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063Y1 -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 - Google Patents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063Y1
KR200468063Y1 KR2020120002046U KR20120002046U KR200468063Y1 KR 200468063 Y1 KR200468063 Y1 KR 200468063Y1 KR 2020120002046 U KR2020120002046 U KR 2020120002046U KR 20120002046 U KR20120002046 U KR 20120002046U KR 200468063 Y1 KR200468063 Y1 KR 200468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asing
modulator
cap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섭
김차연
서영규
Original Assignee
케이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2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0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0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03B35/26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using polarised or coloured light separating different viewpoint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03B35/22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using single projector with stereoscopic-base-defining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Abstract

본 고안은 3D 영사기의 렌즈부에 결합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에 있어서, 좌우 영상을 분리하여 제공하는 액정판넬 방식의 편광렌즈;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렌즈부가 삽입되며, 타측에는 상기 편광렌즈가 결합되어 상기 렌즈부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상기 편광렌즈측으로 제공하고, 상기 렌즈부의 단부가 상기 편광렌즈와 충돌하거나,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편광렌즈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외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싱을 감싸도록 구성된 보호커버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3D 영사기의 렌즈를 보호하는 렌즈 캡의 형태로 구성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수직 및 수평 정렬이 용이함과 동시에 기본 동작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콤팩트한 형상을 취하여 보관이 매우 용이하며,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3D Modulator of Cap Type}
본 고안은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3D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3D 모듈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수직 및 수평 정렬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기본 동작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콤팩트한 형상을 취함으로써, 보관이 매우 용이하며,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한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 영상(또는 3D 영상)은 인간의 두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조명함으로써 구현되며,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이와 같이 두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조명하기 위하여 별도의 안경착용이 필요한지 여부에 따라 크게 안경식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비안경식(나안방식) 입체 영상 표시장치로 구분되는 입체 영상 상영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입체 영상을 상영하기 위한 시스템에서는 극장과 같은 대형 스크린을 통해 상영되는 입체 영상을 좌우측이 서로 수직하는 방향의 편광 렌즈를 가진 편광 안경을 통해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으로 구분하여 투과시키는 편광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는 두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두 개의 영상을 편광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직각 편차를 가지는 영상으로 변환한 후, 서로 직각 편차를 가지는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상술한 편광 안경을 통해 두 개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각각 좌우측 눈으로 보게 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편광 방식은 액정을 구동하여 좌우 영상으로 분할해주는 능동 편광(Active Polarization) 방식과, 편광판을 회전시켜 좌우 영상의 분할 싱크를 맞추는 수동 편광(Passive Polarization) 방식으로 구분되며, 여기서 수동 편광 방식은 장비 자체가 커서 영사실의 좁은 공간을 고려하면 운반 및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영사기를 영사실 유리창으로부터 최소 30cm 이상 띄워야 하기 때문에 반사로 인해 휘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영사기 렌즈와의 정렬을 위해서 별도의 수직 운동 장치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편광 방식은 기존의 2차원 영상 프로젝터 두 대와 편광판 두 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주변 장치를 포함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드는 비용이 매우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두 개의 프로젝터를 이용함에 따라 극장 등에서 동일한 수의 영화를 상영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젝터의 수는 그 배가 되며, 아울러 두 개의 프로젝터 간 위치에 따라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이 스크린에 조사되는 위치가 바뀌게 되어, 정확하게 양 프로젝터 간 위치가 조정되지 않는 경우 입체 영상의 정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능동 편광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는 액정을 구동하여 좌우 영상을 분할 영사기와 싱크를 맞추기 때문에 부피가 간결하고 운반 및 동작이 상당히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3D 모듈레이터를 영사기 앞에 정렬시키기 위해 별도의 지지대 혹은 거치대를 활용해야만 하고, 정렬 작업 역시 별도의 수작업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다. 또한, 3D 모듈레이터에서 대부분의 비용을 차지하는 액정판 및 구동회로뿐만 아니라 지지대 혹은 거치대의 비용도 추가되기 때문에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3D 영사기의 렌즈를 보호하는 렌즈 캡의 형태로 구성되어, 수직 및 수평 정렬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기본 동작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콤팩트한 형상을 취함으로써, 보관이 매우 용이하며,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한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3D 영화 상영을 시작할 때, 3D 모듈레이터를 매우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으며, 캡 타입으로 구성됨으로써, 3D 영사기의 렌즈부와 간편하게 체결이 이루어져 핸들링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보관이 용이한 3D 모듈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3D 영사기의 렌즈부에 결합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에 있어서, 좌우 영상을 분리하여 제공하는 액정판넬 방식의 편광렌즈;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렌즈부가 삽입되며, 타측에는 상기 편광렌즈가 결합되어 상기 렌즈부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상기 편광렌즈측으로 제공하고, 상기 렌즈부의 단부가 상기 편광렌즈와 충돌하거나,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편광렌즈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외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싱을 감싸도록 구성된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주 일면에는 상기 3D 영사기의 구동회로와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커넥터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3커넥터로 이루어진 커넥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에는 상기 편광렌즈와 밀착되어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보호시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렌즈부와 상기 3D 모듈레이터의 수직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킹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는 상기 케이싱과 상기 렌즈부가 결합할 때, 수직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으로 도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는 상기 렌즈부의 각 분기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마킹돌기와,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마킹돌기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편광렌즈는 상기 케이싱의 전방 외부에 구성되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케이싱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렌즈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렌즈몸체는 상기 편광렌즈가 결합되는 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렌즈몸체에서 상기 케이싱의 내주로 향하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부와, 상기 케이싱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주를 따라 상기 케이싱과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렌즈부는 후크 체결방식, 나사산에 의한 체결방식, 클립구조를 통한 결합방식, 끼움돌기를 통한 끼움 결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편광렌즈는 액정판넬에 1/4 혹은 3/4파장의 위상차필름을 적용하여 좌우 원편광에 의해 3D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3D 영사기의 렌즈를 보호하는 렌즈 캡의 형태로 구성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수직 및 수평 정렬이 용이함과 동시에 기본 동작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콤팩트한 형상을 취하여 보관이 매우 용이하며,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3D 영화 상영을 시작할 때, 3D 모듈레이터를 매우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고, 캡 타입으로 구성됨으로써, 3D 영사기의 렌즈부와 간편하게 체결이 이루어져 핸들링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의 마킹부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의 렌즈몸체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의 마킹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의 렌즈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레이터(200)는 3D 영상을 제공하는 3D 영사기(102)의 전방에 구성된 렌즈부(104)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 렌즈부(10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캡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3D 모듈레이터(200)는 좌우 영상을 분리하여 제공하는 액정판넬 방식의 편광렌즈(210), 편광렌즈(210)가 장착되는 케이싱(220), 케이싱(220)의 일면에 구성되어 영사기(102)의 구동회로와 연결되는 커넥터(230) 및 3D 모듈레이터(200)를 보호하는 보호커버(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편광렌즈(210)는 좌우 영상을 분리하여 제공하는 방식인 능동 편광(Active Polarization) 방식 즉, 액정판넬 방식으로 구성되며, 좌우 영상의 편광을 위하여 액정판넬은 45도 혹은 135도로 선편광 구동 스윗칭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편광렌즈(210)는 액정판넬에 1/4 혹은 3/4 파장의 위상차필름을 적용하여 좌우 원편광 분리에 의해 3D 영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케이싱(220)에는 영사기(102)의 렌즈부(104) 외주면에 결합되어 렌즈부(104)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편광렌즈(210)측으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측이 개구되어 렌즈부(104)가 내부로 삽입되며, 타측에는 편광렌즈(210)가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케이싱(220)은 외주 일면에 영사기의 구동회로와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USB의 인입이 이루어지며,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커넥터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3커넥터로 이루어진 커넥터(230)가 구성되어 있어서, 영사기(102)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케이싱(220)에는 3D 모듈레이터(200)의 편광렌즈(21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외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에 편광렌즈(210)와 밀착되어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보호시트(242)가 구비된 보호커버(240)가 구비된다.
여기서, 보호커버(240)는 케이싱(220)의 타측부 즉, 케이싱(220)에 구성된 편광렌즈(210)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케이싱(220)의 내부에는 편광렌즈(210)와 렌즈부(104) 간의 가시거리를 확보하여 3D 모듈레이터(200)가 렌즈부(104)에 결합될 때, 이 렌즈부(104)의 단부가 편광렌즈(210)와 충돌하거나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2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220)의 외주에는 렌즈부(104)와 3D 모듈레이터(200)의 수직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킹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마킹부(2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20) 및 렌즈부(104)의 각 분할점에 형성되며, 케이싱(220)이 렌즈부(104)에 결합될 때, 케이싱(220)과 렌즈부(104)의 수직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으로 도색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마킹부(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04)의 각 분기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마킹돌기(252)와, 케이싱(220)의 각 분기점에 형성되되, 마킹돌기(252)와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수로 형성되며, 마킹돌기(25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가이드홈(254)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편광렌즈(210)는 렌즈부(104)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케이싱(220)의 전방에 장착되며, 편광렌즈(210)의 액정판넬 또는 케이싱(22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편광렌즈(210)가 케이싱(220)의 내부에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 편광렌즈(210)의 액정판넬은 케이싱(220)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케이싱(220)의 직경보다 큰 액정판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케이싱(220)의 전방 외부에 구성되되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야 하므로, 본 고안의 3D 모듈레이터(200)는 편광렌즈(210)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편광렌즈(210)가 케이싱(220)의 외부에 구성되는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2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몸체(310)를 구성함으로써, 편광렌즈(210)가 안정적으로 케이싱(220)의 외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렌즈몸체(310)는 전방에 편광렌즈(210)가 결합되며, 케이싱(220)의 내주와 동일 중심선상에 편광렌즈(210)가 위치하도록 결합홈(318)이 형성되며, 결합홈(318)의 후방으로 이 결합홈(318)과 연장 형성되되 렌즈몸체(310)에서 케이싱(220)의 내주로 향하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경사진 경사부(316)를 형성하여 영사기(102)의 렌즈부(104)로부터 생성되는 영상이 편광렌즈(210)측으로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렌즈몸체(310)의 후방에는 케이싱(22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부(3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부(312)에는 케이싱(220)과 체결되는 체결부(314)가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되며, 케이싱(220)에는 결합부(312)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렌즈몸체(310)와 케이싱(22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에서는 나사산에 의한 체결방식을 통해 렌즈몸체(310)와 케이싱(220)이 서로 체결되는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돌기 및 돌기홈 등과 같은 요철, 요홈의 끼움 결합 방식이나, 후크에 의한 원터치 결합방식 등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렌즈몸체(310)와 케이싱(22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20)의 내주와 영사기(102)의 렌즈부(104) 외주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체결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케이싱(220)과 렌즈부(104) 간의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렌즈부(104)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후크(410)가 양각의 형태, 다시말해 돌기의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케이싱(220)의 내주에는 렌즈부(104)의 나선형 후크(410)가 회전하면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음각의 형태인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나선형 요홈(420)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후크 체결방식은 케이싱(220)이 렌즈부(104)에 체결될 때, 90도 회전에 의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나선형 후크(410)와 나선형 요홈(420)을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구성되는 나사산에 의한 체결방식, 클립 구조를 통한 결합방식, 끼움돌기 등을 통한 끼움 결합방식 등 다양한 체결구조를 통해 케이싱(220)과 렌즈부(104)가 서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3D 모듈레이터(200)는 수직 및 수평 정렬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기본 동작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콤팩트한 형상을 취함으로써, 보관이 매우 용이하며,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2: 영사기 104: 렌즈부
200: 3D 모듈레이터 210: 편광렌즈
220: 케이싱 222: 스토퍼
230: 커텍터 240: 보호커버
242: 보호시트 250: 마킹부
310: 렌즈몸체 312: 결합부
314: 체결부 316: 경사부
318: 결합홈 410: 나선형 후크
420: 나선형 요홈

Claims (10)

  1. 3D 영사기의 렌즈부에 결합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에 있어서,
    좌우 영상을 분리하여 제공하는 액정판넬 방식의 편광렌즈;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렌즈부가 삽입되며, 타측에는 상기 편광렌즈가 결합되어 상기 렌즈부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상기 편광렌즈측으로 제공하고, 상기 렌즈부의 단부가 상기 편광렌즈와 충돌하거나,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편광렌즈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외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싱을 감싸도록 구성된 보호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주 일면에는 상기 3D 영사기의 구동회로와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커넥터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3커넥터로 이루어진 커넥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에는 상기 편광렌즈와 밀착되어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보호시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렌즈부와 상기 3D 모듈레이터의 수직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킹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는 상기 케이싱과 상기 렌즈부가 결합할 때, 수직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으로 도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는 상기 렌즈부의 각 분기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마킹돌기와,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마킹돌기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렌즈는 상기 케이싱의 전방 외부에 구성되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케이싱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렌즈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몸체는 상기 편광렌즈가 결합되는 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렌즈몸체에서 상기 케이싱의 내주로 향하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부와, 상기 케이싱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주를 따라 상기 케이싱과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렌즈부는 후크 체결방식, 나사산에 의한 체결방식, 클립구조를 통한 결합방식, 끼움돌기를 통한 끼움 결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렌즈는 액정판넬에 1/4 혹은 3/4파장의 위상차필름을 적용하여 좌우 원편광에 의해 3D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
KR2020120002046U 2012-03-15 2012-03-15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 KR2004680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046U KR200468063Y1 (ko) 2012-03-15 2012-03-15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046U KR200468063Y1 (ko) 2012-03-15 2012-03-15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063Y1 true KR200468063Y1 (ko) 2013-07-19

Family

ID=5139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046U KR200468063Y1 (ko) 2012-03-15 2012-03-15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0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959A (ko) 2018-05-18 2019-11-27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3d 동기 펄스신호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3d 편광 모듈레이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1616A (ja) * 1996-04-19 1997-10-31 Sony Corp 映像投影装置並びに該装置のアダプター装置及び光学部材
KR20040070288A (ko) * 2001-12-27 2004-08-06 인포커스 코포레이션 스테레오그래픽 프로젝션 시스템
KR20110067438A (ko) * 2009-12-14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1616A (ja) * 1996-04-19 1997-10-31 Sony Corp 映像投影装置並びに該装置のアダプター装置及び光学部材
KR20040070288A (ko) * 2001-12-27 2004-08-06 인포커스 코포레이션 스테레오그래픽 프로젝션 시스템
KR20110067438A (ko) * 2009-12-14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959A (ko) 2018-05-18 2019-11-27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3d 동기 펄스신호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3d 편광 모듈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374874U (zh) 一种头戴式人机交互装置
US201002775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3d image via a media device
JP4222627B1 (ja) 映像立体的認識装置
US20160212414A1 (en) 3d display device
US9791708B2 (en) Display apparatus
CN102087817B (zh) 显示屏显示单元和显示屏
CN105372925A (zh) 一种全息投影展示柜
US10859850B2 (en) Reflective 3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10102745A1 (en) Stereo display apparatus
KR200468063Y1 (ko) 캡 방식의 3d 모듈레이터
CN113534489B (zh) 裸视三维显示组件及三维显示装置
CN202033576U (zh) 切换机构和兼容2d、3d图像播放的投影系统
CN102778757A (zh) 3d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3869489A (zh) 显示装置和显示系统
CN204855953U (zh) 头戴式2d/3d全兼容眼镜
JP2004004681A (ja) 映像分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立体映像表示装置
CN202025485U (zh) 显示屏显示单元和显示屏
US9134541B2 (en) Stereoscopic display system with active switchable retarder
CN206224918U (zh) 一种无缝拼接显示装置
KR20160080229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2005062607A (ja) 立体映像投影装置および立体映像投影アダプタ
CN209979994U (zh) 一种三光路3d投影设备的出光角度调节结构
US20080049318A1 (en) Polarizer device adapted to polarized light
CN204758930U (zh) 一种多角度3d显像装置
US971512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and polarized gl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