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932B1 -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932B1
KR100906932B1 KR1020070121377A KR20070121377A KR100906932B1 KR 100906932 B1 KR100906932 B1 KR 100906932B1 KR 1020070121377 A KR1020070121377 A KR 1020070121377A KR 20070121377 A KR20070121377 A KR 20070121377A KR 100906932 B1 KR100906932 B1 KR 100906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ameter
manufacturing
expansion
receiver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3190A (ko
Inventor
유기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ublication of KR20080053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6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in openings, e.g. rollin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4Reducing;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6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파이프 스토퍼부재(40)와, 직경축소부재(50)와, 제 2 파이프 스토퍼부재(60)와, 가압고정부재(70), 상기 파이프부재(13)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확관돌기부(81)가 돌설된 확관부재(80)를 포함한 제조 장치로, 파이프고정공정과, 협관부형성공정과, 파이프결합공정과, 가압고정공정과, 확관부형성공정을 순차적으로 행하여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를 제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를 형성하는 파이프부재(13)에 하부캡(30)의 필터부재(12) 및 건조제(11)가 걸려 지지되는 제 1, 2 단턱부(13b, 13d)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이를 형성하는 제조 장치를 단순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제조장치가 간단하고, 이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 공정을 완전히 자동화시킬 수 있어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 제조 시 소요되는 인력을 줄이고,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어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civer Drier Tank}
본 발명은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내측에 일체로 단턱부를 형성함에 있어 공정의 자동화와 제조 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시버 드라이어는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에 설치되어서 응축기로부터 유입된 액상의 냉매를 냉방부하에 따라 필요한 양을 증발기로 공급 가능하도록 일시적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팽창밸브로 완전한 액상의 냉매를 공급하고 응축기로부터 응축되지 않은 가스상태의 냉매를 흡습하도록 냉매에 포함된 수분이나 기포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리시버 드라이어가 응축기의 출구가 아닌 그 유로 상에 위치하여서 냉매의 액영역이 리시버 드라이어 내에서 발달될 때까지 공급되고, 리시버 드라이어의 하부 측에는 액이 냉각되는 과냉각 영역으로 이용되어 안정된 성능과 건도를 유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리시버 드라이어가 결합된 응축기(1)를 나타낸다.
응축기(1)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탱크(2)(3)와, 상기 탱크(2)(3)를 연통시키는 다수개의 튜브(4)와, 상기 튜브(4)들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핀(5)과, 상기 제1탱크(2)에 설치되는 입구 및 출구 파이프(6)(6a)와, 상기 탱크(2)(3)내에 설치되는 배플(7)과, 상기 제2탱크(3)와 연통되는 리시버 드라이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00)는 상기 제2탱크(3)와 연통되는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8)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의 상,하단부를 밀폐시키는 상,하부캡(20)(30)과, 상기 리시버 탱크(10) 내부에 설치되는 건조제(11)와, 필터부재(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0)는 상부에 상부캡(20)이 고정되어 장착되고, 하단부에 분리 가능한 하부캡(30)이 결합되어 밀폐되는 것이며, 내부에 건조제(11)를 삽입한 다음, 필터부재(12)가 구비된 하부캡(30)를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캡(30)은 통상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의 하부에 나사결합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필터부재(12)의 교체 및 수리,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는 상기 하부캡(30)의 상부에 구비되는 필터부재(12)의 상단부가 걸려 지지되는 단턱부(10a)가 내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단턱부(10a)는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의 내주면을 절삭하거나, 하단부를 확관시켜 내경에서 차이가 발생하도록 하여 형성하고 있으며, 도 2에서 도시 한 국내 특허 등록 제0558016호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용 압출 파이프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서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용 압출 파이프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압출파이프(140)의 일측으로 맨드릴(142)을 끼워 고정한 후, 상기 맨드릴(142)을 스토퍼(144)로 지지한 후 압출파이프(140)의 끝단부 하측면을 하부클램프(146)의 하부홈(148)에 안치한 다음 하부클램프(146)에 안치된 압출파이프(140)를 상측에서 제1실린더(160)의 제1실린더축(162)에 의하여 작동하는 상부클램프(150)의 상부홈(152)으로 가압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압출파이프(14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2실린더(168)의 제2실린더축(170)에 고정된 펀치(164)를 범핑(Bumping)하여 충격을 압출파이프(140)의 끝단부분에 가하여 펀치(164)의 성형축(166) 외경으로 압출파이프(140)의 두께를 증가하여 두께증가부(141)를 형성하도록 한다.
즉, 상기 펀치(164)가 압출파이프(140)의 끝단부분을 가압하여 밀어주어서 압출파이프(140)의 내경을 결국에는 펀치(164)의 성형축(166)의 외경 만큼 내측으로 축소하여 압출파이프(140)의 두께를 증대시켜 두께증가부(141)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압출파이프(140)의 두께증가부에 탭의 탭나사부로 암나사부을 형성한 후 상기 압출파이프(140)의 외측면에 로울러로 가압하여 가압홈을 형성한 후, 인서트링의 요홈부에 압입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거쳐서 리시버 드라이어탱크의 압출파이프를 제조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제조 방법은 통상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내주면에 단턱부를 형성하기 위해 내측면을 절삭가공한 후 확관 가공을 거쳐야 함으로 가공공정 수가 많고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국내 특허 등록 제0558016호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용 압출 파이프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요구되는 장치가 많아 제조 공정 수가 증대되고, 많은 인력이 소모되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내주면에 단턱부를 일체로 절곡시켜 간단히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 수를 줄이고, 공정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를 형성하는 파이프부재가 결합하는 파이프결합구멍이 뚫려져 형성되며, 파이프결합구멍 내에서 파이프부재를 고정시키는 제 1 파이프 스토퍼부재와, 파이프부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단 외측부에 상기 파이프부재의 단부가 결합하는 것을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부가 형성된 협관홈이 상부에 파여진 직경축소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가 결합하는 파이 프구멍이 뚫려져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구멍의 내주면을 따라 돌설되는 단턱지지부가 형성된 제 2 파이프 스토퍼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부로 결합하여 직경축소부재로 축소된 직경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봉을 구비한 가압고정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확관돌기부가 돌설된 확관부재를 포함한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되는 것이다.
또한, 이를 이용한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은 관형상의 파이프부재를 제 1 파이프 스토퍼부재의 일 측으로 일부분 돌출되도록 제 1 파이프 스토퍼부재의 파이프결합구멍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파이프고정공정과, 상기 파이프고정공정으로 제 1 파이프 스토퍼부재에 고정된 파이프부재의 돌출된 단부를 직경축소부재의 협관홈으로 끼워 결합하여 직경을 축소시켜 파이프부재의 단부에 협관부를 형성하는 협관부형성공정과, 상기 협관부형성공정을 거친 파이프부재를 제 1 파이프 스토퍼부재 및 직경축소부재에서 분리하여 단턱지지부 내로 협관부가 통과되도록 제 2 파이프 스토퍼부재의 파이프구멍으로 결합시키는 파이프결합공정과, 상기 파이프결합공정을 거쳐 제 2 파이프 스토퍼부재에 결합된 파이프부재의 일 측으로 가압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가압고정부재의 단부로 협관부의 내측 단부를 가압하여 파이프부재를 고정하는 가압고정공정과, 상기 가압고정공정으로 제 2 파이프 스토퍼부재에 고정된 파이프부재의 협관부의 단부로 확관부재의 확관돌기부를 결합하여 협관부를 확관시켜 확관부를 형성하는 확관부형성공정이 순차적으로 행해짐으로써 해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를 형성하는 파이프부재에 하부캡의 필터부재 및 건조제가 걸려 지지되는 제 1, 2 단턱부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이를 형성하는 제조 장치를 단순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 공정을 완전히 자동화시킬 수 있어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제조 시 소요되는 인력을 줄이고,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어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인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제 1 파이프 스토퍼부재, 직경축소부재, 제 2 파이프 스토퍼부재, 가압고정부재, 확관부재의 개략적인 형상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인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4a는 파이프고정공정, 도 4b 및 도 4c는 협관부형성공정, 도 4d는 파이프결합공정, 도 4e는 가압고정공정, 도 4f 및 도 4g는 확관부형성공정, 도 4h는 마무리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으로 제조된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를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로서, 외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단턱지는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으로 제조된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장착 상태도로서, 본 발명으로 제조된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가 응축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는 관형상의 파이프부재(13)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부재(13)는 통상 원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 파이프를 사용하며, 직경과 길이는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의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어 설계 시 결정되는 것이다.
상기 파이프부재(13)는 통상 압출 성형되며, 압출 성형된 파이프부재(13)는 제 1 파이프 스토퍼부재(40)에 결합하여 고정된다.
상기 제 1 파이프 스토퍼부재(40)는 압출 성형된 관형상의 파이프부재(13)의 직경에 대응되는 파이프결합구멍(41)이 뚫려져 형성된다.
또 상기 제 1 파이프 스토퍼부재(4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파이프결합구멍(41)으로 결합된 파이프부재(13)를 잡아 고정하는 클램프수단을 구비하며, 이 클램프수단은 파이프부재(13)를 잡아 고정할 수 있는 어떠한 것도 가능하며 공지된 종래의 파이프 클램프 수단을 포함하므로 상세한 구성과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상기 파이프부재(13)는 상기 제 1 파이프 스토퍼부재(40)의 하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파이프결합구멍(41)으로 결합하여 클램프수단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파이프부재(13)의 돌출된 부분은 직경축소부재(50)에 결합하여 직경이 축소된 협관부(13a)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직경축소부재(50)는 일면에 상기 파이프부재(1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파이프부재(13)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소정의 깊이로 파여지는 협관홈(51)이 형성된다.
상기 협관홈(51)은 상기 직경축소부재(50)의 일면에 상기 파이프부재(1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수직으로 세워져 돌설되는 가이드 돌기부(52)의 외주면을 따라 파이프부재(13)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소정의 깊이로 파여져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또 상기 협관홈(51)은 최소한 상기 파이프부재(13)의 돌출된 일부분, 즉, 직경이 좁아지는 부분의 길이에 대응되는 깊이로 파여져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부(52)는 직경축소 시 파이프부재(13)의 내부로 삽입되어 직경이 큰 파이프부재(13)의 단부가 용이하게 협관홈(51)으로 끼워져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협관홈(51)의 상단 외측부에는 협간홈(51) 보다 직경이 큰 상기 파이프부재(13)의 단부의 결합을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부(51a)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가이드부(51a)는 임의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테이퍼지는 테이퍼부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임의의 곡률을 가지는 라운드부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테이퍼부 및 라운드부의 경사면과 곡률은 파이프부재(13)의 직경에 따라 설계 시 결정되는 것으로 파이프부재(13)의 단부가 테이퍼부 및 라운드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정해지는 것이다.
상기 파이프부재(13)는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를 제조하는 통상의 알루미늄 재질(알루미늄 30계열, 60계열)로 형성되어 연성이 우수하므로, 단부가 상기 테이퍼부 또는 라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협관홈(51)으로 삽입되면서 직경이 축소된 협관부(13a)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파이프부재(13)의 단부는 상기 제 1 가이드부(51a), 즉 테이퍼부 또는 라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협관홈(51)으로 삽입되도록 임의의 온도로 가열할 수도 있으며, 이는 파이프부재(14)의 재질 및 두께에 따라 제조 시 선택할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 직경축소부재(50)로 협관부(13a)가 형성된 파이프부재(13)는 제 2 파이프 스토퍼부재(60)로 결합한다.
상기 제 2 파이프 스토퍼부재(60)는 상기 파이프부재(13)의 직경에 대응되는 파이프구멍(61)이 뚫려져 형성되며, 이 파이프구멍(61)은 내주면에 협관부(13a)가 걸려 지지되는 단턱지지부(62)가 돌출된다.
상기 단턱지지부(62)는 상기 직경축소부재(50)로 축소된 반경에 대응되는 폭으로 돌설되어 내부로 협관부(13a)가 통과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부재(13)의 상부에는 가압고정부재(70)의 가압봉(71)이 결합하여 협관부(13a)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고정부재(70)는 파이프부재(13)의 내부에서 가압봉(71)으로 협관부(13a)의 상부를 가압하여 제 1 단턱부(13b)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단턱부(13b)는 협관부(13a)의 상부가 제 2 파이프 스토퍼부재(60)의 단턱지지부(6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가압봉(71)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형성되 는 것으로 단턱지지부(62)에 걸리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협관부(13a)는 확관부재(80)를 통해 다시 직경이 증대되어 파이프부재(13)의 원래 직경으로 확관되어 확관부(13c)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확관부재(80)는 일면에 상기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확관돌기부(81)가 돌설된다.
상기 확관돌기부(81)의 상부 외측단에는 상기 직경축소부재(50)으로 협관된 단부 즉, 협관부(13a)의 단부가 확관돌기부(81)로 결합하도록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부(81a)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부(81a)는 임의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테이퍼지는 테이퍼부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임의의 곡률을 가지는 라운드부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테이퍼부 및 라운드부의 경사면과 곡률은 파이프부재(13)의 직경에 따라 설계 시 결정되는 것으로 파이프부재(13)의 단부가 테이퍼부 및 라운드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정해지는 것이다.
상기 확관돌기부(81)는 단부가 상기 파이프부재(13)의 협관부(13a) 단부로 삽입되어 협관부(13a)의 직경을 점차적으로 증대시켜 확관부(13c)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확관돌기부(81)는 상부에 상기 협관부(13a)의 내경 이하의 직경 즉, 협관부(13a)를 형성하는 가이드 돌기부(52)의 직경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확관가이드 돌기부(82)가 돌설된다.
상기 확관가이드 돌기부(82)는 확관돌기부(81)가 점차적으로 협관부(13a)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하여 작업 편의성 및 작업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확관부재(80)로 파이프부재(13)의 단부에 상기 확관부(13c)가 형성된 후에는 상기 가압고정부재(70)을 사용하여, 확관부(13c)에 가압봉(71)을 삽입하여 확관부(13c)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협관부(13a)와 확관부(13c) 사이에 제 2 단턱부(13d)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2 단턱부(13b, 13d)는 상기 단턱지지부(62)의 상, 하부면에 지지되어 사이에 협관부(13a)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인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의 제조장치로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를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일단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된 파이프는 상기 제 1 파이프 스토퍼부재(40)의 파이프결합구멍(41)으로 결합하여 고정되는 파이프고정공정을 거친다.
상기 파이프고정공정은 압출 성형된 파이프부재(13)를 제 1 파이프 스토퍼부재(40)의 결합구멍을 통해 결합하여 일측으로 파이프부재(13)의 단부 일부분을 돌출시킨 후 파이프 클램프 수단으로 물어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파이프부재(13)는 제 1 파이프 스토퍼부재(40)의 일측으로 협관부(13a)가 형성되는 길이, 즉,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의 하부캡(30)이 결합하여 걸리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길이만큼 돌출되는 것으로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의 용량과 하부캡(30)의 크기 및 필터부재(12)의 높이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이는 제조 시 설계자에 의해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파이프고정공정으로 제 1 파이프 스토퍼부재(40)에 결합된 파이프는 돌 출된 부분의 직경을 축소시켜 협관부(13a)를 형성하는 협관부형성공정을 거친다.
상기 협관부형성공정은 도 4b 내지 도 4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의 돌출된 단부에 직경축소부재(50)의 가이드 돌기부(52)를 결합하여 가이드 돌기부(52) 및 제 1 가이드부(51a)의 안내를 통해 파이프의 돌출된 단부를 협관홈(51)으로 끼워 점차적으로 직경을 축소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직경축소부재(50)는 협관홈(51)의 내부로 파이프의 돌출된 부분이 모두 끼워져 결합하여 파이프부재(13)의 원래 직경보다 동일한 폭으로 좁혀진 직경을 가지는 협관부(13a)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협관부형성공정을 통해 일 측에 협관부(13a)가 형성된 파이프부재(13)는 제 1 파이프 스토퍼부재(40) 및 직경축소부재(50)를 분리한 후 제 2 파이프 스토퍼부재(60)의 결합구멍으로 결합하는 파이프결합공정을 거친다.
상기 파이프결합공정은 도 4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협관부(13a)가 형성된 파이프부재(13)를 협관부(13a)의 단부부터 제 2 파이프 스토퍼부재(60)의 파이프구멍(61)으로 결합시켜 협관부(13a)의 상단부를 단턱지지부(62)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상기 단턱지지부(62)는 협관부(13a)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도록 링형상으로 돌출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단턱지지부(62)의 두께는 제 1, 2 단턱부(13b, 13d)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는 것으로 이는 설계 시 고려되어 결정되는 것이다.
상기 파이프결합공정을 통해 제 2 파이프 스토퍼부재(60)에 결합된 파이프부 재(13)는 도 4e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즉, 협관부(13a)의 반대편 측으로 가압고정부재(70)를 결합하여 협관부(13a)의 상부를 가압고정부재(70)의 가압봉(71)으로 가압함으로써 제 1 단턱부(13b)를 형성하는 가압고정공정을 거친다.
상기 가압봉(71)은 파이프부재(13)의 일 측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파이프부재(13)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협관부(13a)의 상단부에서 절곡되는 제 1 단턱부(13b)를 내부에서 형성할 수 있는 길이로 돌설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압고정공정에서 가압봉(71)으로 가압고정된 파이프부재(13)의 협관부(13a)는 원래의 파이프 직경으로 확관되어 확관부(13c)가 형성되는 확관부형성공정을 거친다.
상기 확관부형성공정은 도 4f 내지 도 4g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부재(13)의 협관부(13a)의 단부를 확관부재(80)의 확관돌기부(81)의 단부로 결합하여 확관하는 것으로, 상기 파이프부재(13)의 협관부(13a)는 확관돌기부(81)의 단부에 돌설된 확관가이드 돌기부(82)에 결합된 후 제 2 가이드부(81a)에 의해 점차적으로 확관돌기부(81)로 결합하면서 확관부(13c)로 변형되는 것이다.
상기 확관돌기부(81)는 단부가 상기 단턱지지부(62)에 의해 걸려 지지될 때까지 삽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확관부형성공정은 확관부(13c)의 상부에 협관부(13a)와 경계를 이루는 제 2 단턱부(13d)를 형성하는 마무리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마무리 공정은 상기 확관부(13c)의 단부에서 상기 가압고정부재(70)의 가압봉(71)을 삽입하여 확관부(13c)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협관부(13a)와 확관 부(13c) 사이에 제 2 단턱부(13d)를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를 형성하는 파이프부재(13)에 상, 하부로 제 1, 2 단턱부(13b, 13d)가 형성되는 협관부(13a)가 일체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일체로 돌설 형성되는 것이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로 하부캡(30)이 결합할 경우 하부캡(30)의 상부로 구비되는 필터부재(12)의 단부는 협관부(13a)의 제 2 단턱부(13d)에 걸려 지지되어 하부캡(30) 및 필터부재(12)의 이동에 제한을 주어 하부캡(30)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협관부(13a)의 제 1 단턱부(13b)에는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 내부로 결합하는 건조제(11)가 걸려 지지되어 사용 중 건조제(11)가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의 하단부로 이동하여 장착위치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중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10)의 오작동 및 작동 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확관부(13c)는 하부캡(30)의 결합 고정 방법에 따라 하부캡(30)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캡결합부형성공정을 거친다.
상기 캡결합부형성공정은 하부캡(30)을 나사결합할 경우 하단 내주면에 나사홈을 형성하는 것이고, 하부캡(30)을 클립결합 또는 핀결합할 경우 클립부재 또는 핀부재 결합시키기 위한 홈이나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인 것이다.
이외 상기 파이프부재(13)는 개구된 상부에 상부캡을 장착하여 고정시키고, 응축기의 탱크에 연통시키는 연통관을 형성하는 마무리단계을 거치며 상기한 마무 리단계은 종래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기재는 생략함을 밝혀둔다.
도 1은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인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인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으로 제조된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를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으로 제조된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장착 상태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13 : 파이프부재
40 : 제 1 파이프 스토퍼부재 41 : 파이프결합구멍
50 : 직경축소부재 51 : 협관홈
52 : 가이드 돌기부 60 : 제 2 파이프 스토퍼부재
61 : 파이프구멍 62 : 단턱지지부
70 : 가압고정부재 71 : 가압봉
80 : 확관부재 81 : 확관돌기부
82 : 확관가이드 돌기부

Claims (6)

  1.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를 형성하는 파이프부재가 결합하는 파이프결합구멍이 뚫려져 형성되며, 파이프결합구멍 내에서 파이프부재를 고정시키는 제 1 파이프 스토퍼부재와, 파이프부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단 외측부에 상기 파이프부재의 단부가 결합하는 것을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부가 형성된 협관홈이 상부에 파여진 직경축소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가 결합하는 파이프구멍이 뚫려져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구멍의 내주면을 따라 돌설되는 단턱지지부가 형성된 제 2 파이프 스토퍼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부로 결합하여 직경축소부재로 축소된 직경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봉을 구비한 가압고정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확관돌기부가 돌설된 확관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협관홈은 상기 직경축소부재의 일면에 상기 파이프부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수직으로 세워져 돌설되는 가이드 돌기부의 외주면을 따라 파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확관돌기부는 상부에 상기 가이드 돌기부의 직경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확관가이드 돌기부가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관돌기부의 상부 외측단에는 상기 직경축소부재으로 협관된 단부가 확관돌기부로 결합하도록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070121377A 2006-12-08 2007-11-27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0906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374 2006-12-08
KR20060124374 2006-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190A KR20080053190A (ko) 2008-06-12
KR100906932B1 true KR100906932B1 (ko) 2009-07-10

Family

ID=3980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377A KR100906932B1 (ko) 2006-12-08 2007-11-27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9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967A (ko) * 1992-07-10 1994-02-16 최재석 분무기용 압력 펌프관
JP2003205311A (ja) 2001-11-08 2003-07-22 Bestex Kyoei Co Ltd パイプ部材
KR20050014937A (ko) * 2003-08-01 2005-02-21 호일정공 주식회사 에어컨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와 그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200417704Y1 (ko) * 2006-03-10 2006-06-02 김용재 수액기 탱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967A (ko) * 1992-07-10 1994-02-16 최재석 분무기용 압력 펌프관
JP2003205311A (ja) 2001-11-08 2003-07-22 Bestex Kyoei Co Ltd パイプ部材
KR20050014937A (ko) * 2003-08-01 2005-02-21 호일정공 주식회사 에어컨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와 그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200417704Y1 (ko) * 2006-03-10 2006-06-02 김용재 수액기 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190A (ko)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9792B1 (ko) 열교환기 헤더튜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84611B1 (ko) 냉방장치의 내부열교환기 일체형 기액분리기
JP7031060B2 (ja) 逆止弁および空気調和装置、ならびに逆止弁の製造方法
KR100558016B1 (ko) 리시버 드라이어탱크용 압출파이프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06932B1 (ko)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US7013961B2 (en) End plate for heat exchangers,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74333B1 (ko) 열교환기용 헤더 파이프의 냉매 입출구 파이프 가조립방법
JP2006162189A (ja) 熱交換器用レシーバタンク
DK2841842T3 (en) High pressure containment vessel
KR20080100924A (ko) 리시버 드라이어의 리시버탱크 제조방법
KR100855707B1 (ko)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066347B1 (ko) 유체 압력을 이용한 파이프 확관 장치
KR100969739B1 (ko) 냉동기용 증발기 제조방법
KR101016696B1 (ko) 턴핀형 열교환기 및 그의 제조방법
JP7026846B2 (ja) 分離器、油分離器、気液分離器および空気調和装置、ならびに分離器の製造方法
US11604017B2 (en) Vehicle condenser
KR100542494B1 (ko) 에어컨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와 그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101344517B1 (ko) 응축기
KR101629745B1 (ko)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
KR200156695Y1 (ko) 관체 접합구조
KR102189062B1 (ko) 자동차용 응축기 헤더와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조립체
KR200303965Y1 (ko) 열교환기용 헤더파이프
JPH0717960Y2 (ja) 熱交換器用パイプ
KR100431795B1 (ko) 열교환기 제조 방법
KR101928627B1 (ko)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