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189B1 -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189B1
KR100908189B1 KR1020090029449A KR20090029449A KR100908189B1 KR 100908189 B1 KR100908189 B1 KR 100908189B1 KR 1020090029449 A KR1020090029449 A KR 1020090029449A KR 20090029449 A KR20090029449 A KR 20090029449A KR 100908189 B1 KR100908189 B1 KR 100908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sheet
cross
roller
foamed polyethylen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곤
Original Assignee
송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곤 filed Critical 송정곤
Priority to KR1020090029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189B1/ko
Priority to EP10761798.7A priority patent/EP2418332B1/en
Priority to PCT/KR2010/001064 priority patent/WO2010117136A1/ko
Priority to RU2011144506/05A priority patent/RU2486321C1/ru
Priority to CN2010800016527A priority patent/CN102037196B/zh
Priority to JP2011510437A priority patent/JP2011521187A/ja
Priority to US12/952,151 priority patent/US826714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 E04C2/36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by honeycomb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2001/7691Heat reflecting layers or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독사용 또는 단열재 내부에 구성품으로 사용하여도 고반사 및 저방사 기능을 가지도록 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를 공급하기 위한 피더와, 제조완료된 열반사단열재를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를 전,후방에 가지고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선측에 피더로부터 공급되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에 다수개의 절개홈을 형성하도록 구비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후방에 절개홈이 형성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의 폭을 넓히면서 절개홈이 통공으로 변형시키도록 설치하는 확장부와, 상기 확장부의 후방에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의 확장된 폭과 절개홈이 변형된 통공이 제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롤러를 가지고 설치되는 냉각부와, 상기 냉각부의 후방에 폭이 넓어지고 통공이 형성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에 고반사성과 저방사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일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시트를 부착시키도록 설치하는 합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Figure R1020090029449
열반사, 단열재, 고반사, 저방사

Description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및 방법{HEAT INSULATOR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다른 소재와 접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고반사 기능과 저방사 기능을 가지도록 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및 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열반사단열재는 주로 건축물의 외벽면에 부착 시공되어 건축물의 외부에서 실내로 냉기 또는 열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내부의 열기 또는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의 냉,온기 손실을 최소한으로 막을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열반사단열재는 여러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본원 출원인 또한 선행하여 열반사단열재를 출원하여 실용신안등록 제 420049 호로 등록받은 바 있으며 이러한 선행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의 구성을 도 12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열반사단열재(1)는 부직포재질로 형성하는 1단열층(2) 과, 상기 1단열층(2)의 일면에 발포가교 재질로 접착하는 2단열층(3)과, 상기 2단열층(3)의 다른 면에 많은 수의 에어셀(4)을 가지고 구비되는 3단열층(5)과, 상기 1,3단열층(2,5)의 외면에 알루미늄시트(6)를 부착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열반사단열재는 단열성이 우수한 에어갭, 부직포, 발포가교시트 등과 같이 이미 만들어진 재료를 접착제 또는 수지를 이용하여 단순접착하고, 이들의 양면에 알루미늄시트를 접착하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제조장치의 구성도 단순하게 롤타입의 재료를 공급하고, 공급되는 재료를 가압롤러를 이용하여 합지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물론, 이러한 열반사단열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는 고반사 및 저방사기능을 가지는 알루미늄시트를 단열재 구성재료 사이에 개재하여 단열성능을 높이고자 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불필요한 알루미늄시트만 낭비하는 형태가 된다.
이는 알루미늄시트의 경우 알루미늄의 고유 특성인 고반사성(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과 저방사성(내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을 최대한으로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시트의 표면에 다른 부착물이 부착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단열재를 구성할 때 양측에 알루미늄시트를 부착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며, 시공시 외측에 위치하는 알루미늄시트는 고반사 기능을 수행하고, 내측에 위치하는 알루미늄시트는 저방사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사실은 열반사단열재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라면 누구나가 알고 있는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열반사단열재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품 사이에 알루미늄시트를 개재시키는 것은 다른 열반사단열재와의 기술적인 중복성을 회피하고자 하는 의미가 크다 할 것입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를 절개홈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이 형성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의 폭을 확장시켜 통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통공이 형성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의 양면에 알루미늄시트를 부착하여 단독으로 열반사단열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열반사단열재를 구성하는 구성품의 내부에 개재시켜 사용하더라도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에 형성된 통공 위치의 알루미늄시트는 접착되지 않으므로 고반사 또는 저방사 기능을 충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전체 면적에 대하여 60∼80%에 해당하는 통공을 형성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의 양면에 알루미늄시트를 부착한 열반사단열재를 제공하여 단독 또는 열반사단열재 구성품 내부에 개재하여 사용하더라도 알루미늄시트 고유의 특성인 고반사 및 저방사 기능을 충분하게 발휘하여 단열성능을 높이고 열반사단열재의 품질을 높여 대외적인 경쟁력의 우위에 있을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제조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를 도시한 전체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를 도시한 절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의 절개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의 확장부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의 확장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의 냉각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의 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의 합지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에 의하여 열반사단열재가 제조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에 의하여 절개홈이 형성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에 의하여 완성된 열반사단열재의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100)는 롤타입의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를 공급하기 위한 피더(102)와 제조완료된 열반사단열재(103)를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104)를 전,후방에 가지는 프레임(105)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105)의 선측에는 피더(102)로부터 공급되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 시트(101)에 다수개의 절개홈(106)을 형성하기 위한 절개부(110)를 구비하고, 상기 절개부(110)의 후방에는 절개홈(106)이 형성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폭을 넓혀 절개홈(106)이 통공(107)으로 변형시키는 확장부(130)를 설치한다.
상기 확장부(130)의 후방에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확장된 폭과 절개홈(106)이 변형된 통공(107)이 제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부(150)를 설치하고, 상기 냉각부(150)의 후방에는 폭이 넓어지고 통공(107)이 형성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에 고반사성과 저방사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일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시트(108)를 부착시키는 합지부(170)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절개부(110)는 공급되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에 절개홈(106)을 형성하는 절개롤러(111)와 상기 절개롤러(111)의 후방에 설치하여 절개홈(106)이 형성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를 확장부(130)로 공급하는 한 쌍의 상,하피딩롤러(112,113)로 구성한다.
상기 절개롤러(111)는 프레임(105)에 유지되고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롤러(114)와 상기 하부롤러(114)의 상방에 위치하여 공급되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에 절개홈(106)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블레이드(115)를 가지는 상부롤러(116)로 구성한다.
상기 절개롤러(111)와 상,하피딩롤러(112,113)는 프레임(105)의 저면에 설치되는 구동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동력전달은 구동수단으로부터 절개롤러(111)의 하부롤러(114)가 전달받고, 하부롤러(114)는 하피딩롤러(112)로 동력을 전달하여 공급되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를 매개로 상부롤러(116)와 상피딩롤러(113)가 맞물려 회전하는 형태의 구성으로 이는 통상적인 동력전달 형태라 할 수 있다.
상기 하부롤러(114)와 절개롤러(111)는 절개롤러(111)에 구비되는 블레이드(115)의 높이(H)만큼 이격되도록 하고, 공급되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두께가 블레이드(115)의 높이(H)보다 두꺼울 경우에는 가압하면서 절개홈(106)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블레이드(115)는 인접한 블레이드(115)와는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어긋난 위치에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블레이드(115)가 유지하는 날각도는 절개홈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마모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하부롤러(114)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60°이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확장부(130)는 입구(131)는 좁고 출구(132)는 넓은 확장터널(133)을 프레임(105) 위에 유지시키고, 상기 확장터널(133)의 양측에는 배출되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양측 가장자리를 잡고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135)을 설치한다.
상기 이송수단(135)은 구동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하는 구동체인기어(136)와 피동체인기어(137) 사이를 체인(138)으로 연결하고, 상기 체인(138)에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를 잡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핀(139)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입구(131)에서 출구(132)로 갈수록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폭이 넓어지도록 한다.
상기 확장터널(133)에는 입구(131)에서 출구(132)로 이송되면서 폭이 넓어지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140)를 더 설치한다.
상기 히터(140)는 확장터널(133)의 하측 또는 상측 어느 한 곳에만 설치하거나 상,하 모두 설치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냉각부(150)는 확장되어 폭이 넓어지고 통공(107)이 형성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수가 순환되는 한 쌍의 냉각롤러(151,152)를 확장터널(133)의 출구(132) 후미에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합지부(170)는 폭이 넓어지고 통공(107)이 형성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시트(108)를 부착할 수 있도록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표면을 용융시키기 위한 상,하 한 쌍의 히팅롤러(171,172)를 설치한다.
상기 히팅롤러(171,172)의 후미 프레임(105)의 상,하측에는 롤타입으로 권취된 알루미늄시트(108)를 히팅롤러(171,172)의 전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시트피더(173)를 설치하고, 히팅롤러(171,172)의 상,하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174)를 경유하여 알루미늄시트(108)가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일면 또는 양면으로 공급되어 열융착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개롤러(111)와 피딩롤러(112)의 상부롤러(116)와 상피딩롤러(113), 상측에 위치하는 냉각롤러(151)와 히팅롤러(171)는 높이조절수단(175)에 의하여 공 급되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75)은 본 발명에서는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조절블럭과 스크류조합의 구성 등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100)를 이용하여 열반사단열재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열반사단열재는 공급단계(S1)와 절개홈형성단계(S2), 확장단계(S3), 냉각단계(S4) 및 합지단계(S5)로 이루어진다.
공급단계(S1)에서는 가공하고자 하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를 준비하여 공급하도록 하고, 절개홈형성단계(S2)에서는 공급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에 등 간격으로 다수 개의 절개홈을 형성하도록 한다.
확장단계(S3)에서는 절개홈이 형성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열을 가하여 폭을 넓히면서 절개홈이 통공 형상으로 변화시키도록 하고, 냉각단계(S4)에서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폭과 통공이 확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시키도록 한다.
합지단계(S5)에서는 냉각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시트를 부착시켜 통공을 통하여 알루미늄시트의 고유기능인 고반사 기능과 저방사 기능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서 제조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각 단계에 맞게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100)를 이용하여 열반사단열재를 만드는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피더(102)에 롤타입의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를 구비한 후 그 선단을 절개부(110)로 공급시킨 후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100)를 작동시키면,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는 절개부(110)를 구성하는 절개롤러(111)에 의하여 절개홈(106)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면서 상,하피딩롤러(112,113)에 의하여 확장부(130)로 이송된다.
상기 절개롤러(111)에 의하여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에 절개홈(106)이 형성되는 과정은, 하부롤러(114)에 의하여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가 받쳐지고, 하부롤러(114)의 상측에 위치한 상부롤러(116)가 맞물려 회전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롤러(116)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115)가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를 가압하면서 절개홈(106)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절개홈(106)이 형성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는 확장부(130)로 공급되면서 확장터널(133)로 진입하면서 입구(131)와 출구(132) 양측 가장자리 사이에 설치된 이송수단(135)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확장터널(133)의 입구(131)에서 출구(132)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확장터널(133)의 입구(131)는 원래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와 같은 폭을 유지하고 있으나 출구(132)로 갈수록 그 폭은 넓어지게 되고, 동시에 확장터널(133)에 설치된 히터(140)에 의하여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에 열이 가하여지면서 신축성이 부여됨으로서 폭이 넓어지게 된다.
물론, 이때에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에 형성된 절개홈(106)은 넓어지면서 통공(107) 형태로 변하게 되고, 폭이 넓어진 상태에서 확장터널(133)의 출구(132) 측에 설치되는 냉각롤러(151,152)를 경유함으로서 냉각되어 폭이 넓어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냉각되어 넓어진 폭의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는 합지부(170)로 공급되고, 합지부(170)에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시트(108)를 부착함으로서 열반사단열재(103)가 완성되고, 완성된 열반사단열재(103)는 와인더(104)에 권취함으로서 완료된다.
상기 합지과정에서는 히팅롤러(171,172)의 후미 프레임(105)에 설치되는 알루미늄시트피더(103)에 구비된 알루미늄시트(108)를 가이드롤러(174)를 경유하여 히팅롤러(171,172) 앞에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와 함께 공급함으로서 히팅롤러(171,172)에 의하여 열융착을 통하여 접착된다.
물론, 선택적으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일면에만 알루미늄시트(108)를 접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 하 어느 하나의 알루미늄시트피더에서만 알루미늄시트(108)를 공급하고, 양면에 모두 접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 하 알루미늄시트피더에서 알루미늄시트(108)를 공급하여 접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에 알루미늄시트(108)가 접착됨으로서 열반사단열재(103)가 완성되며, 완성된 열반사단열재(103)는 와인더(104)에 권취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열반사단열재(103)를 이용하여 알루미늄시트(108)가 가지는 고유기능인 고반사 및 저방사 기능에 대한 실험을 한 결과,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에는 양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시트(108)가 너무 근접하여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최소 5㎜이상의 두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에 형성되는 통공(107) 면적과 통공(107)의 크기는 확장된 상태에서 ㎡에 대하여 60∼80%의 범위를 가지도록 하고, 하나의 통공(107)이 2㎠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공(107)의 면적이 ㎡에 대하여 60%이하일 경우에는 알루미늄시트(108)가 가지는 고반사 및 저방사 기능을 충분하게 발휘하지 못하였으며, 통공(107)의 크기가 하나당 2㎠이하인 상태에서 면적이 ㎡에 대하여 60∼80%의 범위 내에 있더라도 역시 알루미늄시트(108)가 가지는 고반사 및 저방사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통공이 형성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시트를 접착한 열반사단열재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단열재를 구성하는 구성품으로 사용하여도 되는 데, 단열재 내부에 개재하여 구성품으로 사용할 경우에도 통공 위치의 알루미늄시트는 접착면이 없기 때문에 알루미늄시트의 고유기능인 고반사 및 저방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단열재의 품질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를 도시한 전체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를 도시한 절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의 절개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의 확장부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의 확장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의 냉각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의 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의 합지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에 의하여 열반사단열재가 제조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에 의하여 절개홈이 형성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에 의하여 완성된 열반사단열재의 사시도.
도 12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일반적인 열반사단열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제조장치
103; 열반사단열재
110; 절개부
111; 절개롤러
115; 블레이드
130; 확장부
133; 확장터널
150; 냉각부
170; 합지부

Claims (8)

  1.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를 공급하기 위한 피더(102)와;
    제조완료된 열반사단열재(103)를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104)를 전,후방에 가지고 구비되는 프레임(105)과;
    상기 프레임(105)의 선측에 피더(102)로부터 공급되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에 다수개의 절개홈(106)을 형성하도록 구비하는 절개부(110)와;
    상기 절개부(110)의 후방에 절개홈(106)이 형성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폭을 넓히면서 절개홈(106)이 통공(107)으로 변형시키도록 설치하는 확장부(130)와;
    상기 확장부(130)의 후방에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확장된 폭과 절개홈(106)이 변형된 통공(107)이 제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롤러(151,152)를 가지고 설치되는 냉각부(150)와;
    상기 냉각부(150)의 후방에 폭이 넓어지고 통공(107)이 형성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에 고반사성과 저방사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일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시트(108)를 부착시키도록 설치하는 합지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2. 가공하고자 하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를 준비하여 공급하는 공급단계(S1)와;
    공급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에 등 간격으로 다수 개의 절개홈을 형성하는 절개홈형성단계(S2)와;
    절개홈이 형성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에 열을 가하여 폭을 넓히면서 절개홈이 통공 형상으로 변화시키는 확장단계(S3)와;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의 폭과 통공이 확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시키는 냉각단계(S4)와;
    냉각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시트를 부착시켜 통공을 통하여 알루미늄시트의 고유기능인 고반사 기능과 저방사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합지단계(S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사단열재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110)는 공급되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에 절개홈(106)을 형성하는 절개롤러(111)와;
    상기 절개롤러(111)의 후방에 설치하여 절개홈(106)이 형성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를 확장부(130)로 공급하는 상,하피딩롤러(112,113)로 구성하고;
    상기 절개롤러(111)는 프레임(105)에 유지되는 하부롤러(114)와;
    상기 하부롤러(114)의 상방에 위치하여 절개홈(106)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블레이드(115)를 가지는 상부롤러(116)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115)는 인접한 블레이드(115)와는 어긋난 위치에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블레이드(115)가 유지하는 날각도는 절개홈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마모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하부롤러(114)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60°이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130)는 입구(131)는 좁고 출구(132)는 넓은 상태로 프레임(105)에 유지되는 확장터널(133)과;
    상기 확장터널(133)의 양측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양측 가장자리를 잡고 이송시키는 이송수단(135)과;
    상기 확장터널(133)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면서 폭이 넓어지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변형을 돕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반사단열재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부(170)는 폭이 넓어지고 통공(107)이 형성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시트(108)를 부착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히팅롤러(171,172)와;
    상기 히팅롤러(171,172)의 후미 프레임(105)의 상,하측에 설치하여 합지할 알루미늄시트(108)를 히팅롤러(171,172)의 전방 상,하측으로 공급하는 알루미늄시 트피더(1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6.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롤러(111)의 상부롤러(116)와,
    상기 피딩롤러(112)의 상피딩롤러(113)와;
    상측에 위치하는 냉각롤러(151)와 히팅롤러(171)는 높이조절수단(175)에 의하여 공급되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101)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사단열재 제조에 사용되는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의 두께는 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사단열재 제조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에 형성되는 통공(107) 면적은 확장된 상태에서 ㎡에 대하여 60∼80%의 범위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가교발포폴리에틸렌시트에 형성되는 하나의 통공(107)이 2㎠이상의 크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사단열재 제조방법.
KR1020090029449A 2009-04-06 2009-04-06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및 방법 KR100908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449A KR100908189B1 (ko) 2009-04-06 2009-04-06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및 방법
EP10761798.7A EP2418332B1 (en) 2009-04-06 2010-02-22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flective heat insulator
PCT/KR2010/001064 WO2010117136A1 (ko) 2009-04-06 2010-02-22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및 방법
RU2011144506/05A RU2486321C1 (ru) 2009-04-06 2010-02-22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еплоизолятора
CN2010800016527A CN102037196B (zh) 2009-04-06 2010-02-22 热反射绝热件的制造装置及方法
JP2011510437A JP2011521187A (ja) 2009-04-06 2010-02-22 熱反射断熱材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2/952,151 US8267141B2 (en) 2009-04-06 2010-11-22 Heat insulator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449A KR100908189B1 (ko) 2009-04-06 2009-04-06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189B1 true KR100908189B1 (ko) 2009-07-16

Family

ID=4133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449A KR100908189B1 (ko) 2009-04-06 2009-04-06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1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551B1 (ko) * 2010-12-10 2013-05-06 주식회사 에스앤피 반사형 단열재 제조 장치
KR101792697B1 (ko) * 2016-02-22 2017-11-20 태민산업 주식회사 성형성이 우수한 열반사 단열재 제조방법
KR102215724B1 (ko) * 2020-09-15 2021-02-16 주식회사 청우산업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630B1 (ko) 2007-05-09 2008-05-09 월드메카텍(주) 난연성 알루미늄 복합패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630B1 (ko) 2007-05-09 2008-05-09 월드메카텍(주) 난연성 알루미늄 복합패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551B1 (ko) * 2010-12-10 2013-05-06 주식회사 에스앤피 반사형 단열재 제조 장치
KR101792697B1 (ko) * 2016-02-22 2017-11-20 태민산업 주식회사 성형성이 우수한 열반사 단열재 제조방법
KR102215724B1 (ko) * 2020-09-15 2021-02-16 주식회사 청우산업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8332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flective heat insulator
EP1491327B1 (en) Hollow structure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KR100908189B1 (ko)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및 방법
NO317217B1 (no) Fremgangsmate for fremstilling av en v\cekkestruktur laget av termisk smeltbart materiale, og innretning for utforelse av fremgangsmaten
WO2018113326A1 (zh) 压延机、发泡地板生产线及一次成型生产工艺
KR101603496B1 (ko) 단열재 제조장치
CN110722820A (zh) 贴合辊、贴合治具及柔性屏与弯曲盖板的贴合方法
JP2016513019A (ja) 高い裁断効率性で矩形単位体を製造する方法
CN211492876U (zh) 一种金塑复合板及其生产设备
KR20180106128A (ko) 반사율이 우수한 외장단열재의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 시스템으로 제조된 외장단열재
KR101129888B1 (ko)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KR101495006B1 (ko) 방수시트 또는 방근시트 제조장치의 냉각유니트
KR101261551B1 (ko) 반사형 단열재 제조 장치
KR101516932B1 (ko)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 제조방법과 그에 따른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 및 이를 이용한 초배지 도배 방법
KR101792697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열반사 단열재 제조방법
KR101488306B1 (ko) 벽지와 피이폼을 갖춘 보온시트의 제조방법
KR101584307B1 (ko) 엠보싱 무늬 단열재의 제조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엠보싱 무늬 단열재
CN206906738U (zh) 用于制造光学显示元件的系统
KR20160009121A (ko) 순차압공 방식에 의한 허니콤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60137018A (ko) 연결부가 구비된 단열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KR101722111B1 (ko)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211452B1 (ko) 진공단열재 제조 장치와 제조 방법 및 상기 장치와 방법에 의하여 만들어진 진공단열재
EP2072208B1 (en) Manufacture of insulating board
JP2011106727A (ja) 床暖房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09000934A (ja) 複合材料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