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072B1 -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072B1
KR101694072B1 KR1020150152266A KR20150152266A KR101694072B1 KR 101694072 B1 KR101694072 B1 KR 101694072B1 KR 1020150152266 A KR1020150152266 A KR 1020150152266A KR 20150152266 A KR20150152266 A KR 20150152266A KR 101694072 B1 KR101694072 B1 KR 101694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landing
failure
subwa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식
Original Assignee
박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식 filed Critical 박창식
Priority to KR1020150152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하철 승강장에 분산 설치되어, 지하철 승강장 상황을 촬영한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획득 및 제공하는 다수의 감시 카메라; 상기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되어, 지하철 운전자에게 승강장 영상을 제공하는 승강장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다수의 분할화면을 통해 동시 표시하는 상기 제1 승강장 영상을 생성 및 제공하는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 지하철 역사 운영 및 지하철 운행 관련 상황을 파악 및 안내하되, 상기 다수의 감시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백업 장치를 통해 백업함과 동시에 제2 승강장 영상을 추가 생성하는 역내 관제 장치; 및 상기 제1 및 제2 승강장 영상 중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하되, 승강장 영상 제공 중인 장치에 장애가 발생하면 나머지 장치를 통해 생성되는 승강장 영상을 대체 전송하는 장애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장애 처리 장치는 승강장 영상 전송 상태를 기반으로 장애 상태의 장치를 파악한 후, 장애 상태의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대한 선별적 통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VIDEO ERROR IN MONITORING SUBWAY PASSENGER'S SITUATION}
본 발명은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철 운전자에게 승하차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영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장애 발생 원인까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특히 지하구간의 승강장에서의 지하철이 정차한 후 승객이 승, 하차시에 지하철를 운전하는 기관사는 이 모습을 CCTV 카메라로 표출하는 모니터를 보고 전철 차량의 출입문을 개폐하고 있다. 이때에 기관사는 출입문이 제대로 열리고 닫혔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승강장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지를 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승강장 전철 출입문을 감시하는 승강장 디스플레이 장치는 1인 승무로 운행을 하는 지하구간의 기관사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므로 승강장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을 하지 않으면 운행을 중지 할 정도로 그 비중이 매우 높다.
그러나 이 승강장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계장치인 고로 여러 가지 문제로 작동이 중단되거나 화면이 안 보이는 장애가 나타나곤 한다. 이런 장애가 나오는 이유는 여러 가지이겠으나 이런 장애 시에 철도 보수요원이 출동하여 조치를 취하게 되는데 얼마간의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이는 지하철 안전운행에 중대한 문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신속히 제거되어야 한다.
이에 승강장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되는 영상을 끊김 없이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하철 운전자에게 승하차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영상을 끊김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장애 발생 원인까지 확인한 후, 선별적 알림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후속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하는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은, 지하철 승강장에 분산 설치되어, 지하철 승강장 상황을 촬영한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획득 및 제공하는 다수의 감시 카메라; 상기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강장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승강장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다수의 분할화면을 통해 동시 표시하는 상기 승강장 영상을 생성 및 제공하는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 지하철 역사 운영 및 지하철 운행 관련 상황을 파악 및 안내하되, 상기 다수의 감시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백업 장치를 통해 백업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장 영상을 추가 생성하는 역내 관제 장치; 및 상기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와 상기 역내 관제 장치 중 하나로부터 승강장 영상을 제공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하되, 승강장 영상 제공 중인 장치에 장애가 발생하면 나머지 장치를 통해 생성되는 승강장 영상을 대체 전송하는 장애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장애 처리 장치는 승강장 영상 전송 상태를 기반으로 장애 상태의 장치를 검출 및 통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애 처리 장치는 상기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와 상기 역내 관제 장치 중 하나가 승강장 영상 제공을 실패하는 경우에는 승강장 영상 제공을 실패하는 장치를 장애 상태 장치라고 판단하고, 상기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와 상기 역내 관제 장치 모두가 승강장 영상 제공을 실패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수의 감시 카메라의 카메라 영상을 상기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와 상기 역내 관제 장치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가 장애 상태 장치라고 판단하는 장애 발생 위치 추적부; 상기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 상기 역내 관제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 각각을 담당하는 관리자를 파악 및 관리하며, 장애 상태 장치를 담당하는 관리자에게 장애 발생 메시지를 선별적으로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 상기 역내 관제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알람 장치를 구비하고, 장애 상태의 장치에 대응되는 알람 장치를 통해 장애 발생을 시청각적으로 통보하는 알람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애 처리 장치는 상기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와 상기 역내 관제 장치 각각의 하드웨어 스트레스 정도를 기반으로 장애 발생 가능성을 산출한 후, 상기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와 상기 역내 관제 장치의 관리자 각각에 안내하는 장애 발생 가능성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애 발생 위치 추적부는 승강장 영상 전송 상태와 장치별 장애 발생 가능성을 더블 체크하여, 장애 상태의 장치를 파악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애 처리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장애 상태인 경우, 카메라 영상 전송을 위한 우회 통신 경로를 검색 및 이용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장애 상태가 자동 해소되도록 하는 우회 통신 경로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하철 운전자에게 승강장 상황 안내를 위한 승강장 영상을 이중 구조로 생성 및 제공함으로써, 시스템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승강장 영상 제공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스템내 장치에 장애가 발생했는지를 단순 확인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장애 발생 위치까지 검출하고 통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애 발생 상황이 보다 신속 정확하게 해소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장애 처리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 예 및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 예 및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다수의 감시 카메라(11~14), 승강장 디스플레이 장치(20),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 역내 관제 장치(40), 장애 처리 장치(50)네트워크 장치(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감시 카메라(11~14)는 지하철 승강장에 분산 설치되어, 지하철 승강장 상황을 촬영하여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획득 및 제공하도록 한다.
승강장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지하철 승강장(특히, 지하철 승강장의 맨 앞쪽)에 설치되어, 해당 지하철 역사에 진입 및 정차한 지하철에 탑승한 기관사에게 지하철 탑승객의 승하차 상황을 실시간 안내하기 위한 영상, 즉 승강장 영상을 제공하도록 한다.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는 네트워크 장치(60)를 거쳐 다수의 감시 카메라(11~14)로부터 전송되는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승강장 영상을 생성하도록 한다. 즉, 전제화면을 다수의 카메라 영상의 개수에 따라 분할한 후, 다수의 분할화면을 통해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동시 표시하는 승강장 영상을 생성하여, 후단의 장애 처리 장치(50)에 제공하도록 한다.
역내 관제 장치(40)는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각종 감시 장치들과 외부의 종합 관제 시스템과 상호 연동되어 지하철 역사 운영 및 지하철 운행 관련에 관련된 각종 상황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시청각적으로 안내하도록 한다.
이때, 감시 장치는 역사내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 역사내 온도, 조도, 습도, 분진, 유해가스 등과 같은 환경 정보를 측정 및 통보하는 환경 감지 센서, 승객의 긴급 호출 동작을 감지 및 통보하는 긴급 호출 장치, 스크린 도어를 동작 제어함과 동시에 동작 결과를 감지 및 통보하는 스크린 도어 장치, 그리고 역사내 각종 장소를 촬영하는 다수의 감시 카메라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물론 이들 외에 역사내 추가 설치되는 감시 장치가 있으면, 이들을 통해 획득되는 정보 또한 역내 관제 장치(40)를 통해 안내될 수 있을 것이다. 종합 관제 시스템은 현재 운행 중인 지`구간 등에 대한 정보를 역내 관제 장치(40)에 실시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역내 관제 장치(40)는 별도의 백업 장치를 구비하며, 백업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 장치(60)를 거쳐 다수의 감시 카메라(11~14)로부터 전송되는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백업하도록 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된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다수의 분할 화면을 통해 동시 표시하는 승강장 영상을 생성하여 장애 처리 장치(50)에 제공하도록 한다. 물론, 역사 관리자가 승강장 영상 안내를 요청하는 경우, 이에 응답하여 현재 생성된 승강장 영상을 역무실에 설치된 역내 디스플레이 장치(45)를 통해 실시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도록 한다.
장애 처리 장치(50)는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와 역내 관제 장치(40) 중 하나를 통해 생성되는 하나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하되, 현재 승강장 영상 제공 중인 장치에 장애가 발생하면 나머지 하나의 장치를 통해 생성되는 승강장 영상을 대체 영상으로 즉각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장애 처리 장치(50)는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와 역내 관제 장치(40) 각각의 승강장 영상 전송 여부를 확인한 후,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와 역내 관제 장치(40) 중 하나가 승강장 영상 제공을 실패하는 경우에는 승강장 영상 제공을 실패하는 장치에 장애가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와 역내 관제 장치(40) 모두가 승강장 영상 제공을 실패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장치(60)에 장애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장애 발생 장치가 확인되면, 장애 발생 장치에 대한 정보를 해당 장치를 관리하는 담당자의 통신 단말(71~73 중 하나), 해당 장치에 대응되는 알람 장치(51~53 중 하나), 그리고 역내 관리 장치(40)를 통해 동시 다발적으로 통보함으로써, 이에 대한 후속 조치가 보다 신속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 역내 관제 장치(40), 및 네트워크 장치(60) 각각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상이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장치별 관리 업체 정보(71~73)를 사전에 등록 및 관리하도록 한다. 그리고 장애 장치 검출시에는 장애 발생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 연락처로 장애 발생 통보 메시지를 즉각 전송함으로써, 지하철 기관사이 별도의 연락을 취하지 않아도 관리 업체에서 현재 상황을 즉각 인지하고, 현재의 장애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후속 조치를 즉각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네트워크 장치(60)는 다수의 감시 카메라(11~14)와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 및 역내 관제 장치(40) 사이의 통신 경로와, 장애 처리 장치(50)와 디스플레이 장치(20) 사이의 통신 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장치(60)는 예를 들어, 승강장측에 설치된 다수의 감시 카메라(11~14)를 통해 획득된 카메라 영상을 역무실측에 설치된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와 역내 관제 장치(40)에 동시 전송하기 위한 광 스위치 허브(61), 광 분배함(62), 광 케이블(63), 광 분배함(64), 및 광 점퍼 코드(65) 등과, 역무실측에 설치된 장애 처리 장치(50)로부터 전송되는 승강장 영상을 승강장측에 설치된 승강장 디스플레이 장치(20)에 전송하기 위한 라우터(66), 광 분배함(67), 광 케이블(68), 광 케이블(69), 및 셋탑 박스(610) 등을 구비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네트워크 장치 구현 구조는 시스템 설치 환경, 관리자의 요청 사항 등에 의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을 당연할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장애 처리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장애 처리 장치(50)는 장애 발생 위치 검출부(51), 메시지 전송부(52), 알람 제어부(53), 우회 통신 경로 검색부(54) 및 장애 발생 가능성 분석부(5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애 발생 위치 검출부(51)는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의 승강장 영상을 우선적으로 수신하여 승강장 디스플레이 장치(20)에 제공하되,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가 승강장 영상을 정상 제공하지 못하면,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역내 관제 장치(40)의 승강장 영상을 통해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의 승강장 영상을 즉각 대체하여 승강장 디스플레이 장치(20)에 제공함으로써, 승강장 디스플레이 장치(20)가 계속하여 승강장 영상을 지하철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 및 역내 관제 장치(40) 모두 승강장 영상 제공에 실패한다면, 장애 발생 위치 검출부(51)는 네트워크 장치(60)에 장애가 발생하여 다수의 감시 카메라(11~14)의 카메라 영상이 역무실측에 위치하는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 및 역내 관제 장치(40)에 제공되지 못하는 상태로 판단하도록 한다.
메시지 전송부(52)는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 역내 관제 장치(40), 및 네트워크 장치(60) 각각을 관리하는 관리자 정보(즉, 업체의 대표 연락처, 업체내 담당자 연락처, 또는 기관사 연락처)를 사전에 등록 및 관리하도록 한다. 장애 장치 검출시에는 장치별 관리자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 장치를 관리하는 담당자를 확인한 후, 담당자의 통신 단말 등으로 장애 발생 통보 메시지를 즉각 전송하도록 한다. 즉,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를 관리하는 담당자가, 역내 관제 장치(4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역내 관제 장치(40)를 관리하는 담당자가, 네트워크 장치(6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네트워크 장치(60)를 관리하는 담당자가 현재의 장애 발생 상황을 가장 빨리 인지하고, 현장에 출동하여 후속 조취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장애 발생 통보 메시지는 지하철 역명, 장애 상태 장치의 식별 정보, 장애 발생 일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메시지 전송부(52)는 역내 관제 장치(40)와 외부의 종합 관제 시스템에도 장애 발생 통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역사내 담당자 뿐 만 아니라 지하철 역사의 운영 상황을 통합 관제하는 담당자도 현재의 상황을 즉각 인지하고, 필요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알람 제어부(53)는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 역내 관제 장치(40), 및 네트워크 장치(60)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알람 장치(51~53)를 구비한다. 그리고 장애 발생 위치 검출부(51)에 의해 장애 상태 장치가 검출되면, 이에 응답하여 장애 상태 장치에 대응되는 하나의 알람 장치(예를 들어, 51)를 통해 알람을 발생함으로써, 역사내 담당자가 현재의 장애 상황을 신속,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와 역내 관제 장치(40)는 자신의 하드웨어 스트레스 정도(예를 들어, CPU 작업 부하, CPU 온도, 메모리 사용 상태, 하드 디스크 동작 상태)를 실시간 체크하여, 부가정보 형태로 장애 처리 장치(50)에 제공함으로써, 장애 처리 장치(50)가 이를 기반으로 장애 발생 가능성을 미리 인지하고, 사용자 통보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장애 처리 장치(50)는 장애 발생 가능성 분석부(54)를 더 구비하며, 장애 발생 가능성 분석부(54)는 하드웨어 스트레스 정도와 장애 발생 가능성간 상관 관계를 정의한 분석 정보를 사전에 획득 및 저장하고, 이를 통해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와 역내 관제 장치(40)의 하드웨어 스트레스 정도를 분석하여 장애 발생 가능성을 산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장애 발생 가능성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와 역내 관제 장치(40) 각각에 제공함으로써, 장애 발생 이전에 담당자가 필요 조치를 적절히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장애 발생 빈도가 획기적으로 낮아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장애 발생 통보 메시지는 지하철 역명, 대상 장치의 식별 정보, 대상 장치의 장애 발생 가능성,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장애 발생 통보 메시지에 대한 발송 기준을 사전 정의한 후, 발송 기준, 즉 장애 발생 가능성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한해 장애 발생 통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장애 발생 위치 검출부(51)는 승강장 영상의 전송 여부와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와 역내 관제 장치(40)의 장애 발생 가능성을 더블 체크한 후 장애 상태의 장치를 최종 선정함으로써, 장애 발생 위치 검출 동작의 정확성을 보다 향상 시켜 줄 수도 있도록 한다.
뿐 만 아니라, 지하철과 같은 대단위 시설물에 설치되는 네트워크 장치의 경우, 통신 경로가 다중 경로로 형성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우회 통신 경로 설정부(55)를 추가 구비하고, 이를 통해 네트워크 장치에 장애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한해, 다수의 감시 카메라(11~14)와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 및 역내 관제 장치(40) 사이의 우회 통신 경로 검색 동작을 추가로 수행하고, 우회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현재의 장애 발생 상황을 손쉽게 해결할 수도 있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만약, 지하철이 역사내에 진입하면(S101), 다수의 감시 카메라(11~14)는 지하철 승강장 상황을 촬영하여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획득한 후,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와 역내 관제 장치(40)에 전송하도록 한다(S102).
그러면,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가 제1 승강장 영상을 생성함과 동시에(S103), 역내 관제 장치(40) 또한 제2 승강장 영상을 생성 및 백업하도록 한다(S104).
그러면, 장애 처리 장치(50)는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를 통해 생성되는 제1 승강장 영상을 우선적으로 수신하여(S105), 승강장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S106).
그러나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로부터 제1 승강장 영상을 정상 수신하지 못하면(S105), 역내 관제 장치(40)를 통해 제2 승강장 영상을 추가 수신한 후(S107), 이를 승강장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S108).
한편, 제1 및 제2 승강장 영상 모두가 정상 수신되지 못하면(S107), 네트워크 장치에 장애가 발생하여,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 및 역내 관제 장치(40)가 오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네트워크 장치의 장애 발생을 통보하도록 한다(S110).
상기의 설명에서는 제1 승강장 영상을 우선적으로 수신 및 전송한 후,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의 장애 발생 시에만 역내 관제 장치(40)를 통해 생성된 제2 승강장 영상을 대체 전송하는 경우에 한해 설명하였지만, 필요한 경우 그 반대 방식으로 동작될 수도 있음이 물론 당연할 것이다.
도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승강장 영상의 전송 여부와 각 장치의 장애 발생 가능성을 더블 체크함으로써 동작 정확성을 보다 향상한 경우에 관한 것이다.
만약, 지하철이 역사내에 진입하면(S201), 다수의 감시 카메라(11~14)는 지하철 승강장 상황을 촬영하여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획득한 후,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와 역내 관제 장치(40)에 전송하도록 한다(S202).
그러면,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가 제1 승강장 영상을 생성함과 동시에(S203), 역내 관제 장치(40) 또한 제2 승강장 영상을 생성 및 백업하도록 한다(S204).
그러면, 장애 처리 장치(50)는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를 통해 생성되는 제1 승강장 영상을 우선적으로 수신하여(S205), 승강장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S206).
그러나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로부터 제1 승강장 영상을 정상 수신하지 못하면(S205), 역내 관제 장치(40)를 통해 제2 승강장 영상을 추가 수신한 후(S207), 이를 승강장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S208).
이에 더하여,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의 하드웨어 스트레스 정도를 확인 및 분석하여 장애 발생 가능성을 확인한 후(S209), 장애 발생 가능성이 기 설정된 임계치 보다 큰 경우에 한해(S210),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이 실제 장애 상태임을 확인 및 통보하도록 한다(S211).
한편, 제1 및 제2 승강장 영상 모두가 정상 수신되지 못하면(S207), 역내 관제 장치(40)의 하드웨어 스트레스 정도를 확인 및 분석하여 장애 발생 가능성을 추가 확인하도록 한다(S212).
단계 S212의 확인 결과, 역내 관제 장치(40)의 장애 발생 가능성이 기 설정된 임계치 보다 크면(S213), 역내 관제 장치(40)가 실제 장애 상태임을 확인 및 통보하고(S214), 그렇지 않으면 네트워크 장치에 장애가 발생하여,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30) 및 역내 관제 장치(40)가 오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네트워크 장치의 장애 발생을 통보하도록 한다(S215).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지하철 승강장에 분산 설치되어, 지하철 승강장 상황을 촬영한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획득 및 제공하는 다수의 감시 카메라;
    상기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강장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승강장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다수의 분할화면을 통해 동시 표시하는 상기 승강장 영상을 생성 및 제공하는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
    지하철 역사 운영 및 지하철 운행 관련 상황을 파악 및 안내하되, 상기 다수의 감시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백업 장치를 통해 백업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장 영상을 추가 생성하는 역내 관제 장치; 및
    상기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 또는 상기 역내 관제 장치로부터 상기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승강장 영상을 제공할 때에, 상기 승강장 영상을 제공하는 상기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 또는 상기 역내 관제 장치 중 하나에 장애가 발생하면 나머지 장치를 통해서 지하철 승강장에 마련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승강장 영상을 제공하는 장애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장애 처리 장치는,
    상기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와 상기 역내 관제 장치 중 하나가 승강장 영상 제공을 실패하는 경우에는 승강장 영상 제공을 실패하는 장치를 장애 상태 장치라고 판단하고, 상기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와 상기 역내 관제 장치 모두가 승강장 영상 제공을 실패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수의 감시 카메라의 카메라 영상을 상기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와 상기 역내 관제 장치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가 장애 상태 장치라고 판단하는 장애 발생 위치 검출부;
    상기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 상기 역내 관제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 각각을 담당하는 관리자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자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 장치를 담당하는 관리자 및 상기 역내 관제 장치와 외부의 종합 관제 시스템에 장애 발생 통보 메세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 상기 역내 관제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알람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장애 발생 위치 검출부에 의해 장애 장치가 검출되면 역사내 담당자가 현재의 장애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처리 장치는
    상기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와 상기 역내 관제 장치 각각의 하드웨어 스트레스 정도를 기반으로 장애 발생 가능성을 산출한 후, 상기 승강장 영상 생성 장치와 상기 역내 관제 장치의 관리자 각각에 안내하는 장애 발생 가능성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발생 위치 검출부는
    승강장 영상 전송 상태와 장치별 장애 발생 가능성을 더블 체크하여, 장애 상태의 장치를 파악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처리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장애 상태인 경우, 카메라 영상 전송을 위한 우회 통신 경로를 검색 및 이용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장애 상태가 자동 해소되도록 하는 우회 통신 경로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
KR1020150152266A 2015-10-30 2015-10-30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 KR101694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266A KR101694072B1 (ko) 2015-10-30 2015-10-30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266A KR101694072B1 (ko) 2015-10-30 2015-10-30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072B1 true KR101694072B1 (ko) 2017-01-06

Family

ID=5783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266A KR101694072B1 (ko) 2015-10-30 2015-10-30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0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553B1 (ko) * 2017-03-13 2018-06-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 방법 및 시스템
CN109951701A (zh) * 2019-02-22 2019-06-28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监控故障处理方法及装置
CN115331155A (zh) * 2022-10-14 2022-11-11 智慧齐鲁(山东)大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海量视频监控点位出图状态检测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4103A (ko) * 2008-01-01 2009-07-06 명관 이 출입문 모니터링 스크린도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4103A (ko) * 2008-01-01 2009-07-06 명관 이 출입문 모니터링 스크린도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553B1 (ko) * 2017-03-13 2018-06-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 방법 및 시스템
CN109951701A (zh) * 2019-02-22 2019-06-28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监控故障处理方法及装置
CN115331155A (zh) * 2022-10-14 2022-11-11 智慧齐鲁(山东)大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海量视频监控点位出图状态检测方法及系统
CN115331155B (zh) * 2022-10-14 2023-02-03 智慧齐鲁(山东)大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海量视频监控点位出图状态检测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463B1 (ko) 건물 내에 설치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시스템
KR101949525B1 (ko) 무인탐지장치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2554662B1 (ko) 이동식 무인탐지장치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안전관리 시스템
LU101335B1 (en) Smart emergency evacuation indicating system and method for a metro station
KR101694072B1 (ko)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
KR100916960B1 (ko) 승강장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25807B1 (ko) 멀티미디어 정보와 cps 기술을 활용한 임베디드 방식의 터널 자율운영시스템
KR20210051376A (ko)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KR20150122415A (ko) 재난 현장 무선 통합 지휘 시스템
JP5634222B2 (ja) 通行車両監視システム及び車両用監視カメラ
KR20110071691A (ko) 정보 통합형 철도 시스템
CN112562254B (zh) 火灾监测方法、消防管控服务器、存储介质及监测系统
KR101729985B1 (ko) 영상정보를 이용해 다수의 터널통합방재장치를 통합 관리하는 터널 통합 방재 방송 시스템
JP6805328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KR101758008B1 (ko) 화재탐지 연계 실시간 철도 역사 영상 감시 시스템
KR101205265B1 (ko) 오류 자가진단 능력을 구비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KR102231861B1 (ko) 철도 통합 관제 방법 및 철도 통합 관제 시스템
KR101266015B1 (ko) 승강장 안전선 및 선로 감시 시스템
KR101708338B1 (ko) 열차 운행 감시 시스템
JP6504941B2 (ja) 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列車運行管理方法
KR101937791B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0889875B1 (ko) 역사의 통합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H09182061A (ja) 画像による安全監視方法
KR101879943B1 (ko) 터널 교통안전방재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CN105527909A (zh) 一种数据监控装置、数据监控方法和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