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352A - 디지털 카케모노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케모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352A
KR20220136352A KR1020227024016A KR20227024016A KR20220136352A KR 20220136352 A KR20220136352 A KR 20220136352A KR 1020227024016 A KR1020227024016 A KR 1020227024016A KR 20227024016 A KR20227024016 A KR 20227024016A KR 20220136352 A KR20220136352 A KR 20220136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s
profile
adjacent
electronic display
arti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르지 디젤룰
Original Assignee
디제이탈 메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제이탈 메디아 filed Critical 디제이탈 메디아
Publication of KR20220136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3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 G09F15/006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collapsi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운송 구성과 사용 구성 사이에서 재구성될 수 있는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는 두개씩 두개씩 인접한 일련의 프로파일 패널들(5a, 5b, 5c, 5d)을 포함하는 구조체(5), 2개의 인접한 프로파일 패널들 사이의 관절연결 수단, 및 일련의 전자표시화면들(3), 상기 일련의 전자표시화면들 중의 하나의 전자표시화면은 상기 일련의 프로파일 패널들 중의 하나의 프로파일 패널과 연관되며 그 위에 조립되며, 관절연결 수단은 운송 구성에서 상기 구조체가 아코디온 형태로 접힌다.

Description

디지털 카케모노
본 발명은 카케모노형(kakemono type) 전자표시장치(electronic display device)에 관한 것이다.
현재 카케모노형 표시장치는 말릴 수 있는(rollable) 플렉서블 필름 형태이며 바닥에 설치한 접이식 막대(telescopic pole) 상단에 걸어서 펼쳐진다. 그러나 플렉서블 필름에 인쇄된 정보는 정적(static)이며 수정할 수 없다. 이 정보를 부분적으로 수정할 수 있도록 공간이 제공되는 공지의 플렉서블 필름(flexible film)과 전자표시화면(electronic display screen)을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카케모노가 제작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문헌 WO2014/174156에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왜냐하면 일정 기간 동안 개발하고 필요에 따라 수정될 수 있는 완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없는 반면, 카케모노를 설치하는 것 뿐만 아니라 철거하는 데에도 섬세한 취급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개발 또는 수정될 수 있는 정보를 간단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고 사용하기 쉬운 카케모노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운송 구성(configuration of transport)과 사용 구성(configuration of use) 사이에서 재구성될 수 있는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쌍으로 인접한 일련의 프로파일 패널(profiled panel), 2개의 인접한 프로파일 패널 사이의 연결 수단, 및 일련의 전자표시화면을 포함하는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일련의 전자표시화면들 중 하나의 전자표시화면이 상기 일련의 프로파일 패널 중 하나의 프로파일 패널과 연관되고, 그 위에 조립되며, 연결 수단은 운송 구성에서 구조가 아코디언의 형태 접히도록 배치된다.
유리하게는, 그러나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는 하기 기술적 특징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 관절연결 수단(articulation means)은 쌍으로 인접한 두 개의 프로파일 패널 중 하나에 고정된 제1 단부과 쌍으로 인접한 두 개의 프로파일 패널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된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한 세장형(elongate) 요소를 포함한다;
- 상기 세장형 요소는 두 개의 인접한 패널 각각의 상기 장치의 상기 사용 구성에서 서로 맞닿는 위치에 오게 하기 위한 프로파일 부분 내에 위치한다;
- 관절연결 수단은 일련의 관절연결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그것의 제1 단부는 쌍으로 인접한 프로파일 패널 중 하나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맞은편의 제2 단부는 쌍으로 인접한 프로파일 패널 중 다른 하나에서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다;
- 관절연결 수단은 상기 일련의 관절연결 플레이트와 연관된 관절연결 플레이트 부분의 제2 단부와 연결된 슬라이딩 샤프트를 수용하는 장방형 개구부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일련의 관절연결 플레이트 중 연관된 관절연결 플레이트의 다른 부분의 제1 단부와 연결되는 고정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한 오리피스(orifice)를 포함한다.
- 상기 장치는 상기 사용 구성을 잠그는 수단을 포함한다.
- 상기 잠금 수단은 두 개의 인접한 패널들 중 하나의 측면 프로파일 부분의 홈에 배열된 슬라이딩 잠금 요소를 포함한다.
- 잠금 수단은 두 개의 인접한 패널들 중 하나의 패널의 측면 또는 가로 프로파일 부분에 맞는 캠 유닛(cam unit)을 형성하는 수단과 두 개의 인접한 패널들 중 다른 하나의 패널의 측면 또는 가로 프로파일 부분에 맞는 유지 샤프트(retention shaft)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 샤프트는 장치의 사용 구성에서 캠 유닛을 형성하는 수단과 협력한다;
- 캠 유닛을 형성하는 상기 수단은 제어 샤프트에 의해 회전되고 제어 샤프트에 수직인 방향으로 병진하도록 장착되는 후크를 포함한다;
- 캠 유닛을 형성하는 상기 수단은 또한 제어 샤프트에 대한 후크의 병진 이동 변위를 제어하고 조건부로 잠글 수 있게 하는 잠금 요소를 포함한다.
- 상기 장치는 또한 프로파일 패널들의 측면을 덮는 덮개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 덮개를 형성하는 수단은 프로파일 패널과 관련된 전자표시화면의 측면을 덮는다.
- 덮개를 형성하는 수단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 덮개를 형성하는 수단은 자기조립요소(magnetic assembly elements)를 포함한다.
- 상기 잠금 수단은 두 개의 인접한 패널들 중 하나의 측면 프로파일 부분의 내부 섹션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장착되는 프로파일 섹션을 포함한다. 그리고
- 상기 섹션은 돌출 연장되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인접한 패널들 중 하나의 측면 프로파일 부분의 측면에 제공된 슬롯과 협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 설명을 읽으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사용 구성(configuration of use)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케모노형 상기 전자표시장치의 운송 구성(configuration of transport)의 입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상기 장치의 프로파일 패널 구조의 입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카케모노형 상기 전자표시장치의 관절연결을 상세히 나타낸 운송 구성에서의 입체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a 및 4b에 도시된 관절연결의 입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의 잠금수단의 사용 구성에서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거대한 표시화면을 형성하기 위해 조립된 도 1의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 어셈블리의 사용 구성에서의 입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도 1의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의 관절연결의 변형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a 내지 9e의 관절연결의 관절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a 내지 9e의 관절연결을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사용 구성에서 도 1의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의 잠금 수단의 변형 실시예의 정면에서 본 부분도이다.
도 13은 후크가 뒤로 물러난 도 12의 잠금 수단의 입체도이다.
도 14는 후크가 전개된 도 12의 잠금 수단의 일부에 대한 입체도이다.
도 15는 후크가 전개된 도 12의 잠금 수단의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의 잠금 수단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가 잠금위치에 있는 부분 입체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의 잠금 수단의 도 16의 변형 실시예가 잠금해제위치에 있는 부분 입체도이다.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의 사용 구성(configuration of use)을 도시한다. 여기서, 이러한 사용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는 수직으로 전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는 쌍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일련의 프로파일 패널(5a, 5b, 5c, 5d)과 쌍으로 인접한 4개의 전자표시화면(3)을 포함하는 지지구조체(5)를 포함한다. 일련의 전자표시화면(3)들의 각각의 전자표시화면(3)은 일련의 프로파일 패널들과 관련된 프로파일 패널(5a, 5b, 5c, 5d)에 조립된다. 각각의 프로파일 패널(5a, 5b, 5c, 5d)은 공지된 방식으로 함께 조립된 측면 프로파일(9) 및 횡방향 프로파일(51) 세트를 포함한다.
사용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는 지지 구조체(5)를 형성하는 일련의 프로파일 패널(5a, 5b, 5c, 5d)의 인접한 두 패널(5a, 5b, 5c, 5d)이 서로의 상부에 겹쳐지도록 배열되게 수직으로 전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는 프로파일 패널들의 첫 번째 패널(5d)이 수직으로 지지되는 일련의 받침대(2)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프로파일 패널들의 두 번째 패널(5c)은 프로파일 패널의 첫 번째 패널(5d) 위에 수직으로 지지되어 동일한 평면에 있게된다. 그런 다음, 유사하게, 프로파일 패널들 중 세 번째(5b) 패널의 프로파일 패널들은 두 번째 패널 위에 수직으로 지지되어, 프로파일 패널들의 첫 번째 패널(5d) 및 두 번째 패널(5c)과 동일한 평면에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된 프로파일 패널들의 네 번째 패널(5a)은 프로파일 패널의 세 번째 패널(5b) 위에 수직으로 지지되어, 프로파일 패널들의 첫 번째 패널(5d), 두번째 패널(5c) 및 세번째 패널(5b)과 동일한 평면에 있도록 프로파일 패널들 중 네 번째 패널(5a)은 사용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의 상단에 위치되는 단부 프로파일(4)을 포함한다.
운송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는 그 자체로 접혀진다. 따라서 지지 구조체(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코디언의 형태로 접혀지고, 일련의 받침대(2)는 프로파일 패널의 첫 번째 패널(5d) 아래로 접혀진다. 프로파일 패널의 두 번째 패널(5c)은 프로파일 패널의 첫 번째 패널(5d) 위로 접혀지며, 두 개의 인접한 패널(5d, 5c)은 이후에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될 관절연결 수단(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유사하게, 프로파일 패널들의 세 번째 패널(5b)은 프로파일 패널의 두 번째 패널(5c) 위로 접혀지고, 두 개의 인접한 패널(5c, 5b)은 관절연결 수단(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유사하게, 프로파일 패널들의 네 번째 패널(5a)은 프로파일 패널들의 세 번째 패널(5b) 위로 접혀지고 두 개의 인접한 패널들(5b, 5a)은 관절연결 수단(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운송 구성에서 프로파일 패널들(5a 내지 5d)은 서로 인접하고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다.
도 4a 및 도 4b는 운송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의 배치를 보다 정확하게 도시한다. 이 구성에서, 한편으로는 프로파일 패널들의 첫 번째 패널(5d) 및 두 번째 패널(5c), 다른 한편으로는 프로파일 패널들 중 세 번째 패널(5b) 및 네 번째 패널(5a)이 서로 인접하게, 서로 평행하게, 연달아 배치된다: 프로파일 패널들의 첫 번째 패널(5d)(및 각각 세 번째 패널(5b))의 후면은 프로파일 패널의 두 번째 패널(5c)(및 각각 네 번째 패널(5a))의 후면과 마주보고 있다. 프로파일 패널들 중 두 번째(5c) 및 세 번째(5b)가 서로 인접하고, 서로 평행하며, 대면하여 배치된다: 프로파일 패널의 두 번째 패널(5c)과 연관되어 그 위에 고정된 전자표시화면(3)은 프로파일 패널의 세 번째 패널(5b)과 연관되어 고정되는 전자표시화면(3)의 전면과 마주한다. 따라서, 운반 구성에서 지지구조체(5)는 아코디언 형태로 접혀지고,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도 아코디언 형태로 접힌다.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는 또한 프로파일 패널들(5a 내지 5d)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특히 프로파일 패널들(5a 내지 5d)의 측면 프로파일 부분들(9)의 측면을 덮는 덮개(6, 7)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변형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6, 7)를 형성하는 이러한 수단들은 지지구조체(5) 상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진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 패널들(5a 내지 5d)의 적어도 측면 프로파일 부분(9)이 자성인 경우, 덮개(6, 7)를 형성하는 수단은 자석과 같은 자성 조립 부품을 포함한다.
이제 쌍으로 인접한 2개의 패널들(5a 내지 5d)을 관절로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관절연결 수단(8)의 일 실시예에 대해 더 상세한 설명을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관절연결 수단(8)은 세장형(elongate) 요소(8)를 포함한다. 이 경우, 이 세장형 요소는 견인 스프링(traction spring)(83)과 체인(81)을 포함한다. 견인 스프링(83)은 자유 단부(84)와 체인(81)의 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단부(85)를 포함한다. 체인(81)은 또한 자유 단부(82)를 포함한다. 따라서, 체인(81)의 자유 단부(82)와 견인 스프링(83)의 자유 단부(84)는 세장형 요소(8)의 제1 및 제2 자유 단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세장형 요소(8)는 견인 스프링(83)이 있기 때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견인 스프링(83)은 길이방향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임의의 등가의 탄성 수단으로 대체된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체인(81)은 금속으로 만들어지거나 금속으로 만들어지지 않은 케이블, 또는 임의의 다른 등가의 수단에 의해 대체된다.
관절연결 수단(8)은 서로 인접한 2개의 프로파일 패널들(5a 내지 5d)의 측면 프로파일 부분(9) 내에 위치되며, 연관된 측면 프로파일 부분(9)은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의 사용 구성에서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오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앞서 설명한 관절연결 수단을 형성하는 세장형 요소(8)의 위치를 도시하는데, 상기 세장형 요소는 상기 측면 프로파일 부분(9) 중 하나에 위치한다. 단면에서, 측면 프로파일 부분(9)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이것은 세장형 요소(8)의 견인 스프링(83)의 자유 단부(84)가 삽입되는 리셉터클을 한정하는 중앙 구멍(90)을 포함한다. 이 자유 단부(84)는 측면 프로파일 부분(9)과 고정된다. 따라서, 세장형 요소(8)의 제2 자유 단부는 쌍으로 인접한 2개의 프로파일 패널들(5a 내지 5d) 중 하나에 고정된다. 유사하게, 체인(81)의 자유 단부(82)는 쌍으로 인접한 두 개의 프로파일 패널들(5a 내지 5d) 중 다른 하나의 측면 프로파일 부분(9)의 중앙 구멍(90)에 삽입된다. 이 자유 단부(82)가 측면 프로파일 부분(9)과 고정된다. 따라서, 세장형 요소(8)의 제1 자유 단부는 쌍으로 인접한 2개의 프로파일 패널(5a 5d)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된다. 설치되면, 세장형 요소(8)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 즉 견인 스프링(83))에 장력이 가해진다. 이러한 장력은 구조체(5),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가 사용 구성에 있을 때 쌍으로 인접한 두 개의 프로파일 패널들(5a 내지 5d)을 간단히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체인(81)은 구조체(5),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가 운송 구성에 있을 때 쌍으로 인접한 두개의 프로파일 패널들(5a 내지 5d)를 접을 수 있게 한다: 체인(81)의 유연성은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 유형의 전자표시장치(1)의 사용 구성에서,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요소(8)가 쌍으로 인접한 두 개의 프로파일 패널들(5a 내지 5d) 사이의 접힘 형태를 채택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는 안전한 사용 구성을 위해 잠금 수단(10, 11)을 포함한다. 이 경우 쌍으로 인접하여 잠기는 패널들(5a 내지 5d)의 측면 프로파일 부분(9)에 위치한다. 잠금 수단은 쌍으로 인접한 두 개의 프로파일 패널들(5a 내지 5d) 중 하나의 측면 프로파일 부분(9)에 배열된 홈(91) 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끼워지는 잠금 요소(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가 사용 구성에 있어서, 각각의 측면 프로파일 부분들(9)이 서로 맞닿아 있을 때, 잠금 요소(10)는 구현 수단(11)을 통해 측면 프로파일 부분(9)들 중의 하나의 홈(91)에서 병진 이동함으로써, 측면 프로파일 부분(9)은 측면 프로파일 부분들(9)의 다른 하나의 홈(91)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측면 프로파일 부분(9)과 인접한다.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프로파일 부분들(9)은 서로 평행한 2개의 홈(91)을 포함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요소(10)가 각각의 홈에 제공된다.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수단은 그 자체로 당업자에게 알려진 토글 클램프 또는 고정 클램프 유형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수단은 전자석에 의한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의 사용 구성 잠금 수단(80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잠금 수단(800)은 하우징(810, 820) 형태의 두 부분을 포함한다. 각각의 부분(810, 820)은 쌍으로 인접한 잠기는 프로파일 패널(5a 내지 5d)을 형성하는 측면(9) 또는 가로(51) 프로파일 부분에 각각 장착되도록 의도된다. 첫번째 부분을 형성하는 하우징(810)은 중공이고 하우징(810)의 내부에 접근을 허용하는 개방된 측면(815)을 포함한다. 하우징(810)은 또한 하우징(810)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지 샤프트(811)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부분을 형성하는 하우징(820)은 중공이고 하우징(820)의 내부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개방된 측면(825)을 포함한다. 하우징(820)은 또한 하우징(820)의 내부를 통과하여 끼워져서 하우징(820) 안에서 회전할 수 있다. 하우징(820)은 또한 제어 샤프트(821)에 의해 캠 유닛(822, 823)을 형성하는 수단이 하우징(820)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는 도 13에 도시된 잠금해제위치와 캠 유닛(822, 823)을 형성하는 수단이 하우징(820)의 측면(825)에서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도 12, 14 및 15에 도시된 잠금위치 사이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 샤프트(821)에 장착된 캠 유닛(cam unit)(822, 823)을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어 샤프트(82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 헤드 키, 이른바 앨런 키로 구현된다.
이 경우에 캠 유닛(822, 823)을 형성하는 수단은 후크(822) 및 잠금 요소(823)를 포함한다. 캠 유닛(822, 823)을 형성하는 수단을 구현 동안, 잠금 요소(823)는 후크(822)가 도 15의 점선(822')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동일한 도면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후크(822)에 잠금 위치로 이동하고 그 반대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후크의 위치 변경은 제어 샤프트(821)에 수직인 병진이동에 따라 발생한다.
사용시, 2개의 하우징(810 및 820)은 도 12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의 측면(815 및 825)이 서로를 마주보게 연장된다. 두개의 하우징(810, 820)이 각각의 위치에 있으면, 캠 유닛(822, 823)을 형성하는 수단은 제어 샤프트(821)와 맞물린 키(K)에 의해 구현된다. 초기 단계에서, 캠 유닛(822, 823)을 형성하는 수단은 잠금해제위치에서 잠금위치로 이동하고, 후크(822)는 잠금 요소(823)에 의해 유지되는 제자리로 가져오는 위치(점선(822')으로 도시된 후크)에 있고, 잠금 요소는 후크(822)의 걸쇠에 돌출되어 있다. 그런 다음, 잠금 요소(823)는 잠금 요소(823)를 밀어내는 하우징(810)의 유지 샤프트(811)에 지지된다. 이것은 후크(822)를 해제하는 효과를 가지며, 후크는 이동이 끝날 때 유지 샤프트(811) 주위에서 잠금 위치(실선의 후크(822))로 이동한다: 따라서 쌍으로 인접한 잠길 프로파일 패널(5a 내지 5d)을 형성하는 측면 프로파일 부분(9) 또는 가로 프로파일 부분(51)은 각각 서로 지지되고 따라서 안전하게 유지된다.
반대로, 잠금해제 작업은 우선 후크(822)를 잠금 위치에서 제자리로 오는 위치 (점선(822')의 후크)로 이동시킨 다음 제자리에 오는 이 위치에서 후크(822)의 걸쇠로 다시 한 번 돌출하는 잠금 요소(823)로 이를 차단한 다음, 캠 유닛(822, 823)을 형성하는 수단이 하우징(820)의 내부에 재배치된다. 잠금 해제 작업은 우선 후크(822)를 잠금 위치에서 공급 위치(가상선(822')의 후크)로 통과시킨 다음 다시 핸들 안으로 돌출하는 잠금 요소(823)로 이 공급 위치에서 후크(822)를 차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후크(822)가 제거되면 캠(822, 823)을 형성하는 수단이 상자(820) 내부에 재배치된다. 잠금 요소(823)는 제어 샤프트(821)에 대한 후크(822)의 병진 이동 변위를 조건부로 제어하고 잠글 수 있게 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의 사용 구성의 잠금 수단(900)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잠금 수단(900)은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의 사용 구성에서 쌍으로 인접한 두 개의 패널(5a 내지 5d)을 잠글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잠금 수단(900)이 구비된 패널들(5a, 5b)이 도시되어 있다. 다음 설명은 패널(5b 및 5c)과 패널(5c 및 5d)의 잠금에 유효하다.
여기서, 잠금 수단(900)은 측면 프로파일 부분(9)의 내부 단면과 상보적인 외부 형태를 갖는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 부품의 중실 또는 중공 섹션(901)을 포함한다. 섹션(90)은 패널(5b)의 측면 프로파일 부분(9) 내에서 미끄러지도록 장착된다. 슬라이딩 이동은 측면 프로파일 부분(9)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루어진다. 이러한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잠금 수단(900)은 핀(902) 및 슬롯(903)을 포함한다. 핀(902)은 섹션(901)에 배치되고, 섹션(901)의 측면에서 돌출하여 연장된다. 슬롯(90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의 사용 구성에서 인접한 패널(5a)의 측면 프로파일 부분(9)에 대향하게 되는 패널(5b)의 측면 프로파일 부분(9)의 끝에 위치한다. 핀(902)은 슬롯(903)과 협력하며, 슬롯의 길이는 패널(5b)의 측면 프로파일 부분(9) 내에서 섹션(901)의 슬라이딩 이동의 크기를 결정한다.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의 사용 구성에서, 섹션(901)의 일부는 측면 프로파일 부분(9)의 내부 단면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슬라이딩되어, 인접한 패널(5a)은 패널(5b) 아래에 위치된다. 핀(902)은 슬롯(903)의 낮은 단부와 접한다. 그 다음 패널(5b)은 인접한 패널(5a) 상에서 그리고 인접한 패널(5a)과 함께 사용 위치에 고정된다. 이 잠금은 섹션(901)에 대한 지상 중력의 영향에 의해 자동으로 발생하며, 섹션(901)은 무게 덕분에 도 16에 도시된 잠금위치로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의 운송 구성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잠금 수단(900)은 도 17에 도시된 잠금해제모드에 위치된다. 섹션(901)은 핀(902)이 슬롯(903)의 높은 단부에서 지지될 때까지 상승하고, 섹션(901)은 인접한 패널(5a)의 측면 프로파일 부분(9)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예를 들어 핀(902)에 대한 수동 지지 작용에 의해 패널(5b)의 측면 프로파일 부분(9)에 완전히 맞물린다. 그 다음, 패널(5b)은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의 운송 구성을 위해 패널(5a) 상으로 다시 접힐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섹션(901)의 슬라이딩 이동은 전동화될 수 있다.
이제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거대한 카케모노(100)를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복수의 전자표시장치(1)를 연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의 서로 다른 전자표시장치(1)를 맞대어 덮개(6,7)를 형성하는 수단을 통해 두개씩 조립함으로써 충분하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의 두 개의 장치를 조립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작동시 거대한 표시 표면(30)이 간단하고 빠르게 얻어진다. 일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가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 수단(800)에 의해 조립된다.
쌍으로 인접한 2개의 패널들(5a 내지 5d)을 관절연결로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관절연결 수단(18)의 제2 실시예가 이제 도 9a 내지 1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 설명은 패널들(5b, 5c) 및 패널들(5c, 5d)의 관절연결에 유효하다.
관절연결 수단(18)은 동일한 제1 및 제2 케이스(181)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케이스(181)는 패널(5a)의 상부 가로 프로파일 부분(51)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제2 케이스(181)은 패널(5a)의 하부 가로 프로파일 패널(51)과 대면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널(5b)의 하부 가로 프로파일 패널(51)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여기서 각각의 케이스(18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프로파일되는 플레이트(188)에 의해 각각의 가로 프로파일 부분(51)에 고정된다. 각각의 케이스(181)는 케이스(181)의 각각의 측벽에 제공된 직선형 장방형 개구(182)를 포함하며, 이 개구는 서로 마주하고 이격되어 연장된다. 슬라이딩 샤프트(183)는 이러한 장방형 개구(182)에서 병진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각각의 케이스(181)는 또한 고정되거나 슬라이딩 샤프트(183)에 대해 오프셋되지만 평행하게 위치된 고정 샤프트(184)의 회전으로 장착을 위한 수용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장방형 개구(182)는 관절연결 수단(18)의 순간 회전 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는 반면, 고정 샤프트(184)를 수용하기 위한 오리피스는 이 순간 회전 축에 가깝게 위치된다.
2개의 케이스(181)를 연결하는 관절연결 수단(18)은 일련의 관절연결 플레이트(180)를 포함하며, 여기서는 8개를 포함하며, 관절연결 플레이트들은 서로 평행하고, 평면에서 서로에 대해 지그재그로 오프셋되고, 서로에 대해 평면 상에서 그리고 회전 샤프트(185) 상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회전 샤프트(185)는 관절연결 수단(18)의 순간 회전축에 평행하다. 각각의 관절연결 플레이트(180)는 도 10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전체적으로 "n" 즉 스테이플 모양의 형태로, 이 경우 도면에서 수직인 두 개의 가지(branch)와 길이 L의 수평 부분이 있는 베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가지들의 자유 단부에서 관절연결 플레이트(180)는 각각 고정 샤프트(184) 및 슬라이딩 샤프트(183)의 통과를 위한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관절연결 플레이트(180)의 베이스는 또한 관절연결 수단(18)의 일련의 관절 플레이트들(180)의 상이한 관절 플레이트들(180)을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전 샤프트(185) 통과용 제3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상기 통과용 오리피스는 베이스의 길이가 L인 수평 부분을 통과하는 직선에 대한 직교 투영에서 다음과 같이 배치된다:
● 회전 샤프트(185) 통과용 오리피스의 직교돌기는 길이가 L인 수평 부분의 중앙 지점이다
● 고정 샤프트(184) 통과용 오리피스의 직교돌기와 회전 샤프트(185) 통과용 오리피스의 직교돌기 사이의 거리가 슬라이딩 샤프트(183) 통과용 오리피스의 직교돌기와 회전 샤프트(185)의 통과용 오리피스의 직교돌기 사이의 거리 보다 작고, 특히 서로에 대해 관절 플레이트들(180)의 지그재그 형태로 오프셋되어 장착될 수 있게 한다.
관절연결 플레이트들(180)은 다음과 같이 장착된다: 관절연결 플레이트(180)의 고정 샤프트(184) 통과용 오리피스는 2개의 케이스들(181) 중 하나의 고정 샤프트(184)를 수용하고, 슬라이딩 샤프트(183) 통과용 오리피스는 2개의 케이스들(181) 중 다른 하나의 슬라이딩 샤프트(183)를 수용한다. 인접한 다음의 관절연결 플레이트(180)가 대안적인 방식으로 장착된다: 관절연결 플레이트(180)의 고정 샤프트(184) 통과용 오리피스는 2개의 케이스들(181)의 다른 하나의 고정 샤프트(184)를 수용하고, 슬라이딩 샤프트(183) 통과용 오리피스는 2개의 케이스들(181)의 하나의 슬라이딩 샤프트(183)를 수용하며, 이런 식으로 계속된다.
방금 설명된 관절연결 수단(18)의 작동은 도 9a 내지 도 9e에 도시되어 있다. 도 9a는 인접한 패널들(5a, 5b)의 펼쳐진 위치를 도시하고, 도 9e는 상기 2개의 패널들이 다시 접힌 위치를 도시한다. 움직임이 시작될 때, 대략 도 9a 내지 9c에서, 관절연결 수단(18)의 순간 회전축은 실질적으로 전자표시화면(3)의 대향하는 2개의 코너에 위치된다. 그런 다음, 움직임이 계속되면, 도 9d에서, 관절연결 수단(18)의 순간 회전축은 도 9e에 도시된 이동이 끝날 때까지 전자표시화면(3)을 떨어져 이동함으로써 "돌출"된다. 이동의 끝에서, 관절연결 수단(18)의 순간 회전축은 이전에 설명된 회전 샤프트(185) 통과용 오리피스의 직교돌기, 즉 길이 L을 갖는 수평 부분의 중앙 지점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관절연결 수단(18)의 구조는 패널들(5a 및 5b)에 장착된 2개의 전자표시화면(3) 사이에서 이동 중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일정하고 안전하며 반복 가능한 이동을 보장한다. 길이 L은 이동의 끝에서 패널들(5a, 5b)의 전자표시화면(3)이 평행하게 서로 마주하며 서로 이격되게 연장되도록 선택되며, 그러한 구조의 결과로써 관절연결 수단(18)은 본 발명에 따른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의 운송 동안 이 거리를 유지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맥락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 많은 수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1 전자표시장치 2 받침대 3 전자표시화면 5 구조체
5a, 5b, 5c, 5d 프로파일 패널 6, 7 덮개 8 세장형 요소
81 체인 82, 84 자유단 83 견인 스프링 10, 800, 900 잠금 수단
9 측면 프로파일 부분 51 가로 프로파일 부분 18 관절연결 수단
91 홈 180 관절연결 플레이트 181 케이스 182 장방형 개구부
183 슬라이딩 샤프트 184 고정 샤프트 185 회전 샤프트
810, 820 하우징 811 유지 샤프트 815, 825 개방된 측면
821 제어 샤프트 822, 823 캠 유닛 822, 822' 후크
901 프로파일 섹션 902 핀 903 슬롯

Claims (16)

  1. 운송 구성과 사용 구성 사이에서 재구성될 수 있는 카케모노형 전자표시장치(1)로서, 상기 장치가 쌍으로 인접한 일련의 프로파일 패널들(5a, 5b, 5c, 5d)을 포함하는 구조체(5), 2개의 인접한 프로파일 패널들 사이의 관절연결 수단(8; 18), 및 일련의 전자표시화면들(3), 상기 일련의 전자표시화면들 중의 하나의 전자표시화면은 상기 일련의 프로파일 패널들 중의 하나의 프로파일 패널과 연관되며 그 위에 조립되는 장치에 있어서, 관절연결 수단은 운송 구성에서 상기 구조체가 아코디온 형태로 접히도록 배열되는 전자표시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관절연결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세장형 요소(8)를 포함하고, 세장형 요소는 쌍으로 인접한 두 개의 프로파일 패널들 중 하나에 고정된 제1 단부(82)와 쌍으로 인접한 두 개의 프로파일 패널들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된 제2 단부(84)를 포함하는 장치(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요소는 2개의 인접한 패널들 각각의 장치의 사용 구성에서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오도록 하기 위한 프로파일 부분(9) 내에 위치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연결 수단(18)은 일련의 관절연결 플레이트들(180), 쌍으로 인접하는 프로파일 패널들 중 하나의 프로파일 상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상기 관절연결 플레이트의 제1 단부 및 쌍으로 인접한 프로파일 패널들 중 다른 하나의 프로파일 위에서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반대편의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관절연결 수단은 상기 일련의 관절연결 플레이트들의 연관된 관절연결 플레이트들 부분의 제2 단부와 연결된 슬라이딩 샤프트(183)를 수용하는 장방형 개구부(182)를 포함하는 케이스(181)와 상기 일련의 관절연결 플레이트들 중 연관된 관절연결 플레이트들의 다른 부분의 제1 단부와 연결되는 고정 샤프트(184)를 수용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사용 구성을 잠그는 수단(10, 800, 900)을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은 두 개의 인접한 패널들 중 하나의 측면 프로파일 부분의 홈(91)에 배열된 슬라이딩 잠금 요소(10)를 포함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잠금 수단(800)은 두 개의 인접한 패널들 중 하나의 패널의 측면(9) 또는 가로지르는(51) 프로파일 부분에 장착되는 캠 유닛(822, 823)을 형성하는 수단과 두 개의 인접한 패널들 중 다른 하나의 패널의 측면 또는 가로지르는 프로파일 부분에 장착되는 유지 샤프트(811)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 샤프트는 장치의 사용 구성에서 캠 유닛을 형성하는 수단과 협력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캠 유닛을 형성하는 상기 수단은 제어 샤프트(821)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제어 샤프트에 수직인 방향으로 병진하도록 장착되는 후크(822, 822')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캠 유닛을 형성하는 상기 수단은 또한 상기 제어 샤프트에 대한 후크의 병진 이동 변위를 제어하고 조건부로 잠글 수 있게 하는 잠금 요소(823)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프로파일 패널들의 측면을 덮는 덮개(6, 7)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덮개를 형성하는 수단은 상기 프로파일 패널과 관련된 전자표시화면의 측면을 덮는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덮개를 형성하는 수단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덮개를 형성하는 수단은 자기조립요소(magnetic assembly elements)를 포함하는 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잠금 수단(900)은 두 개의 인접한 패널들 중 하나의 측면 프로파일 부분(9)의 내부 섹션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장착되는 프로파일 섹션(901)을 포함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901)은 돌출 연장되고 상기 두 개의 인접한 패널들 중 상기 하나의 프로파일의 측면 프로파일 부분(9)의 측면에 제공된 슬롯(9)과 협력하는 핀(902)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227024016A 2019-12-12 2020-09-18 디지털 카케모노 KR202201363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PCT/FR2019/053044 2019-12-12
PCT/FR2019/053044 WO2021116540A1 (fr) 2019-12-12 2019-12-12 Kakemono digital
PCT/FR2020/051619 WO2021116542A1 (fr) 2019-12-12 2020-09-18 Kakemono digit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352A true KR20220136352A (ko) 2022-10-07

Family

ID=69400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016A KR20220136352A (ko) 2019-12-12 2020-09-18 디지털 카케모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05396A1 (ko)
EP (1) EP4073784A1 (ko)
JP (1) JP2023506045A (ko)
KR (1) KR20220136352A (ko)
CN (1) CN115244601A (ko)
BR (1) BR112022011498A2 (ko)
WO (2) WO20211165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6433B (zh) * 2021-07-13 2022-10-21 深圳美一间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智能互动开合矩阵承载装置
CN114265225B (zh) * 2021-12-27 2023-07-04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拼接显示屏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4313A (en) * 1978-06-19 1980-03-25 Downing Displays, Inc. Articulated panel display
US6430779B1 (en) * 2000-03-31 2002-08-13 Modernfold, Inc. Mounting apparatus for concealed hinge of operable wall
WO2002033685A1 (fr) * 2000-09-18 2002-04-25 Peifang Zhu Dispositif d'affichage pliant et son appareil de connexion
US6926375B2 (en) * 2002-05-24 2005-08-09 Toshiba Transport Engineering Inc. Unit connecting mechanism and image display device
FI124662B (fi) 2013-04-25 2014-11-28 Satavision Oy Grafiikkapinnalle yhdistettävä pikakiinnitteinen informaatioelementti
AT515846B1 (de) * 2014-02-12 2016-09-15 C Seed Tech Gmbh Anzeigevorrichtung
KR200484920Y1 (ko) * 2015-07-03 2017-11-07 주식회사 대한전광 이동식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031386A1 (en) * 2015-07-27 2017-02-02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Multi-Screen Display System, Devices and Methods
CN105185262B (zh) * 2015-10-12 2018-02-23 潘卫江 移动显示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11498A2 (pt) 2022-08-23
CN115244601A (zh) 2022-10-25
WO2021116542A1 (fr) 2021-06-17
EP4073784A1 (fr) 2022-10-19
US20230005396A1 (en) 2023-01-05
WO2021116540A1 (fr) 2021-06-17
JP2023506045A (ja)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6352A (ko) 디지털 카케모노
JP2602399B2 (ja) 滑り鎖錠装置
US7866768B2 (en) Modular storage assembly
US20060175489A1 (en) Device for locking an electric apparatus onto a supporting rail
JP3223712U (ja) ゲート
US7028621B2 (en) Device for storing objects
KR102262074B1 (ko) 스위치기어 캐비닛 하우징용 푸시 로드 로크, 대응 장치 및 대응 방법
US10506729B2 (en) Electronics enclosure with low-profile door
CA2620115A1 (en) Safety lock for interlock switch
US5096238A (en) Secondary door locking system
WO2014111046A1 (zh) 适用于大型容器的锁定机构及大型容器
GB2415461A (en) Espagnolette locking device with at least one pair of locking pins on each side of a drive mechanism each pair cooperating with a respective striker
US10512180B2 (en) Security system for electronics cabinet
KR101890553B1 (ko) 도어 레버록용 무볼팅 래치어셈블리
JP3183174U (ja) 可動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要素を駆動する電気機械アクチュエータのヘッドの支持装置
KR200495175Y1 (ko) 미닫이 창문용 열림방지장치
KR102439219B1 (ko) 접이식 여행용 가방
KR200205795Y1 (ko) 도어용 로킹장치
JPH043109Y2 (ko)
KR101810979B1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JP4986821B2 (ja) 門扉の扉体連結装置
CN107893596B (zh) 铰链锁闭装置及轨道车辆车门系统
DE19718422C2 (de) Steckbare Haltevorrichtung für Festplatten-Speicherlaufwerke oder bezüglich der äusseren Form gleichartig aufgebauter Einschub-Baugruppen
GB2457451A (en) Security shutter locking assembly
KR100627716B1 (ko) 전시용 진열장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