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141B1 - 자동차용 도어스커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스커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141B1
KR100906141B1 KR1020080076109A KR20080076109A KR100906141B1 KR 100906141 B1 KR100906141 B1 KR 100906141B1 KR 1020080076109 A KR1020080076109 A KR 1020080076109A KR 20080076109 A KR20080076109 A KR 20080076109A KR 100906141 B1 KR100906141 B1 KR 100906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pace groove
main
plastic cover
mai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정훈
Original Assignee
시노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노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노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6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05Manufacturers' emblems, name plates, bonnet ornaments, mascots or the like; 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스커프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하부측 판넬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개방된 메인공간홈(11)이 길게 형성된 본체(10)와; 메인공간홈(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면발광을 하는 면발광체(20)와; 면발광체(20)에 부착되는 문양형성시트(30)와; 문양형성시트(30) 상부측의 메인공간홈(11)에 설치되는 플라스틱커버(40)와; 면발광체(20)를 향하는 플라스틱커버(40)의 표면에 형성된 하프밀러층(50)과; 본체(10)를 판넬면에 부착하는 제1양면테입(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스커프{a door scarf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스커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타고 내릴 때 발광하는 자동차용 도어스커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도어스커프란 도어 하부측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타고 내릴 때 신발에 의하여 도어 하부측의 차체판넬의 도장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스커프는 발에 의하여 도장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이외에, 자동차의 이름등의 도안 또는 문양이 새겨져 식별력을 가지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도어스커프는 어두운 야간에는 그 위치가 정확히 보이지 않으므로 발을 헛짚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야간에는 도어스커프에 새겨진 도안 또는 문양이 잘 보이지 않으므로, 식별력을 상실하엿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야간에도 자체 발광함으로써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새겨진 이름등의 도안 또는 문양이 명확히 보이도록 함으로써 식별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스커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공성을 좋게 할 수 있고, 미세디자인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원가를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스커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커프는, 도어 하부측 판넬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개방되어 길게 형성된 메인공간홈(11)과, 메인공간홈(11) 내측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된 서브공간홈(12)과, 상기 메인공간홈(11)의 양측단에 형성된 끼움홈(13)을 가지는 본체(10); 상기 메인공간홈(11)의 서브공간홈(1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면발광을 하는 면발광체(20); 상기 면발광체(20)에 부착되는 문양형성시트(30); 상기 문양형성시트(30) 상부측의 상기 메인공간홈(11)에 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에 상기 끼움홈(13)에 끼어지는 끼움돌부(43)가 형성된 플라스틱커버(40); 상기 면발광체(20)를 향하는 플라스틱커버(40)의 표면에 형성된 하프밀러층(50); 상기 본체(10)를 상기 판넬면에 부착하는 제1양면테입(60); 상기 플라스틱커버(40)를 상기 메인공간홈(11)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공간홈(12)의 제외한 메인공간홈(11)에 부착되는 제2양면테입(70); 및 상기 메인공간홈(11)의 내측 가장자리측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플라스틱커버(40)와 메인공간홈(11) 사이를 방수되게 밀착시키는 가요성 재질의 실링(15);을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커버(40)의 상부면에는 탑승자의 신발에 의하여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하드코팅층(44)이 형성되거나, 탑승자의 신발에 의하여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하드코팅테입(45)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브공간홈(12)에는 상기 면발광체(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L)이 관통되는 전선홈(12a)이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커프에 따르면, 메인공간홈이 길게 형성된 본체와, 메인공간홈에 설치되는 면발광체와, 면발광체에 부착되는 문양형성시트와, 문양형성시트 상부측의 메인공간홈에 설치되는 플라스틱커버와, 플라스틱커버의 표면에 형성된 하프밀러층을 포함함으로써, 야간에도 자체 발광함으로써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새겨진 이름등의 도안 또는 문양이 명확히 보이도록 함으로써 식별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커버를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으로써, 가공성을 좋게 할 수 있고, 미세디자인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원가를 줄일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커프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커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스커프의 조립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플라스틱커버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플라스틱커버와 방수되게 밀착되는 실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플라스틱커버에 하드코팅테입이 부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커프는, 도어 하부측 판넬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개방된 메인공간홈(11)이 길게 형성된 본체(10)와; 메인공간홈(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면발광을 하는 면발광체(20)와; 면발광체(20)에 부착되는 문양형성시트(30)와; 문양형성시트(30) 상부측의 메인공간홈(11)에 설치되는 플라스틱커버(40)와; 면발광체(20)를 향하는 플라스틱커버(40)의 표면에 형성된 하프밀러층(5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10)를 자동차의 판넬면에 부착하는 제1양면테입(60)과; 플라스틱커버(40)가 메인공간홈(11)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부착하는 제2양면테입(70);을 더 포함한다.
본원의 자동차용 도어스커프는 전체적으로 기다란 형태를 가지며 얇게 구현된다. 이러한 도어스커프가 도어 하부측 판넬에 부착될 수 있도록, 본체(10)의 바닥에는 판넬에 부착되는 제1양면테입(60)의 다른 면이 부착되는 것이다.
본체(10)에는 플라스틱커버(40)가 끼어지는 메인공간홈(11) 이외에도, 면발광체(20)가 끼어지는 서브공간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서브공간홈(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공간홈(11)의 내측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고, 또한 서브공간홈(12)에는 면발광체(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L)이 관통되는 전선홈(12a)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공간홈(11)의 양측단에는 후술한 플라스틱커버(40)의 끼움돌부(43)가 끼어지는 끼움홈(13)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공간홈(11)의 가장자리측에는, 플라스틱커버(40)와 메인공간홈(11) 사이를 방수되게 밀착시키는 가요성 재질의 실링(15)이 형성된다. 이러한 실링(15)은 메인공간홈(11)의 내측 가장자리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그 메인공간홈(11)을 따라 둥글게 형성되며, 실링(15)에 의하여 외부의 물이 메인공간홈(11)에 설치되는 면발광체(20)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부품의 일종인 면발광체(20)가 고장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면발광체(20)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면발광체(20)의 일 실시예는, 빛을 전체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도광판 및 그 도광판의 측단부에 설치되어 그 도광판으로 광을 출사하는 LED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는 면발광체는, 전원을 인가하였을 때 표면 전체에서 발광하는 면발광시트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광판(22)의 양측단에 LED(21)가 설치된 것으로 면발광체(20)를 구현하고 있다.
문양형성시트(30)는 면발광체(20)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이름이나 제작회사, 또는 탑승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문양이 새겨져 있는 시트이다. 문양형성시트(30)의 하부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면발광체(20)의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이때 접착제는 문양형성시트(30)를 면발광체(20)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점착성분을 띠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자동차 오너의 개성에 따라 문양형성시트(3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플라스틱커버(40)는, 메인공간홈(11)에 끼어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그 양단에는 끼움홈(13)에 끼어지는 끼움돌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커버(40)가 플라스틱으로 됨으로써, 미세가공이 가능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고, 원가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플라스틱커버(40)의 상부면에는 탑승자의 신발에 의하여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하드코팅층(44)이 형성되어 있다. 하드코팅층(44)은 상대적으로 연질인 플라스틱커버(40)의 표면에 하드코팅을 함으로써, 발에 의하여 스크래치등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플라스틱커버(40)의 상부면에는 탑승자의 신발에 의하여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하드코팅테입(45)이 부착된다. 이러한 하드코팅테입(45)을 플라스틱커버(40)에 부착함으로써, 플라스틱커버(40) 표면에 탑승자의 신발에 의한 스크래치등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더 나아가, 하드코팅테입(45)에 특정한 패턴이나 그림, 문양을 디자인함으로써 자동차 소유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다.
하프밀러층(50)은, 플라스틱커버(4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공지의 진공증착법이나 도금법에 의하여 형성된다. 하프밀러층(50)은 평소에 플라스틱커버(40)를 불투명 상태로 보이게 하여 문양형성시트(30)에 형성된 문양을 보이지 않게 하지만, 면발광체(20)가 발광하면 문양을 보이게 한다.
제1양면테입(60)은 본원 도어스커프의 본체를 자동차의 판넬면에 부착하며, 어떠한 차종에도 상관없이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양면테입(70)은 플라스틱커버(40)를 메인공간홈(11)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커프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어스커프의 조립사시도,
도 3은 도 1의 플라스틱커버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플라스틱커버와 방수되게 밀착되는 실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플라스틱커버에 하드코팅테입이 부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메인공간홈
12 ... 서브공간홈 12a ... 전선홈
13 ... 끼움홈 15 ... 실링
20 ... 면발광체 21 ... LED
22 ... 도광판 30 ... 문양형성시트
40 ... 플라스틱커버 43 ... 끼움돌부
44 ... 하드코팅층 45 ... 하드코팅테입
50 ... 하프밀러층 60 ... 제1양면테입
70 ... 제2양면테입

Claims (7)

  1. 도어 하부측 판넬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개방되어 길게 형성된 메인공간홈(11)과, 상기 메인공간홈(11) 내측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된 서브공간홈(12)과, 상기 메인공간홈(11)의 양측단에 형성된 끼움홈(13)을 가지는 본체(10);
    상기 메인공간홈(11)의 서브공간홈(1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면발광을 하는 면발광체(20);
    상기 면발광체(20)에 부착되는 문양형성시트(30);
    상기 문양형성시트(30) 상부측의 상기 메인공간홈(11)에 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에 상기 끼움홈(13)에 끼어지는 끼움돌부(43)가 형성된 플라스틱커버(40);
    상기 면발광체(20)를 향하는 상기 플라스틱커버(40)의 표면에 형성된 하프밀러층(50);
    상기 본체(10)를 상기 판넬면에 부착하는 제1양면테입(60);
    상기 플라스틱커버(40)를 상기 메인공간홈(11)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공간홈(12)의 제외한 메인공간홈(11)에 부착되는 제2양면테입(70); 및
    상기 메인공간홈(11)의 내측 가장자리측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플라스틱커버(40)와 메인공간홈(11) 사이를 방수되게 밀착시키는 가요성 재질의 실링(15);을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커버(40)의 상부면에는 탑승자의 신발에 의하여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하드코팅층(44)이 형성되거나, 탑승자의 신발에 의하여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하드코팅테입(45)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스커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공간홈(12)에는 상기 면발광체(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L)이 관통되는 전선홈(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스커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80076109A 2008-08-04 2008-08-04 자동차용 도어스커프 KR100906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109A KR100906141B1 (ko) 2008-08-04 2008-08-04 자동차용 도어스커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109A KR100906141B1 (ko) 2008-08-04 2008-08-04 자동차용 도어스커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6141B1 true KR100906141B1 (ko) 2009-07-06

Family

ID=41337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109A KR100906141B1 (ko) 2008-08-04 2008-08-04 자동차용 도어스커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1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705A (ko) * 2004-04-29 2005-11-03 허봉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
KR100701995B1 (ko) * 2005-09-27 2007-03-30 이상기 차량용 도어 스커프
KR100775392B1 (ko) * 2006-11-14 2007-11-1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차 장식용 스커프
KR20080070000A (ko) * 2005-11-17 2008-07-29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705A (ko) * 2004-04-29 2005-11-03 허봉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
KR100701995B1 (ko) * 2005-09-27 2007-03-30 이상기 차량용 도어 스커프
KR20080070000A (ko) * 2005-11-17 2008-07-29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표시 장치
KR100775392B1 (ko) * 2006-11-14 2007-11-1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차 장식용 스커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8773B2 (en) Light for vehicles
JP2019108125A (ja) 車両用加飾部品
US20080253140A1 (en) Light for vehicles
JP6333519B2 (ja) 車両用加飾部品
CN108001376B (zh) 包括电致发光片的泡沫层一体注塑成型结构及方法
JP2002108257A (ja) 照明装置
US11199609B2 (en) Radar co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adar cover
KR101211843B1 (ko) 2중-색상 조명 엠블럼
DE602006006405D1 (de) Fahrzeugfenstergla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afür
JP7235957B2 (ja) 車両用加飾部品、車両用ライニング及び車両用ドア
JP2006205750A (ja) 車両用照明装置
KR100983535B1 (ko)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40223316A1 (en) Illuminable component
KR100906141B1 (ko) 자동차용 도어스커프
JP2014040132A (ja) 車両用ウインドパネル
JP5578476B2 (ja) 車両用照明装置
JP2002362222A (ja) アウタミラーのターンシグナル付きバイザカバー構造
JP2002046529A (ja) 車両の照明装置部品
JP3130297U (ja) カードアのサイドプロテクションモール
KR20100115888A (ko) 자동차용 도어스커프
JP2006028886A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の照光装置
CN214728585U (zh) 电发光饰板
KR100919665B1 (ko) 자동차용 도어스커프
JP6635509B2 (ja) 照明付き車両用ドアハンドルプロテクターとその照明構造
JP3186746U (ja) 自動車用サイドバイザ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