제1지지판에 결합되며, 전방이 상기 투시창에 배치되는 제1커버렌즈와;
    상기 반사부재의 전방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1커버렌즈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이너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LED는 반돔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반사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LED에서 상방향으로 발산된 빛은 상기 반사부재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된 후 상기 제1커버렌즈를 투과하고 상기 투시창을 관통하여 외부로 조사되며,
    상기 제1지지판에는 상기 제1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회로기판의 상부보다 더 높게 돌출되는 차단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돌기는 반돔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반사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1회로기판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장착된 상기 제1LED보다 더 높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LED와 상기 차단돌기는 상호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LED는 상기 차단돌기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차단돌기에 의해 상기 투시창을 통해 상기 제1LED가 보이지 않게 되며
    상기 차단돌기는 상기 제1LED와 대면하는 중심부가 양측보다 상기 제1LED의 반대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LED와 더 많이 이격되고,
    상기 제1이너렌즈에는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긴 엠보돌기가 좌우방향으로 굴곡지며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이너렌즈는 다수개의 상기 엠보돌기가 상기 반사부재를 통해 반사되는 빛을 좌우방향으로 더 넓게 전방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빛은 상기 투시창의 중간보다 낮은 위치를 향해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조명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조명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회로기판과;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2회로기판의 상면에서 방사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회로기판의 외주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는 제2LED와;
    상기 회로기판 및 제2LED를 덮는 제2커버렌즈와;
    상기 제2커버렌즈의 외면에서 상기 제2커버렌즈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는 다수개의 제2이너렌즈와;
    상기 제2커버렌즈 및 제2이너렌즈를 덮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캡에는 상기 제2이너렌즈가 배치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캡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이너렌즈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LED에서 측방향으로 발산된 빛은 상기 제2커버렌즈 및 제2이너렌즈를 투과한 후 방사선 형상으로 외부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
  9.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렌즈의 외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이너렌즈의 둘레에는 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2이너렌즈는 하부가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관통공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캡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이너렌즈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캡의 내측면에 걸려 상기 제2이너렌즈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

KR1020230052296A 2023-04-20 2023-04-20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 KR102576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296A KR102576399B1 (ko) 2023-04-20 2023-04-20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296A KR102576399B1 (ko) 2023-04-20 2023-04-20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399B1 true KR102576399B1 (ko) 2023-09-08

Family

ID=8801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296A KR102576399B1 (ko) 2023-04-20 2023-04-20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399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5541A (ja) * 2005-10-20 2007-05-10 Yamaha Corp 光源ユニット
JP2009127207A (ja) * 2007-11-20 2009-06-11 Stanley Electric Co Ltd 路面設置型灯具
JP2009176578A (ja) * 2008-01-24 2009-08-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柱状発光体
KR20110000510U (ko) * 2009-07-10 2011-01-18 유지현 볼라드용 조명장치
KR101104227B1 (ko) * 2010-12-22 2012-01-11 한국광기술원 횡단보도 조명장치
JP2012026160A (ja) * 2010-07-23 2012-02-09 Sekisui Jushi Co Ltd 道路用発光標示体
KR101131851B1 (ko) 2011-07-15 2012-03-30 김성동 횡단보도의 야간 조명 및 보조 신호등 기능을 구비한 볼라드
KR101250868B1 (ko) * 2012-09-27 2013-04-05 (주)파워테크놀로지 횡단보도 조명용 볼라드
KR20130075160A (ko) 2011-12-27 2013-07-05 주식회사 코사코시스템 볼라드
KR20130114885A (ko) * 2012-04-10 2013-10-21 신상희 횡단보도의 통행안전장치
JP2014227689A (ja) * 2013-05-21 2014-12-08 積水樹脂株式会社 発光標識柱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5541A (ja) * 2005-10-20 2007-05-10 Yamaha Corp 光源ユニット
JP2009127207A (ja) * 2007-11-20 2009-06-11 Stanley Electric Co Ltd 路面設置型灯具
JP2009176578A (ja) * 2008-01-24 2009-08-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柱状発光体
KR20110000510U (ko) * 2009-07-10 2011-01-18 유지현 볼라드용 조명장치
JP2012026160A (ja) * 2010-07-23 2012-02-09 Sekisui Jushi Co Ltd 道路用発光標示体
KR101104227B1 (ko) * 2010-12-22 2012-01-11 한국광기술원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1131851B1 (ko) 2011-07-15 2012-03-30 김성동 횡단보도의 야간 조명 및 보조 신호등 기능을 구비한 볼라드
KR20130075160A (ko) 2011-12-27 2013-07-05 주식회사 코사코시스템 볼라드
KR20130114885A (ko) * 2012-04-10 2013-10-21 신상희 횡단보도의 통행안전장치
KR101250868B1 (ko) * 2012-09-27 2013-04-05 (주)파워테크놀로지 횡단보도 조명용 볼라드
JP2014227689A (ja) * 2013-05-21 2014-12-08 積水樹脂株式会社 発光標識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2207U (ja) ライトの光強度を増強可能な遮光モジュール
US8292479B2 (en) Vehicular infrared irradiation lamp
JP3205502U (ja) 車両用ヘッドライトモジュールの発光構造
KR101410878B1 (ko) 자동차용 전조등
KR101381862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EP2075501B1 (en) Vehicle headlamp
JP4825169B2 (ja) 車両用照明灯具
KR20180043038A (ko) 매트릭스 sbl 광학계를 갖는 헤드램프
JP5460201B2 (ja) 車両用前照灯
JP6176936B2 (ja) 車輌用灯具
EP3572717B1 (en) Vehicular headlight
KR102576399B1 (ko) 횡단보도용 조명 볼라드
FI90911C (fi) Valonheitin
KR20200081758A (ko) 차량용 가이드 램프
ES2300309T5 (es) Dispositivo de señalización de luz de posición para vehículo automóvil y proyector que incorpora dicho dispositivo
JP4038649B2 (ja) 照明装置
KR102470453B1 (ko) 차량용 램프
KR101074156B1 (ko)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
KR200285057Y1 (ko) 가로등
KR200269712Y1 (ko) 도로 점멸신호등
JP2021088894A (ja) 車両用スロープ
JP2003059317A (ja) 車輌用前照灯装置
KR102432616B1 (ko) 평판형 컷오프 렌즈가 구비된 도로 조명 장치
JP2015185480A (ja) 車両用ランプ
KR102031834B1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