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747B1 -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747B1
KR102032747B1 KR1020160169396A KR20160169396A KR102032747B1 KR 102032747 B1 KR102032747 B1 KR 102032747B1 KR 1020160169396 A KR1020160169396 A KR 1020160169396A KR 20160169396 A KR20160169396 A KR 20160169396A KR 102032747 B1 KR102032747 B1 KR 102032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imulator
input value
joint train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355A (ko
Inventor
왕종배
박찬우
최돈범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6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747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5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recording or measuring trainee's perform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19/167Control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5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the view from a vehicle being simu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차량, 이벤트 및 시나리오가 가상공학을 이용하여 객체화 구현된 라이브러리들이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라이브러리들 중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라이브러리를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시키고,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값을 송신하는 다수의 사용자 시뮬레이터 및 상기 다수의 사용자 시뮬레이터 중 제1사용자 시뮬레이터로부터 송신된 제1사용자의 입력값을 수신하여 제2사용자 시뮬레이터에 전송하고, 제1사용자의 입력값에 대응한 제2사용자의 입력값을 제2사용자 시뮬레이터를 통해 수신하는 통합관리 시뮬레이터를 포함하는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상호간의 비기술적 임무수행능력을 훈련, 평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Joint training simulator for railway driving workers and method for evaluating joint training of railway driving worker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상호간의 비기술적 임무수행능력을 훈련, 평가할 수 있도록 한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생하고 있는 철도사고는 기술적 고장, 결함이나 운전, 관제 기능과 지식의 부족보다는 관련 업무 종사자들의 상황인식, 위험판단, 안전규정 준수나 의사소통, 업무협력과 같은 비-기술적 능력(NTS: Non-technical skill)의 결여로 인한 오류, 위반 등의 인적요인이 핵심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철도의 운행안전을 책임지는 기관사, 승무원, 관제사 및 신호취급자는 분야별로 선발하여 개인별 직무기능 중심의 교육훈련과 실무수습을 소속별로 독립적으로 시행하는 체계를 가지고 있다.
즉, 다양한 사고, 장애 및 위험상황에서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개개인의 올바른 상황인식, 위험판단, 의사결정, 규정준수에 대한 교육, 훈련이나 종사자들 상호간의 정보교환, 의사소통, 업무협력과 같은 그룹(팀) 단위의 합동훈련, 평가를 수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NTS 기반의 인적성능을 검증하는 프로그램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기관사 운전면허 취득과 관제사 자격요건 획득 과정에서 각각 개별적인 시뮬레이터를 활용하고 있지만 운전 또는 관제 취급/조작이나 고장조치 등에 필요한 해당 직무 분야의 기술적 기능을 중심으로 교육훈련과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예컨대, 기관사용 운전훈련연습기(PTS)는 운전계기판과, 운행환경영상 및 훈련지시화면(훈련시나리오)을 통해 열차기동, 운행, 정차 과정의 운전규칙과 운전조작, 취급 기능을 집중, 반복적으로 훈련, 숙달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또한, 전기능 운전시뮬레이터(FTS)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행영상(선로, 승강장, 신호기, 분기기 등)과 운전실(운전대, 현시장치, 실장품 사용)을 구성하고, 교관용 제어대를 통해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정상, 비정상 상황의 운전직무와 차량 고장조치 등의 기술적 기능을 훈련, 숙달하며, 교관과 통화하면서 사고보고나 정보교환 등 비상대응 능력을 일부 포함하여 운전면허 취득 과정의 교육, 평가에 활용하고 있다.
아울러, 관제취급(신호취급) 시뮬레이터는 운행계획처리, 운행진로제어 등의 운전관제 업무와 신호고장, 연동폐색결함 등 이상조치, 대응능력을 숙달하고, 사고, 장애시 열차방호, 운전정리 등의 비상대응능력을 훈련, 평가하는 데에도 일부 활용하고 있다.
즉, 종래의 모의 운전연습기나 시뮬레이터는 개별적인 직무수행에 필요한 기능과 대응조치의 반복 숙달에 중점을 두고, 규정된 임무상황에 대응한 조작, 취급의 성공과 실패를 기록, 분석하여 개인별 임무수행의 기술적 기능만을 주로 평가하고 있을 뿐 인적 오류나 위반 행동의 원인 또는 배경 요인에 대한 사후 분석과 인적성능 개선을 위한 개인별 피드백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하면 새로운 위험상황에 처하거나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적절한 위험인지/예측, 의사결정, 규정준수나 직무부하 관리 등 개인별 NTS 기반의 안전임무 수행능력과 연계된 인적성능의 객관적인 평가와 피드백을 실시할 수 없다.
또한, 종래기술의 경우 사고, 장애, 위험 상황별 시나리오를 교관이 통제, 발령하고, 단계별 비상대응 절차 적용과 조치 내용의 적절성을 질문/답변 및 행동 관찰을 통해 개인별로 안전임무 수행능력을 주관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훈련/평가 시나리오 적용 수준의 공정성 유지와 평가의 객관성 확보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의 모의 운전연습기나 시뮬레이터는 특정 차량을 대상으로 취급, 조작 설비/기기가 실장품으로 설치, 고정되어 있어 다른 차종 선택에 따른 운전실 하드웨어와 훈련내용의 변경이 불가능하여 차종별로 시뮬레이터를 구비, 운용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가 열차 종류, 운행 선로 등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철도사고, 장애 및 위험상황을 유사 체험, 훈련할 수 있는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가 그룹 단위로 정상, 이례, 사고 상황에서의 위험예측, 정보교환, 의사소통, 업무협조 등과 같은 협력적인 임무수행능력을 합동으로 훈련, 평가할 수 있는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의 개인별 임무수행 과정에서 상황인식, 위험판단, 의사결정, 규정준수, 직무부하관리 등 비기술적 능력 기반의 인적성능을 검증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개인 및 그룹별 자격능력을 검증하고 안전임무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 이벤트 및 시나리오가 가상공학을 이용하여 객체화 구현된 라이브러리들이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라이브러리들 중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라이브러리를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시키고,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값을 송신하는 다수의 사용자 시뮬레이터; 및 상기 다수의 사용자 시뮬레이터 중 제1사용자 시뮬레이터로부터 송신된 제1사용자의 입력값을 수신하여 제2사용자 시뮬레이터에 전송하고, 제1사용자의 입력값에 대응한 제2사용자의 입력값을 제2사용자 시뮬레이터를 통해 수신하는 통합관리 시뮬레이터;를 포함하는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통합관리 시뮬레이터는 수신된 제2사용자의 입력값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임무판정기준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사용자 시뮬레이터는 상기 통합관리 시뮬레이터로부터 수신된 제1사용자의 입력값에 따라 각각 다른 이벤트나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들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a) 통합관리 시뮬레이터가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차량, 이벤트, 시나리오에 관한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제1사용자 시뮬레이터의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시키는 단계와; (b) 제1사용자 시뮬레이터가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1사용자의 입력값을 입력받아 통합관리 시뮬레이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c) 통합관리 시뮬레이터가 수신된 제1사용자의 입력값을 제2사용자 시뮬레이터의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시키는 단계와; (d) 제2사용자 시뮬레이터가 인터페이스로 출력된 제1사용자의 입력값에 대응하는 제2사용자의 입력값을 입력받아 통합관리 시뮬레이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통합관리 시뮬레이터가 수신된 제2사용자의 입력값과 임무판정기준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2사용자 시뮬레이터가 제1사용자의 입력값에 따라 각각 다른 이벤트나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들을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관사, 승무원, 관제사, 신호취급자 등과 같은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를 대상으로 정상, 이례, 사고 등의 다양한 상황을 합동으로 유사 체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전 정의된 학습목적이나 개인 또는 집단의 특정 요건에 맞게 시나리오를 제어할 수 있고, 관리자는 학습목적에 따라 열차, 통신장비, 기후조건, 궤도상 장애물 등과 같은 사건 발생을 통제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취급, 조작 설비/기기를 가상공학을 적용하여 객체화 구현한 차종별 운전실 구성배치 라이브러리와 노선별 운행상황 라이브러리로 인해 훈련, 평가 시뮬레이션 대상 노선 및 열차 종류를 임의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적용으로 각종 기기, 장치의 선택, 취급, 조작을 자동으로 기록하고, 인지, 반응 데이터 분석에 기초하여 개인별, 그룹별 안전대응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적 오류, 위반 행동을 특징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위험상황에 처하거나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적절한 위험인지, 예측, 의사결정, 규정준수나 직무부하 관리 등 개인별 NTS 기반 안전임무 수행능력과 연계된 인적성능의 객관적인 평가와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관리자는 훈련, 평가 결과와 동료 검토자료를 기초로 평가 대상 훈련/평가자의 NTS에 대한 경각성 형성을 지원하며, 훈련 과정상의 다른 시나리오에서 NTS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추가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시뮬레이터 교육을 받지 않는 시간에도 학습 환경을 생산적으로 가져갈 수 있고, 집단 학습에 의한 학습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게다가, 어느 하나의 팀이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훈련에 참여하는 동안 다른 팀들은 훈련/평가 팀의 수행성능에 대한 동료 검토를 수행하고, 이 과정에서 NTS 요소별 행동지표(긍정/부정)를 평가, 작성하여 평가 대상 훈련자에 대한 동료 검토 설명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능 운전시뮬레이터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시뮬레이터에 객체화 구현된 기기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의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사용자 시뮬레이터의 디스플레이에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평가 시나리오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평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시뮬레이터에 객체화 구현된 기기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의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사용자 시뮬레이터의 디스플레이에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100)는 저장부(110)와, 사용자 시뮬레이터(120) 및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를 포함한다.
저장부(110)에는 철도의 운행과 관련한 차량, 이벤트, 시나리오에 대한 라이브러리들이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차량에 대한 라이브러리는 철도 차량의 기동, 가속, 감속, 정지를 위한 운행/제어 장치, 판토, 출입문, 제동, 조명, 기적 등과 같은 취급/조작 기기, 차량, 운전, 고장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운전/정보 현시, 유무선 통신, 안내방송을 위한 방송/통신 장치 등과 같은 각종 기기 및 장치를 차종별로 선택할 수 있는 운전실 배치 구성(Layout) 라이브러리일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시나리오에 대한 라이브러리는 운행경로(궤도, 역사, 분기기, 건널목 등), 열차 작업 점유, 열차 작업 방호, 폐색(자동폐색, 대용폐색), 연동(진출입, 분기), 신호/지시(출발, 정지, 입환), 운전정리(지시, 지연, 대기, 경로/순서 변경) 등을 노선별 경로, 안전설비, 운행환경 목적 및 구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운행상황 라이브러리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라이브러리들은 사전 정의된 학습목적과 평가 대상인 개인 또는 집단의 특정 요건에 따라 열차, 통신장비, 기후조건, 궤도상 장애물 등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자 시뮬레이터(120)의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되는데, 이는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를 통해 관리자에 의해 통제된다.
한편, 저장부(110)는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에 포함됨으로써 저장부(110)에 저장된 라이브러리들이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에 의해 관리, 예컨대, 등록, 저장, 수정, 삭제, 호출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0)에는 이벤트나 시나리오에 대한 사용자의 대응을 평가하기 위한 임무판정기준 데이터가 저장된다. 임무판정기준 데이터는 후술하는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의 합동 훈련에서 개인별 또는 팀별 기기 취급/조작의 정확성, 대응/처리의 적절성, 정보/전달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의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값과 일치 여부가 판정된다.
사용자 시뮬레이터(12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라이브러리들 중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를 통해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차량, 이벤트,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시키고, 훈련 과정에서 발생하는 관리자 및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와 송수신하게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시뮬레이터(120)는 라이브러리들이 인터페이스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이벤트 또는 시나리오에 대한 사용자의 대응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른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사용자의 입력값과 관리자 또는 다른 사용자의 입력값을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와 송수신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의 입력값을 기록,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사용자 시뮬레이터(120)에서는 철도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각종 설비, 장치, 기기의 형상, 기능, 동작 등이 가상공학(VE: Virtual Engineering)을 이용하여 라이브러리로 객체화(objects) 구현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의 (a), (b), (c)에는 운전취급기기, 승무취급기기, 관제/신호취급기기의 라이브러리가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된 예를 각각 나타내었다. 이처럼 라이브러리는 이미지에 기반하여 모사되고, 모사된 라이브러리에는 모사 대상 설비, 장치, 기기의 기능이 부여되어 시뮬레이터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시뮬레이터(120)는 합동 훈련에 참가하는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의 수만큼 구비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무원, 기관사 및 관제/신호취급자가 훈련에 참가할 경우 사용자 시뮬레이터(120)는 각 훈련자마다 1대씩 총 3대가 사용되고, 훈련자의 수가 변동되면 그에 따라 사용자 시뮬레이터(120)의 수도 증감될 수 있다.
이 경우, 승무원 시뮬레이터는 출발전호, 출입문 취급/조작, 비상대응 등의 제어(취급, 조작) 훈련이 가능하도록 차종, 노선에 따른 운행상황을 현시하고, 기관사 시뮬레이터는 차량의 기동, 출발, 정지, 고장조치, 비상대응 등의 운전 제어(취급, 조작) 훈련이 가능하도록 차종, 노선에 따른 운행상황을 현시하며, 관제/신호취급자 시뮬레이터는 관제/신호취급, 운전명령 또는 메시지 전달 등의 관제/신호 제어(취급/조작) 훈련이 가능하도록 관제상황을 현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시뮬레이터(120)에 철도 차량의 운행 및 관제 상황이 표시된 상태에서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가 미리 설정된 이벤트 또는 시나리오의 정상, 이례, 사고 상황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가 제시된 상황에 대해 특정값을 입력하면 사용자 시뮬레이터(120)가 사용자의 반응, 위험인지, 행동특성을 자동으로 검지하고, 의사소통, 업무협력, 작업부하 등을 기록, 감시하게 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이벤트 또는 시나리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은 터치방식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 시뮬레이터(120)의 디스플레이를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여 고장, 경고, 운행순서변경, 대피, 지연, 속도제한, 비상정지, 열차방호, 작업방호 등의 지시/명령을 터치스크린에 제시하고, 각 사용자가 해당 지시/명령에 대한 확인/반응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하면 각 사용자 시뮬레이터(120)별로 사용자의 대응 훈련 결과가 저장부에 기록, 저장되는 것이다. 도 5에는 차량정보의 확인/반응(도 5의 (a)), 운전정보의 확인/반응(도 5의 (b)), 운전제어의 취급, 조작(도 5의 (c), (d))과 관련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예시하였다.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는 다수의 사용자 시뮬레이터(120) 중 제1사용자 시뮬레이터로부터 전송된 제1사용자의 입력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1사용자의 입력값을 제2사용자 시뮬레이터에 전송한다. 이후, 제2사용자 시뮬레이터가 제1사용자의 입력값에 대응한 제2사용자의 입력값을 입력받아 송신하면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가 이를 수신하여 제2사용자의 대응을 평가하게 된다. 이 경우, 제2사용자 시뮬레이터는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로부터 수신된 제1사용자의 입력값에 따라 각각 다른 이벤트나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들을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하고, 이에 대한 제2사용자의 입력값을 입력받아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는 훈련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각 사용자 시뮬레이터(120)의 시뮬레이션 상황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시뮬레이션 상황을 제어하기 위해 관리자에 의해 조작되는 입력부와,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라이브러리를 각 사용자 시뮬레이터(12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키고, 이에 대한 사용자와 관리자의 입력값을 송수신하며, 사용자의 입력값과 임무판정기준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훈련 결과를 평가하는 제어부 및 앞서 설명한 저장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평가 시나리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평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추가로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 시뮬레이터(120)의 입력부를 통해 훈련에 참가할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기관사, 승무원, 관제사, 신호취급자)의 직종 및 개인 ID를 입력하고, 훈련/평가 단위, 즉, 개인 훈련인지 팀 훈련인지 여부를 선택하여 훈련/평가 등록 단계를 실시한다. 이 경우, 훈련할 철도 차량의 차종이 함께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사용자 시뮬레이터(1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값은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에 전송된다.
이후,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는 사용자의 입력값에 따라 저장부(110)로부터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각각의 사용자 시뮬레이터(120)의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시킨다. 따라서 사용자 시뮬레이터(120)의 디스플레이에는 선택된 차종, 운행상황에 대한 인터페이스가 출력되고, 기 설정된 이벤트나 시나리오에 따라 정상, 이례, 사고, 장애 상황이 제시되면서 임무가 부여된다.
이후, 사용자가 부여된 임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터치 방식으로 대응을 입력하면 사용자 시뮬레이터(120)가 해당 입력값을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에 전송한다.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는 사용자의 입력값을 수신하여 임무상 관련된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시뮬레이터(120)에 전송한다. 이 경우,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시뮬레이터(120)는 사용자의 입력값에 따라 각각 다른 이벤트나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들을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다른 사용자가 수신된 사용자 입력값이나 출력된 다른 이벤트 또는 시나리오에 대응하여 사용자 시뮬레이터(120)에 특정값을 입력하면 사용자 시뮬레이터(120)가 입력값을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에 전송한다. 이 경우, 부여된 임무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 반응은 각 사용자 시뮬레이터(120)의 저장부에 기록, 저장된다.
마지막으로, 통합관리 시뮬레이터(13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값을 토대로 각 사용자의 대응을 평가한다. 사용자의 대응 평가는 사용자의 입력값과 저장부(110)에 저장된 개인임무 판정기준 데이터 또는 팀 훈련/평가 판정기준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팀 훈련/평가시에는 다른 팀들에 의한 동료 검토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동료 검토는 NTS 요소별 행동지표(긍정/부정)를 평가, 작성하여 평가 대상 훈련자에 피드백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
110 : 저장부 120 : 사용자 시뮬레이터
130 : 통합관리 시뮬레이터

Claims (6)

  1. 철도차량의 차종별로 운전실의 배치 구성에 관해 선택할 수 있는 차량 라이브러리와, 철도차량의 운행노선별로 운행상황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이벤트 및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는 운행상황 라이브러리가 가상공학을 이용하여 객체화 구현되어 저장됨과 아울러, 상기 이벤트나 시나리오에 대한 사용자의 대응을 평가하기 위한 임무판정기준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라이브러리들 중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라이브러리를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시키고,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값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하되, 철도운전과 관련하여 업무협력을 하는 훈련대상자들이 모여 그룹 단위로 합동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대상자별로 구비되는 다수의 사용자 시뮬레이터; 및
    철도차량의 운행과 관련하여 사전 정의된 학습목적과 평가대상인 개인 또는 집단의 특정 요건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라이브러리들 중에서 열차, 통신장비, 기후조건, 궤도상 장애물에 대한 라이브러리를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 시뮬레이터의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시키고, 상기 다수의 사용자 시뮬레이터 중 제1사용자 시뮬레이터로부터 송신된 제1사용자의 입력값을 수신하여 제2사용자 시뮬레이터에 전송하고, 제1사용자의 입력값에 대응한 제2사용자의 입력값을 제2사용자 시뮬레이터를 통해 수신한 후, 상기 임무판정기준 데이터를 기준으로 각 사용자들의 합동훈련결과를 평가하도록 하는 통합관리 시뮬레이터;
    를 포함하는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 시뮬레이터는 수신된 제2사용자의 입력값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임무판정기준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 시뮬레이터는 상기 통합관리 시뮬레이터로부터 수신된 제1사용자의 입력값에 따라 각각 다른 이벤트나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들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a) 통합관리 시뮬레이터가 철도차량의 차종별로 운전실의 배치 구성에 관해 선택할 수 있는 차량 라이브러리와 철도차량의 운행노선별로 운행상황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이벤트 및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는 운행상황 라이브러리가 가상공학을 이용하여 객체화 구현되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로부터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차량, 이벤트, 시나리오에 관한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철도운전과 관련하여 업무협력을 하는 훈련대상자들이 모여 그룹 단위로 합동훈련을 수행하는 사용자 시뮬레이터들의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시키는 단계와;
    (b) 상기 사용자 시뮬레이터 중에서 제1사용자 시뮬레이터가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1사용자의 입력값을 입력받아 통합관리 시뮬레이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c) 통합관리 시뮬레이터가 수신된 제1사용자의 입력값을 제2사용자 시뮬레이터의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시키는 단계와;
    (d) 제2사용자 시뮬레이터가 인터페이스로 출력된 제1사용자의 입력값에 대응하는 제2사용자의 입력값을 입력받아 통합관리 시뮬레이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통합관리 시뮬레이터가 수신된 제2사용자의 입력값과 임무판정기준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각 사용자들의 합동훈련결과를 평가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2사용자 시뮬레이터가 제1사용자의 입력값에 따라 각각 다른 이벤트나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들을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
KR1020160169396A 2016-12-13 2016-12-13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 KR102032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396A KR102032747B1 (ko) 2016-12-13 2016-12-13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396A KR102032747B1 (ko) 2016-12-13 2016-12-13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355A KR20180068355A (ko) 2018-06-22
KR102032747B1 true KR102032747B1 (ko) 2019-10-18

Family

ID=6276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396A KR102032747B1 (ko) 2016-12-13 2016-12-13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7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830B1 (ko) * 2018-10-17 2020-06-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
EP3640114A1 (en) * 2018-10-17 2020-04-22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Adjustable railway vehicle simulator and joint training simulator for railway driving-related workers
TWI743407B (zh) 2018-10-26 2021-10-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載具模擬裝置及方法
KR102124879B1 (ko) 2019-11-19 2020-06-22 한국철도공사 철도 급전계통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102597812B1 (ko) * 2021-11-05 2023-11-02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소형화된 전동차 개인용 시뮬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887A (ko) * 2007-09-11 2009-03-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을 위한 모의 현장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모의 상황 발생 방법
KR20100007060A (ko) * 2008-07-11 2010-01-22 주식회사 유니텍 교관석 운영 시스템
KR101507014B1 (ko) * 2013-07-10 2015-03-30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운송장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55946B1 (ko) * 2014-06-24 2016-09-08 테크빌교육 주식회사 자기주도형 자동차 정비 훈련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355A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747B1 (ko)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
de Carvalho et al. Reflections on work as done (WAD) and work as imagined (WAI) in an emergency response organization: A study on firefighters training exercises
Cannon-Bowers et al. A framework for developing team performance measures in training
Dong Application of CAST and STPA to railroad safety in China
Song et al. A STAMP analysis on the China-Yongwen railway accident
KR20090026889A (ko) 무인 철도 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훈련 시스템및 그 방법
Taggart Crew resource management: Achieving enhanced flight operations
Kawakami Application of a systems-theoretic approach to risk analysis of high-speed rail project management in the US
KR102121830B1 (ko)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운전 취급 종사자 합동 훈련을 평가하는 방법
Schlesinger Organizational culture
Rosenhand et al. Cognitive and Collaborative Demands of Freight Conductor Activities Results and Implications of a Cognitive Task Analysis
Maag et al. ASSESSMENT OF TRAIN DRIVERS’PERFORMANCE INA DRIVING SIMULATOR
KR102124879B1 (ko) 철도 급전계통 훈련 시스템 및 방법
Van der Weide et al. ERTMS pilot in the Netherlands–impact on the train driver
EP3640114A1 (en) Adjustable railway vehicle simulator and joint training simulator for railway driving-related workers
Olsson A validation study comparing performance in a low-fidelity train-driving simulator with actual train driving performance
Placencia et al. Technology and high reliability organizations in railroad operations safety: a case study of Metrolink/SCRRA and Positive Train Control (PTC) Implementation
Hooey et al. Positive Train Control (PTC) Study: An Analysis of PTC-Related Reports Submitted to the Confidential Close Call Reporting System (C3RS)
Park Development of Simulator to Jointly Evaluate & Train Non-Technical Skills of Railway Staffs using Ergonomics and Virtual Engineering Technologies
HATAKEYAMA et al. Training method of communication skills for train dispatchers in abnormal situations
Schlesinger FRA Training requirements
Zhang et al. Analysing railway safety with systems thinking
Van Der Merwe Train driver automation strategies to mitigate signals passed at danger on South African railways
Roth et al. Understanding why railroad yard crews run through misaligned switches through the lens of sociotechnical systems
Moloney Applying simulation techniques to train railway traction driv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