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349B1 -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을 위한 모의 관제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을 위한 모의 관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349B1
KR100906349B1 KR1020070091952A KR20070091952A KR100906349B1 KR 100906349 B1 KR100906349 B1 KR 100906349B1 KR 1020070091952 A KR1020070091952 A KR 1020070091952A KR 20070091952 A KR20070091952 A KR 20070091952A KR 100906349 B1 KR100906349 B1 KR 100906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rol system
train
simul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6888A (ko
Inventor
이한민
오세찬
박성혁
김인숙
김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91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349B1/ko
Publication of KR20090026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Abstract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을 위한 모의 관제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모의 관제 시스템은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시 발생될 것으로 예측되는 현장 상황에 대응한 모의 현장을 가상으로 구현하고, 대응된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는 모의 현장 시스템; 상기 모의현장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모의 현장에 대한 운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정보를 원격 제어하는 운전관제 시스템; 상기 모의현장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모의 현장에 대한 전력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정보를 원격 제어하는 전력관제 시스템; 상기 모의현장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모의 현장에 대한 설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설비정보를 원격 제어하는 설비관제 시스템; 및 상기 모의현장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모의 현장에서 무인으로 운행되는 모든 열차에 대하여 열차의 상태와 객실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열차의 상태 및 객실상황에 이상 발생시 그를 해결하기 위해 원격 제어하는 열차관제 시스템을 포함한다.
무인철도 시스템, 모의 영상, 시뮬레이터, 관제교육장비, 모의 현장

Description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을 위한 모의 관제 시스템{Mock control system for simulating operation of unmanned rail system}
본 발명은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을 위한 모의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예컨대, 지하철 등) 승객의 증가와 운전시격의 단축에 따라 철도차량의 안전하고도 신속, 정확한 운행이 점차 요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비용 절감을 통한 효율적인 생산성 확보와 사람(예컨대, 기관사)의 오동작 및 판단 착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철도차량 및 그 운행 환경을 관리하는 철도 시스템은 점차 전문적이고 자동화되어질 전망이다. 즉, 철도차량과, 역사(예컨대, 지하철 역 등)는 무인으로 운영되고 종합 관제실의 관제 요원이 이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형태로 발전될 것이다. 이와 같이 철도차량과 역사가 무인으로 운영되는 철도 시스템을 ‘무인 철도 시스템’이라 일컫는다.
이 경우 상기 종합 관제실의 업무 비중은 더욱 커질 것이며 그 업무 형태는 더욱 세분화되고 전문화되어야 할 것이다. 즉 관제 요원의 업무는 더욱 복잡해지고 민감한 요소를 많이 포함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상기 관제 요원을 교육 및 훈련시키기 위한 시스템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즉 관제 요원들이 철도 시스템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하고도 이례적인 상황들에 대하여 미리 경험해 볼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 따라서 관제 요원들이 사전에 현장 상황을 경험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육 및 훈련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인 철도 시스템 원격 제어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을 위한 모의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제 요원들의 조작에 의해 무인 철도 시스템 모의 현장을 제어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은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시 발생될 것으로 예측되는 현장 상황에 대응한 모의 현장을 가상으로 구현하고, 대응된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는 모의 현장 시스템; 상기 모의현장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모의 현장에 대한 운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정보를 원격 제어하는 운전관제 시스템; 상기 모의현장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모의 현장에 대한 전력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력정보를 원격 제어하는 전력관제 시스템; 상기 모의현장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모의 현장에 대한 설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정보를 원격 제어하는 설비관제 시스템; 및 상기 모의 현장에서 무인으로 운행되는 열차에 대하여 열차의 상태와 객실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열차의 상태 및 객실상황에 이상 발생시 그를 해결하기 위해 원격 제어하는 열차관제 시스템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운전관제 시스템은 상기 모의 현장에서 무인으로 운행되는 열차의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기 및 운행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운영상황정보를 수신하는 종합운영상황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종합운영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정보들을 표시하는 종합운영상황 표시부; 상기 열차의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기 및 제어 가능한 운행환경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신호 송/수신부;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열차의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기 및 제어 가능한 운행환경 정보들을 원격 제어하는 운행 제어부; 상기 종합운영상황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종합운영상황정보에 대한 데이터들 및 상기 운행 제어부에 의한 제어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집/저장하여 미리 설정된 양식에 따라 보고서를 작성 및 출력하는 보고서 처리부; 상기 종합운영상황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종합운영상황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열차 또는 역사에 대한 안내사항 및 경고사항 또는 미리 등록된 상기 안내사항 및 경고사항을 1:1 또는 1:n으로 방송하는 관제방송 처리부; 및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종합운영상황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종합운영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열차의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기 및 운행환경들 중 적어도 하나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알리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차관제 시스템은 상기 모의 현장에서 무인으로 운행되는 열차들 각각에 대한 운행정보 및 상태정보와, 노선정보를 수신하는 열차 및 노선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열차 운행정보 및 열차 상태정보와, 노선 정보 를 포함한 열차 및 노선 운영상황 정보를 표시하는 열차 및 노선 운영상황 표시부; 상기 열차 상태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신호 송/수신부; 상기 제어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운전관제 시스템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열차 상태를 원격 제어하는 열차제어부; 상기 열차 및 노선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들 및 상기 열차 제어부에 의한 제어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집/저장하여 미리 설정된 양식에 따라 보고서를 작성 및 출력하는 보고서처리부; 상기 열차 및 노선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열차에 대한 안내 사항 및 경고 사항 또는 미리 등록된 상기 안내사항 및 경고사항을 을 1:1 또는 1:n으로 방송하는 관제방송처리부; 및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열차 및 노선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인으로 운행 중인 열차 및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노선들 중 적어도 하나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알리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력관제 시스템은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전력 계통 시설물들 및 기기들 각각으로부터 전압, 전류, 전력, 전력량, 역률, 주파수, 직류전류 및 직류전압을 포함하는 계측 값과, 해당 기기의 기기 상태를 수신하는 전력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운영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정보들을 표시하는 전력운영상황 표시부; 상기 시설물들 및 기기들 각각의 기기 상태 또는 계측값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신호 송/수신부; 입력되는 제어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전력운영 스케줄에 의거하여 상기 시설물들 및 기기들 각각의 기기 상태 또는 계측값들을 제어하는 전력정보 제어부; 상기 전력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들 및 상기 전력정보 제어부에 의한 제어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집/저장하여 미리 설정된 양식에 따라 보고서를 작성 및 출력하는 보고서 처리부; 및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전력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전력 계통 시설물들 및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알리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비관제 시스템은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기계 설비들 각각으로부터 그 기계 설비에 대응된 계측 값들 및 해당 기기의 기기 상태를 수신하는 설비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설비운영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정보들을 표시하는 설비운영상황 표시부; 상기 기계 설비들 각각의 기기 상태 또는 계측값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신호 송/수신부; 입력되는 제어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설비운영 스케줄에 의거하여 상기 기계 설비들 각각의 기기 상태 또는 계측값들을 제어하는 설비정보 제어부; 상기 설비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들 및 상기 설비정보 제어부에 의한 제어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집/저장하여 미리 설정된 양식에 따라 보고서를 작성 및 출력하는 보고서 처리부; 및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설비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기계 설비들 중 적어도 하나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알리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관제 요원들에게 철도 시스템 운영시 발생할 수 있는 모의 상황들을 현장감 있게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직접 현장에서 재현해 볼 수 없는 다양한 상황과 이례 사항들에 대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제 요원들이 다양한 현장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의 상황들을 재현하는 모의 현장 시스템과 연동하여 관제 요원들을 훈련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모의 현장 시스템에서 발생된 각종 사고/고장 사항 들을 본 발명의 모의 관제 시스템을 통해 관제 요원들이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관제 요원들을 훈련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와 시설물 고장에 대한 관제 요원들의 대응성 및 운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을 위한 가상의 종합 관제실에 대한 조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시뮬레이션을 위해서 상기 종합 관제실에는 철도 시스템의 현장을 가상으로 구현하여 제공하는 모의 현장 시스템(100a 및 100b)(이 때, 100a는 모의 현장 상황판, 100b는 100a에 모의 현장 상황을 발생 및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제어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시스템 임), 상기 모의 현장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200), 및 모의 현장 시스템(100a 및 100b)과 모의 관제 시스템(200)을 통한 모의 현장 감시/제어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관제 요원을 훈련시키는 훈련시스템(3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의 관제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의 관제 시스템(200)은,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시 발생될 것으로 예측되는 현장 상황에 대응한 모의 현장을 가상으로 구현하고 대응된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는 모의 현장 시스템(100)과 연동한다. 이를 위해, 모의관제 시스템(200)은 모의현장 시스템(100)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동하는 시스템간에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모의관제 시스템(200)은 모의현장을 기능별로 세분화하여 감시/제어하기 위해 운전관제 시스템(210), 열차관제 시스템(230), 전력관제 시스템(250) 및 설비관제 시스템(270)을 포함한다.
또한 모의 관제 시스템(200)은 모의 현장 시스템(100)에 발생된 사고/고장 등의 이벤트에 대한 관제 요원들의 처리 능력을 평가하는 훈련 관제 시스템(300)과 연동함으로써 상기 관제 요원을 교육/훈련시키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모의 현장 시스템(100), 모의 관제 시스템(200) 및 훈련 시스템(300) 각각에서 표현 중인 모의 현장 정보들 간에 동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모의 현장 시스템(100), 운전관제 시스템(210), 열차관제 시스템(230), 전력관제 시스템(250) 및 설비관제 시스템(270) 각각에 표현되는 모의 현장 정보는 동기화되어야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 각각의 모의 현장 정보들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화 수단(미도시)이 더 필요하다. 상기 동기화 수단은 상기 시스템들 각각에 분산 배치되거나, 별도의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동기화 수단은 상기 시스템들 중 하나에 포함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동기화를 위해 상기 동기화수단은 상기 시스템들 각각의 모의현장 정보들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부를 각 시스템별로 구비하고, 상기 시스템들(모의현장 시스템(100), 운전관제 시스템(210), 열차관제 시스템(230), 전력관제 시스템(250) 및 설비관제 시스템(270)) 중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들로부터 모의현장 변경정보를 전달받고, 그 모의현장 변경정보를 나머지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시스템 각각의 모의현장 정보들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운전관제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상기 운전관제 시스템(210)은 무인철도 시스템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운영정보를 감시하고 제어한다. 이를 위해 운전관제 시스템(210)은 종합운영상황정보 수신부(211), 종합운영상황정보 표시부(212), 관제방송 처리부(213), 통신 처리부(214), 사고/고장 알림부(215), 제어신호 송/수신부(216), 운행 제어부(217) 및 보고서 처리부(218)를 포함한다.
종합운영상황정보 수신부(211)는 상기 모의 현장에서 무인으로 운행되는 열차의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기 또는 시설물들(예컨대, 궤도, 역사, 역사 시설물, 신호 CCTV 영상 정보 등) 및 운행환경 정보(예컨대, 전력정보, 기후 정보 및 경보 정보 등)를 포함하는 종합운영상황정보를 모의현장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한다. 이 때 상기 종합운영 상황 정보는 궤도정보, 전체열차운행정보, 역사정보, 역사시설물 정보, 신호 정보, CCTV 영상정보, 전력정보, 기후 정보 및 경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종합운영상황정보 표시부(212)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종합운영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정보들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종합운영상황정보 표시부(212)는 수신된 궤도 정보에 의거하여 궤도 상태를 표시하되, 궤도의 색깔 및 표시 상태에 의거하여 해당 구간 노선의 열차 점유 상태를 표시한다. 즉, 해당 구간의 노선이 열차에 의해 점유된 경우 대응된 궤도를 적색으로 표시하고, 해당 구간의 노선이 비점유 상태인 경우 대응된 궤도를 녹색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은 조건에 의해 궤도 정보를 표시하는 궤도정보 표시 화면의 예가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되어 있다. 상기 궤도정보 표시 화면은 열차운행종합제어부(TTC: Total Traffic Control)(미도시)에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TTC는 전체 노선의 선로상태 정보와 열차의 운행상태를 파악하여 열차의 운행스케줄에 따라 자동 진로설정 및 열차번호에 의한 열차의 운행 상태를 표시하는 등 열차의 운영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운전관제 시스템(210)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합운영상황정보 표시부(212)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Platform Screen Door, 이하 “PSD”라 칭함)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PSD의 열림 상태(Opened), 상기 PSD의 닫힘 상태(closed), 상기 PSD 좌/우 정보 및 경보 발생 여부를 표시한다.
또한 종합운영상황정보 표시부(212)는 운행환경 정보로서 ‘기후 및 재해 정보’를 표시하되, 열차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예컨대, 풍속정보, 지진감시정보 및 강우량 정보)을 표시한다.
이러한 종합운영상황정보 표시부(212)는 운영정보 감시화면, 플랫폼 스크린 도어 동작상태 감시화면, 화재 감시화면, 신호 감시화면 및 CCTV 감시화면을 포함한다.
제어신호 송/수신부(216)는 열차의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기 또는 시설물들, 및 제어 가능한 운행환경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신호 송/수신부(216)는 열차 임시 속도 제한, 신호기, 궤도회로 및 선로 전환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그 제어 신호를 운행 제어부(217)로 전달한다. 이 때, 제어신호 송/수신부(216)는 운전관제시스템(210)을 운영하는 운전관제요원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운행 제어부(217)는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열차의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기 또는 시설물들 및 제어 가능한 운행환경 정보들을 원격 제어한다. 이를 위해 운행 제어부(217)는 상기 제어신호를 모의현장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있다. 또한 운행 제어부(217)는 열차 운행이 비정상적일 때 열차가 정상 운행될 때까지 열차의 운행 정보를 임의로 변경하는 스케줄 제어도 가능하다. 한편 운행 제어부(217)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한 제어항목을 표시하는 제어화면을 더 포함한다.
보고서 처리부(218)는 종합운영상황정보 수신부(211)를 통해 수신되는 종합운영상황정보에 대한 데이터들 및 운행 제어부(217)에 의한 제어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집/저장하여 미리 설정된 양식에 따라 보고서를 작성하여 출력한다. 즉 보고서 처리부(218)는 운전관제 시스템에서 감시 및 제어되는 모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저장하여 특정 양식에 따라 일보/월보고서를 작성하고, 각 분야(예컨대, 관제 및 현장 순회팀, 승객 등)별 이상 유무 통보 및 보고시에는 반드시 보고시간, 통화자 성명, 관계 내용 등 기타 주요사항 등을 업무일지에 기록하고 보관한다.
관제방송 처리부(213)는 종합운영상황정보 수신부(211)를 통해 수신되는 종합운영상황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열차 또는 역사에 대한 안내사항 및 경고사항 또는 미리 등록된 상기 안내사항 및 경고사항을 1:1 또는 1:n으로 방송한다. 즉 관제방송 처리부(213)는 열차(무선)나 역사(유선)에 대해 알림, 안내사항 및 경고 사항 등을 전파한다.
통신 처리부(214)는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종합운영 상황정보 수신부(211)를 통해 수신되는 종합운영상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열차의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기 또는 시설물들 및 운행환경들 중 적어도 하나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알린다. 이 때 외부 장치는 철도조직(예컨대, 운영관제의 여객 순회팀, 역사 승강장, 열차 객실 등) 및 대외조직(예컨대, 전체 구원기관조직, 각 구원기관조직 등)을 포함한다. 한편, 통신 처리부(214)를 통한 통신 내용은 열차 및 역사 설비, 시설물에 대한 운전관제 현장순회팀과의 고장통신, 열차 내 승객의 응급상황 발생에 대한 응급통신, 역사 내 승객의 응급상황 발생에 대한 응급통신, 사고에 대한 열차 및 역사 내 승객과의 응급통신, 사고에 대한 운전관제 현장 순회팀과의 긴급통신 및 사고에 대한 각 대외조직별 긴급통신을 포함한다.
사고/고장 알림부(215)는 종합운영상황정보 수신부(211)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열차의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기 또는 시설물 및 운행환경들 중 적어도 하나에 사고/고장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항목, 이벤트 내용 및 처리 절차를 종합운영상황정보 표시부(212)에 표시한다. 이 때 사고/고장 알림부(215)는 기 저장된 이벤트 등급에 따라 그 순위별로 이벤트를 처리한다.
도 5a 및 도 5e는 도 3에 예시된 운전관제 시스템(210)의 감시 화면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는 본선통합 화재 감시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도 5b는 역사 통합 화재 감시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도 5c는 역사화재 상세 감시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도 5d는 터널화재 상세감시 및 제연 계통에 대한 감시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도 5e는 PSD 및 ODS 통합 감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선통합 화재감시 화면은 본선 내 모든 역사와 터널에 대해 화재발생지역의 화재대표 표시를 통해 화재발생 감시 및 위치확인, 위치별 온도감시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역사통합 화재감시는 본선 내에 있는 모든 역사를 감시하기 위한 화면으로, 각 역사별 감시대상에 따른 화재감지표시와 역사내 소화시설에 대한 작동상태표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모든 역사에 대해 화재발생 감시 및 위치확인을 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역사화재 상세 감시 화면은 역사통합 화재감시화면에서 해당 역사를 선택하면 나타나는 화면으로서, 역사의 평면도로 구성될 수 있다. 역사화재 상세 감시 화면은 화재 발생장소를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역사의 설치되어 있는 연감지기와 온도 센서에 의해 역사화재경보표시와 특정구역에 대한 화재경보 및 온도를 표시하고, 역사 내에 있는 소화시설에 대한 위치를 표시한다.
도 5d를 참조하면, 터널 화재 상세 감시 및 제연 계통에 대한 감시화면은 도 5a에 예시된 화면과 유사하게 해당 영역 내 모든 역사와 터널에 대해 화재발생지역의 화재대표 표시를 통해 화재 발생 감시 및 위치 확인, 위치별 온도감시를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PSD 및 ODS 통합 감시 화면은 본선 내에 있는 지하역사의 모든 PSD의 동작상태나 정보상태를 감시하고, 본선내에 있는 지상역사의 모든 ODS의 동작상태나 정보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6은 도 2에 예시된 열차관제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열차관제 시스템(230)은 열차 및 노선정보 수신부(231), 열차 및 노선 운영상황 표시부(232), 관제방송 처리부(233), 통신 처리부(234), 사고/고장 알림부(235), 제어신호 송/수신부(236), 열차 제어부(237) 및 보고서 처리부(238)를 포함한다.
열차 및 노선정보 수신부(231)는 상기 모의 현장에서 무인으로 운행되는 열차들 각각에 대한 운행정보 및 상태정보와, 노선정보를 모의현장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한다. 이 때, 운행정보는 운행일자 및 시간(운행이력, 누적운전 정보 선택 가능), 열차속도, 열차번호, PSD 개/폐 정보 및 열차 중량 등을 포함하고, 노선정보는 노선의 열차 임시 속도제한구간 및 요약정보(예컨대, 위치정보, 속도, 중량), 신호 및 제한 속도 등을 포함한다.
열차 및 노선 운영상황 표시부(232)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열차 운행정보 및 열차 상태정보와, 노선 정보를 포함한 열차 및 노선 운영상황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열차 및 노선 운영상황 표시부(232)는 열차에 포함된 동작 기기들의 상태 정보 및 객실 내 감시 화면 등을 표시한다. 이 때 열차에 포함된 동작 기기들은 추진장치, 제동장치, 보조전원 장치, 냉난방 장치 등이 있다.
관제방송 처리부(233)는 열차 및 노선 정보 수신부(231)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열차에 대한 안내 사항 및 경고 사항 또는 미리 등록된 상기 안내사항 및 경고사항을 1:1 또는 1:n으로 방송한다. 즉 관제방송 처리부(233)는 열차(무선)나 역사(유선)에 대해 알림, 안내사항 및 경고 사항 등을 전파한다.
통신 처리부(234)는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열 차 및 노선 정보 수신부(231)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인으로 운행 중인 열차 및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노선들 중 적어도 하나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알린다. 이 때 외부 장치는 철도조직(예컨대, 운영관제의 여객 순회팀, 역사 승강장, 열차 객실 등) 및 대외조직(예컨대, 전체 구원기관조직, 각 구원기관조직 등)을 포함한다. 한편, 통신 처리부(214)를 통한 통신 내용은 열차 및 역사 설비, 시설물에 대한 운전관제 현장순회팀과의 고장통신, 열차 내 승객의 응급상황 발생에 대한 응급통신, 역사 내 승객의 응급상황 발생에 대한 응급통신, 사고에 대한 열차 및 역사 내 승객과의 응급통신, 사고에 대한 운전관제 현장 순회팀과의 긴급통신 및 사고에 대한 각 대외조직별 긴급통신을 포함한다.
사고/고장 알림부(235)는 열차 및 노선 정보 수신부(231)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의 현장에서 무인으로 운행되는 열차들 중 적어도 하나에 사고/고장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항목, 이벤트 내용 및 처리 절차를 상기 열차 및 노선 운영상황 표시부(232)에 표시한다. 이 때 사고/고장 알림부(235)는 기 저장된 이벤트 등급에 따라 그 순위별로 이벤트를 처리한다.
제어신호 송/수신부(236)는 상기 열차 상태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한다. 이 때 제어신호는 운전관제 시스템(210)으로부터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신호 송/수신부(236)는 상기 제어신호를 열차관제 시스템(230)을 운영하는 열차관제요원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열차 제어부(237)는 제어신호 송/수신부(236)를 통해 수신된 운전관제 시스템(21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열차 상태를 원격 제어한다. 이를 위해 열차 제어부(237)는 상기 제어신호를 모의현장 시스템(100)에 포함된 열차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열차 제어부(237)는 일부 항목에 대하여 상기 운전 관제 시스템의 제어 신호 없이 독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열차 제어부(237)에서 독자적으로 처리 가능한 제어신호는 전장품 제어, 차단기 트립/복귀 제어, 승객 호출에 따른 통화시도 제어, 객실 내 감시 화면 선택/조정 및 열차 고장 상태 제어 등이 있다.
보고서 처리부(238)는 열차 및 노선 정보 수신부(231)를 통해 수신되는 열차 및 노선 정보에 대한 데이터들 및 열차 제어부(237)에 의한 제어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집/저장하여 미리 설정된 양식에 따라 보고서를 작성하여 출력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에 예시된 열차관제 시스템의 감시화면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a는 객실 CCTV 제어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도 7ba는 열차 상태 모니터링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도 7c는 역사 CCTV 제어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도 2에 예시된 전력관제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력관제 시스템은 전력정보 수신부(251), 전력운영상황 표시부(252), 감시화면 표시부(253), 경보정보 처리부(254), 통신 처리부(255), 사고/고장 알림부(256), 자가 진단부(257), 제어신호 송/수신부(258), 전력정보 제어부(259) 및 보고서 처리부(261)를 포함한다.
전력정보 수신부(251)는 모의 현장에 포함된 전력 계통 시설물들 및 기기들 각각으로부터 전압, 전류, 전력, 전력량, 역률, 주파수, 직류전류 및 직류전압을 포함하는 계측 값과, 해당 기기의 기기 상태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전력정보 수신 부(251)는 한전의 전력기기 및 기기별 계측 상태, 각 변전소의 전력기기 및 기기별 계측 상태, 또는 각 전기실의 전력기기 및 기기별 계측 상태 등을 수신한다.
전력운영상황 표시부(252)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운영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정보들을 표시한다. 특히 전력 운영상황 표시부(252)는 전체 전력 정보 감시 화면, 화재정보 감시화면, CCTV 영상화면 및 경보정보 감시 화면을 포함하고 해당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시화면 표시부(253)는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전력 계통 시설물들 및 기기들 중 실제 현장에서 위험 요소가 있다고 판단되는 시설물들 및 기기들에 대한 감시화면(CCTV 감시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감시화면 표시부(253)는 터널, 변전소 및 전기실 등과 같은 위험 요소가 있다고 판단되는 시설물들 및 기기들에 대한 감시 화면을 표시한다.
경보정보 처리부(254)는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모든 시설물들 및 기기들 중 경보가 발생된 기기의 기기번호, 기기 명칭 및 발생시점을 표시하고, 경보 리스트를 생성한다.
통신 처리부(255)는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전력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전력 계통 시설물들 및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알린다. 이 때 외부 장치는 운전관제 시스템과, 열차관제 시스템의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철도조직 및 대외 조직을 포함한다.
사고/고장 알림부(256)는 전력 정보 수신부(251)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 초하여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시설물들 및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사고/고장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 항목, 이벤트 내용 및 처리 절차를 상기 전력운영상황 표시부(252)에 표시한다. 이 때 사고/고장 알림부(256)는 복수의 사고/고장 이벤트가 접수된 경우 기 저장된 이벤트 등급에 따라 그 순위별로 해당 정보를 이벤트를 처리한다.
자가 진단부(257)는 상기 전력관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 각각의 동작 상태, 통신 상태 및 전원상태를 진단한다. 이 때 자가 진단부(257)는 메인 컴퓨터 상태, 네트워크 장비 상태, 전력 운영 상황판 상태 및 프린터 상태, 통신상태, 2중화 설비 시스템 상태 및 전원장치(UPS) 상태를 자체 점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신호 송/수신부(258)는 상기 시설물들 및 기기들 각각의 기기 상태 또는 계측값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신호 송/수신부(258)는 정전 또는 복전 제어 신호, 변전실의 각종 차단기 제어 신호, 변전실의 각종 단로기 제어 신호, 변전실의 각종 보호 계전기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한다. 한편, 제어신호 송/수신부(258)는 상기 제어신호를 전력관제 시스템(250)을 운영하는 전력관제 요원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전력정보 제어부(259)는 상기 제어신호 송/수신부(258)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전력운영 스케줄에 의거하여 상기 시설물들 및 기기들 각각의 기기 상태 또는 계측값들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전력정보 제어부(259)는 상기 제어신호를 모의현장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력정보 제어부(259)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한 제어항목을 표시한다.
보고서 처리부(261)는 전력 정보 수신부(251)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들 및 전력정보 제어부(259)에 의한 제어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집/저장하여 미리 설정 된 양식에 따라 보고서를 작성 및 출력한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에 예시된 전력관제 시스템의 감시화면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9a는 전력 관제 시스템의 전력 운영 화면의 예를 나타내고, 도 9b는 CCTV 제어화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도 2에 예시된 설비관제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설비관제 시스템은 설비정보 수신부(271), 설비 운영상황 표시부(272), 통신 처리부(273), 제어신호 송/수신부(274), 설비정보 제어부(276) 및 보고서 처리부(227)를 포함한다.
모의 현장에 포함된 설비정보 수신부(271)는 기계 설비들 각각으로부터 그 기계 설비에 대응된 계측 값들 및 해당 기기의 기기 상태를 수신한다. 이 때 상기 기계 설비들의 종류는 환기 설비, 펌프 설비, 소화 설비, PSD 설비, 승강설비, 통신장비설비, 및 조명 설비를 포함한다.
설비 운영상황 표시부(272)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설비운영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정보들을 표시한다.
통신 처리부(273)는 외부 장치(예컨대, 철도 조직 또는 대외조직)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설비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기계 설비들 중 적어도 하나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알린다.
제어신호 송/수신부(274)는 상기 기계 설비들 각각의 기기 상태 또는 계측값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한다. 이 때, 제어신호 송/수신부(274)는 상기 제어신호를 설비관제 시스템(270)을 운영하는 설비관제 요원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설비정보 제어부(276)는 입력되는 제어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설비운영 스케줄에 의거하여 상기 기계 설비들 각각의 기기 상태 또는 계측값들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설비정보 제어부(276)는 상기 제어신호를 모의현장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보고서 처리부(227)는 설비 정보 수신부(271)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들 및 설비정보 제어부(276)에 의한 제어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집/저장하여 미리 설정된 양식에 따라 보고서를 작성 및 출력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에 예시된 설비관제 시스템의 감시화면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a는 상기 설비 관계 시스템의 설비 운영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도 11b는 CCTV 제어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을 위한 가상의 종합 관제실에 대한 조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의 관제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운전관제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예시된 운전관제 시스템의 궤도정보 표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e는 도 3에 예시된 운전관제 시스템의 감시 화면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2에 예시된 열차관제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에 예시된 열차관제 시스템의 감시화면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2에 예시된 전력관제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 예시된 전력관제 시스템의 감시화면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도 2에 예시된 설비관제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에 예시된 설비관제 시스템의 감시화면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Claims (27)

  1.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시 발생될 것으로 예측되는 현장 상황에 대응한 모의 현장을 가상으로 구현하고, 대응된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는 모의 현장 시스템;
    상기 모의현장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모의 현장에 대한 운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정보를 원격 제어하는 운전관제 시스템;
    상기 모의현장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모의 현장에 대한 전력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력정보를 원격 제어하는 전력관제 시스템;
    상기 모의현장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모의 현장에 대한 설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설비정보를 원격 제어하는 설비관제 시스템; 및
    상기 모의현장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모의 현장에서 무인으로 운행되는 모든 열차에 대하여 열차의 상태와 객실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열차의 상태 및 객실상황에 이상 발생시 그를 해결하기 위해 원격 제어하는 열차관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현장 시스템, 운전관제 시스템, 전력관제 시스템, 설비관제 시스템 및 열차관제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들로부터 모의현장 변경정보를 전달받고, 그 모의현장 변경정보를 나머지 시스템들에 적용하여, 상기 모의 현장 시스템, 운전관제 시스템, 전력관제 시스템, 설비관제 시스템 및 열차관제 시스템 각각에 표현되는 모의 현장 정보를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관제 시스템은
    상기 모의 현장에서 무인으로 운행되는 열차의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기 또는 시설물들, 및 운행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운영상황정보를 수신하는 종합운영상황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종합운영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정보들을 표시하는 종합운영상황 표시부;
    상기 열차의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기 또는 시설물들 및 제어 가능한 운행환경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신호 송/수신부;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열차의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기 또는 시설물들 및 제어 가능한 운행환경 정보들을 원격 제어하는 운행 제어부;
    상기 종합운영상황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종합운영상황정보에 대한 데이터들 및 상기 운행 제어부에 의한 제어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집/저장하여 미리 설정된 양식에 따라 보고서를 작성 및 출력하는 보고서 처리부;
    상기 종합운영상황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종합운영상황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열차 또는 역사에 대한 안내사항 및 경고사항 또는 미리 등록된 상기 안내사항 및 경고사항을 1:1 또는 1:n으로 방송하는 관제방송 처리부; 및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종합운영상황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종합운영상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열차의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기 또는 시설물들 및 운행환경들 중 적어도 하나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알리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운영상황정보는
    궤도정보, 전체열차운행정보, 역사정보, 역사시설물 정보, 신호정보, CCTV 영상 정보, 전력정보, 기후정보 및 경보정보를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운영상황 표시부는
    운영정보 감시화면, 플랫폼 스크린 도어 동작상태 감시화면, 화재 감시화면, 신호 감시화면 및 CCTV 감시화면을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제어부는
    열차 운행이 비정상적일 때 열차가 정상 운행될 때까지 열차의 운행 정보를 임의로 변경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관제 시스템은
    상기 종합운영상황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열차의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기 및 운행환경들 중 적어도 하나에 사고/고장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항목, 이벤트 내용 및 처리 절차를 상기 종합운영상황정보 표시부에 표시하는 사고/고장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모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고장 알림부는
    기 저장된 이벤트 등급에 따라 그 순위별로 이벤트를 처리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한 제어항목을 표시하는 제어화면을 더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제 시스템은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전력 계통 시설물들 및 기기들 각각으로부터 전압, 전류, 전력, 전력량, 역률, 주파수, 직류전류 및 직류전압을 포함하는 계측 값과, 해당 기기의 기기 상태를 수신하는 전력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운영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정보들을 표시하는 전력운영상황 표시부;
    상기 시설물들 및 기기들 각각의 기기 상태 또는 계측값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신호 송/수신부;
    입력되는 제어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전력운영 스케줄에 의거하여 상기 시설물들 및 기기들 각각의 기기 상태 또는 계측값들을 제어하는 전력정보 제어부;
    상기 전력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들 및 상기 전력정보 제어부에 의한 제어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집/저장하여 미리 설정된 양식에 따라 보고서를 작성 및 출력하는 보고서 처리부; 및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전력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전력 계통 시설물들 및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알리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제 시스템은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전력 계통 시설물들 및 기기들 중 실제 현장에서 위험 요소가 있다고 판단되는 시설물들 및 기기들에 대한 감시화면을 표시하는 감시화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제 시스템은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모든 시설물들 및 기기들 중 경보가 발생된 기기의 기기번호, 기기 명칭 및 발생시점을 표시하고, 경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경보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제 시스템은
    상기 전력관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 각각의 동작 상태, 통신 상태 및 전원상태를 진단하는 자기 진단부를 더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제 시스템은
    상기 전력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시설물들 및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사고/고장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 항목, 이벤트 내용 및 처리 절차를 상기 전력운영상황 표시부에 표시하는 사고/고장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고장 알림부는
    복수의 사고/고장 이벤트가 접수된 경우 기 저장된 이벤트 등급에 따라 그 순위별로 해당 정보를 이벤트를 처리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정보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한 제어항목을 표시하는 제어화면을 더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관제 시스템은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기계 설비들 각각으로부터 그 기계 설비에 대응된 계측 값들 및 해당 기기의 기기 상태를 수신하는 설비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설비운영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정보들을 표시하는 설비운영상황 표시부;
    상기 기계 설비들 각각의 기기 상태 또는 계측값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신호 송/수신부;
    입력되는 제어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설비운영 스케줄에 의거하여 상기 기계 설비들 각각의 기기 상태 또는 계측값들을 제어하는 설비정보 제어부;
    상기 설비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들 및 상기 설비정보 제어부에 의한 제어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집/저장하여 미리 설정된 양식에 따라 보고서 를 작성 및 출력하는 보고서 처리부; 및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설비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기계 설비들 중 적어도 하나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알리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관제 시스템은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기계 설비들 중 실제 현장에서 위험 요소가 있다고 판단되는 기계설비들에 대한 감시 화면을 표시하는 감시 화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관제 시스템은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기계 설비들 중 경보가 발생된 기기의 기기번호, 기기 명칭 및 발생시점을 표시하고, 경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경보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관제 시스템은
    상기 설비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모의 현장에 포함된 기계 설비들 중 적어도 하나에 사고/고장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 항목, 이벤트 내용 및 처리 절차를 상기 설비운영상황 표시부에 표시하는 사고/고장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고장 알림부는
    기 저장된 이벤트 등급에 따라 그 순위별로 이벤트를 처리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2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정보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한 제어항목을 표시하는 제어화면을 더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관제 시스템은
    상기 모의 현장에서 무인으로 운행되는 열차들 각각에 대한 운행정보 및 상태정보와, 노선정보를 수신하는 열차 및 노선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열차 운행정보 및 열차 상태정보와, 노선 정보를 포함한 열차 및 노선 운영상황 정보를 표시하는 열차 및 노선 운영상황 표시부;
    상기 열차 상태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신호 송/수신부;
    상기 제어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운전관제 시스템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열차 상태를 원격 제어하는 열차 제어부;
    상기 열차 및 노선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들 및 상기 열차 제어부에 의한 제어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집/저장하여 미리 설정된 양식에 따라 보 고서를 작성 및 출력하는 보고서처리부;
    상기 열차 및 노선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열차에 대한 안내 사항 및 경고 사항 또는 미리 등록된 상기 안내사항 및 경고사항을 을 1:1 또는 1:n으로 방송하는 관제방송처리부; 및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열차 및 노선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인으로 운행 중인 열차 및 상기 모의 현장에 포함된 노선들 중 적어도 하나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알리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 제어부는
    전장품 제어, 차단기 트립/복귀 제어, 승객 호출에 따른 통화시도 제어, 객실 내 감시 화면 선택/조정 및 열차 고장 상태 제어는 상기 운전 관제 시스템의 제어 명령 없이 독자적으로 처리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관제 시스템은
    상기 열차 및 노선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의 현장에서 무인으로 운행되는 열차들 중 적어도 하나에 사고/고장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항목, 이벤트 내용 및 처리 절차를 상기 열차 및 노선 운영상황 표시부에 표시하는 사고/고장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고장 알림부는
    기 저장된 이벤트 등급에 따라 그 순위별로 이벤트를 처리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한 제어항목을 표시하는 제어화면을 더 포함하는 모의 관제 시스템.
KR1020070091952A 2007-09-11 2007-09-11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을 위한 모의 관제시스템 KR100906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952A KR100906349B1 (ko) 2007-09-11 2007-09-11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을 위한 모의 관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952A KR100906349B1 (ko) 2007-09-11 2007-09-11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을 위한 모의 관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888A KR20090026888A (ko) 2009-03-16
KR100906349B1 true KR100906349B1 (ko) 2009-07-06

Family

ID=4069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952A KR100906349B1 (ko) 2007-09-11 2007-09-11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을 위한 모의 관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3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469B1 (ko) * 2010-04-22 2010-07-26 대아티아이(주) 열차관제 시뮬레이션 시스템
CN112949081B (zh) * 2021-03-22 2024-03-22 中铁信(北京)网络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路网应急救援策略仿真与评估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778A (ko) * 2000-10-02 2002-04-12 최장수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의 교관용 운영 시스템
KR20050083751A (ko) * 2002-11-14 2005-08-26 알스톰 페로비아리아 에스.피.에이. 설비, 특히 역사설비에 명령을 하는 철도의 논리소프트웨어 엔진들을 점검하는 장치와 방법
KR20050119388A (ko) * 2004-06-16 2005-12-21 주식회사 마니정보 열차 운행 재생 장치를 구비한 운영자용 열차 감시시스템, 운영자용 열차 감시 시스템의 음성 경보 방법 및열차 운행 재생 방법
KR20060026091A (ko) * 2006-02-22 2006-03-22 경봉기술(주) 열차/전동차 모의운전연습기 성능진단 및 훈련평가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778A (ko) * 2000-10-02 2002-04-12 최장수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의 교관용 운영 시스템
KR20050083751A (ko) * 2002-11-14 2005-08-26 알스톰 페로비아리아 에스.피.에이. 설비, 특히 역사설비에 명령을 하는 철도의 논리소프트웨어 엔진들을 점검하는 장치와 방법
KR20050119388A (ko) * 2004-06-16 2005-12-21 주식회사 마니정보 열차 운행 재생 장치를 구비한 운영자용 열차 감시시스템, 운영자용 열차 감시 시스템의 음성 경보 방법 및열차 운행 재생 방법
KR20060026091A (ko) * 2006-02-22 2006-03-22 경봉기술(주) 열차/전동차 모의운전연습기 성능진단 및 훈련평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888A (ko) 200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732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facility and fireground management
EP2336070B1 (de) Verfahren zur Ferndiagnose einer Aufzuganlage und Aufzug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ong Application of CAST and STPA to railroad safety in China
CN102368345B (zh) 电梯的远程监视系统
KR101093021B1 (ko) 정보 통합형 철도 시스템
KR20090026887A (ko)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을 위한 모의 현장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모의 상황 발생 방법
CN109740831A (zh) 轨道交通运营调度系统、方法及设备
Song et al. A STAMP analysis on the China-Yongwen railway accident
KR102032747B1 (ko)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
US11668122B2 (en) Arrangement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 rail vehicle, or for a building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vehicle or the building
KR100906349B1 (ko)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을 위한 모의 관제시스템
KR20230098654A (ko) 연결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0972469B1 (ko) 열차관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165390B1 (ko) 승강장 안전문을 포함하는 설비의 통합모니터링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1694072B1 (ko)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
KR101708338B1 (ko) 열차 운행 감시 시스템
JP6348432B2 (ja) 運転整理訓練用端末および運転整理訓練システム
CN105527909A (zh) 一种数据监控装置、数据监控方法和监控系统
KR101879943B1 (ko) 터널 교통안전방재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JP2001117479A (ja) ネットワークシミュレータ、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記憶した記憶媒体
EP2637147A1 (de) Gefahrenmeldesystem und Verfahren zur Überprüfung dessen Funktionsfähigkeit
Bryant et al. The GETAWAY project–improving passenger evacuation techniques in railway stations (and other transport hubs)
CN113409537A (zh) 一种轨道运输安全保障系统
JP7370441B1 (ja) 遠隔監視システム
Beale Recent railway industry accidents: learning points for the process indust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