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106B1 - 원심력에 의한 공작기계 주축의 자동 예압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원심력에 의한 공작기계 주축의 자동 예압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106B1
KR100911106B1 KR1020070106025A KR20070106025A KR100911106B1 KR 100911106 B1 KR100911106 B1 KR 100911106B1 KR 1020070106025 A KR1020070106025 A KR 1020070106025A KR 20070106025 A KR20070106025 A KR 20070106025A KR 100911106 B1 KR100911106 B1 KR 100911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auxiliary
outer ring
preload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0595A (ko
Inventor
은인웅
이춘만
황영국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06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106B1/ko
Publication of KR20090040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5/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wear or play
    • F16C25/06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5/08Ball or roller bearings self-adj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주축용 베어링에 자동으로 예압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일측에 스프링과 주베어링 및 보조베어링을 구비하여 주축의 회전속도에 따른 원심력의 변화에 따라 주베어링에 가해지는 예압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복잡한 기계구성이나 전기장치가 필요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구동 중 오동작을 줄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동체, 자동 예압, 베어링, 원심체, 팽창력

Description

원심력에 의한 공작기계 주축의 자동 예압 조절장치{Automatic pre-load control system by centrifugal force for the main spindle of machine tools}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주축용 베어링의 예압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축의 회전수의 변환에 따라 간단한 원심력기구의 적용에 의해 저속에서는 예압을 크게 하고, 고속에서는 예압을 줄여 하나의 공작기계에서 황삭 및 정삭가공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고속에서 주축의 발열을 억제하며 속도범위와 수명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먼저 종래의 자동 예압 조절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고성능 공작기계의 개발을 위해 현대의 공작기계용 주축은 점차 고속화가 되어, 절삭속도는 1,000m/min을 상회하고, 베어링 회전계수 dn=2×106 mm/min(d -베어링의 평균지름, n-회전수)를 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또한 주축의 사용 회전수 범위가 넓고 하나의 공작기계에서 저속에서 이루어지는 황삭가공과 고속에서 이루어지는 정삭가공이 일련의 작업으로 가능해야한다.
이를 위해 저속의 황삭가공에서는 주축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큰 예압이 필 요하고, 고속가공에서는 큰 강성 대신에 발열을 저하시키고 넓은 회전수 범위가 더 중요해 적은 예압이 필요하다.
따라서 저속에서의 큰 예압과 고속에서의 적은 예압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예압 조절기구가 필요하다.
현재는 이를 위해 변환 예압방법, 다단 정위치예압방법, 다단 정압예압방법, 가변 예압방법 등이 연구되고 사용되고 있다.
변환 예압방법은 축의 회전수가 일정 회전수 이상으로 변할 때에 정위치에서 정압으로 예압을 변환시키는 방법으로 정압예압으로 변환 후의 중간속도에서 주축의 강성이 저하되어 절삭능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다단 정위치 예압은 예압의 정확한 설정을 위해 베어링 간의 간좌의 변형 및 예압기구부의 변형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므로 설계상의 어려움이 있다.
자동 가변 예압방법은 주축 회전수 및 가공조건에 따라 적절한 예압으로 가변시키는 방법으로 광범위한 회전이 요구되는 주축에 가장 적합한 예압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스핀들의 회전수에 따라 적절한 예압을 신속하게 부여할 수 있는 베어링 자동예압 장치를 도 1에서 도시하였는데, 그 구성은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스핀들(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30,30')과; 상기 복수개의 볼 베어링(30,30')들 사이의 하우징(10) 내측면에 볼 베어링(30,30')의 외륜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걸림 플랜지(11)와; 상기 복수개의 볼 베어링(30,30') 외륜과 상기 하우징(10)의 걸림 플랜지(11) 측면 사이의 개재되며 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그 원주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변위를 발생시키는 환형의 피에조 액츄에이터(60,60')와; 상기 스핀들(2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70)와; 상기 엔코더(70)에 의해 감지되는 스핀들(20)의 회전수에 따라 상기 피에조 액츄에이터(60,60') 각각에 가변적인 전압을 공급하는 콘트롤러(80);를 포함하여 상기 스핀들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의 자동 예압 장치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자동으로 예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원주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변위를 발생시키는 환형의 피에조 액츄에이터와, 스핀들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70)에 의해 감지되는 스핀들(20)의 회전수에 따라 상기 피에조 액츄에이터(60,60') 각각에 가변적인 전압을 공급하는 콘트롤러(80) 등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하며, 구성의 복잡함으로 인하여 제조단가의 상승과 가동 중 오동작의 발생빈도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상에 스핀들을 축 지지하고 있는 볼 베어링에 자동으로 예압을 가해주는 베어링 자동예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볼부시(140, 141)에 의하여 좌우로 유동하는 제1컬러(150)와 경사면을 가지는 제1미끄럼슬라이더(17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컬러(150)는 제2스프링(161)에 의하여 제1미끄럼슬라이더(170)와 연결되며 제1미끄럼슬라이더(170)의 반대편에는 제1스프링(160)이 구비되어 좌우 연동되고, 상기 제1미끄럼슬라이더(170)의 경사면에는 대칭되는 제2미끄럼슬라이더(171)가 구비되어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상기 제2미끄럼슬라이더(171)의 끝단에는 제1자 석(180)이 일체로 구비되고 일정한 공극을 유지하는 제2자석(181)은 주축(110)에 구비되고, 상기 주축(110)의 회전속도에 따라 팽창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제2자석(181)이 상승하는 만큼 제1스프링(160)은 압축되고 제2스프링(161)은 늘어나서 제1컬러(150)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되어 베어링(120)에 적절한 예압을 자동으로 가할 수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주축용 베어링의 자동 예압 조절장치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자석을 이용하여 원심력을 회전축과 수평한 방향의 힘으로 바꾸는 것으로 힘을 변환하기 위한 두 자석간의 공극을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힘들어 회전수와 예압간의 상관관계가 부정확할 수 있고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프링과 주베어링 그리고 보조베어링을 구비하여 주축의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의 변환에 따라 베어링에 가해지는 예압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는 주축에 주내륜이 구비되고, 회전하지 않는 하우징의 끝단에는 텐션을 가지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스프링의 타측에는 주외륜이 구비되고, 주외륜과 주내륜의 사이에는 주전동체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주베어링과; 회전하는 주축에 제1보조내륜과 제2보조내륜 한 쌍이 구비되고, 제1보조내륜과 제2보조내륜 사이에 원심력을 축방향 힘으로 변환시키는 원심체가 구비되며, 회전하지 않는 하우징에 제1보조외륜과 제2보조외륜 한 쌍이 헐겁게 끼워져서 구비되며, 제1보조외륜과 제2보조외륜은 제2간좌에 의해 분리되어지며, 보조외륜과 보조내륜의 사이에는 보조전동체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보조베어링과; 하우징에 구비된 주외륜과 제1보조외륜은 제1간좌에 의하여 연결된 구성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하우징의 일측에 스프링과 주베어링 및 보조베어링을 구비하여 주축의 회전속도에 따른 원심력의 변환에 따라 보조베어링을 통해 주베어링에 가해지는 예압을 조절하는 것으로 회전수와 예압의 정확한 상관관계를 통해 회전수에 따른 적절한 예압을 자동으로 가할 수 있으며, 복잡한 기계구성이나 전기장치가 필요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구동 중 오동작을 일어날 확률이 줄어들어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원심력에 의한 공작기계 주축의 자동 예압 조절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세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구성도로서, a)는 저속회전 시 동작구성도이고 b)는 고속회전 시 동작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원심체의 상세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하는 주축(110)에 주베어링(120)과 보조베어링(160)이 구비되고, 외측에 하우징(100)이 구비되며, 하우징(100)의 일측에 스프링(300)이 구비되어 있는데, 하기에서 본 발명의 각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주베어링(120)의 구성을 살펴보면, 회전하는 주축(110)에 주내륜(140)이 억지끼움되어 구비되고, 주내륜(140)에 구비된 삽입홈(도면 미도시)에 주전동체(150)가 삽입되어 회전하게 되며, 외측의 회전하지 않는 하우징(100)의 끝단에는 텐션을 가지는 스프링(300)의 일측이 구비되며, 스프링(300)의 또 다른 끝단에는 주외륜(130)이 하우징(100)과 헐겁게 끼워져서 구비되고, 주외륜(130)와 주내륜(140)의 사이에는 주전동체(150)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것 으로 주베어링(120)이 구성된다.
다음으로 보조베어링(160)의 구성을 살펴보면, 회전하는 주축(110)에 보조내륜(180) 한 쌍이 이격하여 구비되고, 한 쌍의 보조내륜(180) 사이에는 주축(11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한 반경방향 팽창을 축방향 팽창으로 변환시키는 원심체(400)가 구비되며, 외측의 회전하지 않는 하우징(100)에는 보조내륜(180)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1보조외륜(170)과 제2보조외륜(171) 한 쌍이 헐겁게 끼워져서 구비되며, 제1보조외륜(170)과 제2보조외륜(171) 사이에는 제2간좌(210)가 구비되며, 보조외륜(170, 171)과 보조내륜(180)의 사이에는 보조전동체(190, 191)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보조베어링(160)이 구성된다.
여기서 하우징(100)에 구비된 주외륜(130)과 제1보조외륜(170)은 제1간좌(2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서로 간의 힘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심체(400)는 측단면이 Y형으로 주축(110)에 접촉되어 원심력에 의하여 반경방향 팽창을 발생시키는 접촉부(410)와 접촉부(410)와 연동하여 반경방향 팽창을 축방향 팽창으로 변환시키는 팽창부(420)로 구비된다.
도 4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자면, 주축(110)이 회전하면 억지끼움되어 고정된 주 내륜(140)과 보조내륜(180)이 회전하게 되며, 또한 한 쌍의 보조외륜(180) 사이에 구비된 원심체(400)가 회전하게 된다.
초기 주베어링(120)과 보조베어링(160)에 걸리는 예압은 하우징(100)의 끝단에 구비된 스프링(300)과 각 부품간의 치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즉 스프링력에 의해 주베어링(120)의 주외륜(130)이 A1만큼 '가'방향으로 이 동하며, 주외륜(130)이 이동하면 연결고정된 제1간좌(200)도 A2만큼 '가'방향으로 이동하여 하우징(100)의 일측과 접촉하게 되고, 제1간좌(200)가 이동하면 보조베어링(160)의 제1보조외륜(170)이 A3만큼 '가'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간좌(210)와 접촉하게 되는 구조로 주베어링(120)과 보조베어링(160)의 초기 예압이 정해진다.
여기서 주축(110)은 저속에서는 황삭가공 등을 위해 높은 강성이 중요하여 큰 예압이 필요하고, 고속에서는 큰 강성 대신 발열을 저하시키고 넓은 회전수 범위가 더 중요해 적은 예압이 필요하다.
따라서 고속주축에서는 초기에 가해지는 예압을 주축 회전수에 따라 변화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초기 예압을 주축회전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하기에서 제안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회전속도에 따라 가해지는 예압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회전하는 주축(110)에 한 쌍의 보조내륜(180) 사이에 접촉부(410)에 의하여 주축에 접촉된 원심체(400)가 구비되고, 주축(110)이 고속으로 회전할 경우 원심력에 의하여 원심체(400)의 팽창부(420)는 접촉부(410)와 연동되어 중심에서 축방향으로 팽창하게 되며, 원심체(400)의 팽창부(420)가 팽창하면 팽창력이 보조내륜(180)을 통해 보조전동체(190, 191)에 전달되고, 다시 보조외륜(170, 171)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제2보조외륜(171)은 하우징(100)에 고정되지만, 제1보조외륜(170)은 제2간좌(210)와 분리(이격)되면서 팽창력을 '나'방향으로 전달하면, 제1보조외륜(170)이 A3만큼 '나'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된 제2간좌(210)와 떨어지게 되며, 제1보조외륜(170)이 '나'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 고정된 제1간좌(200)가 A2만큼 '나'방향으로 이동하여 하우징(100)과 떨어지고, 제1간좌(200)가 '나'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 고정된 주외륜(130)도 A1만큼 '나'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프링(300)에 의하여 가해진 예압을 감소시키는 구조이다.
즉 주축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한 원심체(400)의 팽창량으로 예압을 조절하는 구조로 회전수와 예압의 정확한 상관관계를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주축이 저속으로 회전할 시에는 큰 예압이 필요하므로 스프링을 이용한 예압을 가해주며, 고속으로 회전 시에는 발열을 억제하기 위하여 주베어링과 보조베어링을 구비하여 스프링에서 가해지는 예압을 회전속도에 맞춰서 자동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그리고 속도에 따라 이동하는 A1, A2, A3의 이동거리는 마이크로단위만큼 이동하는 것으로, 아주 짧은 거리를 이동한다.
도 1은 종래 정압예압방식의 베어링 예압 구조도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인 주축용 베어링의 자동 예압 조절장치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 원심력에 의한 공작기계 주축의 자동 예압 조절장치의 구조도
도 4는 도 3의 상세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심체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10. 주축
120. 주베어링 130. 주외륜
140. 주내륜 150. 주전동체
160. 보조베어링 170. 제1보조외륜
171. 제2보조외륜 180. 보조내륜
190. 제1보조전동체 191. 제2보조전동체
200. 제1간좌 210. 제2간좌
300. 스프링 400. 원심체
410. 접촉부 420. 팽창부
A1, A2, A3. 이동거리

Claims (2)

  1. 삭제
  2. 회전하는 주축(110)에 억지끼움된 주내륜(140)과, 하우징(100)의 끝단에는 텐션을 가지는 스프링(300)이 구비되며, 스프링의 또 다른 끝단에는 주외륜(130)이 하우징과 헐겁게 끼워지고, 주외륜과 주내륜의 사이에는 주전동체(150)가 삽입된 주베어링(120)과;
    주축에 보조내륜(180) 한 쌍이 구비되고, 보조내륜 사이에는 주축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을 축방향 팽창으로 변환시키는 원심체(400)가 구비되며, 보조내륜에는 보조전동체(190, 191)가 삽입되어 회전하고, 하우징에 제1보조외륜(170)과 제2보조외륜(171)이 헐겁게 구비되며, 제1,2보조외륜은 제2간좌(210)에 의해 분리되어 구비되며, 보조외륜과 보조내륜의 사이에는 보조전동체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보조베어링(160)과;
    하우징에 구비된 주외륜과 제1보조외륜은 제1간좌(200)에 의하여 연결 고정된 원심력에 의한 공작기계 주축의 자동 예압 조절장치에 있어서,
    원심체(400)는 주축(110)에 접촉되어 고속으로 회전할 경우 원심력에 의하여 반경방향 팽창을 발생시키는 접촉부(410)와 접촉부와 연동하여 반경방향 팽창을 축방향 팽창으로 변환하는 팽창부(420)로 구비된 Y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에 의한 공작기계 주축의 자동 예압 조절장치.
KR1020070106025A 2007-10-22 2007-10-22 원심력에 의한 공작기계 주축의 자동 예압 조절장치 KR100911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025A KR100911106B1 (ko) 2007-10-22 2007-10-22 원심력에 의한 공작기계 주축의 자동 예압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025A KR100911106B1 (ko) 2007-10-22 2007-10-22 원심력에 의한 공작기계 주축의 자동 예압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595A KR20090040595A (ko) 2009-04-27
KR100911106B1 true KR100911106B1 (ko) 2009-08-06

Family

ID=4076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025A KR100911106B1 (ko) 2007-10-22 2007-10-22 원심력에 의한 공작기계 주축의 자동 예압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3210A1 (en) * 2010-05-27 2011-12-01 Fournier Michael T Centrifugal variable preload device
KR101221686B1 (ko) * 2010-12-09 2013-01-1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작기계용 베어링 예압 조절장치
CN110039444B (zh) * 2019-04-22 2024-11-01 薛超 一种双平面磨床的主轴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902A (ja) * 1998-02-26 1999-09-07 Hitachi Via Mechanics Ltd 工作機械の主軸支持装置
JP2004036747A (ja) * 2002-07-03 2004-02-05 Mitsubishi Heavy Ind Ltd 主軸装置及び予圧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902A (ja) * 1998-02-26 1999-09-07 Hitachi Via Mechanics Ltd 工作機械の主軸支持装置
JP2004036747A (ja) * 2002-07-03 2004-02-05 Mitsubishi Heavy Ind Ltd 主軸装置及び予圧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595A (ko) 2009-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919B1 (ko) 보상 장치
US20150043858A1 (en) Bear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bearing system
JP6691927B2 (ja) 工作機械および工作機械ユニット
US7150565B1 (en) Cylindrical roller bearing
EP1045995B1 (en) Bearing systems having reduced noise and axial preload
CN105834815B (zh) 进给装置以及机床
KR100911106B1 (ko) 원심력에 의한 공작기계 주축의 자동 예압 조절장치
KR101066740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스핀들 베어링의 자동예압조절장치
KR100911107B1 (ko) 유체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변화에 의한 공작기계 주축의자동 예압 조절장치
US20230150038A1 (en) High-speed spindle with forced mechanical vibratory assistance
KR100981808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주축용 베어링의 예압조절장치
JP2016514815A (ja) 内部予圧付係合離脱可能な軸方向のスラスト軸受
US6692156B1 (en) Rolling bearing
JP5504994B2 (ja) タップホルダー
KR101314497B1 (ko) 주축용 베어링의 가변 예압장치
WO2010131993A1 (ru) Способ разгрузки колец подшипника качения от действия центробежных сил (варианты) и подшипник качения (варианты)
KR100795310B1 (ko) 공작기계 주축용 베어링의 자동 예압 조절장치
KR101221781B1 (ko) 자기베어링 예압 조절장치
KR101053460B1 (ko) 미세유압을 이용한 공작기계 스핀들 베어링의 자동예압조절장치
JPH039116A (ja) ころがり軸受用自動予圧調整装置
KR20120066875A (ko) 액티브 마그네틱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주축용 베어링의 가변 예압장치
CN117583629B (zh) 一种气浮高速超精密电主轴结构
JP4835504B2 (ja) 軸受装置
JP2007216328A (ja) 主軸装置
CN117307616B (zh) 着陆轴承组件及旋转机械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