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724B1 -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724B1
KR102215724B1 KR1020200118370A KR20200118370A KR102215724B1 KR 102215724 B1 KR102215724 B1 KR 102215724B1 KR 1020200118370 A KR1020200118370 A KR 1020200118370A KR 20200118370 A KR20200118370 A KR 20200118370A KR 102215724 B1 KR102215724 B1 KR 102215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foam sheet
unit
retardant foam
lamina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산업
Priority to KR1020200118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8Closed cell foam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열압착하여 불연 단열 성능 및 시공성이 우수하도록 구현한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트 공급부가 난연폼 시트를 권취하고 있다가 제조 시 공급해 주며; 필름 공급부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하고 있다가 제조 시 공급해 주며; 압착부가 시트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난연폼 시트와 필름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압착시켜 주며; 압착 조절부가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의 압착 간격을 조절해 주며; 가열부가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이 부착되는 면을 가열해 주며; 가열 조절부가 가열부를 제어하여 가열 세기를 조절해 주며; 권취부가 압착부에서 압착시킨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해 준다.

Description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mbustible insulation materials}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laminate film)을 열압착하여 불연 단열 성능 및 시공성이 우수하도록 구현한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간은 겨울철의 경우에 난방기를 이용하여 난방이 이루어지고, 여름철의 경우에 에어컨을 이용하여 냉방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실내 공간의 냉난방 효율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단열을 통하여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단열재를 이용한 단열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대형 화재 사고로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가 발생하는데, 이런 화재 사고의 경우에 건물의 외벽을 난연 성능 및 불연 성능이 없는 단열재, 접착몰탈, 마감재로 시공을 하는 일명 '드라이비트 공법'으로 시공을 함으로써, 화재 확산 속도가 빠르고 이로 인해 피해가 더욱 커지는 것이다. 이에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을 개정하여 건축물 마감 재료의 화재 안전성 기준을 대폭 강화하고 있으며, 최근 건축법 개정으로 건축물 신축 시 단열재 시공규정이 강화되어, 3층 이상 건축물의 경우에 준불연단열재 시공이 의무화되고 있다.
기존 단열 시공에 사용되는 단열재의 대표적인 예로는, 스티로폼,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에틸렌이 주종을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우레탄 계열이 가장 우수한 열전도 특성을 갖고 있어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단열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발포 폴리우레탄의 경우, 화재 시 인화성이 높고, 화재 초기에 다량의 유독가스가 발생되는 등으로 사용상의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우수한 단열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페놀 폼 단열재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페놀 폼 단열재의 경우 강도가 비교적 약하고, 가공이 용이하지 않아 현장에서 단독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65299호(2020.01.10. 등록)는 준불연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단열재층과 표면층을 포함하는 준불연단열재로서, 표면층은 알루미늄 필름에 부직포가 결합되며, 부직포에 그라파이트; 바인더; 설탕; 및 중공실리카의 혼합액이 코팅 경화된 난연코팅층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난연성이 우수하며, 방수성이 우수하며, 화재 발생 시 유해가스의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단열성이 우수하며, 경량으로 단열재의 설치가 용이하며, 강도가 우수하며, 외관이 수려하며, 동시에 내구성이 우수한 준불연단열재 및 이를 생산성이 높게 제조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62562호(2012.06.28. 등록)는 단열재의 강도 및 취급성을 향상시킨 불연 고성능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실리카 분체 40~99중량%, 유기 섬유 단독 또는 유기 섬유와 무기 섬유의 혼용섬유로 된 보강섬유 0.5~20 중량%, 복사열 차단 첨가제 및 보강재 0~50 중량%를 건식 혼합 및 프레스 성형 후, 열수축필름으로 6면 랩핑(Wrapping) 포장(1~2회)한 것으로 열전도율 값이 0.025W/mK 이하인 것을 건조하거나 미건조 상태로 건식 혼합기에 투입하는 단계; 보강 섬유는 유기 섬유 단독 또는 유기 섬유와 무기 섬유를 같이 투입하여 건식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원료를 몰드 프레스 성형 또는 롤러 프레스 성형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단계; 프레스 성형 제품을 1회 또는 2회 랩핑(Wrapping) 포장하는 단계; 및 PE, LLDPE, PP, PVC, PET 중에서 선택되는 열수축필름으로 감싸주고 수축포장기를 이용하여 수축포장하는 단계; 또는 프레스 성형 제품을 PE 필름으로 감싸주고 열접착으로 씰링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스티로폼에 필름 또는 시트를 접착시키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 경우에 시트 접착의 어려움 및 비용 상승 등의 단점이 있으며, 스티로폼의 경우 롤 타입으로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시공 및 운반이 어려운 단점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6529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6256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laminate film)을 열압착하여 불연 단열 성능 및 시공성이 우수하도록 구현한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난연폼 시트를 권취하고 있다가 제조 시 공급해 주기 위한 시트 공급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하고 있다가 제조 시 공급해 주기 위한 필름 공급부; 상기 시트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난연폼 시트와 상기 필름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압착시켜 주기 위한 압착부;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의 압착 간격을 조절해 주기 위한 압착 조절부;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이 부착되는 면을 가열해 주기 위한 가열부;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가열 세기를 조절해 주기 위한 가열 조절부; 및 상기 압착부에서 압착시킨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해 주기 위한 권취부를 포함하는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시트 공급부는, 난연폼 시트가 기 설정된 장력으로 상기 압착부에 공급되도록 해 주는 복수 개의 안내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시트 공급부는, PE와 난연재가 배합 가교화되어 형성된 독립 기포가 제공하는 공기층을 구비한 난연 PE폼을 난연폼 시트로 형성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시트 공급부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선을 난연폼 시트에 생성시켜 주는 복수 개의 커터를 구비한 커터롤러; 및 상기 커터롤러에 의해 복수 개의 관통선이 생성된 난연폼 시트를 양측에서 잡아당겨 복수 개의 마름모 형태의 공간을 난연폼 시트에 형성시키는 당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시트 공급부는, 난연폼 시트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형성시켜 상기 마름모 형태의 공간 간의 공기 통로를 형성시키는 복수 개의 관통드릴을 구비한 관통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필름 공급부는, 라미네이트 필름이 기 설정된 장력으로 상기 압착부에 공급되도록 해 주는 복수 개의 안내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필름 공급부는, 알루미늄 필름을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필름 공급부는, 합성수지필름, 또는 합성수지필름과 다른 재질과 라미네이트한 것을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필름 공급부는, 라미네이트 필름에 메쉬를 형성시켜 주는 부착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필름 공급부는, 라미네이트 필름에 목질 섬유를 구비한 코팅몰탈을 일체로 접합 형성시켜 주는 몰탈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착부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시트 공급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시트 공급부에서 공급한 난연폼 시트를 상기 권취부로 이송시키는 제1롤러; 및 상기 제1롤러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필름 공급부에서 공급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난연폼 시트와 압착시켜 상기 권취부로 이송시키는 제2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제1롤러를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제2롤러를 상기 압착 조절부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제1롤러와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착부는, 라미네이트 필름, 난연폼 시트,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착부는, 제품 사양 또는 규격에 따라 난연폼 시트 또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다층으로 적층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착 조절부는, 상기 제2롤러의 일측에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여 상기 제2롤러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착 조절부는, 상기 제1롤러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제1롤러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보조 압착 조절부재; 상기 제1롤러에 형성되어, 상기 제2롤러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값을 제공하는 거리센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의 두께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기준 압착 간격을 저장해 두는 압착 메모리; 및 상기 거리센서에서 제공한 거리값이 상기 압착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압착 간격 이하인 경우에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보조 압착 조절부재에 입력하는 압착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부는, 일측에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관이 결합되어, 가스가 공급되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복수 개의 가스 분출구를 통하여 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부는,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상기 압착부로 공급하기 전에 예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 조절부는, 상기 가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가열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 및 상기 가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가열부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실린더는, 상기 가열부의 가열 세기가 센 경우에 상기 가열부를 하강시키며, 상기 가열부의 가열 세기가 약한 경우에 상기 가열부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실린더는, 난연폼 시트가 제대로 가열되지 않는 경우에 좌측으로 상기 가열부를 이동시키고, 라미네이트 필름이 제대로 가열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가열부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 조절부는, 제1구동신호에 따라 상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상기 가열부를 상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2구동신호에 따라 하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상기 가열부를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 상기 압착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온도를 감지하여 압착 온도값을 제공하는 온도센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이 부착되는 면을 가열하기 위한 최대온도값과 최소온도값을 각각 저장해 두는 가열 메모리;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제공한 압착 온도값이 상기 가열 메모리에 저장된 최대온도값 이상인 경우에 제1구동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1실린더에 입력하며, 상기 압착 온도값이 상기 최소온도값 이하인 경우에 제2구동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1실린더에 입력하는 가열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 조절부는, 상기 가열 제어수단에서 입력한 제1구동신호에 따라 좌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상기 가열부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가열 제어수단에서 입력한 제2구동신호에 따라 우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상기 가열부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온도센서는, 난연폼 시트 측과 라미네이드 필름 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온도를 각각 감지하여 좌측 온도값과 우측 온도값을 상기 가열 제어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 메모리는, 난연폼 시트를 가열하기 위한 시트 온도값과 라미네이트 필름을 가열하기 위한 필름 온도값을 각각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 제어수단은, 상기 온도센서에서 제공한 좌측 온도값이 상기 가열 메모리에 저장된 시트 온도값 이하인 경우에 제1구동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2실린더에 입력하며, 상기 온도센서에서 제공한 우측 온도값이 상기 가열 메모리에 저장된 필름 온도값 이하인 경우에 제2구동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2실린더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는, 상기 압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압착부가 과열되지 않도록 상기 압착부에 냉각수를 공급해 주기 위한 냉각수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각수 공급부는,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내부 공간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각수 공급부는, 상기 제2롤러의 일측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냉각수를 유입받아 상기 제2롤러의 내부 공간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유입부재; 상기 제2롤러의 다른 일측과 상기 제1롤러의 일측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제2롤러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제1롤러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부재; 및 상기 제1롤러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롤러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통로부재는, 개폐동작에 의해 상기 제2롤러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제1롤러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냉각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각수 공급부는, 상기 유입부재와 상기 제2롤러의 일측 사이, 상기 통로부재와 상기 제2롤러 사이, 상기 통로부재와 상기 제1롤러 사이, 상기 배출부재와 상기 제1롤러 사이에 냉각수가 새지 않도록 실링 처리하여 밀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는, 상기 압착부와 상기 권취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압착부에 의해 압착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상기 권취부로 가이드해 주기 위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권취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가이드되는 압착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일정 크기로 커팅해 주기 위한 커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시트 공급부가 난연폼 시트를 권취하고 있다가 제조 시 공급해 주는 단계; 필름 공급부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하고 있다가 제조 시 공급해 주는 단계; 가열 조절부가 가열부를 제어하여 가열 세기를 조절해 주며, 상기 가열부가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이 부착되는 면을 가열해 주는 단계; 압착 조절부가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의 압착 간격을 조절해 주며, 압착부가 상기 시트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난연폼 시트와 상기 필름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압착시켜 주는 단계; 및 권취부가 상기 압착부에서 압착시킨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준불연단열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laminate film)을 열압착하여 불연 단열 성능 및 시공성이 우수하도록 구현한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불연 단열 및 시공성이 우수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열융착시켜 롤 타입의 불연 단열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불연 단열재의 불연, 난연 기능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공급하여 자동으로 열압착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압착 조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가열 조절부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가열 조절부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냉각수 공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불연단열재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압착 조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있는 가열 조절부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있는 가열 조절부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있는 냉각수 공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10)는, 시트 공급부(100), 필름 공급부(200), 압착부(300), 압착 조절부(400), 가열부(500), 가열 조절부(600), 권취부(700)를 포함한다.
시트 공급부(100)는, 난연폼 시트를 권취하고 있다가, 제조 시 난연폼 시트를 압착부(300)로 공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 공급부(100)는, 복수 개의 안내롤러가 구비되어, 난연폼 시트가 안내롤러를 거쳐 기 설정된 장력으로 압착부(300)에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난연폼 시트는, PE와 난연재가 배합된 난연 PE폼일 수 있는데, PE와 난연재가 배합 가교화되어 형성된 독립 기포가 제공하는 공기층을 구비하여, 충격에너지 흡수력과 불연 단열성이 우수하고,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 보온 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밀도가 낮아 가볍고 유연함으로 밀착성이 우수하여 운반 및 취급이 간편하고 시공을 편리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 공급부(100)는, 복수 개의 커터를 구비한 커터롤러(미도시)와, 당김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커터롤러를 이용하여 상하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선을 난연폼 시트에 생성시킬 수 있으며, 해당 당김장치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관통선이 생성된 난연폼 시트를 양측에서 잡아당겨 복수 개의 마름모 형태의 공간을 난연폼 시트에 형성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해당 형성된 공기 공간에 의해 충격에너지 흡수력과 불연 단열성이 보다 더 우수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 공급부(100)는, 복수 개의 관통드릴을 구비한 관통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관통장치를 이용하여 난연폼 시트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형성시켜 복수 개의 공기 공간 간의 공기 통로를 형성해 줄 수 있으며, 이에 해당 형성된 공기 통로와 함께 공기 공간에 의해 충격에너지 흡수력과 불연 단열성이 더욱 더 우수하도록 해 줄 수 있다.
필름 공급부(200)는, 라미네이트 필름(laminate film)을 권취하고 있다가, 제조 시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부(300)로 공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필름 공급부(200)는, 복수 개의 안내롤러가 구비되어, 라미네이트 필름이 안내롤러를 거쳐 기 설정된 장력으로 압착부(300)에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은, 알루미늄 필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은, 합성수지필름 수 종류, 또는 합성수지필름과 다른 재질과 라미네이트(laminate)(엷은 판을 합함)한 것으로, 두께가 균일하여 작업 시 주름이 생기지 않으며, 열접착성이 우수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필름 공급부(200)는, 부착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트 필름에 메쉬를 형성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내구성이 뛰어나고, 구조적 안정성, 내화성능, 단열성능, 차수성능 등이 우수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필름 공급부(200)는, 몰탈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몰탈장치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트 필름에 목질 섬유를 구비한 코팅몰탈을 일체로 접합 형성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더욱 강하게 일체화되어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며, 목질 섬유에 의해 물을 먹으면 더욱 강해지는 현상이 있고, 또한 코팅몰탈에 뿜칠을 더 수행하여 더욱 상승효과를 커지게 할 수도 있다.
압착부(300)는, 시트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난연폼 시트와 필름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압착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압착부(300)는, 가열부(500)에 의해 부착면이 가열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하여 서로 부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압착부(300)는,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압착부(300)는, 제1롤러(310), 제2롤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롤러(310)는, 시트 공급부(100)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시트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난연폼 시트를 권취부(700)로 이송시켜 준다.
제2롤러(320)는, 제1롤러(310)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필름 공급부(200)로부터 라미네이트 필름을 공급받아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켜 권취부(700)로 이송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압착부(300)는, 제1롤러(310)의 경우에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설치하며, 제2롤러(320)의 경우에 압착 조절부(40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압착부(300)는,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0.5 ~ 2cm(바람직하게는, 1cm)로 압착해 줄 있으며, 라미네이트 필름, 난연폼 시트,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적층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제품 사양(또는, 1, 3, 6, 8, 12 규격)에 따라 시트 및 필름을 다층으로 적층 접합해 줄 수도 있다.
압착 조절부(400)는,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의 압착 간격을 조절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압착 조절부(400)는,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으며, 압착부(300)의 제2롤러(3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2롤러(32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압착 조절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압착 조절부재(410), 거리센서(420), 압착 메모리(430), 압착 제어수단(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압착 조절부재(410)는, 압착부(300)의 제1롤러(3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압착 제어수단(44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제1롤러(31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거리센서(420)는, 제1롤러(310)에 형성되어, 제2롤러(320)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된 거리값을 압착 제어수단(440)에 제공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거리센서(420)는, 레이저 거리 측정센서로서, 제1롤러(310)의 풀리에 형성되어, 제2롤러(320)의 풀리 사이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압착 메모리(430)는,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의 두께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 사이의 기준 압착 간격(예를 들어, 20 ~ 30mm)을 저장해 둔다.
압착 제어수단(440)은, 거리센서(420)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거리값이 압착 메모리(430)에 저장해 둔 기준 압착 간격 이하인 경우에 보조 압착 조절부재(41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보조 압착 조절부재(410)에 입력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압착 조절부(400)는,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 사이의 간격이 기준 압착 간격 이하로 위치되어,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 사이로 공급되는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이 강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손상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 사이의 간격이 기준 압착 간격 이하로 감지되는 경우에, 제1롤러(310)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 사이의 간격을 확보함으로써,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보호할 수 있다.
가열부(500)는, 압착부(300)의 하부 방향에 형성되어,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이 부착되는 면을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120 ~ 150도)로 가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가열부(500)는, 일측에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관이 결합되어, 가스가 공급되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복수 개의 가스 분출구를 통하여 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열부(500)는,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부(300)로 공급하기 전에 예열시켜 열접착되는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가열 조절부(600)는, 가열부(500)에 결합 형성되어, 가열부(500)를 제어(또는, 이동)하여 가열부(500)의 가열 세기를 조절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가열 조절부(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5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가열부(5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실린더(610), 가열부(5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가열부(50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실린더(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린더(610)는, 가열부(5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가열부(5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실린더(610)는, 가열부(500)의 가열 세기가 센 경우에 난연폼 시트 또는 라미네이트 필름이 지나치게 녹아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 가열부(500)를 하강시키며, 가열부(500)의 가열 세기가 약한 경우에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의 열압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 가열부(5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제2실린더(620)는, 가열부(5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가열부(50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실린더(620)는, 난연폼 시트가 제대로 가열되지 않는 경우에 좌측으로 가열부(500)를 이동시키고, 라미네이트 필름이 제대로 가열되지 않는 경우에 가열부(500)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열압착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열 조절부(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린더(610), 제2실린더(620), 온도센서(630), 가열 메모리(640), 가열 제어수단(65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실린더(610), 제2실린더(620)는, 도 3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제1실린더(610)는, 가열 제어수단(650)로부터 입력되는 제1구동신호에 따라 상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가열부(500)를 상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며, 가열 제어수단(650)로부터 입력되는 제2구동신호에 따라 하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가열부(500)를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제2실린더(620)는, 가열 제어수단(650)로부터 입력되는 제1구동신호에 따라 좌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가열부(500)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주며, 가열 제어수단(650)로부터 입력되는 제2구동신호에 따라 우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가열부(500)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준다.
온도센서(630)는, 압착부(300)에 형성되어, 가열부(500)에 의해 가열된 온도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된 압착 온도값을 가열 제어수단(650)에 제공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온도센서(630)는, 난연폼 시트 측(예로, 좌측)과 라미네이드 필름 측(예로,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가열부(500)에 의해 가열된 온도를 각각 감지하여 해당 감지된 좌측 온도값과 우측 온도값을 가열 제어수단(650)에 제공해 줄 수도 있다.
가열 메모리(640)는,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이 부착되는 면을 가열하기 위한 최대온도값과 최소온도값을 각각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가열 메모리(640)는, 난연폼 시트를 가열하기 위한 시트 온도값과 라미네이트 필름을 가열하기 위한 필름 온도값을 각각 저장해 둘 수도 있다.
가열 제어수단(650)은, 온도센서(630)로부터 제공되는 압착 온도값과 가열 메모리(640)에 저장해 둔 최대온도값 또는 최소온도값을 비교하며, 압착 온도값이 최대온도값 이상인 경우에 제1실린더(610)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신호를 생성시켜 제1실린더(610)에 입력해 주며, 압착 온도값이 최소온도값 이하인 경우에 제1실린더(610)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신호를 생성시켜 제1실린더(610)에 입력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가열 조절부(600)는, 온도센서(630)로부터 제공되는 압착 온도값이 최대온도값 이상인 경우에 난연폼 시트 또는 라미네이트 필름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 제1실린더(610)가 가열부(500)를 하강시켜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며, 온도센서(630)로부터 제공되는 압착 온도값이 최소온도값 이하인 경우에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의 열압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 제1실린더(610)가 가열부(500)를 상승시켜 온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온도센서(630)로부터 제공되는 압착 온도값에 따라 자동으로 제1실린더(6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작업자가 일일이 감시하지 않아도 되며, 불량품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열 제어수단(650)은, 온도센서(630)로부터 제공되는 좌측 온도값과 가열 메모리(640)에 저장해 둔 시트 온도값을 비교하며, 좌측 온도값이 시트 온도값 이하인 경우에 제2실린더(620)를 좌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신호를 생성시켜 제2실린더(620)에 입력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온도센서(630)로부터 제공되는 우측 온도값과 가열 메모리(640)에 저장해 둔 필름 온도값을 비교하며, 우측 온도값이 필름 온도값 이하인 경우에 제2실린더(620)를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신호를 생성시켜 제2실린더(620)에 입력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열 조절부(600)는, 온도센서(630)로부터 제공되는 좌측 온도값이 시트 온도값 이하인 경우에 난연폼 시트가 제대로 가열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 제2실린더(620)가 가열부(500)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난연폼 시트의 열압착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주며, 온도센서(630)로부터 제공되는 우측 온도값이 필름 온도값 이하인 경우에 라미네이트 필름이 제대로 가열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 제2실린더(620)가 가열부(500)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라미네이트 필름의 열압착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온도센서(630)로부터 제공되는 좌측 온도값 또는 우측 온도값에 따라 자동으로 제2실린더(62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작업자가 일일이 감시하지 않아도 되며, 불량품을 줄일 수 있다.
권취부(700)는, 압착부(300)에 의해 압착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권취부(700)는,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면서 부착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10)는, 냉각수 공급부(800)(도 5 참조), 가이드부(900)(도 1 참조), 커팅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수 공급부(800)는, 압착부(300)에 연결되어, 압착부(300)가 과열되지 않도록 압착부(300)에 냉각수를 공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냉각수 공급부(800)는,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의 내부 공간으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냉각수 공급부(8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재(미도시), 통로부재(820), 배출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재는, 압착부(300)의 제2롤러(320)의 일측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냉각수를 유입받아, 제2롤러(320)의 내부 공간으로 냉각수를 공급해 준다.
통로부재(820)는, 제2롤러(320)의 다른 일측과 제1롤러(310)의 일측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제2롤러(32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 냉각수를 제1롤러(3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통로부재(820)는, 밸브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밸브의 개폐동작에 의해 제2롤러(32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 냉각수를 제1롤러(3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냉각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배출부재는, 제1롤러(31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제1롤러(3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냉각수 공급부(800)는, 유입부재와 제2롤러(320)의 일측 사이, 통로부재(820)와 제2롤러(320) 사이, 통로부재(820)와 제1롤러(310) 사이, 배출부재와 제1롤러(310) 사이에는 냉각수가 새지 않도록 실링 처리하여 밀봉하도록 해 줄 수 있다.
가이드부(900)는, 압착부(300)와 권취부(700) 사이에 형성되며, 압착부(300)에 의해 압착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부(700)로 가이드해 준다.
커팅부는, 가이드부(900)와 권취부(700) 사이에 형성되며, 가이드부(900)를 통해 가이드되는 압착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일정 크기로 커팅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10)는,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열압착하여 불연 단열 성능 및 시공성이 우수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불연 단열 및 시공성이 우수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열융착시켜 롤 타입의 불연 단열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불연 단열재의 불연, 난연 기능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공급하여 자동으로 열압착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는, 이에 의해 제조된 준불연단열재가 시공 시 또는 철거 시 별도의 점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도록 해 줄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준불연단열재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시트 공급부(100)에서는, 난연폼 시트를 권취하고 있다가, 제조 시 난연폼 시트를 압착부(300)로 공급해 주게 된다(S601).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1에서 난연폼 시트를 공급함에 있어서, 복수 개의 안내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시트 공급부(100)에서는, 난연폼 시트가 해당 안내롤러를 거쳐 기 설정된 장력으로 압착부(300)에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1에서 난연폼 시트를 공급함에 있어서, 시트 공급부(100)에서는, PE와 난연재가 배합 가교화되어 형성된 독립 기포가 제공하는 공기층을 구비하고 있는 난연 PE폼으로 난연폼 시트를 형성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1에서 난연폼 시트를 공급함에 있어서, 복수 개의 커터를 구비한 커터롤러와, 당김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시트 공급부(100)에서는, 해당 커터롤러를 이용하여 상하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선을 난연폼 시트에 생성시킬 수 있으며, 해당 당김장치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관통선이 생성된 난연폼 시트를 양측에서 잡아당겨 복수 개의 마름모 형태의 공간을 난연폼 시트에 형성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해당 형성된 공기 공간에 의해 충격에너지 흡수력과 불연 단열성이 보다 더 우수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1에서 난연폼 시트를 공급함에 있어서, 복수 개의 관통드릴을 구비한 관통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시트 공급부(100)에서는, 해당 관통장치를 이용하여 난연폼 시트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형성시켜 복수 개의 공기 공간 간의 공기 통로를 형성해 줄 수 있으며, 이에 해당 형성된 공기 통로와 함께 공기 공간에 의해 충격에너지 흡수력과 불연 단열성이 더욱 더 우수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1에서 난연폼 시트를 공급함과 공시에, 필름 공급부(200)에서는, 라미네이트 필름(laminate film)을 권취하고 있다가, 제조 시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부(300)로 공급해 주게 된다(S602).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2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을 공급함에 있어서, 복수 개의 안내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필름 공급부(200)에서는, 라미네이트 필름이 안내롤러를 거쳐 기 설정된 장력으로 압착부(300)에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2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을 공급함에 있어서, 필름 공급부(200)에서는, 알루미늄 필름이나, 합성수지필름 수 종류, 또는 합성수지필름과 다른 재질과 라미네이트(laminate)(엷은 판을 합함)한 것으로 라미네이트 필름을 형성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2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을 공급함에 있어서, 부착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필름 공급부(200)에서는, 해당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트 필름에 메쉬를 형성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내구성이 뛰어나고, 구조적 안정성, 내화성능, 단열성능, 차수성능 등이 우수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2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을 공급함에 있어서, 몰탈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필름 공급부(200)에서는, 해당 몰탈장치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트 필름에 목질 섬유를 구비한 코팅몰탈을 일체로 접합 형성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더욱 강하게 일체화되어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며, 목질 섬유에 의해 물을 먹으면 더욱 강해지는 현상이 있고, 또한 코팅몰탈에 뿜칠을 더 수행하여 더욱 상승효과를 커지게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2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을 공급해 주게 되면, 압착부(300)의 하부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가열부(500)에서는,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이 부착되는 면을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120 ~ 150도)로 가열해 주게 된다(S603).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3에서 부착면을 가열함에 있어서, 일측에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관이 결합되어 있는 가열부(500)에서는, 가스가 공급되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복수 개의 가스 분출구를 통하여 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3에서 부착면을 가열함에 있어서, 가열부(500)에서는,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부(300)로 공급하기 전에 예열시켜 열접착되는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3에서 부착면을 가열함에 있어서, 가열부(500)에 결합 형성되어 있는 가열 조절부(600)에서는, 가열부(500)를 제어(또는, 이동)하여 가열부(500)의 가열 세기를 조절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3에서 부착면을 가열함에 있어서, 제1실린더(610), 제2실린더(620)를 포함하고 있는 가열 조절부(600)에서는, 가열부(5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실린더(610)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가열부(5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으며, 가열부(5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실린더(620)가,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가열부(50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3에서 부착면을 가열함에 있어서, 제1실린더(610)에서는, 가열부(500)의 가열 세기가 센 경우에 난연폼 시트 또는 라미네이트 필름이 지나치게 녹아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 가열부(500)를 하강시키며, 가열부(500)의 가열 세기가 약한 경우에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의 열압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 가열부(5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3에서 부착면을 가열함에 있어서, 제2실린더(620)에서는, 난연폼 시트가 제대로 가열되지 않는 경우에 좌측으로 가열부(500)를 이동시키고, 라미네이트 필름이 제대로 가열되지 않는 경우에 가열부(500)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열압착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3에서 부착면을 가열함에 있어서, 제1실린더(610), 제2실린더(620), 온도센서(630), 가열 메모리(640), 가열 제어수단(650)을 포함하고 있는 가열 조절부(600)에서는, 압착부(300)에 형성되어 있는 온도센서(630)가, 가열부(500)에 의해 가열된 온도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된 압착 온도값을 가열 제어수단(650)에 제공해 주며; 가열 메모리(640)가,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이 부착되는 면을 가열하기 위한 최대온도값과 최소온도값을 각각 저장해 두며; 제어수단(650)이, 온도센서(630)로부터 제공되는 압착 온도값과 가열 메모리(640)에 저장해 둔 최대온도값 또는 최소온도값을 비교하며, 압착 온도값이 최대온도값 이상인 경우에 제1실린더(610)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신호를 생성시켜 제1실린더(610)에 입력해 주며, 압착 온도값이 최소온도값 이하인 경우에 제1실린더(610)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신호를 생성시켜 제1실린더(610)에 입력해 주며; 이에 제1실린더(610)가, 가열 제어수단(650)로부터 입력되는 제1구동신호에 따라 상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가열부(500)를 상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며, 가열 제어수단(650)로부터 입력되는 제2구동신호에 따라 하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가열부(500)를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3에서 부착면을 가열함에 있어서, 가열 조절부(600)에서는, 온도센서(630)로부터 제공되는 압착 온도값이 최대온도값 이상인 경우에 난연폼 시트 또는 라미네이트 필름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 제1실린더(610)가 가열부(500)를 하강시켜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며, 온도센서(630)로부터 제공되는 압착 온도값이 최소온도값 이하인 경우에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의 열압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 제1실린더(610)가 가열부(500)를 상승시켜 온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온도센서(630)로부터 제공되는 압착 온도값에 따라 자동으로 제1실린더(6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작업자가 일일이 감시하지 않아도 되며, 불량품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3에서 부착면을 가열함에 있어서, 제1실린더(610), 제2실린더(620), 온도센서(630), 가열 메모리(640), 가열 제어수단(650)을 포함하고 있는 가열 조절부(600)에서는, 난연폼 시트 측(예로, 좌측)과 라미네이드 필름 측(예로,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온도센서(630)가, 가열부(500)에 의해 가열된 온도를 각각 감지하여 해당 감지된 좌측 온도값과 우측 온도값을 가열 제어수단(650)에 제공해 줄 수도 있으며; 가열 메모리(640)가, 난연폼 시트를 가열하기 위한 시트 온도값과 라미네이트 필름을 가열하기 위한 필름 온도값을 각각 저장해 둘 수도 있으며; 가열 제어수단(650)이, 온도센서(630)로부터 제공되는 좌측 온도값과 가열 메모리(640)에 저장해 둔 시트 온도값을 비교하며, 좌측 온도값이 시트 온도값 이하인 경우에 제2실린더(620)를 좌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신호를 생성시켜 제2실린더(620)에 입력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온도센서(630)로부터 제공되는 우측 온도값과 가열 메모리(640)에 저장해 둔 필름 온도값을 비교하며, 우측 온도값이 필름 온도값 이하인 경우에 제2실린더(620)를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신호를 생성시켜 제2실린더(620)에 입력해 줄 수 있으며; 이에 제2실린더(620)가, 가열 제어수단(650)로부터 입력되는 제1구동신호에 따라 좌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가열부(500)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주며, 가열 제어수단(650)로부터 입력되는 제2구동신호에 따라 우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가열부(500)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3에서 부착면을 가열함에 있어서, 가열 조절부(600)에서는, 온도센서(630)로부터 제공되는 좌측 온도값이 시트 온도값 이하인 경우에 난연폼 시트가 제대로 가열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 제2실린더(620)가 가열부(500)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난연폼 시트의 열압착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주며, 온도센서(630)로부터 제공되는 우측 온도값이 필름 온도값 이하인 경우에 라미네이트 필름이 제대로 가열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 제2실린더(620)가 가열부(500)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라미네이트 필름의 열압착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온도센서(630)로부터 제공되는 좌측 온도값 또는 우측 온도값에 따라 자동으로 제2실린더(62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작업자가 일일이 감시하지 않아도 되며, 불량품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3에서 부착면을 가열해 준 다음에, 압착부(300)에서는, 시트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난연폼 시트와 필름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압착시켜 주게 된다(S604).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4에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킴에 있어서, 압착부(300)에서는, 가열부(500)에 의해 부착면이 가열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하여 서로 부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4에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킴에 있어서, 압착부(300)에서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4에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킴에 있어서, 제1롤러(310), 제2롤러(320)를 포함하고 있는 압착부(300)에서는, 시트 공급부(100)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제1롤러(310)가, 시트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난연폼 시트를 권취부(700)로 이송시켜 주며, 제1롤러(310)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제2롤러(320)가, 필름 공급부(200)로부터 라미네이트 필름을 공급받아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켜 권취부(700)로 이송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4에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킴에 있어서, 압착부(300)에서는, 제1롤러(310)의 경우에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설치하며, 제2롤러(320)의 경우에 압착 조절부(40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4에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킴에 있어서, 압착부(300)에서는,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0.5 ~ 2cm(바람직하게는, 1cm)로 압착해 줄 있으며, 라미네이트 필름, 난연폼 시트,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적층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제품 사양(또는, 1, 3, 6, 8, 12 규격)에 따라 시트 및 필름을 다층으로 적층 접합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4에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킴에 있어서, 압착 조절부(400)에서는,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의 압착 간격을 조절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4에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킴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를 구비하고 압착부(300)의 제2롤러(320)의 일측에 형성되어있는 압착 조절부(400)에서는, 제2롤러(32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4에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킴에 있어서, 보조 압착 조절부재(410), 거리센서(420), 압착 메모리(430), 압착 제어수단(440)을 더 포함하고 있는 압착 조절부(400)에서는, 제1롤러(310)에 형성되어 있는 거리센서(420)가, 제2롤러(320)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된 거리값을 압착 제어수단(440)에 제공해 주며; 압착 메모리(430)가,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의 두께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 사이의 기준 압착 간격(예를 들어, 20 ~ 30mm)을 저장해 두며; 압착 제어수단(440)이, 거리센서(420)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거리값이 압착 메모리(430)에 저장해 둔 기준 압착 간격 이하인 경우에 보조 압착 조절부재(41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보조 압착 조절부재(410)에 입력해 주며; 이에 보조 압착 조절부재(410)는, 압착부(300)의 제1롤러(3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압착 제어수단(44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제1롤러(31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4에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킴에 있어서, 거리센서(420)에서는, 제1롤러(310)의 풀리에 형성되어 있는 레이저 거리 측정센서인 경우에, 제2롤러(320)의 풀리 사이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4에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킴에 있어서,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 사이의 간격이 기준 압착 간격 이하로 위치되어 있는 압착 조절부(400)에서는,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 사이로 공급되는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이 강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손상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 사이의 간격이 기준 압착 간격 이하로 감지되는 경우에, 제1롤러(310)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 사이의 간격을 확보함으로써,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4에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킴에 있어서, 압착부(300)에 연결되어 있는 냉각수 공급부(800)에서는, 압착부(300)가 과열되지 않도록 압착부(300)에 냉각수를 공급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4에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킴에 있어서, 냉각수 공급부(800)에서는,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의 내부 공간으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4에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킴에 있어서, 유입부재, 통로부재(820), 배출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냉각수 공급부(800)에서는, 압착부(300)의 제2롤러(320)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는 유입부재가, 외부로부터 냉각수를 유입받아, 제2롤러(320)의 내부 공간으로 냉각수를 공급해 주며; 제2롤러(320)의 다른 일측과 제1롤러(310)의 일측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있는 통로부재(820)가, 제2롤러(32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 냉각수를 제1롤러(3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해 주며; 제1롤러(31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부재가, 제1롤러(3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4에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킴에 있어서,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통로부재(820)에서는, 해당 밸브의 개폐동작에 의해 제2롤러(32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 냉각수를 제1롤러(3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냉각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4에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킴에 있어서, 냉각수 공급부(800)에서는, 유입부재와 제2롤러(320)의 일측 사이, 통로부재(820)와 제2롤러(320) 사이, 통로부재(820)와 제1롤러(310) 사이, 배출부재와 제1롤러(310) 사이에는 냉각수가 새지 않도록 실링 처리하여 밀봉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4에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압착시킨 후에, 권취부(700)에서는, 압착부(300)에 의해 압착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해 주게 된다(S605).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5에서 압착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함에 있어서, 권취부(700)에서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면서 부착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5에서 압착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함에 있어서, 압착부(300)와 권취부(70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900)에서는, 압착부(300)에 의해 압착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부(700)로 가이드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 S605에서 압착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함에 있어서, 가이드부(900)와 권취부(70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커팅부에서는, 가이드부(900)를 통해 가이드되는 압착된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일정 크기로 커팅해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100: 시트 공급부
200: 필름 공급부
300: 압착부
310: 제1롤러
320: 제2롤러
400: 압착 조절부
410: 보조 압착 조절부재
420: 거리센서
430: 압착 메모리
440: 압착 제어수단
500: 가열부
600: 가열 조절부
610: 제1실린더
620: 제2실린더
630: 온도센서
640: 가열 메모리
650: 가열 제어수단
700: 권취부
800: 냉각수 공급부
820: 통로부재
900: 가이드부

Claims (5)

  1. 난연폼 시트를 권취하고 있다가 제조 시 공급해 주기 위한 시트 공급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하고 있다가 제조 시 공급해 주기 위한 필름 공급부; 상기 시트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난연폼 시트와 상기 필름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압착시켜 주기 위한 압착부;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의 압착 간격을 조절해 주기 위한 압착 조절부;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이 부착되는 면을 가열해 주기 위한 가열부;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가열 세기를 조절해 주기 위한 가열 조절부; 및 상기 압착부에서 압착시킨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해 주기 위한 권취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트 공급부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선을 난연폼 시트에 생성시켜 주는 복수 개의 커터를 구비한 커터롤러; 상기 커터롤러에 의해 복수 개의 관통선이 생성된 난연폼 시트를 양측에서 잡아당겨 복수 개의 마름모 형태의 공간을 난연폼 시트에 형성시키는 당김장치; 및 난연폼 시트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형성시켜 상기 마름모 형태의 공간 간의 공기 통로를 형성시키는 복수 개의 관통드릴을 구비한 관통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공급부는,
    PE와 난연재가 배합 가교화되어 형성된 독립 기포가 제공하는 공기층을 구비한 난연 PE폼을 난연폼 시트로 형성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공급부는,
    라미네이트 필름이 기 설정된 장력으로 상기 압착부에 공급되도록 해 주는 복수 개의 안내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5. 시트 공급부가 난연폼 시트를 권취하고 있다가 제조 시 공급해 주는 단계; 필름 공급부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하고 있다가 제조 시 공급해 주는 단계; 가열 조절부가 가열부를 제어하여 가열 세기를 조절해 주며, 상기 가열부가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이 부착되는 면을 가열해 주는 단계; 압착 조절부가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의 압착 간격을 조절해 주며, 압착부가 상기 시트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난연폼 시트와 상기 필름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압착시켜 주는 단계; 및 권취부가 상기 압착부에서 압착시킨 난연폼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을 권취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트 공급부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선을 난연폼 시트에 생성시켜 주는 복수 개의 커터를 구비한 커터롤러; 상기 커터롤러에 의해 복수 개의 관통선이 생성된 난연폼 시트를 양측에서 잡아당겨 복수 개의 마름모 형태의 공간을 난연폼 시트에 형성시키는 당김장치; 및 난연폼 시트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형성시켜 상기 마름모 형태의 공간 간의 공기 통로를 형성시키는 복수 개의 관통드릴을 구비한 관통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단열재 제조 방법.
KR1020200118370A 2020-09-15 2020-09-15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215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370A KR102215724B1 (ko) 2020-09-15 2020-09-15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370A KR102215724B1 (ko) 2020-09-15 2020-09-15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724B1 true KR102215724B1 (ko) 2021-02-16

Family

ID=7468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370A KR102215724B1 (ko) 2020-09-15 2020-09-15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7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189B1 (ko) * 2009-04-06 2009-07-16 송정곤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162562B1 (ko) 2009-06-05 2012-07-05 오씨아이 주식회사 불연 고성능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03496B1 (ko) * 2015-10-08 2016-03-25 프라임에너텍(주) 단열재 제조장치
KR101615076B1 (ko) * 2015-12-31 2016-04-29 신승용 전체면에 비철금속박막필름이 열융착된 밀폐단열판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밀폐단열판
KR102065299B1 (ko) 2019-04-04 2020-01-10 대한폴리텍(주) 준불연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189B1 (ko) * 2009-04-06 2009-07-16 송정곤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162562B1 (ko) 2009-06-05 2012-07-05 오씨아이 주식회사 불연 고성능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03496B1 (ko) * 2015-10-08 2016-03-25 프라임에너텍(주) 단열재 제조장치
KR101615076B1 (ko) * 2015-12-31 2016-04-29 신승용 전체면에 비철금속박막필름이 열융착된 밀폐단열판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밀폐단열판
KR102065299B1 (ko) 2019-04-04 2020-01-10 대한폴리텍(주) 준불연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0092B2 (en) Technology for attaching facing system to insulation product
US964478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vacuum insulation panels
US10160190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sealing tape roll
US20070295457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honeycomb composite material
CN110792879B (zh) 一种不惧表面破损真空绝热板材的加工工艺
US20060083889A1 (en) Laminated duct board
US111433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ber reinforced aerogel insulation
US11614196B2 (en) Fiber reinforced aerogel insulation
US20200353642A1 (en) Fiber reinforced aerogel insulation and method therefor
KR102215724B1 (ko) 준불연단열재 제조 장치 및 방법
US20140283941A1 (en) Seamless, self-insulated foam duct an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4953644A (zh) 一种纤维增强热塑性保温板及其制备方法
CN217514710U (zh) 一种纤维增强热塑性保温板
KR101990483B1 (ko) 층간차음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2853A (ko) 단열보드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열보드 제작방법
KR100916845B1 (ko) 방수층 보호시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층 보호재
KR101171696B1 (ko) 차음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6013646B (zh) 一种新型高分子面防水装饰保温复合板及其成型工艺
US200903049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moformed components comprising a core between continuous films
KR20160101505A (ko) 자착식 일체형 복합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착식 일체형 복합 방수시트
CN108016756B (zh) 一种保冷箱
EP339380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vacuum insulation panels
WO2001009445A2 (en) Technology for attaching facing system to insulation product
KR100848575B1 (ko) 방통 테이프 및 방수층 보호재 제조방법
KR101261551B1 (ko) 반사형 단열재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