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951B1 - 스테레오그래픽 프로젝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테레오그래픽 프로젝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951B1
KR100908951B1 KR1020047010216A KR20047010216A KR100908951B1 KR 100908951 B1 KR100908951 B1 KR 100908951B1 KR 1020047010216 A KR1020047010216 A KR 1020047010216A KR 20047010216 A KR20047010216 A KR 20047010216A KR 100908951 B1 KR100908951 B1 KR 10090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generating element
eye image
beam splitter
optic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0288A (ko
Inventor
베니 스테일 스바달
크젤 에이나 올슨
오드 라그너 엔더슨
Original Assignee
인포커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커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포커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70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1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the colours sequentially, e.g. by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ight sources
    • H04N9/3114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the colours sequentially, e.g. by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ight sources by using a sequential colour filter producing one colour at a tim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Abstract

좌안 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를 포함하는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를 뷰잉 표면상에 투사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프로젝션 시스템은 빔을 생성하는 광원과, 광빔을 우측 이미지 빔과 좌측 이미지 빔으로 분리하는 빔 스플리터와, 상기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엔진 및, 프로젝션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엔진은 상기 좌측 이미지 빔으로부터 상기 좌안 이미지를 생성하는 좌측 광로와 상기 우측 이미지 빔으로부터 상기 우안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우측 광로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광로는 상류측 좌측 편광기와, 좌측 이미지 생성 요소 및, 하류측 좌측 편광기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 광로는 상류측 우측 편광기와, 우측 이미지 생성 요소 및, 하류측 우측 편광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테레오그래픽 프로젝션 시스템{STEREOGRAPHIC PROJECTION SYSTEM}
본 발명은 뷰잉(viewing) 표면상에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관찰자에 의하여 3차원으로서 지각 가능한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 이미지 프로젝터들, 그리고 특히, 디지털 프로젝터들은 청중에게 많은 형태의 내용물을 투사하기 위한 도구로서, 인기가 증가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프로젝터들은 컴퓨터에서 발생된 이미지들을 뷰잉 표면상에 투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미지 프로젝터들은 사용자가 광범위한 크기의 양질의 이미지들을 청중에게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프로젝터들은 현재 종종 회의실 및 다른 모임 시설에서 영구한 정착물로서 인식되고 있다.
통상적인 이미지 프로젝터들에 의해서 투사된 이미지들은 일반적으로 이미지의 필드의 깊이 외에 어떤 깊이의 표시 없이 평평하고 2차원으로 청중에게 나타난다. 이러한 표시는 많은 유형의 내용물에 적합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들에서, 2차원 표시로 가능한 것보다 더 좋은 정도를 위해 이미지에서 깊이 또는 구조의 특징들을 강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2차원 이미지 표시에 깊이의 외형을 부여할 수 있는 한 방법은 이미지를 스 테레오그래픽적으로 표시하는 것에 의한 것이다. 보통 "3차원" 또는 "3-D" 이미지들로서 알려진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들은, 깊이 차원을 가지고 관찰자에게 나타난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사람 얼굴에 두 눈이 떨어져 있어 좌안 및 우안에 의해 보여질 때 3차원 물체의 외관에 근소한 차이점들을 흉내내도록 구성된 겹쳐진, 분리된 좌안 및 우안 이미지들을 포함한다. 좌안 및 우안 이미지들은, 좌안 이미지는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서 지각되지 않고, 우안 이미지는 좌안에 의해서 지각되지 않게 제공된다.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들은 오랫동안 영화, 책 및 다른 미디어에서 시각적 효과를 강화시키는 데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를 표현하는 현 방법들은 회의실 환경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게 하는 몇 가지 결점이 있다. 예를 들면, 회의실 환경에서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가 표시되는 하나의 방법은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투사하기 위하여 분리된 이미지 프로젝팅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는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시스템의 비용과 무게는 하나의 프로젝터보다 훨씬 더 과중할 수 있다. 게다가, 두개의 프로젝터는 상대적으로 어렵고 시간 소비가 많은 광 배열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은 잠재적으로 어려운 이미지 배열 문제들뿐만 아니라 두개의 시스템의 무게와 부피로 인해 위치간에 이동하는 것이 특히 어려울 수 있다. 회의실의 정황에서, 이러한 결점들은 극복하기에 엄청나게 어렵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회의실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프리젠테이션들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스테레오그래픽 프로젝션 시스템에 대한 요구는 그대로 남아있다.
좌안 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를 포함하는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를 뷰잉 표면상에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프로젝션 시스템은 광빔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광원와, 광빔을 우측 이미지 빔 및 좌측 이미지 빔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빔 스플리터와, 스테레오그래픽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엔진 및 좌안 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를 뷰잉 표면상에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엔진은 좌측 이미지 빔으로부터 상기 좌안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류측 좌측 편광기와, 좌측 이미지 생성 요소와, 하류측 좌측 편광기를 포함하는 좌측 광로와, 우측 이미지 빔으로부터 상기 우안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형성되고, 상류측 우측 편광기와, 우측 이미지 생성 요소와, 하류측 우측 편광기를 포함하는 우측 광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포함하며, 관찰자에 의해서 3차원으로 지각되도록 형성된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를 뷰잉 표면상에 투사하도록 형성된 프로젝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프로젝션 시스템은 광빔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광원와, 광빔에 의해 방사될 때 교대로 좌안 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소스와, 광빔의 극성을 분리시킴으로 인하여 광빔을 편광시키도록 구성된, 그로 인해 극성을 광빔으로 나눠주는, 편광기와, 교대로 광빔의 편광을 바뀌도록 구성된 가변 지연기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 지연기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가지며, 이미지 소스가 좌안 이미지를 생성하였을 때 제1 상태로 이미지 소스에 동기되고, 이미지 소스가 우안 이미지를 생성하였을 때 제2 상태로 이미지 소스에 동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착탈 가능하게 프로젝션 시스템에 부착된 스테레오그래픽 어댑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적절한 제1 대표적인 광학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 3은 제1 극성의 광의 프로젝션을 도시하는, 도 1의 실시예에 사용에 적절한 제2 대표적인 광학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 4는 제2 극성의 광의 프로젝션을 보여주는, 도 3의 광학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극성의 광의 프로젝션을 보여주는, 도 5의 실시예에 사용에 적절한 대표적인 광학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 7은 제2 극성의 광의 프로젝션을 도시하는, 도 6의 광학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프로젝션 시스템(1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프로젝션 시스템(10)은 프로젝션 시스템(10)의 광학적 및 전기적 시스템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본체(12) 및 광학적 및 전기적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를 뷰잉 표면상에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렌즈(14)를 포함한다. 비록 프로젝션 시스템(10)을 도 1에 휴대용 데스크탑 크기의 시스템으로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은 어떤 다른 희망된 크기, 휴대용 또는 그밖에 크기일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때때로 종래의 프로젝션 시스템들로 가능한 것보다 더욱 세밀한 깊이 혹은 구조의 특징들을 보여주도록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프로젝션 시스템(10)의 광학적 및 전기적 시스템들은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게 구성된다.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는 겹쳐지나 좌안 이미지 및 우측의 분리된 이미지에 의해 생성된다. 좌안 및 우안 이미지들은 원근에 의하여 사람의 좌안 및 우안에 의한 3차원 물체의 지각에서 차이점들을 흉내내는 근소한 차이점들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좌안 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우안 및 좌안에 의해 두개의 이미지를 구별될 수 있게 하는 서로 다른 광학적 특성들을 갖도록 투사된다. 예를 들면, 두개의 이미지들은 다른 컬러들로 투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관찰자는 정확한 이미지만이 각각의 눈에 닿을 수 있게 각 눈 위에 컬러 필터를 착용할 수 있다.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를 형성하는 다른 방법은 서로 다른 극성들을 가지고 좌안 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를 투사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서, 각 눈앞에 적절한 방위의 편광 필터의 사용은 좌안 및 우안에 의해 좌안 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를 구별될 수 있게 한다. 편광으로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들을 투사하는 것은 서로 다 른 컬러들의 광으로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보다 어떤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안 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들을 구별하기 위한 극성의 사용은 각 이미지를 천연색으로 투사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편광 복원 기술들은 투사된 이미지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프로젝션 시스템(10)을 위한 제1 대표적인 광학 시스템 개략도를 (20)에 도시한 것이다. 광학 시스템(20)의 구성요소들은 광학 시스템(20)의 총체적인 광로를 따라 상대적인 순서로 아래에 기술된다. 우선, 광학 시스템(20)은 광선(23)으로 표시된, 광빔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광원(22)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광원(22)은 발측된 광 대부분을 광학 시스템(20)의 광로를 따라 지향되게 반사기 내에 위치한 램프를 포함한다. 광원(22)은 어떤 적당한 램프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은 다음으로 한정할 것은 아니나, 금속 할로겐 램프들 및 초고압 아크 램프들을 포함한다. 광학 시스템(20)은 또한 램프의 발광 스펙트럼들의 원하지 않는 부분을 필터링시키기 위해 IR(infrared) 필터 또는 UV(ultraviolet) 필터 같은 필터(24)를 포함할 수 있다.
광빔(23)은 광원에서 나갈 때 컬러 휠(26)을 보내질 수 있다. 컬러 휠은 모든 삼원색들에 대해 하나의 이미지 생성 요소의 사용을 통해 컬러 이미지들을 투사할 수 있게 하는데 사용되는 광학 필터링 장치이다. 컬러 휠은 통상적으로 그것의 외주변을 따라 서로 다른 컬러들의 다수 필터들을 가지는 둥글고 평탄한 디스크 형태를 취한다. 컬러 휠은 기 소정의 주파수로 회전하여 휠의 외주변을 따라 각 필터를 통해 순차적으로 광빔이 통과되게 한다. 이것은 컬러 휠의 하류측에 광빔의 컬러를 순차적으로 변화시킨다. 이어서, 프로젝션 시스템(10)의 이미지 소스(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는 광빔의 각 컬러마다 다른 이미지를 형성하고 컬러 휠과 동일한 주파수 및 이와 동기하여, 서로 다른 컬러에 대한 이미지들이 바뀌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일련의 서로 다른 컬러 이미지들이 시리즈는 순차적으로 뷰잉 평면상에 투사된다. 충분히 고 주파수에서 수행했을 때, 이미지들은 하나의 컬러 이미지로 인간의 눈에 나타난다.
어떤 적절한 컬러 휠이든 컬러 휠(26)로 사용될 수 있다. 3색상 컬러 휠들로 알려진, 어떤 컬러 휠들은, 적색, 녹색, 청색광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필터들을 가진다. 4-색상 컬러 휠들로 알려진, 이외 다른 것들은, 3색상과 이에 더하여 전 가시 스펙트럼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투명한 무색 부분을 구비한다. 이것은 더 많은 광을 스크린에 전달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밝기 높은 이미지 프로젝션이 될 수 있게 한다.
광빔(23)은 또한 원한다면 인터그레이터(28)를 통해 통과될 수 있다. 인터그레이터(28)는 빔의 폭에 걸쳐 광빔(23)의 세기 분포를 고르게 하도록 구성된 장치이고, 따라서, 투사된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에 우측의 폭에 걸쳐 더욱 고른 밝기를 제공한다. 인터그레이터(28)는 전형적으로 긴 투명한 봉 또는 속이 중공 부재 형태를 취하며 반사 내부 표면들을 가질 수도 있다. 광빔(23)이 인터그레이터(28)를 통과할 때, 광빔은 인터그레이터의 내부 표면들을 배수회 반사한다. 이것은 광을 혼합하고, 광빔(23)에게 빔의 폭에 걸쳐 더욱 고른 세기 분포를 준다. 한편, 인터그레이터(28)가 도시되었지만, 광학적으로 컬러 휠(26)의 하류측에 위치한 것으로, 인터그레이터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광학 시스템(20) 내에 어떤 이외 다른 적절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광원(22), 필터(24), 컬러 휠(26), 인터그레이터(28), 중계(relay) 렌즈들(30), 반사경(32) 모두를 빔 생성 시스템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빔 생성 시스템은 단지 대표적인 예이고, 본 발명의 범위에 벗어남이 없이 어떤 다른 적절한 빔 생성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인터그레이터(28)를 통해 통과한 후에, 광빔(23)은 다음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계 렌즈(30) 및/또는 반사경들(32)을 경유해서, 34에 표시된 이미지 엔진으로 향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미지 엔진(34)은 광빔(23)으로부터 좌안 및 우안 이미지들을 형성하여 좌안 및 우안 이미지들을 프로젝션 렌즈(14)로 보내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광원이 사용되는 경우, 좌안 및 우안 이미지들이 형성되기 전에 광빔을 좌측 이미지 빔(38) 및 우측 이미지 빔(40)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적절한 빔 스플리터(36) 사용될 수 있다. 빔 스플리터(36)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적으로 이미지 엔진(34)의 상류측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더욱 상세히 하기에서 설명되는 이미지 엔진(34)에 일체화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이미지 엔진(34)은 서로 다른 극성들의 광을 통해 좌안 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서, 이것은 광빔(23)을 실선으로 나타낸 광선(38)으로 표시된 제1 극성의 제1 빔 및 점선으로 나타낸 광선(40)으로 표시된 제2 극성의 제2 빔으로 분리하기 위한 편광 빔 스플리터(36)의 사용을 통해 달성된다. 이어서, 제1 편광 빔(38)은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42)로 향하고, 제2 편광 빔(40)은 우측 이미지 생성 요소(44)로 향한다.
어떤 적절한 유형의 이미지 생성 요소이든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 및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44)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이미지-생성 장치는 반사형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패널 형태를 취한다. 통상의 액정 패널들처럼 LCOS 패널들은 화소 단위로, 입사된 편광 빔 부분들을 선택적으로 광학적 회전하는 것에 의해 작동한다. 이어서, 광빔이 하류측 편광기를 통해 통과하면,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광빔의 회전 또는 비회전 부분들(편광기의 방위에 의존하는)이 필터링 된다. 그러므로, LCOS 패널들(혹은 보통 액정 패널들)을 사용하는 이미지 엔진은 통상적으로 광빔이 LCOS 패널로 향하기 전에 광빔을 편광시키기 위하여 광학적으로 액정 물질 상류측에 위치하는 편광기를 포함한다.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42) 및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44)로서 LCOS 패널들의 사용은 다른 유형들의 이미지-생성 요소들의 사용에 비해 몇몇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형 LCOS 패널들의 사용은 하나의 편광 빔 스플리터(36)를 빔 스플리터 뿐만 아니라 각 LCOS 패널에 대해 제1 광학적 상류측 편광기 및 제2 광학적 하류측 편광기로도 작용할 수 있게 한다. 빔 스플리터(36)로부터의 광은, 어떤 다른 반사경들 혹은 렌즈들의 사용 없이, 바로 뒤의 LCOS 패널들로부터, 빔 스플리터로 반사되므로 광학 시스템(20)에 더 적은 총 개수의 광 요소들을 사용하게 하며, 따라서 본체(12)내의 광학 시스템(20)에 의해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LCOS 패널들은 어떤 투과형 LCD 패널들보다 더욱 합리적인 비용의 더 작은 픽셀 크기들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합리적인 비용을 유 지하면서도 투사된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편광 빔 스플리터는 양쪽 LCOS 패널들에 대한 상류측 및 하류측 편광기들로서 동작하나,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상류측 편광기들, 하류측 편광기들 및 빔 스플리터들을 개별 구성요소들로 또한 가짐을 알 것이다. 게다가, 개개의 상류측 및 하류측 편광기들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빔 스플리터 외에, 이를테면, 50/50 빔 스플리터 또는 이색성(dichroic) 빔 스플리터가 만약 원한다면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좌측 이미지 빔(38)이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42)에 비춰질 때, LCOS 패널 상에 활성화된 픽셀들을 비춰진 빔의 선택된 부분은 광학적으로 회전된다. 패널의 반사성 백킹(reflective backing)은 좌측 이미지 빔(38)을 편광 빔 스플리터(36)로 다시 반사시킨다. 좌측 이미지 빔(38)의 광학적으로 회전한 부분들은 편광 빔 스플리터(36)에 의해 프로젝션 렌즈(14)로 반사될 수 있고, 반면에 빔의 비회전 부분들은 프로젝션 렌즈들 쪽으로 반사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우측 이미지 빔(40)이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44)로 비춰질 때, 활성화된 픽셀들을 비추는 우측 이미지 빔의 선택된 부분들은 광학적으로 회전된다. 우측 이미지 빔(40)의 광학적으로 회전된 부분들은 편광 빔 스플리터(36)를 통해 통과하고 그 다음 프로젝션 렌즈(14)를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좌측 이미지 빔(38) 및 우측 이미지 빔(40)의 광학적으로 회전된 부분들은 겹쳐지게 투사되어 뷰잉 표면상에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를 형성한다. 그 다음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는 적절한 편광 필터들의 사용에 의해 보여질 수 있다. 한편 도시된 광학 시스템은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 (42) 및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44)로서 LCOS 패널들을 사용하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투과형 액정 패널들은 적절한 반사경들 및 렌즈들을 따라 패널들을 통해 좌측 이미지 빔 및 우측 이미지 빔을 지향시키는데도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광학 시스템(20)은 간단하게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들 및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들(44)로 동일한 원근의 좌안 및 우안 이미지들을 투사하는 것에 의해 일반적인 2차원 이미지들을 투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듀얼 이미지-생성 요소들의 사용은 2-차원 이미지들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싱글 이미지-생성 요소의 사용에 비해 어떤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패널들의 사용은 하나의 패널 배열보다 더 높은 밝기 효과물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패널들의 사용은, 각 패널이 선택된 램프 와트수에 대해 단일의 패널보다 낮은 플럭스 로드를 받을 수 있으므로, 더 높은 와트수 광원이 사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좌안 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를 동시에 투사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좌안 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는 교대로 투사된다. 도 3 및 도 4에서 100에 도시된, 광학 시스템은 번갈아 좌안 및 우안 이미지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좌안 및 우안 이미지들의 교번 빈도수는 일반적으로 이미지들이 사람의 눈에 단일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임이기에 충분할 만큼 높다. 이것은 좌안 및 우안 이미지들간 향상된 콘트리스트 및 세기의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고, 액정 패널들의 DC-균형(DC-balancing)을 달성하는 편리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광학 시스템(100)은 통상적으로 도 2의 광학 시스템(20)과 동일한 다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광학 시스템(100)은 광선(104)으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광빔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광원(102)을 포함한다. 광학 시스템(100)은 또한 광빔(104)의 원하지 않는 부분들을 필터링하기 위한 UV/IR 필터(106) 및 컬러 휠(108)을 포함한다. 게다가, 광학 시스템(100)은 광빔(104)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 렌즈(110), 제1 렌즈 어레이(array)(112), 제2 렌즈 어레이(114) 및 광빔을 더 수정하기 위한 PCA(116)를 포함한다.
다음에, PCA(116)으로부터의 광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계 렌즈들(118) 및 반사경들(120)을 경유해서 122에 표시된 이미지 엔진으로 향한다. 이미지 엔진(122)은 편광빔 스플리터(124),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126) 및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12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 외에, 광학 시스템(100)은 또한 클린-업(clean-up) 편광기(130) 및 이미지 엔진(122)의 광학적으로 상류측에 위치한 가변 지연기(132)(retader)를 포함한다. 클린-업 편광기(130)는 광빔(104)을 편광시키도록 구성되며, 가변 지연기(132)는 교대로 광빔(104)의 편광를 제1 편광과 제 2 편광 간에 바뀌도록 구성된다. 교대로 광빔(104)의 편광을 바꾸면 편광 빔 스플리터(124)는 교대로 광을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126) 및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128)로 보내지게 한다. 이어서,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126) 및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128)는, 최초 광빔(104)의 편광에 변화들에 동기되게, 좌안 및 우안 이미지를 교대로 생성하게 구성되고 이에 따라, 좌안 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가 교대로 투사된다.
어떤 적절한 유형의 편광기가 클린-업 편광기(130)에 사용될 수 있다. 예들은 염료(dye-stuff) 시트 편광기들, 유선 그리드 편광기들, 또는 다른 편광 빔 스플리터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가변 지연기(132)는 교대로 광빔의 편광을 바꿀 수 있는 어떤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적절한 가변 지연기의 일 예는 액정 셔터(shutter)이다.
통상적으로, 가변 지연기(132)는 적어도 두 가지 상태를 가진다 : 제1 상태는 입사한 편광이 회전되는 것 없이 통과하는 상태이고, 제2 상태는 입사한 편광이 대략 90도 정도로 회전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가변 지연기(132)가 제1 상태에 있을 때, 가변 지연기를 빠져나오는 빔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이미지 빔(125)으로서 편광빔 스플리터(124)를 통과하게 하는 제1 편광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가변 지연기(132)가 제2 상태에 있을 때, 가변 지연기를 빠져나오는 빔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이미지 생성 요소(128)를 향한 우측 이미지 빔(127)으로서 편광 빔 스플리터에 의해 반사되게 하는 제2 편광을 갖는다. 이런 방법으로, 광학 시스템(100)은 싱글 프로젝션 렌즈를 통해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 프로젝션을 할 수 있게 한다.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 및 우측 이미지 요소의 위치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반대로 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가변 지연기(132)의 사용은 이미지 세기가 편광 복원을 통해 증가될 수 있게 한다. 편광 복원은 편광되지 않은 광빔을 두개의 편광된 빔으로 분할하고 한 빔의 편광을 회전시켜 다른 빔의 편광에 맞추고, 이어서 이들 빔들을 단일의 편광된 빔 으로 재결합함으로써 수행된다. 따라서, 편광 복원은 편광된 광빔을 생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수동 필터의 사용에 비해 오직 작은 량의 세기의 손실을 가지는 편광된 광빔을 제공한다. 편광 복원 이외에, 스테레오그래픽의 밝기는 램프(102)의 전력 증가에 의해서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시스템(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프로젝션 시스템(200)은 프로젝션 시스템(200)의 광학적 및 전기적 시스템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본체(202) 및 광학적 및 전기적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를 뷰잉 표면상에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렌즈(204)를 포함한다. 게다가, 프로젝션 시스템(200)은 스테레오그래픽이 아닌 이미지의 프로젝션에 프로젝션 시스템(200)이 사용될 수 있게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는, 206으로 도시된, 스테레오그래픽 어댑터를 포함한다. 스테레오그래픽 어댑터(206)는 스테레오그래픽 프로젝션 성능들을 제공하는, 후술하는 각종의 광학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본체 또는 프레임(208)을 포함한다.
도 5의 실시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대표적인 광학 시스템을 도 6 및 도 7에 220으로 도시 하였다. 전술한 다른 실시예에서처럼, 광학 시스템(220)은 광선(223)으로 나타낸 광빔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광원(222)을 포함한다. 광학 시스템(222)은 광빔(223)을 이미지-생성 요소(234)로 향하게 하기 위해서 UV 또는 IR 필터 같은 필터(224), 컬러 휠(226), 인터그레이터(228),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계 렌즈들(230)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반사경들(232)을 또한 포함한다.
그러나, 전술한 다른 실시예들과는 달리 광학 시스템(220)은 각각의 좌안 이 미지 및 우안 이미지용의 개개의 이미지-생성 요소들이 아닌 하나의 이미지-생성 요소(234)를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생성 요소(234)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또는 LCOS 패널과 같은 반사형 이미지-생성 요소이다. 그러나, 어떤 적절한 반사경들 및/또는 렌즈들과 함께, 음극선관 또는 투과형 LCD 패널과 같은 어떤 다른 적절한 이미지-생성 장치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광학 시스템(220)은 원한다면, 대물 렌즈(238)와 같은, 프로젝션 렌즈(204) 및 다른 렌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 프로젝션 렌즈(204)의 광학적으로 하류측에 위치한 스테레오그래픽 어댑터(206)의 광학 구성요소들이 도시된다. 우선, 스테레오그래픽 어댑터(226)는 광빔이 프로젝션 렌즈(204)를 빠져나갈 때 광빔(223)을 편광시키도록 구성된 클린-업 편광기(240)를 포함한다. 클린-업 편광기(240)의 하류측에, 광학 시스템(220), 교대로 광의 극성을 바꾸도록 구성된 가변 지연기(242)를 또한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가변 지연기(242)는 통상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상태를 가지는데, 그 중 하나 상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는 회전 없이 편광의 입사빔을 통과시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의 입사빔을 거의 90도(이외 적절한 양)로 광학적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가변 지연기(242)는 이러한 두 개의 상태를 교대로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가변 지연기를 통과한 광의 극성이 시간의 함수로서 교번하게 된다. 스테레오그래픽 어댑터(206)는 프로젝터의 본체(202)상의 상대측(complementary) 커넥터들과 짝이 맞고 클린-업 편광기(240) 및/또는 가변 지연기(242)를 제어하게 하 는,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 커넥터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생성 요소(234)는 가변 지연기(242)의 상태의 변경에 동기되게, 좌안 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들을 교대로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미지-생성 요소(234)는 가변 지연기(242)가 제1 상태일 때마다 좌안 이미지를 생성하고, 가변 지연기(242)가 제2 상태일 때마다 우안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좌안 및 우안 이미지들은 뷰잉 표면에 교대로 투사된다. 교번하는 빈도수가 충분히 빠를 때, 좌안 및 우안 이미지들은 싱글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로 구성하도록 관찰자에게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테레오 어댑터(206)는 프로젝션 렌즈(204)로부터 착탈 가능한 것으로서 보였으나, 원한다면 스테레오그래픽 어댑터가 제거될 수 없게 구성될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게다가, 클린-업 편광기(240) 및 가변 지연기(242)는 광학 시스템(220)내의 다른 곳에도 위치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클린-업 편광기(240) 및 가변 지연기(242)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이미지-생성 요소(234) 및 프로젝션 렌즈(236) 사이에, 또는 이미지-생성 요소(234)의 광학적으로 상류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착탈 가능한 스테레오그래픽 어댑터(206) 내에 클린-업 편광기(240) 및 가변 지연기(242)의 배치는, 스테레오그래픽 어댑터가 스테레오그래픽이 아닌 프로젝션 시스템을 스테레오그래픽 프로젝션 시스템으로 전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스테레오그래픽이 아닌 프로젝션 시스템을 가변 지연기(242)에 동기하여 좌안 및 우안 이미지들을 교대로 투사하게 하는 적합한 소프트웨어가 제공될 수 있다.
위에 개시한 바는 유용성을 가지는 복수의 개별적인 발명들을 포괄하는 것이다. 이들 발명들 각각을 이의 바람직한 형태로 개시하였으나, 여기 개시하고 예시한 특정의 실시예들은 수많은 변형이 가능하므로 한정의 의미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들의 주 요지는 여기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 특징들, 기능들 및/또는 특성들의 모든 신규하고 비자명적인 조합들 및 부-조합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청구항들은 하나 이상의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둘 이상의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요하는 것도 아니고 배제하지도 않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다음의 청구항들은, 본 개시된 발명들 중 하나에 관한 것이며 신규하고 비자명적인 어떤 조합들 및 부-조합들에 대응하는 것이다. 특징들, 기능들, 요소들 및/또는 특성들의 다른 조합들 및 서브-조합들로 구현된 발명들은, 본 청구항들의 보정을 통해서, 혹은 본 출원이나 관련 출원에 신설 청구항들을 기재하여 청구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정 혹은 신설된 청구항들은, 이들이 다른 발명에 관한 것이건 아니면 동일 발명에 관한 것이건 간에, 원 청구항들의 범위와 다르거나, 넓거나 혹은 같거나 간에, 본 명세서의 발명들의 주 요지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36)

  1.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포함하는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를 뷰잉 표면상에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시스템에 있어서,
    광빔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광원;
    상기 광빔을 상이한 극성의 우측 이미지 빔과 좌측 이미지 빔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편광 빔 스플리터;
    상기 좌안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와 상기 우안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를 포함하여 상기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는 상기 좌측 이미지 빔을 상기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로 향하게 하고 상기 우측 이미지 빔을 상기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로 향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는 상기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생성 후 상기 좌측 이미지 빔과 상기 우측 이미지 빔을 재결합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엔진;
    상기 좌안 이미지와 상기 우안 이미지를 상기 뷰잉 표면상에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렌즈;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의 광학적으로 상류측에 위치되어 편광된 광빔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클린-업(clean-up) 편광기; 및
    상기 클린-업 편광기와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 사이에 광학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편광된 광빔의 편광을 교대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가변 지연기(retarder)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는, 좌안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좌측 이미지 빔의 선택된 부분을 광학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우측-이미지 생성 요소는, 우안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우측 이미지 빔의 선택된 부분을 광학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는 상기 좌측 이미지 빔과 상기 우측 이미지 빔을 재결합한 후 상기 좌측 이미지 빔과 우측 이미지 빔을 상기 프로젝션 렌즈로 향하게 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는 좌안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좌측 이미지 빔의 일부분들을 선택적으로 광학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는 우안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우측 이미지 빔의 일부분들을 선택적으로 광학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 및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는 액정 요소들인, 프로젝션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요소들은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요소들인, 프로젝션 시스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이미지 및 상기 우안 이미지는 뷰잉 표면상에 교대로 투사되는, 프로젝션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는 가변 지연기로부터 입사한 광을 좌측 광로 및 우측 광로를 따라 교대로 향하게 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시스템.
  15. 관찰자에 의하여 하나의 3차원 이미지로 지각되도록 구성된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포함하는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를 뷰잉 표면상에 투사하도록 구성된 데스크탑 프로젝션 시스템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광빔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광원;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광빔을 좌측 이미지 빔과 우측 이미지 빔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빔 스플리터;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좌측 이미지 빔에 의해 조사될 때 상기 좌안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좌측 이미지 빔을 상기 빔 스플리터를 향해 다시 반사하도록 구성된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우측 이미지 빔에 의해 조사될 때 상기 우안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우측 이미지 빔을 상기 빔 스플리터를 향해 다시 반사하도록 구성된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
    상기 좌측 이미지 빔과 우측 이미지 빔을 상기 뷰잉 표면상에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렌즈;
    상기 빔 스플리터의 광학적으로 상류측에 위치되어 편광된 광빔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클린-업 편광기; 및
    상기 클린-업 편광기와 상기 빔 스플리터 사이에 광학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편광된 광빔의 편광을 교대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가변 지연기를 포함하는 데스크탑 프로젝션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와 상기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액정 요소인, 데스크탑 프로젝션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요소는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요소인, 데스크탑 프로젝션 시스템.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빔 스플리터는 편광 빔 스플리터인, 데스크탑 프로젝션 시스템.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빔 스플리터는 좌측 이미지 빔과 우측 이미지 빔을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 및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의 광학적 하류측에서 재결합하도록, 그리고 좌측 이미지 빔 및 우측 이미지 빔을 상기 프로젝션 렌즈를 향하게 하도록 구성된, 데스크탑 프로젝션 시스템.
  20. 관찰자에 의하여 하나의 3차원 이미지로 지각되도록 구성되고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포함하는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를 뷰잉 표면상에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시스템에 있어서,
    광빔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광원;
    상기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를 상기 뷰잉 표면상에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렌즈;
    상기 광원과 프로젝션 렌즈 사이에 광학적으로 배치되며, 광빔을 편광된 좌측 이미지 빔 및 편광된 우측 이미지 빔으로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편광 빔 스플리터;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와 상기 프로젝션 렌즈 사이에 광학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상기 좌안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좌측 이미지 빔을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로 다시 향하게 하도록 구성된,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와 상기 프로젝션 렌즈 사이에 광학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상기 우안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우측 이미지 빔을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로 다시 향하게 하도록 구성된,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의 광학적으로 상류측에 위치되어 편광된 광빔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클린-업 편광기; 및
    상기 클린-업 편광기와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 사이에 광학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편광된 광빔의 편광을 교대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가변 지연기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는 프로젝션을 위해 좌측 이미지 빔과 우측 이미지 빔을 재결합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시스템.
  22. 삭제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이미지 빔이 상기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로 향하게 되고, 교대로, 상기 우측 이미지 빔이 상기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로 향하게 되는, 프로젝션 시스템.
  24. 삭제
  25. 삭제
  26. 관찰자에 의하여 하나의 3차원 이미지로 지각되도록 구성되고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포함하는 스테레오그래픽 이미지를 뷰잉 표면상에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시스템에 있어서,
    광빔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광원;
    상기 광빔에 의해 조사될 때 상기 좌안 이미지 및 상기 우안 이미지를 교대로 생성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엔진;
    상기 광빔을 편광시키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광빔에 극성을 주는 클린-업 편광기; 및
    상기 클린-업 편광기의 광학적으로 하류측에서 위치되고, 상기 광빔의 극성을 교대로 변경하도록 구성되며,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가지고, 상기 이미지 엔진이 상기 좌안 이미지를 생성시 제 1상태로 상기 이미지 엔진에 동기되도록, 상기 이미지 엔진이 상기 우안 이미지 생성시 제 2상태로 상기 이미지 엔진에 동기되도록 구성된 가변 지연기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지연기는 상기 이미지 엔진의 광학적 상류측에 위치된, 프로젝션 시스템.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엔진은 상기 좌안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와 상기 우안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 및 상기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는 LCOS 요소들인, 프로젝션 시스템.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지연기의 광학적으로 하류측에 위치된 편광 빔 스플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는 상기 광빔을 좌측 이미지 빔과 우측 이미지 빔으로 분리하여, 상기 좌측 이미지 빔을 상기 좌측 이미지-생성 요소로 향하게 하고 상기 우측 이미지 빔을 상기 우측 이미지-생성 요소로 향하게 하며, 상기 좌측 이미지 빔과 우측 이미지 빔을 재결합하고, 재결합된 좌측 이미지 빔과 우측 이미지 빔을 프로젝션 렌즈로 향하게 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시스템.
  31.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지연기는 상기 이미지 엔진의 광학적으로 하류측에 위치한, 프로젝션 시스템.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엔진은 상기 좌안 이미지 및 상기 우안 이미지를 교대로 생성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이미지-생성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생성 요소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장치인, 프로젝션 시스템.
  34.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지연기는 액정 셔터인, 프로젝션 시스템.
  35.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이미지와 상기 우안 이미지를 상기 뷰잉 표면상에 투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린-업 편광기 및 상기 가변 지연기는 상기 프로젝션 렌즈의 하류측에서 상기 프로젝션 시스템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프로젝션 시스템.
  36. 스테레오그래픽이 아닌 프로젝션 시스템에 스테레오그래픽 프로젝션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광빔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광원과 상기 광빔에 의해 조사될 때 전체 광빔으로부터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교대로 생성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소스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스테레오그래픽 어댑터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고, 상기 광빔이 상기 프로젝션 시스템을 떠난 이후에 상기 광빔에 극성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클린-업 편광기; 및
    상기 클린-업 편광기의 광학적으로 하류측에서 프레임 내에 위치되고, 상기 이미지 소스에 동기화된, 상기 광빔의 극성을 교대로 광학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가변 지연기를 포함하는 스테레오그래픽 어댑터.
KR1020047010216A 2001-12-27 2002-05-30 스테레오그래픽 프로젝션 시스템 KR100908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40,869 US6547396B1 (en) 2001-12-27 2001-12-27 Stereographic projection system
US10/040,869 2001-12-27
PCT/US2002/017337 WO2003058342A1 (en) 2001-12-27 2002-05-30 Stereographic projec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288A KR20040070288A (ko) 2004-08-06
KR100908951B1 true KR100908951B1 (ko) 2009-07-22

Family

ID=2191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0216A KR100908951B1 (ko) 2001-12-27 2002-05-30 스테레오그래픽 프로젝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6547396B1 (ko)
EP (1) EP1466211B1 (ko)
JP (1) JP4231788B2 (ko)
KR (1) KR100908951B1 (ko)
CN (1) CN100520563C (ko)
AT (1) ATE551838T1 (ko)
AU (1) AU2002257360A1 (ko)
HK (1) HK1066869A1 (ko)
NO (1) NO20024022L (ko)
WO (1) WO20030583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733B1 (ko) * 2000-12-28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투사 장치
WO2003024120A1 (en) * 2001-09-11 2003-03-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mage projection device with liquid optical filter
US6547396B1 (en) * 2001-12-27 2003-04-15 Infocus Corporation Stereographic projection system
US6909473B2 (en) * 2002-01-07 2005-06-21 Eastman Kodak Company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7061561B2 (en) * 2002-01-07 2006-06-13 Moxtek, Inc. System for creating a patterned polarization compensator
JP3589225B2 (ja) * 2002-02-08 2004-1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US6712472B2 (en) * 2002-02-13 2004-03-3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olor field sequential projector including polarized light beam splitter and electronically controllable birefringence quarter waveplate
JP3489582B2 (ja) * 2002-03-29 2004-01-1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DE10216169A1 (de) * 2002-04-12 2003-10-30 Zeiss Carl Jena Gmbh Anordnung zur Polarisation von Licht
MXPA05005801A (es) * 2002-12-04 2005-08-16 Thomson Licensing Sa Sistema de proyeccion esteroscopica de alto contraste.
US6793342B1 (en) * 2003-04-15 2004-09-21 Infocus Corporation Reduced form factor projection system
US20050041163A1 (en) * 2003-05-07 2005-02-24 Bernie Butler-Smith Stereoscopic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method, transmission system and viewer enhancements
US7318644B2 (en) * 2003-06-10 2008-01-15 Abu-Ageel Nayef M Compact projection system including a light guide array
TWM246737U (en) * 2003-07-18 2004-10-11 Ebm Technologies Inc Handheld image inspection device
CN100476505C (zh) * 2003-07-18 2009-04-08 晶荧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三维/二维可切换的彩色投影显示装置及其方法
US6886943B1 (en) * 2003-10-24 2005-05-03 Jds Uniphase Corporation High-resolution projection display system
DE10361915B4 (de) * 2003-12-29 2009-03-05 Bausenwein, Bernhard, Dr. 2-Kanal-Stereo-Bildanzeigevorrichtung mit mikroelektromechanischen Systemen
DE102004006148A1 (de) * 2004-02-04 2005-09-08 Bausenwein, Bernhard, D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ziproken Polarisation mit komplementär wirkenden kartesischen Polarisationsschichten (Kreuzpolarisator)
WO2005084245A2 (en) * 2004-02-27 2005-09-15 Luxint, Inc. Compact projection system including a light guide array
US20060197913A1 (en) * 2004-03-31 2006-09-07 William Pan Portable image displaying apparatus
US7407291B2 (en) * 2004-06-04 2008-08-0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icromirror projection of polarized light
US7042640B2 (en) * 2004-06-08 2006-05-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jection screen unit with projection surfaces optimized for different ambient light levels
US7137708B2 (en) * 2004-06-23 2006-11-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fra-red and ultraviolet filtration in projection systems
TW200617575A (en) * 2004-11-24 2006-06-01 Prodisc Technology Inc Rear projection system
US7241014B2 (en) * 2004-12-02 2007-07-10 Bose Corporation Microdisplay projection
US7800823B2 (en) 2004-12-06 2010-09-21 Moxtek, Inc. Polarization device to polarize and further control light
US7961393B2 (en) 2004-12-06 2011-06-14 Moxtek, Inc. Selectively absorptive wire-grid polarizer
US7570424B2 (en) 2004-12-06 2009-08-04 Moxtek, Inc. Multilayer wire-grid polarizer
FR2883645A1 (fr) * 2005-03-22 2006-09-29 Thomson Licensing Sa Systeme d'imagerie pour projecteur et projecteur correspondant
US7791675B2 (en) * 2005-10-05 2010-09-07 Lightmaste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retardation and adjusting light channel pathlengths
US20070085979A1 (en) * 2005-10-14 2007-04-19 Lightmaste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light and reduce blur in microdisplay based light engines
US8172399B2 (en) * 2005-12-21 2012-05-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umen optimized stereo projector using a plurality of polarizing filters
US8157381B2 (en) * 2005-12-21 2012-04-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to synchronize stereographic hardware to sequential color rendering apparatus
US8167431B2 (en) * 2005-12-21 2012-05-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niversal stereographic trigger peripheral for electronic equipment
US8152303B2 (en) * 2005-12-21 2012-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gnal synthesizer for periodic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f rotating optical devices
US8182099B2 (en) 2005-12-21 2012-05-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ise immune optical encoder for high ambient light projection imaging systems
US7635189B2 (en) * 2005-12-21 2009-12-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opto-mechanical filters to a series of video synchronization pulses and derivatives thereof
US8189038B2 (en) * 2005-12-21 2012-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ereographic projection apparatus with passive eyewear utilizing a continuously variable polarizing element
US20070206166A1 (en) * 2006-03-02 2007-09-06 Jing-Miau Wu Light-projecting system for a projector and method of projecting light thereof
US7995092B2 (en) * 2006-04-05 2011-08-09 Barret Lippey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projecting
US20070236809A1 (en) * 2006-04-05 2007-10-11 Barret Lippey Forming spectral filters
US20070242239A1 (en) * 2006-04-12 2007-10-18 Arthur Berma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cing Light Modifying Elements in a Projection Lens
KR100796766B1 (ko) * 2006-05-29 2008-01-22 (주)레드로버 프로젝션용 스테레오 광학엔진 구조
TW200801775A (en) * 2006-06-02 2008-01-01 Premier Image Technology Corp Deviating light retrieving optical projector system
TWI312439B (en) * 2006-06-06 2009-07-21 Coretronic Corporatio Projection apparatus
US20070296921A1 (en) * 2006-06-26 2007-12-27 Bin Wang Projection display with a cube wire-grid polarizing beam splitter
US20070297052A1 (en) * 2006-06-26 2007-12-27 Bin Wang Cube wire-grid polarizing beam splitter
US20070296925A1 (en) * 2006-06-27 2007-12-27 Chi-Wei Huang Illumination system and projection system
FR2903199A1 (fr) * 2006-06-30 2008-01-04 Thomson Licensing Sas Systeme optique pour projecteur et projecteur correspondant
DE102006035601A1 (de) * 2006-07-27 2008-01-31 Fachhochschule Jena Bildprojektionseinrichtung
US8066377B1 (en) * 2006-08-28 2011-11-29 Lightspeed Design,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 3D video projector
US8152304B2 (en) * 2006-08-30 2012-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ereographic imaging system using open loop magnetomechanically resonant polarizing filter actuator
US8162482B2 (en) 2006-08-30 2012-04-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projector refresh rate adjustment via PWM control
US8264525B2 (en) * 2006-08-30 2012-09-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losed loop feedback control to maximize stereo separation in 3D imaging systems
US8755113B2 (en) 2006-08-31 2014-06-17 Moxtek, Inc. Durable, inorganic, absorptive, ultra-violet, grid polarizer
EP2851735A1 (en) 2006-09-29 2015-03-25 Real Inc. Polarization conversion systems for stereoscopic projection
US7857455B2 (en) * 2006-10-18 2010-12-28 Reald Inc. Combining P and S rays for bright stereoscopic projection
KR101594630B1 (ko) 2007-05-09 2016-02-16 리얼디 인크. 입체 투사를 위한 편광 변환 시스템 및 방법
US7789515B2 (en) * 2007-05-17 2010-09-07 Moxtek, Inc. Projection device with a folded optical path and wire-grid polarizer
KR101614956B1 (ko) * 2007-07-26 2016-04-22 리얼디 인크. 헤드 장착형 단일 패널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CN101377572A (zh) 2007-08-28 2009-03-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立体投影光学系统
US20090086016A1 (en) * 2007-09-27 2009-04-02 Wei Su Stereoscopic image display employing solid state light sources
CN101408678B (zh) * 2007-10-11 2010-12-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立体投影光学系统
US8264770B2 (en) * 2007-11-29 2012-09-11 Oasis Advanced Engineering, Inc. Multi-purpose periscope with display and overlay capabilities
US7871165B2 (en) * 2007-11-30 2011-01-18 Eastman Kodak Company Stereo projection apparatus using polarized solid state light sources
US20090153752A1 (en) * 2007-12-14 2009-06-18 Silverstein Barry D Projector using independent multiple wavelength light sources
US7891816B2 (en) * 2008-02-25 2011-02-22 Eastman Kodak Company Stereo projection using polarized solid state light sources
US8016422B2 (en) 2008-10-28 2011-09-13 Eastman Kodak Company Etendue maintaining polarization switch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JP5321009B2 (ja) * 2008-11-21 2013-10-2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装置、画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画像投射装置
JP5321011B2 (ja) * 2008-11-25 2013-10-2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装置、画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画像投射装置
US8203600B2 (en) * 2009-06-04 2012-06-19 Transpacific Image, Llc Projection-type stereoscopic display
US8162483B2 (en) 2009-06-25 2012-04-24 Eastman Kodak Company Hierarchical light intensity control in light projector
US20100328611A1 (en) * 2009-06-25 2010-12-30 Silverstein Barry D Leakage light intensity sensing in light projector
US8237777B2 (en) 2009-06-25 2012-08-07 Eastman Kodak Company Stereoscopic image intensity balancing in light projector
US8248696B2 (en) 2009-06-25 2012-08-21 Moxtek, Inc. Nano fractal diffuser
US8220938B2 (en) * 2009-06-25 2012-07-17 Eastman Kodak Company Image path light intensity sensing during a blanking period between a left-eye light beam and a right-eye light beam in a stereoscopic light projector
US8142021B2 (en) * 2009-06-25 2012-03-27 Eastman Kodak Company Dump path light intensity sensing in light projector
US8220931B2 (en) 2009-07-07 2012-07-17 Eastman Kodak Company Etendue reduced stereo projection using segmented disk
US8066382B2 (en) * 2009-07-14 2011-11-29 Eastman Kodak Company Stereoscopic projector with rotating segmented disk
US8649094B2 (en) 2010-05-21 2014-02-11 Eastman Kodak Company Low thermal stress birefringence imaging lens
US8287129B2 (en) 2010-05-21 2012-10-16 Eastman Kodak Company Low thermal stress birefringence imaging system
US8504328B2 (en) 2010-05-21 2013-08-06 Eastman Kodak Company Designing lenses using stress birefringence performance criterion
EP2588916B1 (en) * 2010-06-29 2020-02-26 Imax Corporation Spatially modifying polarization state of light
CN102346310B (zh) * 2010-07-30 2014-03-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立体画面产生装置及立体画面显示系统
CN101963744A (zh) * 2010-09-15 2011-02-02 伍振弋 一种lcos液晶投影系统及装置
US8611007B2 (en) 2010-09-21 2013-12-17 Moxtek, Inc. Fine pitch wire grid polarizer
US8913321B2 (en) 2010-09-21 2014-12-16 Moxtek, Inc. Fine pitch grid polarizer
CN101980143B (zh) * 2010-10-26 2012-02-01 南开大学 单台物理投影仪上同时显示多个计算机桌面的方法
KR101293952B1 (ko) * 2010-11-23 2013-08-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어셈블리
JP5675330B2 (ja) * 2010-12-27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DE102011014500A1 (de) * 2011-03-18 2012-09-20 Jos. Schneider Optische Werke Gmbh Projektion digitaler Bilddaten mit hoher Lichtausbeute
CN102156354B (zh) * 2011-04-27 2012-07-25 上海丽恒光微电子科技有限公司 立体投影系统
US8873144B2 (en) 2011-05-17 2014-10-28 Moxtek, Inc. Wire grid polarizer with multiple functionality sections
US8913320B2 (en) 2011-05-17 2014-12-16 Moxtek, Inc. Wire grid polarizer with bordered sections
US8651663B2 (en) 2011-10-03 2014-02-18 Eastman Kodak Company Stereoscopic projector using scrolling color bands
US8746888B2 (en) 2011-10-03 2014-06-10 Eastman Kodak Company Stereoscopic projector using spectrally-adjacent color bands
US8830580B2 (en) 2011-10-27 2014-09-09 Eastman Kodak Company Low thermal stress catadioptric imaging optics
US8786943B2 (en) 2011-10-27 2014-07-22 Eastman Kodak Company Low thermal stress catadioptric imaging system
JP2013104933A (ja) * 2011-11-11 2013-05-30 Sony Corp 投影装置
US9335541B2 (en) 2012-01-17 2016-05-10 Imax Theatres International Limited Stereoscopic glasses using dichroic and absorptive layers
US8947424B2 (en) 2012-01-17 2015-02-03 Eastman Kodak Company Spectral stereoscopic projection system
US10768449B2 (en) 2012-01-17 2020-09-08 Imax Theatres International Limited Stereoscopic glasses using tilted filters
US8864314B2 (en) 2012-01-17 2014-10-21 Eastman Kodak Company Stereoscopic projection system using tunable light emitters
US20130182321A1 (en) 2012-01-17 2013-07-18 Barry David Silverstein Filter glasses for spectral stereoscopic projection system
KR200468063Y1 (ko) * 2012-03-15 2013-07-19 케이디씨 주식회사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
US8922890B2 (en) 2012-03-21 2014-12-30 Moxtek, Inc. Polarizer edge rib modification
TWI457600B (zh) 2012-12-05 2014-10-21 Delta Electronics Inc 用於一立體投影裝置的光源系統
US9632223B2 (en) 2013-10-24 2017-04-25 Moxtek, Inc. Wire grid polarizer with side region
WO2015073838A1 (en) 2013-11-15 2015-05-21 Reald Inc. High dynamic range, high contrast projection systems
DE102014206793A1 (de) * 2014-04-08 2015-10-08 Kommanditgesellschaft Synoptrix Lichttechnik Gmbh & Co. Individuelle Sichtbarmachung einer in einer Licht-Projektion verborgenen Bildinformation
CN105988270B (zh) * 2015-02-10 2018-08-31 深圳市光峰光电技术有限公司 用于3d图像显示的硅基液晶投影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3198B1 (en) * 1992-06-11 2001-06-05 Steven R. Sedlmayr High efficiency electromagnetic beam projector and systems and method for implementa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8338A (en) * 1938-02-25 1941-12-30 Zeiss Ikon Ag Stereoscopic attachment for projectors
US4719507A (en) * 1985-04-26 1988-01-12 Tektronix, Inc. Stereoscopic imaging system with passive viewing apparatus
US4647966A (en) 1985-11-22 1987-03-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tereoscopic three dimensional large screen liquid crystal display
US4995718A (en) * 1989-11-15 1991-02-26 Honeywell Inc. Full color three-dimensional projection display
KR0123909B1 (en) * 1991-11-05 1997-11-26 Sharp Kk A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US5564810A (en) * 1992-12-31 1996-10-15 Honeywell Inc. Full color stereoscopic display with color multiplexing
US5692226A (en) * 1994-09-28 1997-11-25 Hall; Dennis R. Stereoscopic recording systems utilizing chiral liquid crystals
DE19626097C1 (de) * 1996-06-28 1997-10-30 Siemens Nixdorf Inf Syst Verfahren und Anordnung zur Bilddarstellung auf einer Großbildprojektionsfläche mittels eines einen DMD-Chip aufweisenden DMD-Projektors
DE19924096C2 (de) * 1999-05-26 2003-11-27 Eads Deutschland Gmbh System zur stereoskopischen Bilddarstellung
US6275335B1 (en) * 1999-07-16 2001-08-14 Sl3D, Inc. Single-lens 3D method, microscope, and video adapter
US6547396B1 (en) * 2001-12-27 2003-04-15 Infocus Corporation Stereographic proje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3198B1 (en) * 1992-06-11 2001-06-05 Steven R. Sedlmayr High efficiency electromagnetic beam projector and systems and method for implement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93341B2 (en) 2004-09-21
NO20024022L (no) 2003-07-17
AU2002257360A1 (en) 2003-07-24
US20030214631A1 (en) 2003-11-20
CN1742227A (zh) 2006-03-01
EP1466211B1 (en) 2012-03-28
KR20040070288A (ko) 2004-08-06
JP4231788B2 (ja) 2009-03-04
WO2003058342A1 (en) 2003-07-17
JP2005514656A (ja) 2005-05-19
EP1466211A4 (en) 2006-11-02
EP1466211A1 (en) 2004-10-13
NO20024022D0 (no) 2002-08-23
HK1066869A1 (en) 2005-04-01
CN100520563C (zh) 2009-07-29
ATE551838T1 (de) 2012-04-15
US6547396B1 (en) 200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951B1 (ko) 스테레오그래픽 프로젝션 시스템
JP2007509544A (ja) 色選択フィルタに基づく立体画像表示を行う方法と装置
JP2008522247A (ja) マイクロディスプレイ投影方法
JPH10153755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US20140063466A1 (en) Projection apparatus
Lipton The stereoscopic cinema: From film to digital projection
CN201984280U (zh) 一种投影仪
KR101406793B1 (ko) 컬러휠, 이를 채용한 조명유닛, 및 컬러휠을 채용한2d/3d 겸용 영상표시장치
US9268160B2 (en) Three dimensional image projector with single modulator
US8950869B2 (en) Three dimensional image projector with two color imaging
CN210465965U (zh) 一种基于pbs分合光的两片式lcd投影机
US8955975B2 (en) Three dimensional image projector with circular light polarization
JP2010511913A (ja) 三次元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のための変調器デバイスおよび装置
KR100909275B1 (ko) 입체 영상 투사 시스템 및 입체 영상 투사용 장치
US8960912B2 (en) Three dimensional image projector
TWI476447B (zh) 立體投影顯示裝置
JP2001305478A (ja) 立体画像投影装置およびアダプタ
TWI359283B (en) Optical system for stereo projection
Bogaert et al. Demonstration of a polarization-based full-color stereoscopic projection display using liquid crystal on silicon panels and light emitting diodes
WO2006088275A1 (en) Polarize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without lo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