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739B1 -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739B1
KR100906739B1 KR1020070094741A KR20070094741A KR100906739B1 KR 100906739 B1 KR100906739 B1 KR 100906739B1 KR 1020070094741 A KR1020070094741 A KR 1020070094741A KR 20070094741 A KR20070094741 A KR 20070094741A KR 100906739 B1 KR100906739 B1 KR 100906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double
decorative sheet
fixing frame
lowe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9471A (ko
Inventor
홍진영
Original Assignee
홍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진영 filed Critical 홍진영
Priority to KR1020070094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7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29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005Producing embroidered textiles by chemical means; Transferring embroidered products to tex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9/00Ribbons, tapes, welts, bands, beadings, or other decorative or ornamental strip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4Floor or wall coverings; Carp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섬유 원단을 표백,건조 후 숯 또는 황토로 염색하여 하부원단을 만드는 단계와 섬유 원단 부분 또는 전체에 다양한 색과 문양을 부여하도록 나염공정을 거쳐 상부원단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하부원단을 고정틀에 인장시켜 고정시킨 후 그 하부원단의 상면에 천연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하부원단에 상기 상부원단을 인장,접착시켜 이중원단을 형성시킴과 아울러 그 상부원단을 상기 고정틀에 고정 후 자연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중원단에 방수제를 도포하는 방수가공 단계로 이루어져, 하부원단을 인장시켜 고정틀에 고정시킨 후 상부원단을 인장되게 하부원단에 접착,건조하여 장식시트를 구성함으로써, 장식시트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일정크기로만 잘라 벽면 등에 부착하면 되므로 손쉽게 일반인도 작업할 수 있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중원단, 나염, 염색, 장식시트

Description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DOUBLE TEXTILES FOR SEAT METHOD}
본 발명은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원단을 인장시켜 고정틀에 고정시킨 후 상부원단을 인장되게 하부원단에 접착,건조하여 장식시트를 구성함으로써, 장식시트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일정크기로만 잘라 벽면 등에 부착하면 되므로 손쉽게 일반인도 작업할 수 있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원단을 염색 또는 나염하여 벽지 또는 바닥재로 쓰여지는 시트를 살펴보면, 출원번호 10-2005-0015634는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를 무지로 염색하거나, 나바나염, 원색분해, 안료타입나염, 전사나염, 발포나염과 같은 나염공정으로 원하는 색상 및 문양을 부여하고, 방호가공, 방수가공, 방염가공 등을 하여 그 표면을 입체적으로 형성하게 되고, 배면에 풀, 본드 등과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시트지를 벽체 또는 바닥면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한 시트는 벽면 등에 부착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섬유 원단인 시트 특성상 잡아당겨 팽팽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접착제를 이용해 부착시켜야 함으로 일반인이 작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시트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구김없이 팽팽함을 유지해야 하므로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상존한다.
본 발명은 섬유 원단을 표백,건조 후 숯 또는 황토로 염색하여 하부원단을 만드는 단계와 섬유 원단 부분 또는 전체에 다양한 색과 문양을 부여하도록 나염공정을 거쳐 상부원단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하부원단을 고정틀에 인장시켜 고정시킨 후 그 하부원단의 상면에 천연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하부원단에 상기 상부원단을 인장,접착시켜 이중원단을 형성시킴과 아울러 그 상부원단을 상기 고정틀에 고정 후 자연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중원단에 방수제를 도포하는 방수가공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가공 단계에는 방오가공 및 방염가공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더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제는 오일스킨스테인 또는 감물스테인 중 어느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부원단을 인장시켜 고정틀에 고정시킨 후 상부원단을 인장되게 하부원단에 접착,건조하여 장식시트를 구성함으로써, 장식시트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일정크기로만 잘라 벽면 등에 부착하면 되므로 손쉽게 일반인도 작업할 수 있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에 있어, 장식시트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 시트 제조방법에 있어, 상,하부원단이 고정틀에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은 섬유 원단을 표백,건조 후 숯 또는 황토로 염색하여 하부원단(20)을 만드는 단계와 섬유 원단 부분 또는 전체에 다양한 색과 문양을 부여하도록 나염공정을 거쳐 상부원단(30)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하부원단을 고정틀에 인장시켜 고정시킨 후 그 하부원단의 상면에 접착제(40)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제(40)가 도포된 하부원단에 상기 상부원단(30)을 인장,접착시켜 이중원단(50)을 형성시킴과 아울러 그 상부원단(30)을 상기 고정틀(60)에 고정 후 자연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중원단에 방수제(70)를 도포하는 방수가공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섬유 원단은 이는 견, 모, 면, 마 등의 천연 섬유가 사용된다.
상기한 섬유 원단은 사각형 형상(통상의 벽 높이를 가지는 폭)으로 재단한 후 표백 및 건조과정을 거친 다음 무지로 염색하여 하부원단(20)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하부원단(20)은 재차 숯 물 또는 황토물에 염색한 후 자연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부원단(20)은 사방 모서리 부분을 천공하여 체결공(21)을 형성하고, 고정틀(60)의 지지돌기(61)에 그 하부원단(20)의 모서리 부분을 잡아당겨 인장시킨 상태에서 체결공(21)을 끼워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체결공(21) 및 지지돌기(61)는 사방 모서리 이외에 하부원단(20) 및 고정틀(60)의 외곽 부에 다수개를 형성하고 상호 체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고정틀(60)의 둘레에 다수개의 고정집게(도새생략)를 설치한 다음 그 하부원단(20)의 외곽부를 고정집게로 파지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하부원단(20)에 체결공(21)을 따로 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하부원단(20)을 인장,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원단(20)을 다수개의 고정핀(P)으로 고정틀(60)에 박아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하부원단(20)을 인장시킨 후 그 하부원단(20)의 외곽부에 고정핀(P)을 박아 고정틀(60)에 고정시킨 다음 하부원단(20)의 상부에 접착제(40)를 도포한 후 하부원단(20)과 동일한 과정으로 상부원단(30)을 인장시켜 그 하부원단(20)에 접착시킴과 아울러 인장된 상태로 그 하부원단(20)에 접착되도록 고정핀(P)으로 상부원단(30) 외곽부를 고정틀(6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고정틀(60)은 목재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원단(30)은 하부원단(20)과 동일한 크기로 재단한 후 일부분을 다양한 문양을 색으로 나염하게 되고, 전체를 무지로 나염(염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나염은 상부원단의 겉면에 인쇄하는 나바나염, 컬러 사진이나 그림처럼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는 인쇄 방법의 원색분해, 박리지 및 접착제를 바른 특수종이에 인쇄된 도안을, 적정 온도와 압력 및 시간으로 직물에 압착하고, 부착된 박리지를 떼면 그 도안이 직물에 옮겨붙는 방법의 안료타입나염, 전사지에 인쇄된 도안을 직물에 압착·가열하면 그 염료가 직물에 스며드는 방법의 전사나염, 발포제를 첨가한 염료로 나염한 후, 열을 가해 입체적인 느낌을 주는 발포나염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이때, 상부원단(30)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는 고정틀(60)의 지지돌기(61)에 고정되도록 하부원단(20)과 동일하게 고정공(31)을 천공하게 되며, 고정공(31)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틀(60)에 설치된 고정집게(도시생략)에 파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나염이 완료된 상부원단(30)을 고정틀(60)에 고정된 하부원단(20)에 신장되게 접착시켜 이중원단(50)을 형성시키게 된다. 즉 고정틀(60)에 고정된 하부원단(20)의 상면에 접착제(40)를 도포한 후 그 하부원단(20)에 상부원단(30)을 접착,고정시킴과 아울러 상부원단(30)을 인장시켜 고정틀(60)에 형성된 지지돌기(61)에 상기 고정공(31)을 끼워 고정시키게 되면, 인장된 상태로 상부원단(30)과 하부원단(20)이 접착되어 이중원단(50)을 구성하게 되고, 일정시간 후 접착제(40)가 자연건조된 후 이중원단(50)을 고정틀(60)에서 탈거하게 됨으로써, 이중원단(60)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원단의 너울거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고정틀(60)에서 탈거된 이중원단(50)의 상면 즉 상부원단(30)에 방수제(70)를 도포한 후 자연건조시켜 장식시트(10)를 형성시키게 됨으로써, 모든 공정과정을 마치게 된다. 이때 상기한 방수제(70)는 오일스킨스테인 또는 감물스테인 중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제는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한 장식시트(10)는 벽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해 설치될 수 있으며 바닥재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이중원단(50) 중 상부원단(30)에 방수제(70)를 도포하여 물의 침 투를 방지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중원단(50) 전체에 방수제(70)를 도포하여 장식시트를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방수가공 단계에는 이중원단(50)에 오염의 흡착을 방지하도록 방오가공이 실시될 수 있으며, 각종 인산염·규산염·붕산염 및 함린(含燐) 유기화합물 등의 가공제를 이용한 방염가공(난연가공)을 통해 화재시 화기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에 있어, 장식시트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에 있어, 상,하부원단이 고정틀에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장식시트 20 : 하부원단
21 : 체결공 30 : 상부원단
31 : 고정공 40 : 접착제
50 : 이중원단 60 : 고정틀
61 : 지지돌기 70 : 방수제
P : 고정핀

Claims (3)

  1. 사방모서리 부분에 체결공이 형성된 섬유 원단을 표백,건조 후 숯 또는 황토로 염색하여 하부원단을 만드는 단계;
    사방모서리 부분에 고정공이 형성된 섬유 원단의 부분 또는 전체에 다양한 색과 문양을 부여하도록 나염공정을 거쳐 상부원단을 만드는 단계;
    상기 하부원단을 인장시켜 상기 체결공을 고정틀의 사방에 형성된 지지돌기에 끼움고정시킨 후 그 하부원단의 상면에 천연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상부원단을 인장시켜 상기 고정공을 고정틀에 형성된 지지돌기에 끼워 상기 하부원단에 접착고정시켜 후 자연건조시켜 이중원단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중원단에 방수제를 도포하는 방수가공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70094741A 2007-09-18 2007-09-18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 KR100906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741A KR100906739B1 (ko) 2007-09-18 2007-09-18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741A KR100906739B1 (ko) 2007-09-18 2007-09-18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471A KR20090029471A (ko) 2009-03-23
KR100906739B1 true KR100906739B1 (ko) 2009-07-09

Family

ID=4069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741A KR100906739B1 (ko) 2007-09-18 2007-09-18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7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220Y1 (ko) * 2002-07-13 2002-10-18 김영만 천연 흙 벽포지
KR20030060102A (ko) * 2000-11-08 2003-07-12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폴리에스테르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편성물의 처리방법
KR20050029184A (ko) * 2005-02-25 2005-03-24 (주)호경무역 광폭의 섬유벽지
KR20050117194A (ko) * 2004-06-10 2005-12-14 정남열 의류용 주름 원단의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102A (ko) * 2000-11-08 2003-07-12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폴리에스테르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편성물의 처리방법
KR200292220Y1 (ko) * 2002-07-13 2002-10-18 김영만 천연 흙 벽포지
KR20050117194A (ko) * 2004-06-10 2005-12-14 정남열 의류용 주름 원단의 가공방법
KR20050029184A (ko) * 2005-02-25 2005-03-24 (주)호경무역 광폭의 섬유벽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471A (ko) 2009-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739B1 (ko) 이중원단 구조의 장식시트 제조방법
CN109068767B (zh) 徽章粘合剂移除组件及相关方法
ATE530691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färbten mineralwolleprodukts mit gleichfarbiger beschichtung
KR101541214B1 (ko) 온도차에 따라 가변색상을 갖는 타올의 제조방법
ES2268837T3 (es) Procedimiento de tratamiento de los copos de un soporte flocado y producto obtenido por este procedimiento.
KR100541023B1 (ko) 망사형 직물지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및이로부터 얻어진 블라인드용 원단
KR20080102959A (ko) 전면 비접착식 내장벽체
KR100797619B1 (ko) 베장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60225B1 (ko) 벽지와 그 제조방법
KR100925708B1 (ko) 직물벽지 및 이의 배접방법.
KR100827029B1 (ko) 자수용 바탕감 제조방법
KR100785632B1 (ko) 후로카펫 제조방법
JP4069329B1 (ja) 切断した形状の図柄に布帛を染色する為の染料支持体及びこの染料支持体を用いた染色方法
KR100675845B1 (ko) 광폭의 섬유벽지
KR102067866B1 (ko) 시공이 용이한 끼움형 벽지 세트
KR200407027Y1 (ko) 직물벽지 및 이의 배접방법.
JP5115833B2 (ja) パネル表面にクロスを貼着する方法
US11332865B2 (en) Method of producing a processed material
KR20110068295A (ko) 재부착 용이한 벽지의 간편 제조 방법 및 벽지
KR200390173Y1 (ko) 민화 벽지
HU3680U (en) Decorative element
WO2021069788A1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una tela autoadhesiva removible y producto así obtenido
KR20150120642A (ko) 다기능 벽지
KR200176072Y1 (ko) 승화 열전사용 전사지
JP5974051B2 (ja) 繊維製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