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119B1 - 엘리베이터의 제어판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119B1
KR100904119B1 KR1020077011407A KR20077011407A KR100904119B1 KR 100904119 B1 KR100904119 B1 KR 100904119B1 KR 1020077011407 A KR1020077011407 A KR 1020077011407A KR 20077011407 A KR20077011407 A KR 20077011407A KR 100904119 B1 KR100904119 B1 KR 100904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trol panel
elevator
strip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4385A (ko
Inventor
도모히코 야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4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보수 작업시, 기기류 등에 방해받지 않고, 제어판 본체 전면(前面)의 미니멈 스페이스에서 도어를 전개(개방) 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을 제공한다.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보수 작업시에 엘리베이터 칸 위 또는 엘리베이터 칸 안으로부터 도어를 개방하여 내부로 액세스 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에 있어서, 제어판 본체와, 제어판 본체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 전면을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하는 복수의 스트립(strip) 모양의 도어 단체로 이루어지는 도어를 구비하고, 복수의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는, 접어서 전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도어 개방시에 하나의 도어 단체의 폭과 동등한 깊이 치수를 가지는 제어판 본체 전면의 전개 공간 내에서 도어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판{ELEVATOR CONTROL PANEL}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의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은, 제어판 본체의 정면에 뚜껑 구조의 커버를 설치하고, 제어판 내부로 액세스하는 경우는 커버를 떼어내는 구조로 하든가, 혹은 제어판 본체의 좌우측 단부에 힌지 기구에 의해, 더블 도어 구조의 도어를 설치하여, 내부로 액세스하는 경우는 힌지 기구에 의해 더블 도어를 개방하는 구조로 하든가, 혹은 한 장의 도어 커버를 제어판의 정면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 구조로 하여, 내부로 액세스하는 경우는 그 슬라이드 도어를 상하로 슬라이드 하게 하고 있었다.
또,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설치한 제어판을 엘리베이터 칸 위로부터 보수 점검할 때, 보수 작업자의 전락(轉落) 및 공구 종류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2001-341950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에서는, 뚜껑 구조의 커버의 경우, 제어판으로부터 어긋나 버리기 때문에, 뚜껑 커버가 낙하할 가능성이 있고, 또 커버가 큰 경우는 엘리베이터 칸 위에서의 보관 장소의 확보가 곤란하며, 엘리베이터 칸의 내부로부터 떼어내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또, 힌지 기구에 의해서 도어를 여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 위에서의 보수 작업시는, 안전 펜스(fence)와 간섭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의 제약이 크고, 또 큰 도어의 경우, 엘리베이터 칸 위의 보수 작업자의 기립 위치로 개방된 도어 치수가 비집고 들어가기 때문에, 작업상,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의 내부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틀이나, 엘리베이터 칸 벽과의 간섭에 의해 도어를 여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슬라이드 도어의 경우, 제어판의 아래쪽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 경우는 괜찮지만, 제어판이 상하로 복수 개 늘어서는 경우는, 아래쪽의 제어판과 간섭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도어를 이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특허문헌 1 기재의 것은, 제어판의 뚜껑을 개방할 때, 뚜껑을 아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종래의 것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수 작업시, 기기류 등에 방해받지 않고, 제어판 본체 전면(前面)의 미니멈 스페이스로 도어를 전개(展開)(개방) 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에 있어서는,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보수 작업시에 엘리베이터 칸 위 또는 엘리베이터 칸 안으로부터 도어를 개방하여 내부로 액세스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에 있어서, 제어판 본체와, 제어판 본체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 전면을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하는 복수의 스트립(strip) 모양의 도어 단체(單體)로 이루어지는 도어를 구비하고, 복수의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는, 서로 접어 전개 가능하게 결합되고 있으며, 도어 개방시에 하나의 도어 단체의 폭과 동등한 깊이 치수를 가지는 제어판 본체 전면의 전개 공간 내에서 도어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보수 작업시,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위에 있어서 제어판에 액세스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위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 펜스 등의 기기류 등에 방해받지 않고, 제어판 본체 전면의 미니멈 스페이스에서, 도어를 전개(개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판의 도어의 전개(개방)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제어판의 도어의 전폐(全閉)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누름판의 구속을 해제하여 제어판의 최외측 도어를 전개(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제어판의 도어의 전개(개방)를 진행시켜, 제어판의 최내측 도어까지 전개(개방)한 도어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제어판의 전방에 제약 없이, 1매의 도어로서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도어가 팽창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누름판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어판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누름판의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판의 도어의 전개(개방)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의 도어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판의 도어의 전개(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의 도어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판의 도어의 전개(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의 도어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판의 도어의 전개(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어가 저절로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엘리베이터 제어판 본체
2, 12 도어
2a ~ 2e, 12a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
2f 큰 1매의 도어 단체
3, 3a, 3b 힌지
4 누름판
5 고정구
6 구속구
7, 7a, 7b 회전축
8 겹침
9 절개
30 미니멈 스페이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판의 도어의 전개(개방)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제어판의 도어의 전폐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 도 5는 누름판의 구속을 해제해 제어판의 최외측 도어를 전개(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 도 6은 제어판의 도어의 전개(개 방)를 진행시켜, 제어판의 최내측 도어까지 전개(개방)한 도어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 도 7은 제어판의 전방에 제약 없이, 1매의 도어로서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 도 8은 도어가 팽창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누름판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어판의 확대 정면도, 도 9는 도 8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누름판의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에 있어서는, 제어판 본체 전면의 미니멈 스페이스에서 도어를 전개(개방)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요구에 답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의 도어 구조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해 설명한다.
1은 엘리베이터 제어판 본체, 2는 이 제어판 본체의 좌우 양단부에 힌지(3a)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좌우 한 쌍의 도어로, 이 각 도어(2)는, 제어판 본체(1)의 전면(前面)의 반씩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 1에서는, 각 도어(2)는, 최외측에서 중앙부까지 5매로 이루어지는 세로로 긴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2a ~ 2e)가 접을 수 있게 힌지(3b) 결합되어 있고, 또 중앙부에서 안쪽 가까이에 위치하여 최내측 도어 단체(2e)에 힌지(3b) 결합된 큰 1매의 도어 단체(2f)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큰 1매의 도어 단체(2f)의 폭은, 제어판 본체(1)의 전면 폭의 약 1/5의 폭을 가지고 있고, 또 1매 적게 한 4매로 이루어지는 세로로 긴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2a ~ 2d)의 합계 폭과 대략 동일한 것이다. 4는 각 도어(2)의 전면의 상하 2개소에 수평 방향으로 걸쳐 설치된 누름판으로, 도어 단체(2a ~ 2e)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5는 누름판(4)의 일단부 에 설치된 고정구로, 누름판(4)과 도어(2)의 안쪽 가까이에 위치하는 큰 1매의 도어 단체(2f)의 긴 구멍을 통하여 연결되고, 도어(2)의 전폐시에 개방단 측을 제어판 본체(1)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6은 누름판(4)의 타단부에 설치된 구속구로, 도어(2)의 전폐시는 최외측 도어체(2a)의 제어판 본체(1) 측(내측)에 삽입하여 걸어 맞춤되어 있고, 도어(2)의 전개(개방) 시에는 누름판(4)을 도 8 및 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것에 의해, 구속구(6)에 의한 구속을 제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3 ~ 도 6에 의해, 엘리베이터 제어판의 도어의 전개(개방)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 도 4는 제어판 도어(2)의 전폐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로부터 누름판(4)을 도 8 및 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구속구(6)에 의한 누름판(4)의 구속을 제외하고, 도 3(b),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외측 도어 단체(2a) 만을 90도 전개(개방)한 상태로 한다. 이 때, 도어(2)의 전면은 도시 점선으로 나타내는 제어판 본체(1) 전면의 미니멈 스페이스(30)의 안쪽에 들어가게 되어, 보수 작업원이나 기기류와의 간섭의 우려는 없다. 또한, 도어(2)의 전개(개방)를 진행시켜, 도어 단체(2a)를 180도 전개하고, 이어서 도어 단체 2b, 도어 단체 2c, 도어 단체 2d를 180도 전개하면, 도 3(c),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내측도어 단체(2e)가 약 30도 전개되며, 거기에 늘어서는 큰 1매의 도어 단체(2f)가 끌려가 전개되어, 제어판 본체(1)의 전면이 전개 상태로 개방되게 된다. 그리고, 이것들 일련의 도어 전개(개방) 동작은, 모두 도시 점선으로 나타내는 제어판 본 체(1) 전면의 미니멈 스페이스의 범위 내에서 행해지고 있다.
또, 제어판 본체(1)의 전방에 아무런 제약이 없는 경우는, 도 3(d),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의 도어와 동일하도록 1매 도어의 상태로서 개방할 수 있다.
다음에, 도8 ~ 도 10에 의해, 엘리베이터 제어판의 도어(2)가 전폐시로 팽창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누름판(4)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즉, 도어(2)의 전폐 상태에 있어서, 도 8의 위쪽의 누름판(4),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판(4)을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누름판(4)의 타단부에 설치된 구속구(6)를 최외측 도어 단체(2a)의 안쪽에 삽입하여 걸어 맞춤과 동시에, 누름판(4)의 일단부에 설치된 고정구(5)에 의해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도어(2)를 구성하는 도어 단체(2a ~ 2f)의 움직임이 누름판(4)에 의해 구속된다. 또, 이 전폐 상태로부터 누름판(4)의 구속을 벗어나는 경우는, 누름판(4)의 일단부에 설치된 고정구(5)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고, 다음에, 도 8의 아래쪽의 누름판(4),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판(4)을 도어 단체(2f)의 긴 구멍에 따라서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누름판(4)의 타단부의 구속구(6)와 최외측 도어 단체(2a) 내측과의 삽입하여 걸어 맞춘 상태를 해제하는 것에 의해, 도어(2)를 전개(개방)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수 작업시,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위에 있어서 제어판에 액세스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위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 펜스 등의 기기류 등에 방해받지 않고, 제어판 본 체 전면의 미니멈 스페이스에서 도어를 전개(개방)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판의 도어의 전개(개방)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에 있어서, 뱀 구조(캐노피(canopy) 타입)의 캐노피 도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제어판 본체 전면의 미니멈 스페이스에서, 도어를 전개(개방) 가능하게 한 것이다.
1은 엘리베이터 제어판 본체, 12는 이 제어판 본체의 좌우 양단부에 힌지(13a)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좌우 한 쌍의 캐노피 도어로, 이 각 캐노피 도어(12)는, 제어판 본체(1)의 전면의 반씩을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하는 것이다. 각 캐노피 도어(12)는, 복수 매의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12a)로 구성되어 있고, 이것들 각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12a)들을 그 상하단에서 회전축(7)에 의해 전개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15는 캐노피 도어(12)를 전폐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구이다.
다음에, 도 13, 도 14에 의해, 엘리베이터 제어판의 도어의 전개(개방)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4의 우측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좌측과 같다.
도 13은 제어판의 캐노피 도어(12)의 전폐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로부터 고정구(15)를 떼어내고,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내측 도어 단체(12a)로 부터 전개(개방)를 시작하여,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례로 도어 단체(12a)를 전개해 간다. 마지막으로,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판 본체(1)의 전면이 전개 상태로 개방되고, 캐노피 도어(12) 전체는 제어판 본체(1)의 좌우 양측벽의 외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것들 일련의 도어 전개(개방) 동작은, 모두 도시 점선으로 나타내는 제어판 본체(1) 전면의 미니멈 스페이스의 범위 내에서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보수 작업시, 엘리베이터 칸 위에 있어서 제어판에 액세스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 위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 펜스 등의 기기류 등에 방해받지 않고, 제어판 본체 전면의 미니멈 스페이스에서 도어를 전개(개방)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의 도어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판의 도어의 전개(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또한 도 15의 우측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좌측과 같다.
이 실시예 3에 있어서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의 도어 구조에 있어서, 복수 매의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12a)를 동일 형상 부품으로 구성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복수 매의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12a)의 형상은, 개개의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12a)가 지지되는 회전축(7a)과, 다음에 결합되는 도어 단체(12a)를 지지하는 회전축(7b)을 가지고, 서로 인접하는 도어 단체(12a)들의 전후 방향의 겹침(8)에 의해 도어(12)가 닫혔을 때에 도어 단체(12a)가 팽창하는 것을 구속한다. 또, 도어 단체(12a)의 하단부에 절개(9)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동일 형상의 부품에 의한 편성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실시예 4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의 도어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판의 도어의 전개(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또한, 도 18의 우측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좌측과 같다.
이 실시예 4에 있어서는, 실시예 3에 있어서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의 도어 구조를, 간소한 구조로 구성한 것이다.
복수 매의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12a)의 형상은, 개개의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12a)가 지지되는 회전축(7a)과, 다음에 결합되는 도어 단체(12a)를 지지하는 회전축(7b)을 가지고, 서로 인접하는 도어 단체(12a)들의 전후 방향의 겹침(8)에 의해 도어(12)가 닫혔을 때에 도어 단체(12a)가 팽창하는 것을 구속한다. 그리고, 도어 단체(12a)의 하단부의 절개(9)를 없애고, 각 도어 단체(12a)의 상하 방향 치수를 최외측으로부터 최내측으로 감에 따라 조금씩 길게 하고 있다.
실시예 5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의 도어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판의 도어의 전개(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또한, 도 21의 우측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좌측과 같다.
이 실시예 5에 있어서는, 실시예 3에 있어서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의 도어 단체 구조를, 2종류의 형상 부품(12aa, 12ab)으로 구성하고, 이것들 도어 단체 부품(12aa, 12ab)을 교대로 복수 개 연결한 상태로, 상하 방향의 높이를 도어의 지지 측 및 개방 측 모두 동일 치수로 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2종류의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12aa, 12ab)의 형상은, 개개의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가 지지되는 회전축(7a)과, 다음에 결합되는 도어 단체를 지지하는 회전축(7b)을 가지고, 서로 인접하는 도어 단체(12aa, 12ab)들의 전후 방향의 겹침(8)에 의해 도어(12)가 닫혔을 때에 도어 단체(12a)가 팽창하는 것을 구속한다. 그리고, 도어 단체 12aa를 전개시켰을 때에 도어 단체 12ab와 간섭하여 회전 각도를 확보할 수 없는 것을 해소하기 위해, 도어 단체 12aa의 회전축(7a)에 있어서 절개 10a를 설치함으로써, 도어 단체 12aa의 회전 각도를 확보하고 있다. 도어 단체 12ab는, 도어 단체 12aa를 지지하는 부분에 있어서, 도어 단체 12aa를 장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절개 10b를 설치함으로써 회전 각도를 확보하고 있다. 또, 도어 단체(12aa, 12ab)의 하단부에 절개를 설치함으로써, 동일 형상에 의한 편성을 가능하 게 하고 있다.
또한, 도 24는 도어가 저절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어 단체(22a)와, 그 상부 고정축, 하부 고정축, 상부 지지축, 하부 지지 축으로 구성된다. 상부 고정축과 하부 고정축의 전후 방향의 위치 관계를, 상부 고정축을 도어 단체(22a)의 내측, 하부 고정축을 표면측으로 전환하여 배치하는 것에 의해, 도어 단체(22a)가 열렸을 때에 도어 단체(22a)의 지지축 측을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도어 단체(22a)가 닫힌 상태에서는 펴지는 것이 제약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은, 보수 작업시, 기기류 등에 방해받지 않고, 제어판 본체 전면의 미니멈 스페이스에서, 도어를 전개(개방)시킬 수 있는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보수 작업시에 엘리베이터 칸 위 또는 엘리베이터 칸 안으로부터 도어를 개방하여 내부로 액세스 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제어판에 있어서,
    제어판 본체와, 상기 제어판 본체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 전면을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하는 복수의 스트립(strip) 모양의 도어 단체(單體)로 이루어지는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는, 서로 접어서 전개 가능하게 결합되고 있으며, 도어 개방시에 하나의 도어 단체의 폭과 동등한 깊이 치수를 가지는 상기 제어판 본체 전면(前面)의 미니멈 스페이스로 이루어지는 전개 공간 내에서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는, 도어 단체가 외측으로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는 누름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판.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복수의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는, 힌지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는, 뱀 구조의 캐노피 도어로 하고,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들을 그 상하단에서 회전축에 의해 결합하며, 각 스트립 모양의 도어 단체의 일부를 제어판 본체 전면에서 겹쳐지게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판.
  5. 청구항 4에 있어서,
    뱀 구조의 캐노피 도어를, 동일 부품의 편성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판.
  6. 청구항 4에 있어서,
    뱀 구조의 캐노피 도어를, 2종류의 부품을 교대로 조합시켜, 도어의 상하단이 좌우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판.
KR1020077011407A 2005-04-22 2006-04-06 엘리베이터의 제어판 KR100904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25684A JP2006298621A (ja) 2005-04-22 2005-04-22 エレベータの制御盤
JPJP-P-2005-00125684 2005-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385A KR20070084385A (ko) 2007-08-24
KR100904119B1 true KR100904119B1 (ko) 2009-06-24

Family

ID=37214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407A KR100904119B1 (ko) 2005-04-22 2006-04-06 엘리베이터의 제어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873107A4 (ko)
JP (1) JP2006298621A (ko)
KR (1) KR100904119B1 (ko)
CN (1) CN101068738B (ko)
WO (1) WO20061150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7146B2 (ja) * 2007-02-27 2012-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盤
JP4937354B2 (ja) * 2007-08-31 2012-05-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6213389B2 (ja) * 2014-06-18 2017-10-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6710342B2 (ja) * 2017-09-13 2020-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3564174B1 (en) 2018-05-03 2021-06-30 Otis Elevator Company Openable elevator car wall pane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5155A (ja) * 2003-04-16 2004-11-11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6103U (ko) * 1980-02-22 1981-09-25
FR2614885B1 (fr) * 1987-05-05 1989-06-30 Slycma Ste Lyon Const Mat Asce Mecanisme d'entrainement de portes de type accordeon pour cabines d'ascenseurs
ATE194128T1 (de) * 1997-11-08 2000-07-15 Thyssen Aufzugswerke Gmbh Aufzug, insbesondere treibscheibenaufzu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5155A (ja) * 2003-04-16 2004-11-11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68738A (zh) 2007-11-07
WO2006115008A1 (ja) 2006-11-02
CN101068738B (zh) 2011-01-12
JP2006298621A (ja) 2006-11-02
KR20070084385A (ko) 2007-08-24
EP1873107A4 (en) 2013-01-30
EP1873107A1 (en)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119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판
EP1925581A1 (en) Car upper side handrail device of elevator
US10392096B2 (en) Access device provided with a folding door enabling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at least two zones of an enclosure
JP5067421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JP6341982B2 (ja) ホームドア装置
CN103703204A (zh) 滑动折叠门系统
RU2001104540A (ru) Дверь с тамбуром, боковые стенки которого в виде дуг окружности являются подвижными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возможности пересечения нескольких потоков без смешивания различных элементов, образующих эти потоки
JP2007106512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6023420A (ja) 折り畳み式組立家屋
CN100507193C (zh) 门窗设备
KR20220136352A (ko) 디지털 카케모노
EP2261441B1 (en) Collapsing device for a formwork table
JP5639629B2 (ja) 建造物における床スラブの開口開閉装置
JP200915509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下作業台装置
KR100586504B1 (ko) 접이식테이블 겸용 커버링셸프
JP2007261791A (ja) エレベータかご内操作盤用スイッチボックス
JP5201384B2 (ja) スライド式折戸
JP2011184113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囲い装置
WO2020049610A1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囲い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乗場囲い装置のパネル
JP4917146B2 (ja) エレベータ制御盤
JP2009096618A (ja) エレベータかご操作盤装置
KR20200044410A (ko) 커버 장치
CN221165517U (zh) 电梯底坑梯子
JP2007284228A (ja) エレベータの操作盤装置
KR102190472B1 (ko) 양방향 도어용 링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