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599B1 - 반타발 고정 편을 지닌 소켓박스와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반타발 고정 편을 지닌 소켓박스와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599B1
KR100908599B1 KR1020070019476A KR20070019476A KR100908599B1 KR 100908599 B1 KR100908599 B1 KR 100908599B1 KR 1020070019476 A KR1020070019476 A KR 1020070019476A KR 20070019476 A KR20070019476 A KR 20070019476A KR 100908599 B1 KR100908599 B1 KR 100908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ocket
fixing piece
socket box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1692A (ko
Inventor
정상근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정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근 filed Critical 정상근
Priority to KR1020070019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599B1/ko
Publication of KR20070041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0Incompletely punching in such a manner that the parts are still coherent with the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전기소켓박스는 기존의 것과 달리 미리 구멍을 내는 것이 아니라 개방된 앞면을 제외한 다섯 면에 미리 반타발 된 고정 걸이 중 사용할 부위만 소켓박스 고정렌치로 좌우 대칭 고정 편을 좌우로 뻗친 무딘 날로 눌러 밀어버리면 벽 속으로 벌려지면서 자연적으로 고정되어지는 소켓박스와 소켓렌치를 개발하고 이를 상품화하는 제품 및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종전의 방법은 소켓박스를 틈새에 넣고 벽돌을 쌓거나 콘크리트를 부었으나 본 제품은 약간 큰 크기의 사각 형태의 목판 또는 목침을 만들어 넣고 콘크리트 등이 굳으면 목판 또는 목침을 파내고 본 소켓박스를 끼운 후 박스고정용 렌치로 반타발로 형성된 부위를 벽속으로 밀어 넣으면 이들이 소켓박스를 고정시켜 주므로 앞면의 틈만 미장 질로 마감하면 깨끗하게 삽입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반타발(Bracketing), 소켓(Socket) 소켓렌치(Socket Wrench), 삼단구멍, 돌출부위, 배선용 홀(Hole), 전선박스, 고정 편(Fixing blade),

Description

반타발 고정 편을 지닌 소켓박스와 이의 제작방법{The socket box with many bracketing blades for the fixing in hole, thereof its manufacture Method.}
도 1은 본 발명 반타발(브래킷) 고정 편을 지닌 소켓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반타발 고정 편을 지닌 소켓박스를 펼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반타발 고정 편을 벌려주는 소켓렌치의 상부도,
도 4는 본 발명 반타발 고정 편을 벌리는 장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박스상변(上邊), 12 : 상변우측 고정 편(片),
14 : 상변좌측 고정 편, 16 : 상변 배선용 홀,
20 : 박스 하변(下邊), 22 : 하변우측 고정 편,
24 : 하변좌측 고정 편, 26 : 하변 배선용 홀,
30 : 박스우변(右邊), 32 : 우변우측 고정 편,
34 : 우변좌측 고정 편, 36 : 우변 배선용 홀,
40 : 박스좌변(左邊), 42 : 좌변우측 고정 편,
44 : 좌변좌측 고정 편, 46 : 좌변 배선용 홀,
50 : 박스배변(背邊), 52 : 배변우측 고정 편,
54 : 배변좌측 고정 편, 56 : 배변 배선용 홀,
60 : 소켓렌치 좌측손잡이, 62 : 소켓렌치 좌측밀대,
70 : 소켓렌치 우측손잡이, 72 : 소켓렌치 좌측밀대,
80 : 3홀 교차부위, 90 : 소켓박스조립가장자리,
A : 3홀 구성확대도, B : 소켓박스 보조도면,
본 발명은 종래에 시공되고 있는 소켓박스가 철재 또는 단단한 재질로 제작된 후 콘크리트 등의 타설 전에 사전 제작되고 삽입되므로 찌그러지거나 일그러져 모양이 변형된 상태에서 배선을 하여 전선이 꼬이고 나선되어 합선의 원인이 되어 왔던 점을 개선하고자 개발하게 되었고 단단한 벽돌 내지 암석재질이라도 반타발 고정 핀에 걸려 빠져 나올 수 없게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시공이라면 소켓박스정도 들어갈 틈새를 만들기 쉽고 거의 사각을 이루기 쉬워 크게 우려할 사항은 아니나 콘크리트 타설 시에는 다지는 작업으로 부서지거나 일그러지는 예가 허다하므로 이러한 시공에서는 사전에 소켓박스를 삽입하고 시공할 것이 아니라 이와 유사한 부셔내기 쉬운 재질로 단단하게 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에 뽑아내고 본 발명의 소켓박스를 대체한 후 소켓렌치를 사용하여 고정 편을 박스 뒤편으로 밀어버리면 시공은 종료될 수 있고 마감재로 때움질하여도 고정 편으로 인하여 단단하게 박혀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추구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기존의 소켓박스에 다수의 고정 편을 반타발로 형성시키고 형성된 반타발로 제작되는 고정 핀을 소켓렌치를 사용하여 쉽게 벽면으로 벌려 밀어 넣는 장치를 제작하여 공급하면 작업자는 어려움 없이 완벽한 사각형의 소켓박스를 유지시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소켓박스를 제작하는데 드는 비용은 단지 반타발로 형성시켜주는 프레스만 있으면 간단하게 제작되어 지는데 어차피 상하좌우 및 뒷면에 배선용 홀을 타공(打孔)하려면 프레스사용은 피할 수 없는 공정이므로 고정 편을 반타발로 형성시키는 별도의 프레스공정은 본 공정에서 행할 수 있으므로 추가 작업이나 추가비용이 더 들어갈 일은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소켓박스의 구성은 거의 프레스로 형성시키기보다 도 2의 보조도면(B)에서 보는 바와 같은데 이를 위한 프레스공정에서 배선용 홀(16, 26, 36, 46, 56)부분에 이어서 각 변의 고정 편용 반타발로 형성되는 고정 편(12, 14, 22, 24, 32, 34, 42, 44, 52, 54)용 부분만 추가하여 프레스하면 한 번의 프레스로 십자형의 소켓박스형성과 배선용 홀과 고정 편이 일시에 제작되어 지는 것이다.
소켓박스에서 박스상변(10)과 박스하변(20)의 위치는 철판을 사용할 때 가장 사용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박스배변(50)의 상하로 위치시키면 박스우변(30)의 상하와 박스좌변(40)의 상하부분에 소켓박스조립가장자리(90)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켓박스조립에 안성맞춤이 된다.
프레스하기 전에 크기를 정하는 것은 건축물 설계도에 의하지만 일반적으로 작은 배선용이면 가로 45 내지 65밀리미터에 80 내지 110밀리미터에 깊이가 35 내지 55밀리미터이나 항상 건축업체의 편향적인 사항을 감안하여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사이즈이라면 상변좌우측고정 편(12, 14)과 하변좌우고정 편(22, 24)의 크기는 가로세로 9밀리미터 정도이고 배선용 홀(16, 26)은 직경도 역시 9밀리미터 정도가 될 것이나 고정 편(12, 14, 22, 24)의 벌려지는 방향은 마주보지 않고 벽면과 앞쪽으로 방향을 바꿀 수도 있다.
박스우변(30)과 박스좌변(40) 및 박스배변(50)의 크기는 단지 길이만 달리 길되 3변이 동일하며 고정 편(32, 34, 42, 44, 52, 54)의 크기는 폭이 박스상변(10)과 박스하변(20)과 같으며 단지 길이만 긴 관계로 다소 길게 하여 걸리는 거리가 넓어져도 벽면에 걸릴 수 있게 하는 것이 좌우소켓렌치밀대(62, 72)로 밀 때를 감안하여 약간의 여유를 가질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소켓렌치는 좌측손잡이(60)와 우측손잡이(70)가 3홀 교차부위(80)를 중심으로 방향이 바뀌면서 좌측밀대(62)는 우측으로 향하고 우측밀대(72)는 좌측으로 향하면서 양 손잡이(60, 70)를 잡고 누르면 양 밀대(62, 72)는 뻗쳐나가면서 선택한 상하좌우 고정 편(12, 14, 22, 24, 32, 34, 42, 44)이 도 4의 장면과 같이 대각방향의 벽면으로 벌려질 것이고 박스배면은 양손잡이(60, 70) 중 택일 하여 손잡이(60, 70) 끝으로 밀면 역시 벽면으로 벌려져 고정될 것이다.
본 발명의 소켓박스를 사용하게 되면 가끔 배선을 만질 때 소켓박스가 빠져나와 작업하기 어렵게 하거나 사용자의 부주위에 의해 빠져나오면 보기 흉하고 어 느 경우에는 감전의 우려가 있는데 본 고정 편이 상하좌우 및 배면까지 합쳐 20개로 구성되어 거의 완벽할 정도로 확고하게 부착되어 진다.
또한 본 발명의 소켓박스를 사용할 때 고정 편을 일일이 밀려면 인건비가 많이 투하되어야 하나 본 발명의 소켓렌치만 지참하면 간단하게 밀 수 있어서 작업자나 사용자에게 상당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재질은 철재 또는 단단한 알루미늄으로 벌려진 십자형으로 절단할 때 반타발로 형성되는 배면우측 고정 편(52)과 배면좌측 고정 편(54)을 갖고 중앙에는 배면 배선용 홀(56)을 지닌 직사각형의 박스배면(50)을 중심으로 위에는 상변우측 고정 편(12)과 상면좌측 고정 편(14)에 배선용 홀(16)을 갖는 박스상변(10)과 아래는 좌우 고정 편(22, 24)과 중앙 홀(26)을 지닌 박스하변(20)과
    박스배면(50) 좌우에 반타발로 형성되는 좌우측 고정 편(32, 34, 42, 44)을 지닌 박스좌변(30)과 박스우변(40)이 상, 하변(10, 20)의 소켓박스조립가장자리(90)로 직육면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반타발 고정 편을 지닌 소켓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박스상변(10)과 박스하변(20)과 박스좌변(30)과 박스우변(40) 및 박스 배변(50)에 반타발로 구성되는 고정 편(12, 14, 22, 24, 32, 34, 42, 44, 52, 54)을 벽면으로 밀어 넣도록 좌우손잡이(60, 70)에 의해 벽면으로 벌려주는 소켓렌치로 사용되는 것이 특징인 반타발 고정 편을 지닌 소켓박스
  3. 직사각형으로 구성되고 반타발로 된 좌우측 고정 편(52, 54)을 지닌 박스배면(50)의 위아래에 좌, 우측 고정 편(12, 14)을 지닌 박스상변(10)과 좌, 우측 고정편(22, 24)을 지닌 박스하변(20)으로 구성되고 좌우로는 좌우측 고정 편(32, 34, 42, 44)을 지닌 박스우변(30)과 박스좌변(40)이
    박스상변(10)과 박스하변(20) 좌우측에 형성된 소켓박스조립가장자리(90)로 조립되는 것이 특징인 반타발 고정 편을 지닌 소켓박스의 제작방법
KR1020070019476A 2007-02-23 2007-02-23 반타발 고정 편을 지닌 소켓박스와 이의 제작방법 KR100908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476A KR100908599B1 (ko) 2007-02-23 2007-02-23 반타발 고정 편을 지닌 소켓박스와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476A KR100908599B1 (ko) 2007-02-23 2007-02-23 반타발 고정 편을 지닌 소켓박스와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692A KR20070041692A (ko) 2007-04-19
KR100908599B1 true KR100908599B1 (ko) 2009-07-21

Family

ID=38176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476A KR100908599B1 (ko) 2007-02-23 2007-02-23 반타발 고정 편을 지닌 소켓박스와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6956C (zh) * 2003-11-26 2007-11-07 刘坤钟 具透气孔的发泡体的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516A (ja) 1996-08-30 1998-03-17 Mirai Ind Co Ltd 結露防止ボックス及び該結露防止ボックスの製造方法
KR20010095508A (ko) * 2000-04-10 2001-11-07 조추희 콘크리트 실링 박스
KR200401107Y1 (ko) * 2005-08-08 2005-11-15 김근수 건물 천정용 단자함 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516A (ja) 1996-08-30 1998-03-17 Mirai Ind Co Ltd 結露防止ボックス及び該結露防止ボックスの製造方法
KR20010095508A (ko) * 2000-04-10 2001-11-07 조추희 콘크리트 실링 박스
KR200401107Y1 (ko) * 2005-08-08 2005-11-15 김근수 건물 천정용 단자함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6956C (zh) * 2003-11-26 2007-11-07 刘坤钟 具透气孔的发泡体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692A (ko)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4972B1 (en) Electrical device mounting boxes
KR100908599B1 (ko) 반타발 고정 편을 지닌 소켓박스와 이의 제작방법
JP2009279743A (ja) 多機能作業用具及び柄。
JP2004129652A (ja) 植付け用の穿孔具
KR200422844Y1 (ko) 모종삽
KR200433913Y1 (ko) 거푸집 패널의 결합구
KR101351994B1 (ko) 반자동 삽
WO2010018300A1 (en) Wire loop box
KR200426085Y1 (ko) 거푸집 고정용 플랫타이
KR200333026Y1 (ko) 벽판용 결착구
JP3142133U (ja) 穴掘り具
US20070227050A1 (en) Triple edge trenching axe
TWI314188B (ko)
JP2003053464A (ja) 急傾斜地法面作業用鉄筋曲げ工具
JP6758219B2 (ja) プレキャスト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DE202006016520U1 (de) Gerät zum Entfernen von Rohrschellen aus Mauerwerk
CN203261634U (zh) 一种挖苗铲
CN214272903U (zh) 一种建筑混凝土用便于拆卸的塑形模板
JP2006299768A (ja) 組積用湾曲自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成型型枠
CN201989127U (zh) 多功能工具锤
JP3207177U (ja) スコップ
TWM391829U (en) Retractable positioning structure of gardening scissors
TWM458289U (zh) 釘板模專用鐵鎚(五)
JP2005248595A (ja) 側溝用ブロック
JP3211376U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