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410B1 -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410B1
KR100908410B1 KR1020090019791A KR20090019791A KR100908410B1 KR 100908410 B1 KR100908410 B1 KR 100908410B1 KR 1020090019791 A KR1020090019791 A KR 1020090019791A KR 20090019791 A KR20090019791 A KR 20090019791A KR 100908410 B1 KR100908410 B1 KR 100908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ignal
voice
speaker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길
Original Assignee
(주)씨에이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이치테크 filed Critical (주)씨에이치테크
Priority to KR1020090019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microphones or earpho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5Sun vi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차량의 선바이저 등에 장착되어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과속차량 단속용 이동식 카메라의 존재를 운전자에게 미리 알려줄 수 있으며, 핸드폰으로 걸려오는 전화를 핸즈프리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로부터 카메라 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페어링 작업을 통해 연결된 핸드폰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의 수신신호에 따라 경고메시지의 출력 또는 음성통화 신호의 출력을 결정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통화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운전자의 핸즈프리 통화시 운전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운전자의 음성을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핸드폰으로 전화가 왔을 때 송신자를 표시하거나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경고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피커로 제공하는 메모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되,
여기서, 상기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이동식 카메라의 존재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기능과, 운전자의 핸드폰과 페어링 작업을 통해 연결되어 운전 중 핸드폰으로 전화가 왔을 때 핸즈프리로 통화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루투스, 이동식 카메라, 스피커폰, 핸즈프리

Description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bluetooth speaker - phone of car}
본 발명은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차량의 선바이저 등에 장착되어 주행중 전방에 설치된 과속차량 단속용 이동식 카메라의 존재를 운전자에게 조기에 알려주어 미리 감속할 수 있도록 하거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핸드폰으로 걸려오는 전화를 핸즈프리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은 에릭슨, 노키아, 인텔, 도시바, IBM 5개사가 1998년에 블루투스 SIG이라는 컨소시엄을 형성하면서 공개적인 표준으로 제안된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서, 현재 회원사는 세계적으로 2000개가 넘는다. 이와 같이 회원사가 계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 속에 블루투스는 이제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세계적인 규격으로서 그 위상을 확고히 하고 있다.
최근 디지털 기술 및 이동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핸드폰, 노트북, MP3 플레이어와 같이 개인이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의 소지가 일반화되 는 추세이며, 이러한 휴대용 기기들은 음악 파일을 저장하고 저장된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기본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들을 소지한 사용자는 각각의 기기들을 개별적으로 직접 작동 조정함으로써 사용 상태를 전환하게 되는데, 근래에는 멀리 떨어진 기기들을 단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케이블 없이 상호 운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블루투스 무선기술을 적용하여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 있다.
휴대용 기기에서 발신되는 음향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무선기술을 적용하여 쉽게 전달받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기능을 가지는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567457호의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핸즈프리 장치와,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29339호의 다기능 블루투스 수신기가 제시되어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수십 만 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1만명 이상 사망하고, 30만명 이상 부상을 당하며, 4만명 이상 장애자로 전락됨은 물론 연간 약 11조원 이상의 국가사회비용이 손실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교통사고 원인 중 과속으로 인한 사고가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또는 국도 등 각종 도로에서 주행하는 차량들은 경제속도 또는 과속 제한속도 범위로 주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를 위하여 현재 대부분의 고속도로 또는 국도는 과속 제한속도가 정해져 있으며, 각종 표시판을 통해 운전자에게 알려주고 있다.
그러나, 운전자의 성향 또는 무의식적인 심리상태에 따라 자신도 모른 상태에서 과속 주행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결국, 차량의 과속을 방지하고 단속하기 위하여 과속차량 단속용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는데, 과속차량 단속용 카메라는 그 설치 방식에 따라 고정식과 이동식으로 구분된다.
각종 도로에 설치된 과속차량 단속용 고정식 카메라는 성능면에서는 우수하지만, 속도 측정은 고가의 고정형 레이더/루프 코일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이 전혀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제품 코스트가 높아 시설비용 부담이 과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저가이고 설치 및 이동이 쉬워 고정식 카메라 미설치 도로구간 중 과속차량 다발지역에서는 과속차량 단속용 이동식 카메라를 이용하여 규정속도 이상 과속차량을 단속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과속차량 단속용 카메라로 인해 차량 운전자가 갑작스럽게 급제동 또는 급차로 변경 등으로 극히 위험한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과속차량 단속용 카메라에 의한 차량 운전자의 갑작스런 급제동 또는 급차로 변경 등에 따른 대형 추돌사고 또는 안전사고 등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지리정보를 차량에서 쉽게 확보하여 이동할 목적지의 위치 및 거리 등 다양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차량에 장착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은 각종 도로상에 고정 설치된 과속차량 단속용 고정식 카메라의 위치정보를 알려주므로, 목적지로 이동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이와 같은 정보를 입력 받아 목적지까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은 고정물체의 좌표 값의 정보를 차량에 전송하므로 과속차량 단속용 이동식 카메라의 위치는 확인하기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최근, 과속차량 단속용 이동식 카메라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장치로서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3-0028618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는 이동식 카메라에서 발사된 적외선 또는 레이더를 감지하는 수신감지부와, 상기 수신감지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출력컨트롤부와, 상기 수신감지부와 출력컨트롤부의 각 신호입출력단자들에 끼워져 연결시키는 연결케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는 수신감지부를 차량 외부 전방에 설치하여야 하고, 출력컨트롤부는 차량 내부에 설치하여야 하며, 연결케이블을 통해 결선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내부에 출력컨트롤부를 설치함으로 인해 차량 내부가 복잡해지고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종 차량의 선바이저 등에 장착되어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과속차량 단속용 이동식 카메라의 존재를 운전자에게 미리 알려줄 수 있는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핸드폰으로 걸려오는 전화를 핸즈프리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이동식 카메라의 존재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기능과, 운전자의 핸드폰과 페어링 작업을 통해 연결되어 운전 중 핸드폰으로 전화가 왔을 때 핸즈프리로 통화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로부터 카메라 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페어링 작업을 통해 연결된 핸드폰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의 수신신호에 따라 경고메시지의 출력 또는 음성통화 신호의 출력을 결정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통화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운전자의 핸즈프리 통화시 운전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운전자의 음성을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핸드폰으로 전화가 왔을 때 송신자를 표시하거나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경고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피커로 제공하는 메모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되,
여기서, 상기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이동식 카메라의 존재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기능과, 운전자의 핸드폰과 페어링 작업을 통해 연결되어 운전 중 핸드폰으로 전화가 왔을 때 핸즈프리로 통화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을 설치하면, 연결케이블의 결선작업이 필요 없게 되고 각종 차량의 선바이저 등에 장착되기 때문에 간단한 작업으로 누구나 설치가 가능하게 되고, 복잡한 결선으로 인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과속차량 단속용 이동식 카메라의 존재를 운전자에게 미리 알려주기 때문에 규정속도 이하의 속도로 감속시킬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갑작스런 급제동 등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핸드폰으로 걸려오는 전화를 핸즈프리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각종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각 구성의 차량에 장착된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100), 핸드폰(200), 이동식 카메라(300),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400)가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연결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100)은 연결케이블의 결선작 업이 필요 없이 각종 차량의 선바이저 등에 클립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고정방식은 클립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외에도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100)과 핸드폰(200)은 페어링이라는 일련의 작업을 통해 두 장치에 서로 상대방의 연결정보를 저장하여 연결된다. 만약, 핸드폰(200)으로 전화가 오면 핸드폰(200)의 벨소리가 울림과 동시에 페어링이 되어 있는 상기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100)에 전화가 왔다는 링신호가 울리게 된다.
상기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400)는 상기 이동식 카메라(300)로부터 발사된 레이저 신호 또는 레이더 신호를 감지하여 이동식 카메라(300)의 존재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경고메시지가 상기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10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400)는 이동식 카메라(300)의 레이저 신호를 용이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전방 차량번호판 근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 변경이 가능하다.
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과속차량 단속용 이동식 카메라의 원리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과속차량 단속용 이동식 카메라는 속도측정장치와 100만 화소의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센서의 씨씨디카메라(C.C.D CAMERA)로 이루어져 있으며, 레이저에 의한 속도측정 방법은 폭이 좁은 스팩트럼과 같은 단일 파장으로써 이는 강한 힘의 갈륨 비소화합물을 통해서 발생되고, 904 나노미터(nm)의 적외선 필터 필름으로 덮인 레이저 빛이 끊임없이 빛의 속도인 매초 30만 킬로미 터(km)로 1초에 약 400개 정도의 사람눈에 안 보이게 발사되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차와 거리를 계산해 속도를 알아내는 원리이며, 150 미터(m) 떨어진 곳에서 약 45 센티미터(Cm)의 타원형 초점이 생긴다.
레이더에 의한 속도측정 방법은 1842년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인 도플러에 의해 발견된 것으로, 소리를 내는 음원과 관측자의 상대적 운동에 따라 음파의 진동수가 다르게 관측되는 현상의 도플러효과를 이용하는 것으로, 지나가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할 경우, 속도측정장치 쪽으로 다가오는 차량을 향해 일정한 4.8 기가헤르츠(GHz)의 초음파를 발사해 차에 반사된 후 다시 속도측정장치로 되돌아오는데 이때 반사되어 돌아온 초음파의 주파수는 도플러효과에 의해서 처음에 발사했던 초음파의 주파수보다 높게 나타나고, 속도측정장치는 이때의 주파수의 변화량을 측정해 속도를 계산한 후 속도를 알아내는 원리이다.
레이저 신호는 직진성이 강하여 폭이 매우 좁은 빛을 발생해 주기 때문에 교통량이 많고 적음과 관계없이 과속하는 차량을 정확히 겨냥하면 속도를 측정해 낼 수 있다. 레이저 속도측정기가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불과 0.3초 정도이다.
한편, 이동식 카메라가 속도측정 대상 차량을 촬영할 수 있는 거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m 이내 즉, 80m 내지 120m 이다, 일반적으로 차량과 카메라와의 거리가 100m를 넘으면 촬영을 해도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과속차량 단속용 이동식 카메라는 속도측정 대상 차량과의 거리 100m 정도에서 설치하여 촬영을 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해 상기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400)는 상기 이동식 카메라(300)로부터 발사된 레이저 신호 또는 레이더 신호를 감지하는 레이저/레이더 감지부와, 상기 레이저/레이더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경고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상기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100)으로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100)의 구성을 첨부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참조번호 110은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400)로부터 카메라 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페어링 작업을 통해 연결된 핸드폰(200)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나타내고, 120은 상기 수신부(100)의 수신신호에 따라 경고메시지의 출력 또는 음성통화 신호의 출력을 결정하는 마이컴을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 130은 핸드폰(200)으로 전화가 왔을 때 송신자를 표시하거나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고, 140은 상기 마이컴(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통화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나타내며, 150은 경고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마이컴(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피커(140)로 제공하는 메모리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 160은 운전자의 핸즈프리 통화시 운전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를 나타내며, 170은 상기 마이컴(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된 운전자의 음성을 핸드폰(200)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의 동작 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100)의 설치시 사용자의 핸드폰과는 페어링 작업을 통해 두 장치에 서로 상대방의 연결정보를 저장해 둔다.
설치가 이루어진 후 차량의 주행 중 이동식 카메라(300)로부터 발사된 레이저 신호 또는 레이더 신호를 상기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400)에서 감지하여 경고메시지의 출력을 결정하게 된다. 이 경우 운전자에게 감속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통상 300m 이상의 거리에서 감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컴(120)에서는 수신부(110)를 통해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400)로부터 이동식 카메라(300)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부(150)로부터 경고메시지를 호출하여 상기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서는 이동식 카메라(300)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문자신호 또는 점멸신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핸드폰(200)으로 전화가 왔을 경우에는, 핸드폰(200)의 벨소리가 울림과 동시에 페어링이 되어 있는 상기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100)에 전화가 왔다는 링신호가 울리가 된다. 즉, 해당 신호가 상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고, 그에 따라 상기 마이컴(120)에서는 스피커(140)를 통해 링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서는 송신자를 알리는 전화번호 또는 이름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즈프리 상태의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운전자의 음성신호는 상기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되어 송신부(170)를 통해 핸드폰(200)으로 제공됨으로써 통화 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결국, 운전자는 핸드폰(200)을 직접 손에 들지 않고 가방이나 옷 속에 넣어둔 채로 음성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각 구성의 차량에 장착된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 200 : 핸드폰
300 : 이동식 카메라 400 :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
110 : 수신부 120 : 마이컴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스피커
150 : 메모리부 160 : 마이크
170 : 송신부

Claims (3)

  1.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로부터 카메라 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페어링 작업을 통해 연결된 핸드폰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의 수신신호에 따라 경고메시지의 출력 또는 음성통화 신호의 출력을 결정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통화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운전자의 핸즈프리 통화시 운전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운전자의 음성을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핸드폰으로 전화가 왔을 때 송신자를 표시하거나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경고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피커로 제공하는 메모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되,
    여기서, 상기 이동식 카메라 감지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이동식 카메라의 존재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기능과, 운전자의 핸드폰과 페어링 작업을 통해 연결되어 운전 중 핸드폰으로 전화가 왔을 때 핸즈프리로 통화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
  2. 삭제
  3. 삭제
KR1020090019791A 2009-03-09 2009-03-09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 KR100908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791A KR100908410B1 (ko) 2009-03-09 2009-03-09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791A KR100908410B1 (ko) 2009-03-09 2009-03-09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410B1 true KR100908410B1 (ko) 2009-07-21

Family

ID=4133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791A KR100908410B1 (ko) 2009-03-09 2009-03-09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4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0667A (zh) * 2019-12-10 2020-03-24 江苏蒲公英无人机有限公司 一种基于声波的车辆用提醒信息传输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178Y1 (ko) * 2000-12-29 2001-06-01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인 감시 카메라 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 통신 단말기
KR200247585Y1 (ko) * 2001-06-15 2001-10-31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핸즈프리장치
KR20020035960A (ko) * 2000-11-07 2002-05-16 송문섭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 핸즈프리장치
KR200434061Y1 (ko) * 2006-08-09 2006-12-15 이순례 블루투스 기술과 알에프 기술을 이용한 핸즈프리 룸미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960A (ko) * 2000-11-07 2002-05-16 송문섭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 핸즈프리장치
KR200226178Y1 (ko) * 2000-12-29 2001-06-01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인 감시 카메라 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 통신 단말기
KR200247585Y1 (ko) * 2001-06-15 2001-10-31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핸즈프리장치
KR200434061Y1 (ko) * 2006-08-09 2006-12-15 이순례 블루투스 기술과 알에프 기술을 이용한 핸즈프리 룸미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0667A (zh) * 2019-12-10 2020-03-24 江苏蒲公英无人机有限公司 一种基于声波的车辆用提醒信息传输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664B2 (en) Telematics basic mobile device safety interlock
US6472978B1 (en) Traffic system to prevent from accidents
KR100709150B1 (ko) 차량 탑재형 경보 시스템
US10135529B2 (en) Automotive light based communication system for user equipment
US20050255874A1 (en) Motion disabled cell phone method
KR101661553B1 (ko) 차량 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U2008280823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ommunication devices
JP2016058102A (ja) 携帯通信端末、基地局、警報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基地局の制御方法
JP2012048537A (ja) 車両接近報知システム
Liu et al. POFS: A novel pedestrian-oriented forewarning system for vulnerable pedestrian safety
CN1268156C (zh) 移动终端及使用了该移动终端的信息提供系统
JP2005098847A (ja) 通信装置、車載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並びに、盗難防止システム
WO2015147346A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KR101584962B1 (ko) 차량 주행중 모바일 기기 사용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043824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proximity warnings
JP2004157847A (ja) 道路横断歩行者報知システム
KR20190112973A (ko) 차량 간 통신 환경에서 취약 도로 사용자 보호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JP2011054149A (ja) 自動車接近警報システム
KR100908410B1 (ko)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폰
KR20170027601A (ko) 횡단보도의 보행자 감지를 통한 교통사고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12008753A (ja) 交差点安全走行システム
JP4453579B2 (ja) 車載電話システム
EP2821979A1 (en) Active beacon for vulnerable road users
KR20110023952A (ko) 근접 차량의 운행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203888709U (zh) 带防盗报警系统的车载内后视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