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208B1 - 단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단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208B1
KR100906208B1 KR1020070078415A KR20070078415A KR100906208B1 KR 100906208 B1 KR100906208 B1 KR 100906208B1 KR 1020070078415 A KR1020070078415 A KR 1020070078415A KR 20070078415 A KR20070078415 A KR 20070078415A KR 100906208 B1 KR100906208 B1 KR 100906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uide
circular roller
fram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453A (ko
Inventor
윤효진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2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14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contact member feed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2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feed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단자공급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단자공급장치는: 복수의 단자가 연결편에 의하여 연결된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이 외측에 권선된 코어부재와 상기 코어부재의 양측에 구비된 원판 형상의 외형틀을 포함한 원형롤러부와, 상기 원형롤러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가 걸려지는 브라켓을 구비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가 작업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상호 연결된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작업대를 따라 수평이동되며, 상기 원형롤러부에 권선된 터미널이 이동되기 위한 안내면을 구비한 이동거치대 및 상기 이동거치대에 연결된 상기 프레임부재에 상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외형틀에 하측이 접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자, 원형롤러부, 스토퍼, 이동거치대, 내측하우징

Description

단자공급장치{Terminal feeder}
본 발명은 단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롤러부에서 풀려나온 단자가 거치대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공급되는 것에 의하여 단자의 휨을 방지하여 불량률이 감소하며, 원형롤러부의 교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단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단자공급장치는 단자가 권선된 롤 형상의 롤러부가 작업자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롤러부에서 풀려난 단자는 전선에 압착되기 위하여 압착기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롤러부에서 풀려난 단자는 하측으로 내려오면서 자중에 의하여 하측으로 일부가 내려갔다가 다시 안내면을 따라 이동되기 위하여 상측으로 휘어지면서 'S'자 형상의 곡선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단자간의 부딪힘이 발생하여 제품불량의 요인이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부가 작업자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롤러부의 교환작업이 어렵게 된다.
그리고, 롤러부에서 풀려난 단자를 안내하는 거치대가 작업대에 고정된 것에 의하여, 작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단자의 공급위치를 변경하는 작업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롤러부에서 풀려난 단자의 자중에 의하여 터미널이 늘어지게 됨으로 단자간의 부딪힘이 발생되어 제품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가 권선된 롤러부가 작업자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교환작업이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부에서 풀려난 단자를 안내하는 거치대가 작업대에 고정된 것에 의하여, 작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단자의 공급위치를 변경하는 작업이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공급장치는: 복수의 단자가 연결편에 의하여 연결된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이 외측에 권선된 코어부재와 상기 코어부재의 양측에 구비된 원판 형상의 외형틀을 포함한 원형롤러부와, 상기 원형롤러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가 걸려지는 브라켓을 구비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가 작업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상호 연결된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작업대를 따라 수평이동되며, 상기 각형롤러에부 권선된 터미널이 이동되기 위한 안내면을 구비한 이동거치대 및 상기 이동거치대에 연결된 상기 프레임부재에 상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외형틀에 하측이 접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토퍼는 상기 원형롤러부와 접하는 하단이 절곡 형성된 접합편과, 상기 접합편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형틀의 외측을 감싸는 가이드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편의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가 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거치대는 상기 작업대에 고정되어서 일측에는 연결공이 구비된 내측하우징과, 상기 연결공을 관통하여 설치된 안내바와, 상기 안내바가 고정되기 위한 내측공간을 형성하며 외측에는 상기 안내면이 구비된 외측하우징 및 상기 외측하우징을 상기 내측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바와 상기 내측하우징 사이에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원통 형상의 리니어부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외측하우징의 측면에 복수로 통공 형성된 장착공을 구비한 장착부와, 상기 장착공과 연통되는 안내공이 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하측은 상기 내측하우징에 고정된 지지부와, 상기 안내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장착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와 힌지 연결된 손잡이부재 및 상기 손잡이부재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에 타단이 힌지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롤러부에서 풀려나온 단자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원형롤러부를 향한 상기 이동거치대의 일단에는 곡면을 구비한 가이드부재가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공급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단자가 권선된 원형롤러부가 자중에 의하여 풀리는 것을 스토퍼에 의해 차단하는 것에 의하여 단자의 처짐을 방지하게 됨으로 단자간에 부딪혀서 발생되는 단자의 파손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가 이송되는 이동거치대 하측에 원형롤러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단자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당겨지며 인출됨으로 단자의 처짐을 방지하게 됨으로 단자간에 부딪혀서 발생되는 단자의 파손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가 권선된 원형롤러부가 이동거치대의 하측에 설치된 것에 의하여 원형롤러부의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부에서 풀려난 단자를 안내하는 이동거치대가 작업환경에 따라 작업대에서 이동됨이 용이하게 되어 단자의 공급위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자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거치대가 작업대 상에서 이동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거치대의 하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내측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토퍼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스토퍼의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원형롤러부가 걸려지기 위한 거치부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지지바가 브라켓에 걸려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이동거치대를 작업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고정수단의 잠금에 의하여 이동거치대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고정수단의 풀림에 의하여 이동거치대가 이동 가능한 상태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공급장치는, 복수의 단자(3)가 연결편(5)에 의하여 연결된 터미널(1)과, 상기 터미널(1)이 외측에 권선된 코어부재(12)와 상기 코어부재(12)의 양측에 구비된 원판 형상의 외형틀(14)을 포함한 원형롤러부(10)와, 상기 원형롤러부(10)의 중심을 관통하는 지지바(132)와 상기 지지바(132)가 걸려지는 브라켓(134)을 구비한 거치부(130)와, 상기 거치부(130)가 작업대(100)의 하측에 위 치하도록 수직프레임(142)과 수평프레임(140)이 상호 연결된 프레임부재(146)와, 상기 프레임부재(146)와 연결되어 상기 작업대(100)를 따라 수평이동되며, 상기 원형롤러부(10)에 권선된 터미널(1)이 이동되기 위한 안내면(22)을 구비한 이동거치대(20) 및 상기 이동거치대(20)에 연결된 상기 프레임부재(146)에 상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외형틀(14)에 하측이 접하는 스토퍼(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형롤러부(10)는 코어부재(12)의 좌우측에 위치한 외형틀(14)이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원형롤러부(10)의 코어부재(1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코어부재(12)의 외주면에는 단자(3)가 연결편(5)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터미널(1)이 권선된다.
상기 터미널(1)은 원형롤러부(10)의 풀림에 따라 이동거치대(20)를 통해 이동되어 각각의 단자(3)에 전선이 결합되는 작업을 갖게 된다.
상기 원형롤러부(10)의 중공부(16)에는 지지바(132)가 삽입되어 브라켓(134)에 걸려짐으로, 상기 원형롤러부(10)는 상기 이동거치대(20) 하측 방향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지지바(132)와 브라켓(134)은 거치부(130)를 구성하게 되며, 상기 거치부(130)는 수직프레임(142)과 수평프레임(140,144,145)의 상호 조합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146)에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부재(146)는 이동거치대(20)에 고정됨으로, 상기 거치부(130)가 상기 작업대(10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가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프레임부재(146)는 수직프레임(142)과 수평프레임(140)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며, 이 외에도 경사진 형상으로 설치되는 경사프레임을 포함하여 다양한 프레임이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부재(146)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프레임(145)은 상기 원형롤러부(10)의 양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원형롤러부(10)의 측면에 상기 브라켓(134)이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134)은 상기 지지바(132)가 걸려지기 위하여 상측을 향하여 개방된 형상의 걸이홈(136)이 구비된다.
상기 원형롤러부(10)가 상기 이동거치대(20)의 하측에 설치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상기 프레임부재(14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스토퍼(110)의 상측은 평판 형상인 직선편(112)이 구비되고, 상기 직선편(112)은 경첩부재(116)에 의하여 수평프레임(140)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스토퍼(110)에서 상기 원형롤러부(10)와 접하는 하단은 상기 원형롤러부(10) 방향으로 절곡된 접합편(114)을 구비한다.
상기 접합편(114)은 하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원형롤러부(10)의 외형틀에 접함으로 상기 원형롤러부(10)가 자중이나 외부충격 등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접합편(114)의 양측에는 가이드편(115)이 구비되어 상기 외형틀(14)의 외측을 감싸게 된다.
상기 가이드편(115)은 상기 접합편(114)이 상기 외형틀(14)과 접하는 상태가 안정적이 되도록 안내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외형틀(14)의 측면에 접하여 일정한 마찰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편(115)의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가 된 안내부(117)가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스토퍼(110)가 상기 원형롤러부(10)에 덮이는 동작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거치대(20)는 상기 작업대(100)에 고정되어서 일측에는 연결공(32)이 구비된 내측하우징(30)과, 상기 연결공(32)을 관통하여 설치된 안내바(42)와, 상기 안내바(42)가 고정되기 위한 내측공간(26)을 형성하며 외측에는 상기 안내면(22)이 구비된 외측하우징(24) 및 상기 외측하우징(24)을 상기 내측하우징(3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측하우징(30)은 격판 형상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내측몸체(34)를 구비하며, 상기 내측몸체(34)에는 안내바(42)의 삽입을 위한 연결공(32)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몸체(34)의 양측에는 작업대(100)에 고정되기 위한 지지편(36)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공(32)에는 리니어부시(40)와 안내바(42)가 차례로 삽입된다.
상기 리니어부시(40)는 상기 안내바(42)와 상기 내측하우징(3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하우징(30)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하우징(24)은 상기 안내바(42)가 고정되기 위한 내측공간(26)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안내바(42)의 양단은 상기 외측하우징(24)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내측하우징(30)의 지지편(36)은 체결볼트(38)에 의하여 상기 작업 대(100)에 고정된 상태가 되며, 상기 외측하우징(24)은 상기 단자(3)가 이송되는 방향과는 수직방향으로 이동된 이후에 고정수단(50)에 의하여 상기 내측하우징(30)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50)은, 상기 외측하우징(24)의 측면에 복수로 통공 형성된 장착공(54)을 구비한 장착부(52)와, 상기 장착공(54)과 연통되는 안내공(62)이 몸체부(68)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68)의 하측은 상기 내측하우징(30)에 고정된 지지부(60)와, 상기 안내공(62)으로 삽입되어 상기 장착공(5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이동부재(70)와, 상기 이동부재(70)와 힌지 연결된 손잡이부재(80) 및 상기 손잡이부재(80)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60)에 타단이 힌지 연결된 연결부재(9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공(54)은 상기 외측하우징(24)의 측면에 복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작업환경이나 테이블의 크기 및 외측하우징(24) 등의 크기에 따라 상기 장착공(54)의 설치 위치 및 갯수는 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0)의 몸체부(68)는 절곡편(66)과 가이드블럭(6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곡편(66)은 'ㄴ'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하측은 상기 지지편(36)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절곡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측면과 , 상기 절곡편(66)에 고정되는 가이드블럭(64)에는 안내공(6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60)의 안내공(62)으로 막대 형상의 이동부재(70)가 삽입되며, 상기 이동부재(70)의 측면에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홀(72)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부재(70)의 일단에는 삽입편(74)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 편(74)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손잡이부재(80)의 일단에는 삽입홈(8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편(74)은 상기 삽입홈(8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힌지핀(90)의 삽입에 의하여 힌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96)는 제2힌지핀(92)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60)의 가이드부재(120)에 힌지연결되고, 제3힌지핀(94)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부재(80)에 힌지 연결이 각각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부재(8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70)는 상기 안내공(62)을 통하여 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면(22)에는 상기 원형롤러부(10)에서 풀린 단자(3)를 포함한 터미널(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15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롤러부(10)에서 풀려나온 단자(3)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원형롤러부(10)를 향한 상기 이동거치대(20)의 일단에는 곡면을 구비한 가이드부재(120)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곡면을 구비한 판재 형상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단자(3)가 가이드부재(120)의 곡면을 따라 이동거치대(20)의 안내면(22)으로 이동됨으로 단자(3)를 포함한 터미널(1)이 자중에 의하여 쳐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이동거치대(20)의 상측에는 별도의 작업 부품을 놓을 수 있는 수납부(150)가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수납부(150)는 상기 이동거치대(20)와 연결된 별도의 프레임부재(146)의 연결에 의하여 설치된다.
상기 원형롤러부(10)에서 풀려서 상기 이동거치대(20)를 통과한 단자(3)는 프레스작업기로 이송되어 전선에 단자(3)가 연결되기 위한 작업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스작업기에 물려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터미널(1)의 단자(3)는 상기 프레스작업기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원형롤러부(10)에서 점차 풀려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단자(3)의 이송동작에 의하여 상기 원형롤러부(10)는 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원형롤러부(10)가 이송거치대의 안내면(22) 보다 하측에 위치한 것에 의하여, 상기 단자(3)를 포함한 터미널(1)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급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면(22)과 원형롤러부(10) 사이에는 가이드부재(120)가 설치되어 상기 단자(3)를 포함한 터미널(1)이 자중에 의하여 하측으로 쳐지게 됨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롤러부(10)의 외형틀(14)은 스토퍼(110)의 접합편(114)과 가이드편(115)에 접하여 설치된 것에 의하여, 상기 원형롤러부(10)가 자중이나 관성 등에 의하여 회전됨을 방지하고, 프레스작업기에 물려서 터미널(1)이 이동될 때에만 원형롤러부(10)가 회전되도록 한다.
즉, 상기 원형롤러부(10)의 외형틀(14)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형틀에 접하여 일정한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한 상기 스토퍼는 접합편과 가이드편이 외형틀에 접하여 설치된 것과, 상기 스토퍼(110)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외형틀(14)을 눌러주는 것에 의하여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원형롤러부(10)의 교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원형롤러부(10)의 중공부(16)에 삽입된 지지바(132)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며, 이러한 작업에 의하여 지지바(132)와 원형롤러부(10)는 브라켓(134)에서 분리가 된다.
그리고, 단자(3)가 권선된 다른 원형롤러부(10)의 중공부(16)에 지지바(132)를 삽입하여 브라켓(134)의 걸이홈(136)에 걸어주는 것으로 원형롤러부(10)의 교환작업이 완료된다.
상기 원형롤러부(10)에서 풀려나는 터미널(1)의 공급위치를 변경할 경우, 상기 손잡이부재(80)를 회전시켜서 상기 이동부재(70)가 장착공(54)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상기 상태에서 외측하우징(24)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상기 손잡이부재(8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동부재(70)가 장착공(54)에 삽입되어 상기 외측하우징(24)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50)은 상기 이동거치대(20)의 양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원형롤러부(10)가 이동거치대(2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단자(3)를 포함한 터미널(1)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풀리는 것과, 가이드부재(120)의 안내에 의하여 터미널(1)을 받쳐주는 것과, 스토퍼(110)에 의하여 원형롤러부(10)가 임의적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 상기 원형롤러부(10)에서 풀려나서 상기 이동거치대(20)의 안내면(22)을 통과하는 터미널(1)이 쳐지지 않고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단자(3)간의 접촉을 최대한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단자(3)간 접촉에 의한 제품의 파손을 최소화 하게 되며, 제품의 불량율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리고, 작업대(100)에서 이동거치대(20)의 고정과 이동이 비교적 용이하게 됨으로 인하여 단자(3)의 공급위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거치대가 작업대 상에서 이동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거치대의 하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내측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토퍼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스토퍼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원형롤러부가 걸려지기 위한 거치부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지지바가 브라켓에 걸려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이동거치대를 작업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고정수단의 잠금에 의하여 이동거치대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고정수단의 풀림에 의하여 이동거치대가 이동 가능한 상태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터미널 3 : 단자
5 : 연결편 10 : 원형롤러부
12 : 코어부재 14 : 외형틀
16 : 중공부 20 : 이동거치대
22 : 안내면 24 : 외측하우징
26 : 내측공간 30 : 내측하우징
32 : 연결공 34 : 내측몸체
36 : 지지편 38 : 체결볼트
40 : 리니어부시 42 : 안내바
50 : 고정수단 52 : 장착부
54 : 장착공 60 : 지지부
62 : 안내공 64 : 가이드블럭
66 : 절곡편 68 : 몸체부
70 : 이동부재 72 : 가이드홀
74 : 삽입편 80 : 손잡이부재
82 : 삽입홈 90 : 제1힌지핀
92 : 제2힌지핀 94 : 제3힌지핀
96 : 연결부재 100 : 작업대
110 : 스토퍼 112 : 직선편
114 : 접합편 115 : 가이드편
116 : 경첩부재 117 : 안내부
120 : 가이드부재 130 : 거치부
132 : 지지바 134 : 브라켓
136 : 걸이홈 140,144,145 : 수평프레임
142 : 수직프레임 146 : 프레임부재
150 : 수납부 152 : 안내레일

Claims (7)

  1. 복수의 단자가 연결편에 의하여 연결된 터미널;
    상기 터미널이 외측에 권선된 코어부재와 상기 코어부재의 양측에 구비된 원판 형상의 외형틀을 포함한 원형롤러부;
    상기 원형롤러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가 걸려지는 브라켓을 구비한 거치부;
    상기 거치부가 작업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상호 연결된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작업대를 따라 수평이동되며, 상기 원형롤러부에 권선된 터미널이 이동되기 위한 안내면을 구비한 이동거치대; 및
    상기 이동거치대에 연결된 상기 프레임부재에 상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외형틀에 하측이 접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원형롤러부와 접하는 하단이 절곡 형성된 접합편과, 상기 접합편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형틀의 외측을 감싸는 가이드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의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치대는 상기 작업대에 고정되어서 일측에는 연결공이 구비된 내측하우징;
    상기 연결공을 관통하여 설치된 안내바;
    상기 안내바가 고정되기 위한 내측공간을 형성하며 외측에는 상기 안내면이 구비된 외측하우징; 및
    상기 외측하우징을 상기 내측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바와 상기 내측하우징 사이에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원통 형상의 리니어부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공급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외측하우징의 측면에 복수로 통공 형성된 장착공을 구비한 장착부;
    상기 장착공과 연통되는 안내공이 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하측은 상기 내측하우징에 고정된 지지부;
    상기 안내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장착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와 힌지 연결된 손잡이부재; 및
    상기 손잡이부재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에 타단이 힌지 연결된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공급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롤러부에서 풀려나온 단자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원형롤러부를 향한 상기 이동거치대의 일단에는 곡면을 구비한 가이드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공급장치.
KR1020070078415A 2007-08-06 2007-08-06 단자공급장치 KR100906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415A KR100906208B1 (ko) 2007-08-06 2007-08-06 단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415A KR100906208B1 (ko) 2007-08-06 2007-08-06 단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453A KR20090014453A (ko) 2009-02-11
KR100906208B1 true KR100906208B1 (ko) 2009-07-07

Family

ID=40684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415A KR100906208B1 (ko) 2007-08-06 2007-08-06 단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2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3486A (ja) * 1987-06-15 1988-12-21 Chiyuushiyou Kigyo Jigyodan 端子自動装填機
JPH07177693A (ja) * 1993-12-17 1995-07-14 Mabuchi Motor Co Ltd 小型モータ及びこの小型モータの端子装置の接続方法
WO2007005433A1 (en) 2005-06-30 2007-01-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erminal feeding device for a termination machine
JP2007066535A (ja) * 2005-08-29 2007-03-15 Altex:Kk 端子自動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3486A (ja) * 1987-06-15 1988-12-21 Chiyuushiyou Kigyo Jigyodan 端子自動装填機
JPH07177693A (ja) * 1993-12-17 1995-07-14 Mabuchi Motor Co Ltd 小型モータ及びこの小型モータの端子装置の接続方法
WO2007005433A1 (en) 2005-06-30 2007-01-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erminal feeding device for a termination machine
JP2007066535A (ja) * 2005-08-29 2007-03-15 Altex:Kk 端子自動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453A (ko)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667B1 (ko) 리니어 베어링 자동 볼 조립장치
KR100906208B1 (ko) 단자공급장치
KR100906209B1 (ko) 단자공급장치
KR100596565B1 (ko) 차체 조립 방법
JP2008068541A (ja) 射出成形用金型分離装置
KR100596564B1 (ko) 차체 조립 방법
JP2001267034A (ja) 端子段取替装置
CN216775128U (zh) 立式电路板承载装置
KR200324238Y1 (ko) 래들 경동로드 이탈 방지장치
EP1502974A3 (en) Yarn twisting machine comprising a yarn package supply
CN112109058A (zh) 一种绝缘杆挂架
JP2010247296A (ja) 切断機
JP3220779B2 (ja) プレス機の搬入ワーク位置決め装置
KR20200129287A (ko) 샤링기용 클램핑장치
CN218951685U (zh) 金片盘承载机构及具有其的电脑绣花机
JP3173290B2 (ja) ホタテ貝の耳吊り機およびホタテ貝の耳吊り方法
CN218454268U (zh) 用于绣花机的珠绣装置及具有其的绣花机
CN208158368U (zh) 一种电机用漆包线绕线模架
CN212471466U (zh) 一种绝缘杆挂架
CN217371492U (zh) 一种轴承座立式夹具
KR102575070B1 (ko) 가공배전선 지지용 애자장착형 고정기구
CN214417371U (zh) 一种新型自动折弯机
JPH08175781A (ja) ホイスト用吊りフック
JP3913103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余長処理構造
CN109986653B (zh) 一种过滤网自动送料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